KR102521780B1 -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1780B1
KR102521780B1 KR1020200131542A KR20200131542A KR102521780B1 KR 102521780 B1 KR102521780 B1 KR 102521780B1 KR 1020200131542 A KR1020200131542 A KR 1020200131542A KR 20200131542 A KR20200131542 A KR 20200131542A KR 102521780 B1 KR102521780 B1 KR 102521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creen
drum
overflow
ar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9056A (ko
Inventor
이세호
김기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일씨앤이
Priority to KR102020013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78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067Construction of the filtering drums, e.g. mounting or 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3/807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는, 전체적으로 메쉬 또는 타공이 형성된 드럼스크린의 중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요입된 단차부를 형성함에 따라 협잡물이 포함된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쪽의 제1 드럼 영역과 협잡물 배출부쪽의 제2 드럼 영역으로 드럼스크린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분할되고,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된 드럼스크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Double conical type drum screen apparatus}
본 발명은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종래 수평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문제점인 유입수의 넘침과 세척수로 인해 드럼스크린에서 걸러진 협잡물의 함수율 증가를 해소하고, 유입수량과 협잡물의 함수율에 따라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드럼스크린의 처리성능이 대폭 향상된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스크린 장치는 각종 생활오수 및 산업 폐수와 축산 폐수, 그리고 고농도 유기성 폐수인 하수와 오폐수인 원수에 포함된 각종 부유물질 및 고형물질, 협잡물 등과 같은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도록 내부에 드럼 형태의 여과스크린이 구비된 정화장치를 지칭한다.
통상 중소규모 하폐수 처리장의 유량조정조 후단에 설치되어 반응조 및 막분리조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미세협잡물을 제거하는 수평형 드럼스크린 장치가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수평형 드럼스크린 장치는 원기둥 형태의 드럼 내부에 헤드박스(Head Box)를 설치하고, 상기 헤드박스를 통해 드럼스크린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가 미세협잡물을 제거한 뒤 드럼스크린의 하부 처리수 집수조를 통해 기계 외부로 배출되면서 드럼스크린 내부에서 걸러진 협잡물은 드럼스크린이 회전하면서 내부의 스크류 날개를 타고 후단 슈트부로 이동하여 협잡물 박스 또는 컨베이어로 이송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평형 드럼스크린 장치는 드럼스크린을 구성하는 메쉬 또는 타공망 등이 막히거나 기계 고장 또는 유입수가 과다하게 유입될 때 유입수를 드럼스크린이 다 처리하지 못하여 협잡물 배출부로 유입수가 유입되어 처리장의 침수 발생이나 후단 설비의 고장을 일으켰다.
상기와 같이 막힌 드럼스크린의 세척을 위해 드럼스크린 밖에서 안으로 분사되는 세척수가 협잡물에 떨어져 배출되는 협잡물의 함수율이 높아지거나 세척수가 드럼스크린 내부의 스크류 날개를 타고 협잡물 배출부로 이송되어 후단 설비의 침수가 발생되었다.
이와 같이 종래 수평형 드럼스크린 장치는 유입수량과 드럼스크린에서 걸러진 협잡물의 함수율에 따라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경우 유입물량과 함수율을 동시에 해결할 수가 없었다.
가령 유입수량이 많으면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높여 통과량을 늘릴 수 있으나 협잡물의 함수율이 높은 상태로 배출되고 반대로 협잡물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줄이면 유입수의 처리량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유입수의 넘침이 없어야 하고 세척수로 인해 드럼스크린에서 걸러진 협잡물의 함수율 증가가 없어야 하며, 유입수량과 협잡물의 함수율에 따라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드럼스크린의 처리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구조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46050호 (2013.03.15. 등록) 한국 공개특허 제2020-0030235호 (2020.03.20. 공개) 한국 공개특허 제2020-0030240호 (2020.03.20.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종래 수평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문제점인 유입수의 넘침과 세척수로 인해 드럼스크린에서 걸러진 협잡물의 함수율 증가를 해소하고, 유입수량과 협잡물의 함수율에 따라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드럼스크린의 처리성능이 대폭 향상된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전체적으로 메쉬 또는 타공이 형성된 드럼스크린의 중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요입된 단차부를 형성함에 따라 협잡물이 포함된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쪽의 제1 드럼 영역과 협잡물 배출부쪽의 제2 드럼 영역으로 드럼스크린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분할되고,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면에는 협잡물의 반송을 위한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된 드럼스크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제2 드럼 영역에 형성된 메쉬 또는 타공이 제1 드럼 영역에 형성된 메쉬 또는 타공보다 개구율(Open area ratio)이 더 크게 형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유입관 하단에는 오버플로우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단차부에 의해 제1 드럼 영역의 유입관쪽으로 역류되어 모여지는 오버플로우 박스;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 모여진 유입수가 일정 높이 이상 수위가 증가되면 장치 외부로 배출되는 오버플로우 웨어;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 모여진 유입수가 일정 높이 이상 수위가 증가됨을 감지하는 오버플로우 감지수단; 및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수단이 일정 높이 이상 수위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개폐되어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 모여진 유입수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수단은,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서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플로팅 부재;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플로팅 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상하로 승하강되는 감지봉; 및 상기 감지봉이 상승된 경우 감지봉의 타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세척부는, 드럼스크린부의 측방에 구비된 제1 세척수 노즐; 드럼스크린부의 상방에 구비된 제2 세척수 노즐; 및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제2 드럼 영역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세척수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드럼스크린부의 상부를 통해 협잡물에 닿기 전에 모아서 오버플로우부로 배수하는 세척수 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세척수 노즐은 드럼스크린부의 제1 드럼 영역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1 드럼 영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드럼스크린부는, 제1 드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드럼스크린과 제2 드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드럼스크린으로 별개로 분할 구성된 후 단차부끼리 서로 끼워져 접속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제1 드럼스크린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구동부와 제2 드럼스크린의 일측에 구비된 제2 구동부로 분할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수평 드럼스크린 장치에서 고질적으로 발생되던 유입수의 넘침이 방지된다.
둘째, 외부 세척수로 인한 스크리닝 완료된 협잡물의 함수율 증가가 방지된다.
셋째, 유입수량과 협잡물의 함수율에 따라 드럼스크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드럼스크린의 처리성능이 대폭 향상된다.
넷째, 소규모 처리장에서 최소한의 투자비와 유지관리비 등을 투입하면서도 효과적인 처리 성능의 확보가 가능하여 운영 및 유지보수에 따른 경제성이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투영도
도 3은 도 2의 드럼스크린부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오버플로우부를 확대하여 보인 부분 투영도
도 5는 도 2의 헤드박스 및 세척수 트로프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부분 투영도
도 8은 도 7의 드럼스크린부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드럼스크린부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정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 스크린 장치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분 투영도이며, 도 3은 도 2의 드럼스크린부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오버플로우부를 확대하여 보인 부분 투영도이며, 도 5는 도 2의 헤드박스 및 세척수 트로프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는, 프레임(10) 상단에 장치의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싱(20)이 안착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20)의 일측에는 하폐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관(30)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관(30)의 상방에는 내부의 드럼스크린부(50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00)와, 드럼스크린(510, 도 3 참조)의 메쉬 또는 타공 사이에 낀 협잡물을 물분사하여 제거하기 위한 세척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스크린부(500)의 일측에 장착된 모터(110) 및 감속기(120), 상기 모터(110) 및 감속기(120)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 기어(미도시), 한편 상기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면서 드럼스크린부(500)를 회전 구동하는 링기어(120)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부(500)의 하방에는 후술할 드럼스크린부(500)의 제1 드럼 영역(511)으로부터 역류된 유입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부(30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유입관(30)을 통해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드럼스크린부(500) 내에 배치된 헤드박스(400)로 유입된 후 상기 헤드박스(400)의 양측 유출구(400a)를 통해 드럼스크린부(500) 내부로 하폐수가 유입된다.
또한, 상기 세척부(200)는, 드럼스크린부(500)의 측방에 구비된 제1 세척수 노즐(210)과, 드럼스크린부(500)의 직상방에 구비된 제2 세척수 노즐(220)과, 상기 드럼스크린부(500)의 제2 드럼 영역(512)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세척수 노즐(22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드럼스크린부(500)의 상부를 통해 협잡물에 닿기 전에 모아서 헤드박스(400)로 배수하는 세척수 트로프(2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세척수 노즐(210)은 드럼스크린부(500)의 제2 드럼 영역(512)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어 제2 드럼 영역(512) 내부의 협잡물의 함수율이 높아짐을 방지하기 위해 제1 드럼 영역(511)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1 드럼 영역(511)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제1 드럼 영역(511)의 측방에만 배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세척수 노즐(21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드럼스크린부(500)의 제1 드럼 영역(511)의 측방에서 분사되어 제1 드럼 영역(511) 내부로 유입됨이 최소화되며, 상기 제1 세척수 노즐(21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제1 드럼 영역(511)의 메쉬 또는 타공 사이에 끼인 협잡물을 떼어낸 후 드럼스크린부(500) 하부에 위치한 집수조(50)로 낙하한 후 배수관(36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어진다.
한편, 드럼스크린부(500)의 상방에 구비된 제2 세척수 노즐(220)은 전체적으로 드럼스크린부(500)의 길이방향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방에서 드럼스크린(510)의 제2 드럼 영역(512)에 걸쳐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드럼 영역(512) 내부에는 헤드박스(400)와 연결된 세척수 트로프(230)가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제2 세척수 노즐(220)로부터 상방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드럼스크린(510)의 제2 드럼 영역(512)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 협잡물에 닿기 전에 이를 미리 차단하여 헤드박스(400)쪽으로 배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수 트로프(230)에 의해 제2 세척수 노즐(22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제2 드럼 영역(512) 내의 협잡물로 다시 유입되어 협잡물의 함수율이 높아지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스크린부(500)는 전체적으로 메쉬 또는 타공이 형성된 드럼스크린(510)과, 상기 드럼스크린(510)의 중단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요입된 단차부(513)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513)에 의해 드럼스크린(510)은 협잡물이 포함된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30)쪽의 제1 드럼 영역(511)과 반대편 협잡물 배출부(40)쪽의 제2 드럼 영역(512)으로 드럼스크린(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2분할된다.
상기 드럼스크린(510)의 외측에는 제1 드럼 영역(511), 단차부(513) 및 제2 드럼 영역(512)의 외곽 형상에 따라 드럼프레임(520)이 부설되어 있어서 상기 드럼프레임(520)에 의해 드럼스크린(510)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정상운전 시에 헤드박스(400)를 통해 드럼스크린부(500)의 제1 드럼 영역(511) 내부로 유입된 하폐수는 집수조(50) 및 배수관(360)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비정상운전 시(예로서, 과부하 또는 기계 고장, 제1 드럼 영역의 막힘 발생 등)에 제1 드럼 영역(511) 내부로 유입된 하폐수는 상기 단차부(513)에 가로막혀 제2 드럼 영역(512)으로 넘어가지 못한 채 하방의 오버플로우부(300)로 배수되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510)의 내면에는 협잡물을 협잡물 배출부(40)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 블레이드(530)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드럼스크린(510)이 회전됨에 따라 스크류 블레이드(530)에 의해 협잡물만이 제2 드럼 영역(512)으로 이송되고, 하폐수에 포함된 물은 하방의 집수조(50)로 분리 배수된다.
또한, 상기 드럼스크린(510)의 제2 드럼 영역(512)에 형성된 메쉬 또는 타공이 제1 드럼 영역(511)에 형성된 메쉬 또는 타공보다 개구율(Open area ratio)이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드럼 영역(511) 및 제2 드럼 영역(512)의 개구율을 달리 형성하는 이유는, 제1 드럼 영역(511)에서 제2 드럼 영역(512)으로 이송되는 협잡물은 서로 뭉쳐져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뭉쳐진 협잡물의 배수가 보다 원활하도록 제2 드럼 영역(512)의 개구율을 제1 드럼 영역(511)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제2 드럼 영역(512)의 함수율을 낮출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드럼 영역(511)의 통공의 직경을 1 내지 2mm로 형성할 때, 제2 드럼 영역(512)의 통공의 직경은 3 내지 5mm로 형성하여 개구율을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 드럼 영역(512)의 개구율을 제1 드럼 영역(511)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드럼 영역(511)에서 1차적으로 배수가 이루어진 협잡물은 제2 드럼 영역(512)에서 개구율이 확장된 메쉬 또는 타공에 의해 물빠짐이 더욱 촉진될 수 있으며, 상기 협잡물이 제2 드럼 영역(512)을 이동하는 동안 자중에 의해 지속적으로 물빠짐이 일어나 협잡물의 함수율은 더욱 감소되어진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버플로우부(300)에는, 비정상운전 시(예로서, 과부하, 기계 고장, 제1 드럼영역의 막힘 등)에 유입관(30)을 통해 유입된 유입수가 집수조(50)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단차부(513)에 의해 막혀 제1 드럼 영역(511)의 유입관(30)쪽으로 역류된 유입수를 배출하기 위해 오버플로우 박스(310)가 구비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310)의 일측에는 오버플로우 웨어(320) 및 오버플로우 정류벽(330)이 구비됨에 따라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에 모여진 유입수가 일정 높이 이상 수위가 증가되면 상기 유입수가 오버플로우 웨어(320)를 통해 집수조(50)에 모여진 후 배수관(360)을 통해 장치 외부로 최종 배수된다.
또한,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에는 오버플로우 감지수단(340)이 구비됨에 따라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로 모여진 유입수가 일정 높이 이상 수위가 증가되면 이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수단(340)은,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에서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플로팅 부재(341)와, 상기 플로팅 부재(341)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플로팅 부재(341)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상하로 승하강되는 감지봉(342)과, 상기 감지봉(342)이 상승된 경우 감지봉(342)의 상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43)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수단(340)의 플로팅 부재(341) 및 감지봉(342)이 상승하여 감지센서(343)에 감지봉(342)의 상단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가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에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 차올랐음을 판단하고, 드레인 밸브(350)를 자동으로 개방하여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에 모여진 유입수를 드레인 밸브(350)를 통해 집수조(50)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310) 내의 유입수가 배출되면 플로팅 부재(341)와 감지봉(342)은 다시 낮아진 수위만큼 하방으로 하강되므로 이 때는 감지센서(343)에 감지봉(342)의 상단이 감지되지 않게 되므로 드레인 밸브(350)는 다시 자동으로 폐쇄되어짐은 이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 스크린 장치의 구성 및 작동 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부분 투영도이며, 도 8은 도 7의 드럼스크린부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정면도이다.
상기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스크린부는, 제1 드럼 영역(511)을 포함하는 제1 드럼스크린(510-1)과, 제2 드럼 영역(512)을 포함하는 제2 드럼스크린(510-2)으로 별개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 드럼스크린(510-1)(510-2)의 단차부(510-3)에서 서로 끼워져 접속된다.
이 때, 구동부(100)는, 제1 드럼스크린(510-1)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구동부(100-1)와 제2 드럼스크린(510-2)의 일측에 구비된 제2 구동부(100-2)로 분할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제1, 제2 드럼스크린(510-1)(510-2)이 각기 다른 회전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속도를 각각 제어하는 이유는 유입수량이 많아 제1 드럼스크린(510-1)이 정체되면 상기 제1 드럼스크린(510-1)을 빠르게 구동하여 유입수를 처리할 수 있으며, 배출되는 협잡물의 양이 적거나 함수율이 높으면 제2 드럼스크린(510-2)의 속도를 낮추어 상기 제2 드럼스크린(510-2)에 담겨진 협잡물의 체류시간을 늘려 좀 더 긴 시간 동안 중력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드럼스크린(510-1)(510-2)이 접속된 단차부(510-3)에는 중간 지지 롤러(520)를 더 설치함에 따라 드럼스크린부(50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드럼스크린부를 분리하여 보인 요부 정면도이다.
한편,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입유량과 협잡물 발생량이 적고 또 경제성을 고려해야 하는 소규모 하수/폐수처리장에는 드럼스크린 가운데 영역의 단차부없이 일단이 원추형 구조를 갖는 단일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의 드럼스크린부(501)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8에서 개시된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부(500)를 보다 컴팩트하게 개량한 모델로서,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부(500)의 가운데 영역에 구비된 단차부 및 제2 드럼 영역을 생략하는 대신에 드럼스크린부(501)의 협잡물 배출구쪽 일단이 원추형 단차부(501a)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일 원추형 드럼스크린부(501)의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 단차부(501a)에 의해 역시 유입수의 월류방지 및 외부 세척수로 인한 협잡물의 함수율 증가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됨은 이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 : 프레임 20 : 케이싱
30 : 유입관 40 : 협잡물 배출부
50 : 집수조 100: 구동부
100-1, 100-2: 제1, 제2 구동부 200: 세척부
210, 220: 제1, 제2 세척수 노즐 230: 세척수 트로프
300: 오버플로우부 310: 오버플로우 박스
320: 오버플로우 웨어 330: 오버플로우 정류벽
340: 오버플로우 감지수단 400: 헤드박스
500: 드럼스크린부 510: 드럼스크린
511: 제1 드럼 영역 512: 제2 드럼 영역
513: 단차부 530: 스크류 블레이드

Claims (9)

  1. 전체적으로 메쉬 또는 타공이 형성된 드럼스크린의 중단부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깊이로 요입된 단차부를 형성함에 따라 협잡물이 포함된 하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쪽의 제1 드럼 영역과 협잡물 배출부쪽의 제2 드럼 영역으로 드럼스크린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 공간이 분할되고, 상기 드럼스크린의 내면에는 협잡물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 블레이드가 형성된 드럼스크린부;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드럼스크린부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일측에 구비된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유입관 하단에는 오버플로우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오버플로우부는,
    유입관으로 유입된 유입수가 단차부에 의해 제1 드럼 영역의 유입관쪽으로 역류되어 모여지는 오버플로우 박스;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 모여진 유입수가 일정 높이 이상 수위가 증가되면 외부로 배출되는 오버플로우 웨어;
    상기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 모여진 유입수가 일정 높이 이상 수위가 증가됨을 감지하는 오버플로우 감지수단;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수단이 일정 높이 이상 수위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개폐되어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 모여진 유입수를 하방으로 배출하는 드레인 밸브;를 포함하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제2 드럼 영역에 형성된 메쉬 또는 타공이 제1 드럼 영역에 형성된 메쉬 또는 타공보다 개구율(Open area ratio)이 더 크게 형성되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감지수단은,
    오버플로우 박스 내에서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플로팅 부재;
    상기 플로팅 부재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어 플로팅 부재의 승하강에 따라 함께 상하로 승하강되는 감지봉; 및
    상기 감지봉이 상승된 경우 감지봉의 타단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드럼스크린부의 측방에 구비된 제1 세척수 노즐;
    드럼스크린부의 상방에 구비된 제2 세척수 노즐; 및
    상기 드럼스크린부의 제2 드럼 영역 내부에 구비되어 제2 세척수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드럼스크린부의 상부를 통해 협잡물에 닿기 전에 모아서 오버플로우부로 배수하는 세척수 트로프;를 포함하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 노즐은 드럼스크린부의 제1 드럼 영역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1 드럼 영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스크린부는,
    제1 드럼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드럼스크린과 제2 드럼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드럼스크린으로 별개로 분할 구성된 후 단차부끼리 서로 끼워져 접속되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제1 드럼스크린의 일측에 구비된 제1 구동부와 제2 드럼스크린의 일측에 구비된 제2 구동부로 분할 구성되는,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KR1020200131542A 2020-10-13 2020-10-13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KR102521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42A KR102521780B1 (ko) 2020-10-13 2020-10-13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542A KR102521780B1 (ko) 2020-10-13 2020-10-13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056A KR20220049056A (ko) 2022-04-21
KR102521780B1 true KR102521780B1 (ko) 2023-04-17

Family

ID=8143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542A KR102521780B1 (ko) 2020-10-13 2020-10-13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1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9585B (zh) * 2023-06-20 2023-08-18 湖南永蓝新环境服务有限公司 一种多级污水处理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9100A (ja) * 2016-09-28 2019-10-17 ヴェオリア・ウォーター・ソリューションズ・アンド・テクノロジーズ・サポート バイパス水を逆洗で使用されることから防止するバイパス水制御器を備えるフレーム型ディスク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050B1 (ko) 2012-07-06 2013-03-26 주식회사 수환경테크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1703731B1 (ko) * 2015-05-06 2017-02-07 (주)국제환경기술 경사드럼스크린과 이중 테이퍼스크린을 구비한 2단 탈수방식의 고액분리기
KR101946421B1 (ko) * 2017-06-20 2019-02-11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슬러지 여과용 드럼 스크린
KR20200030240A (ko) 2018-09-12 2020-03-20 (주)유원산업 협잡물 처리기용 드럼스크린
KR102209981B1 (ko) 2018-09-12 2021-02-01 (주)유원산업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529100A (ja) * 2016-09-28 2019-10-17 ヴェオリア・ウォーター・ソリューションズ・アンド・テクノロジーズ・サポート バイパス水を逆洗で使用されることから防止するバイパス水制御器を備えるフレーム型ディスクフィル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056A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394B1 (ko) 협잡물 제거용 드럼 스크린
US4923600A (en) Water clarification system adapted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of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KR102521780B1 (ko)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CN208980447U (zh) 污水过滤箱
KR101556669B1 (ko) 상향류식 다단 습지여상
JP2006239546A (ja) 砂分離洗浄装置
AU707819B2 (en) Separator with solids diverter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CN208815647U (zh) 一种用于水利工程的水利管道
KR102445259B1 (ko) 수막현상 방지기능의 레이크를 가지는 로터리 제진기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CN211069261U (zh) 水幕除尘设备的甩筒式清洁系统
KR20230079590A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872492B1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KR20150020348A (ko) 우수의 압력에 의해 탈수 여과되는 노즐형 초기 우수 정화장치
NL2008390C2 (en) Filtration appliance and filtration installation comprising such an appliance.
KR200343484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KR20090048137A (ko) 오수 여과장치
CN210933958U (zh) 一种采煤液压系统反冲洗过滤器
KR102445260B1 (ko) 레이크 잔여 이물질 제거 기능을 가지는 로터리 제진기
JP2002363950A (ja) 取水口塵芥除去装置
JP4647900B2 (ja) 横流型移動床式ろ過装置
CN217941121U (zh) 一种组装式油茶籽清洗桶
CN110711423B (zh) 一种脱水筛的快速自动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