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844A -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844A
KR20130016844A KR1020110079004A KR20110079004A KR20130016844A KR 20130016844 A KR20130016844 A KR 20130016844A KR 1020110079004 A KR1020110079004 A KR 1020110079004A KR 20110079004 A KR20110079004 A KR 20110079004A KR 20130016844 A KR20130016844 A KR 20130016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insertion groove
door trim
coupling body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9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188B1 (ko
Inventor
오세훈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9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1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는, 차량의 도어 패널 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패스너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도어 트림; 및 도어 패널 및 도어 트림을 상호 연결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되, 패스너 결합부는,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패스너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패스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에 도어 트림을 적재할 때 또는 도어 트림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Door trim assembly with anti-separation structure of fastner}
본 발명은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에 도어 트림을 적재할 때 또는 도어 트림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좌우측면에는 센터 필러 패널을 중심으로 프론트 도어와 리어 도어가 설치되며, 양 도어는 아우터 패널(outer panel)과 인너 패널(inner panel)로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고, 양 패널의 내부에는 도어 개폐기구, 글라스, 글라스 조작기구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너 패널의 내측에는 탑승자들이 팔을 편안하게 얹을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일체로 형성된 도어 트림이 설치되며, 도어 트림에는 도어 글라스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도록 도어 글라스 승강 스위치 등이 설치된다.
한편, 도어 트림은 이에 일체로 성형된 패스너 결합부에 패스너를 끼운 상태에서 인너 패널에 이를 끼움으로써 인너 패널에 결합된다.
도 1은 도어 트림에 패스너가 결합된 종래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 2는 도어 트림에 패스너를 끼우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의 패스너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1)는 도어 트림(1a)의 둘레를 따라서 패스너(2)가 끼워지기 위한 패스너 결합부(3)가 마련되며, 이러한 패스너 결합부(3)에는 일측이 개방된 패스너 삽입홈(3a)이 형성되어 패스너(2)가 끼워지게 된다.
또한, 패스너 삽입홈(3a)에 끼워진 패스너(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패스너 결합부(3)에는 패스너 삽입홈(3a)의 좌우측에서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3b)가 마련된다.
패스너(2)는 삽입포스트(2a)가 패스너 삽입홈(3a)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패스너 삽입홈(3a)에 끼워진 후 돌기(3b)에 의해 윙(2b)이 압착됨으로써 패스너 결합부(3)에 견고하게 체결된다.
하지만, 종래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1)는 한 쌍의 돌기(3b)만으로 패스너(2)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는바 외력에 의해 패스너 결합부(3)로부터 패스너(2)가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패스너(2)가 끼워진 다수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1)를 파레트에 적재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 인너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 어셈블리(1)를 분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종래의 도어 트림(1) 어셈블리는 결합력이 약한 구조적 취약점 때문에 패스너 결합부(3)로부터 패스너(2)가 쉽게 이탈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패스너(2)의 결합상태 유지 여부를 일일이 체크해야만 하는 문제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에, 종래의 패스너(2)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패스너 결합부(3)에 결합된 패스너(2)가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1) 구조에 대한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631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에 도어 트림을 적재할 때 또는 도어 트림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도어 패널 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패스너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도어 트림; 및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트림을 상호 연결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되,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상기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패스너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패스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결합 바디; 및 상기 결합 바디에 형성되는 패스너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패스너의 삽입포스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메인 삽입홈; 및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을 따라 상기 패스너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되기 위해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메인 삽입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메인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패스너가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포스트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일방향 후크일 수 있다.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상기 일방향 후크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기 일방향 후크 사이에서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탄성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후크는, 상기 메인 삽입홈 측을 향해 'ㄱ'자로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상기 메인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패스너가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포스트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양방향 후크일 수 있다.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상기 양방향 후크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기 양방향 후크 사이에서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후크는, 상기 메인 삽입홈 측을 향해 'ㄱ'자로 각각 굽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의 도어 패널 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패스너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도어 트림; 및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트림을 상호 연결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되,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결합 바디; 및 상기 결합 바디에 삽입된 상기 패스너가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패스너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을 따라 상기 패스너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 패스너 삽입홈; 상기 제1 패스너 삽입홈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패스너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 패스너 삽입홈; 및 상기 제2 패스너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패스너의 삽입포스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메인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 결합부에 상기 패스너가 삽입되기 위해 요구되는 삽입력의 크기는 상기 패스너 결합부로부터 상기 패스너가 이탈되기 위해 요구되는 이탈력의 크기의 1/6 내지 1/8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패스너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패스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후크부에 의하여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도어 트림에 패스너가 결합된 종래의 도어 트림의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는 도어 트림에 패스너를 끼우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패스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패스너의 이탈이 방지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 5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는 도어 트림(미도시)과, 도어 패널(미도시) 및 도어 트림을 상호 연결하는 패스너(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패스너 결합부(100)를 제외한 도어 트림, 도어 패널(인너 패널) 및 패스너는 각각 종래기술에서 설명된 도어 트림, 도어 패널 및 패스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스너 결합부(100)는 패스너의 삽입 완료시 외력에 의해 삽입된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결합 바디(110)와, 결합 바디(110)에 형성되는 패스너 삽입홈(120)과, 결합 바디(110)로부터 패스너 삽입홈(120) 측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는 후크부(130)를 포함한다.
결합 바디(110)는 패스너 결합부(100)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결합 바디(110)는 패스너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도어 패널 측을 향하는 도어 트림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패스너 삽입홈(120)은 결합 바디(110)의 일측면으로부터 패스너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 도 3의 2a와 실질적으로 동일함)가 삽입 수용되는 메인 삽입홈(121)과, 메인 삽입홈(121)에 연통되게 형성되되 결합 바디(110)의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123)과, 메인 삽입홈(121) 및 후크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홈(125)을 포함한다.
메인 삽입홈(121)은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결합 바디(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메인 삽입홈(121)은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가 원활하게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삽입포스트(P)보다 약간 더 큰 크기로 원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홈(123)은 결합 바디(110)의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외부를 향해 일측이 오픈 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또한 가이드 홈(123)의 타측은 메인 삽입홈(121)과 연통되게 형성됨으로써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가 가이드 홈(123)을 거쳐 메인 삽입홈(121) 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탄성홈(125)은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의 삽입시 후크부(130)가 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메인 삽입홈(121) 및 후크부(130)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는 가이드 홈(123)을 거쳐 메인 삽입홈(121) 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삽입되는데, 삽입포스트(P)의 삽입 진행시 후크부(130)의 일단은 탄성홈(125) 측으로 약간 변형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삽입포스트(P)가 완전히 메인 삽입홈(121)에 삽입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삽입포스트(P)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탄성홈(125)은 후크부(130)의 변형을 원활하게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탄성홈(125)은 삽입포스트(P)의 삽입진행시 후크부(130)가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결합 바디(110)로부터 후크부(130)를 일정부분 이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후크부(130)는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패스너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상태가 해제되면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패스너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후크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결합 바디(110)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메인 삽입홈(121) 측을 향해 굽어지도록 'ㄱ'자에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후크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삽입홈(121)을 향해 'ㄱ'자에 유사한 형상으로 굽어진 일방향 후크로 마련된다.
일방향 후크는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의 삽입 진행시에는 탄성홈(125) 측으로 굽어지는 변형이 일어나면서 삽입의 진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삽입포스트(P)가 메인 삽입홈(121)에 완전히 삽입 수용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패스너가 패스너 결합부(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는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에 도어 트림을 적재할 때 또는 도어 트림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있어서 패스너 결합부(200)를 제외한 다른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200)는 결합 바디(210)와, 결합 바디(210)에 형성되는 패스너 삽입홈(220)과, 결합 바디(210)로부터 패스너 삽입홈(220) 측을 향해 돌출되게 마련되는 후크부(231, 232)를 포함한다.
패스너 삽입홈(220)은 결합 바디(210)의 일측면으로부터 패스너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 도 3의 2a와 실질적으로 동일함)가 삽입 수용되는 메인 삽입홈(221)과, 메인 삽입홈(221)에 연통되게 형성되되 결합 바디(210)의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223)과, 메인 삽입홈(221) 및 후크부(231, 232)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홈(225, 226)을 포함한다.
결합 바디(210), 메인 삽입홈(221) 및 가이드 홈(223)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결합 바디(110), 메인 삽입홈(121) 및 가이드 홈(123)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탄성홈(225, 226)은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의 삽입시 후크부(231, 232)가 쉽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메인 삽입홈(121) 및 후크부(231, 232) 사이에서 각각 형성되는 구성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후크부(231, 232)는 결합 바디(210)에 일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양방향 후크로 마련되는바, 이에 대응하여 탄성홈(225, 226)도 한 쌍으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는 가이드 홈(223)을 거쳐 메인 삽입홈(221) 측으로 슬라이딩 되며 삽입되는데, 삽입포스트(P)의 삽입 진행시 후크부(231, 232)의 일단은 각각 탄성홈(225, 226) 측으로 약간 변형되면서 이동하게 되고, 삽입포스트(P)가 완전히 메인 삽입홈(221)에 삽입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삽입포스트(P)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탄성홈(225, 226)은 후크부(231, 232)의 변형을 원활하게 돕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탄성홈(225, 226)은 각각 삽입포스트(P)의 삽입진행시 후크부(231, 232)가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결합 바디(210)로부터 후크부(231, 232)를 일정부분 이격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후크부(231, 232)는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패스너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상태가 해제되면서 원위치로 복귀함으로써 패스너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의 후크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결합 바디(110)에 각각 고정되는 양방향 후크로 마련된다. 또한, 후크부(231, 232)는 각각 메인 삽입홈(221) 측을 향해 'ㄱ'자에 유사한 형상으로 굽어지게 형성됨으로써 패스너의 삽입시 그 형상이 원활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즉 양방향 후크는 각각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의 삽입 진행시에는 탄성홈(225, 226) 측으로 굽어지는 변형이 일어나면서 삽입의 진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삽입포스트(P)가 메인 삽입홈(221)에 완전히 삽입 수용되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패스너가 패스너 결합부(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는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에 도어 트림을 적재할 때 또는 도어 트림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있어서 패스너 결합부(200)를 제외한 다른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스너 결합부(300)는 결합 바디(310)와, 결합 바디(310)에 형성되는 패스너 삽입홈(320)을 포함한다.
패스너 삽입홈(320)은 결합 바디(310)의 일측면으로부터 패스너가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결합 바디(310)의 일측을 따라 패스너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 바디(310)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 패스너 삽입홈(321)과, 제1 패스너 삽입홈(321)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 패스너 삽입홈(323)과, 제2 패스너 삽입홈(323)에 연통되게 형성되며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가 삽입 수용되는 메인 삽입홈(325)을 포함한다.
결합 바디(310) 및 메인 삽입홈(325)에 관한 사항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결합 바디(110) 및 메인 삽입홈(121)에 관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1 패스너 삽입홈(321)은 결합 바디(310)의 일측을 따라 패스너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 바디(310)의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스너 삽입홈(321)은 결합 바디(310)의 내측을 향해 약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은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및 메인 삽입홈(325)을 상호 연결하도록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및 메인 삽입홈(325)에 각각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은 결합 바디(310)의 내측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패스너 삽입홈(321)이 결합 바디(310)의 내측을 향해 약간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은 결합 바디(310)의 내측을 향해 약간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은 제1 패스너 삽입홈(321)의 형성방향과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및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의 형성방향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및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의 형성방향을 상호 다르게 하는 것은 메인 삽입홈(325)에 삽입 수용된 패스너가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패스너는 제1 패스너 삽입홈(321)을 거쳐 제1 패스너 삽입홈(321)에 대해 굽어지게 형성된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 최종적으로 메인 삽입홈(325)에 삽입 수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패스너가 패스너 결합부(300)로부터 이탈되기 위하여서는 제2 패스너 삽입홈(323) 및 제1 패스너 삽입홈(32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해야 한다.
하지만,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및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이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결국 패스너 결합부(300)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기 위하여서는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또는 제2 패스너 삽입홈(323)의 형상을 변형시킬 정도의 힘이 가해져야 하는바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히 큰 힘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는 기존의 패스너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레트에 도어 트림을 적재할 때 또는 도어 트림의 유지보수 등의 경우에 있어서 도어 트림으로부터 패스너가 이탈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7 및 도 8은 패스너의 이탈이 방지되는 원리를 나타낸 도 5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패스너 결합부(200)에 삽입 수용된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는 메인 삽입홈(221)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패스너의 삽입시에는 한 쌍의 양방향 후크로 마련되는 후크부(231, 232)가 각각 탄성 변형되면서 패스너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운반을 위해 패스너가 결합된 다수의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파레트에 적재하거나 또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유지보수하기 위해 도어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분리시키는 경우 등에 있어서, 도어 트림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결합된 패스너의 특성상 패스너가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패스너 결합부(200)에 마련된 후크부(231, 232)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파레트의 프레임에 패스너가 충돌하는 경우 또는 도어 트림을 유지보수하기 위해 힘을 가하여 도어 패널로부터 도어 트림을 분리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외부에서 강한 힘이 패스너에 가해지더라도 후크부(231, 232)가 패스너의 삽입포스트(P)를 구속하고 있음에 따라 미리 결정된 충격 이상의 힘이 가해져야만 패스너 결합부(200)로부터 패스너가 분리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리 결정된 충격 이상의 힘은 대략 패스너 결합부(200)에 패스너가 삽입되기 위해 요구되는 삽입력의 크기의 6 내지 8배의 힘을 의미한다. 즉, 패스너 결합부(200)에 패스너를 삽입하기 위해 3Kgf 정도의 힘이 요구된다면 미리 결정된 충격 이상의 힘, 즉 패스너 결합부(200)로부터 패스너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대략 20Kgf 정도의 힘이 요구되도록 후크부(231, 232)에 의한 삽입포스트(P)의 걸림 양을 조절하여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패스너 결합부(200)로부터 패스너를 분리하기 위한 힘의 크기를 사전에 조정함으로써 도어 트림 어셈블리를 파레트에 적재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 도어 패널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에도 패스너가 패스너 결합부(20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전술한 패스너의 이탈 방지 원리는 이미 설명된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일방향 후크로 마련되는 후크부(130)에 의해, 제3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패스너 삽입홈(321) 및 제2 패스너 삽입홈(323)에 의해 메인 삽입홈(121, 325)에 의해 패스너가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 패스너 결합부 110, 210, 310 : 결합 바디
120, 220, 320 : 패스너 삽입홈 121, 221 : 메인 삽입홈
123, 223 : 가이드 홈 125, 225 : 탄성홈
130, 231, 232 : 후크부 321 : 제1 패스너 삽입홈
323 : 제2 패스너 삽입홈 325 : 메인 삽입홈

Claims (11)

  1. 차량의 도어 패널 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패스너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도어 트림; 및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트림을 상호 연결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되,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상기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탄성적으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패스너의 삽입이 완료되면 변형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상기 패스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결합 바디; 및
    상기 결합 바디에 형성되는 패스너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패스너의 삽입포스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메인 삽입홈; 및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을 따라 상기 패스너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되기 위해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을 개방시키도록 상기 메인 삽입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메인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패스너가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포스트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일방향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상기 일방향 후크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기 일방향 후크 사이에서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탄성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후크는,
    상기 메인 삽입홈 측을 향해 'ㄱ'자로 굽어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메인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패스너가 삽입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포스트가 걸림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양방향 후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패스너의 삽입 진행시 상기 양방향 후크가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기 양방향 후크 사이에서 상기 메인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도록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후크는,
    상기 메인 삽입홈 측을 향해 'ㄱ'자로 각각 굽어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9. 차량의 도어 패널 측을 향하는 일측면에 패스너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는 도어 트림; 및
    상기 도어 패널 및 상기 도어 트림을 상호 연결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되,
    상기 패스너 결합부는,
    결합 바디; 및
    상기 결합 바디에 삽입된 상기 패스너가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를 따라 굴곡지게 형성된 패스너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삽입홈은,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을 따라 상기 패스너가 슬라이딩 되며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는 제1 패스너 삽입홈;
    상기 제1 패스너 삽입홈의 형성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패스너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는 제2 패스너 삽입홈; 및
    상기 제2 패스너 삽입홈과 상호 연통되며 상기 패스너의 삽입포스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 바디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메인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결합부에 상기 패스너가 삽입되기 위해 요구되는 삽입력의 크기는 상기 패스너 결합부로부터 상기 패스너가 이탈되기 위해 요구되는 이탈력의 크기의 1/6 내지 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1020110079004A 2011-08-09 2011-08-09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10128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04A KR101287188B1 (ko) 2011-08-09 2011-08-09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9004A KR101287188B1 (ko) 2011-08-09 2011-08-09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844A true KR20130016844A (ko) 2013-02-19
KR101287188B1 KR101287188B1 (ko) 2013-07-17

Family

ID=47896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9004A KR101287188B1 (ko) 2011-08-09 2011-08-09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29A (ko) * 2017-01-02 2018-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어암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87A (ko) 2015-02-25 2016-09-05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101694264B1 (ko) 2015-11-23 2017-01-10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스너의 유동을 방지하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102085568B1 (ko) 2018-10-17 2020-03-06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 트림용 패스너 조립구조
KR102261059B1 (ko) 2019-10-30 2021-06-04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 트림용 패스너 이탈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514U (ja) * 1992-07-30 1994-02-25 豊田合成株式会社 二物体の取付け構造
KR19980025890U (ko) * 1996-11-06 1998-08-05 박병재 도어트림패널 장착용 브라켓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829A (ko) * 2017-01-02 2018-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어암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7188B1 (ko)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188B1 (ko)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CN103796872B (zh) 儿童座椅
US8043038B2 (en) Anchor
US20020050551A1 (en) Article holding device
JP5888346B2 (ja) クリップおよびピラーガーニッシュ取付構造
MXPA06014606A (es) Cabina de ascensor y metodo de construccion de la misma.
US10442378B2 (en) Vehicle body structure
CN103419687A (zh) 儿童安全座椅的固定装置
JP4557174B2 (ja) 車両のドア連結構造
CN205743369U (zh) 一种独立式车门内开启手柄及其安装结构
CN107187349A (zh) 儿童安全座椅连接机构
CN102205835A (zh) 踏板装置
WO2016088222A1 (ja) 車両用アッパドアラッチ装置
US20180291653A1 (en) Protection block for vehicle door lock
CN112512950B (zh) 电梯的层站围挡装置以及电梯的层站围挡装置的面板
CN207744771U (zh) 配套于安全带的安全卡扣
AU2017204313B2 (en) A sash mounting plate for a chain winder
JP6802241B2 (ja) 自動車用ドアの二段式安全開放システム
KR101694203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CN110949536B (zh) 客车及其前围门组件
KR101869041B1 (ko) 자동 슬라이딩 래치 스트라이커 구조체
KR101491126B1 (ko) 차량용 시트의 힌지 체결 장치
CN103502058B (zh) 用于维持防撞梁的组件和方法以及包括该组件的车辆
EP1880892B1 (en) Buckle for restraint belts for motor vehicle safety seats for children
KR101865359B1 (ko) 화물용 엘리베이터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