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5910A -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5910A
KR20130015910A KR1020110078245A KR20110078245A KR20130015910A KR 20130015910 A KR20130015910 A KR 20130015910A KR 1020110078245 A KR1020110078245 A KR 1020110078245A KR 20110078245 A KR20110078245 A KR 20110078245A KR 20130015910 A KR20130015910 A KR 20130015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conductive metal
carbon nanotubes
manufacturing
alumi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662B1 (ko
Inventor
이영희
이일하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78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6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15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5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탄소나노튜브의 공극을 진공 증착 및 전기 도금을 이용하여 전도성 금속을 채워서, 기존보다 뛰어난 열방출 효과를 나타내는 탄소나노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은, 수직 성장된 나노튜브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금속과 혼합하기 때문에 열적인 우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기로 채워진 빈 공간을 전도성 금속으로 채움으로서 기존에 쓰이는 전도성 방열판에 비하여 뛰어난 열방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HEAT SINK PLATE USING CARBON NANOTUB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을 방출해 기기의 성능 저하와 과부하를 방지하는 방열판은 최근 전자제품이 소형화되고 다양한 기능을 내장함에 따라 더 많은 열이 발생하고 있어 채용이 확대되는 추세다. 특히 LED 광원을 채용한 액정화면(LCD) TV는 가동 시 내부 온도가 섭씨 90도 이상 오르기 때문에 방열판을 사용해 적절히 열을 배출해야만 한다. 또 방열판을 태양광모듈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생산효율을 높이는 기능도 한다. 하지만 방열판 소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열전도성이 높아 방열 성능 면에서 가장 우수하지만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대체재 개발이 필요하다. 세라믹의 경우 섭씨 1300도 이상 고온에서 만들어져 모양과 크기 등이 제한적이고 대만 독일 등 외산에 전량 의존하는 실정이다.
한편, 탄소나노튜브는 길이가 수 ㎛에서 수 cm까지 조절가능하며, 직경은 100 nm 이하로 열전도도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열전도도는 ~ 2000 W/mK 이상이나, 직경방향으로는 무시해도 될 정도이다. 따라서 열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를 길이방향으로 집적한다면 열방출 기술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으로 정렬된 탄소나노튜브는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서 방열판으로의 응용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논문들에 의하면 측정된 열전도도의 값은 한 가닥의 탄소나노튜브를 기준으로 2000 W/mK 이상이었다. 하지만, 벌크한 형태로 제작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한 경우는 그 값이 100 W/mK 이하이며 그 구조, 합성 방법 등에 의해 측정값이 달랐다. 수 ㎛에서 수 mm까지 수직으로 정렬된 벌크형태의 나노튜브를 가까이서 관찰해 보면 튜브 사이에는 수많은 공극들이 존재하게 되고 공기의 열전도도는 0.025 W/mK이므로 벌크한 형태의 탄소나노튜브에서 우수한 열전도도를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실제로 나노튜브가 차지하는 면적은 전체 면적의 13%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주로 탄소나노튜브를 방향성 없이 폴리머같은 바인더 물질들과 섞거나 혹은 수직성장된 나노튜브를 사용하기는 하였으나 그 사이사이의 공극을 고려하지는 않았다(한국등록특허 제 10-0356718 호 참조). 또한 수백 ㎛ 이하의 길이를 가진 탄소재료에 전기 도금을 이용하여 알루미늄 입자를 도금하여 알루미늄 입자가 코팅된 탄소재료를 얻었으나 방열판의 응용에 있어서는 정렬된 나노튜브를 가진 구조체가 필수적이며 길이 또한 수 mm까지 요구된다(한국 공개 특허 제 10-2008-0095993호 참조).
이에 본원 발명자는 수직형 탄소나노튜브 공극에 금속을 채워 열방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본원 발명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형 탄소나노튜브의 공극을 진공 증착 및 전기 도금을 이용하여 전도성 금속을 채워서 열방출 효과가 향상된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는 방법 및 탄소나노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수직정렬로 제조하고,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극에 전도성 금속을 채우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구체예에서,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극에 전도성 금속을 채우는 진공 증착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극에 전도성 금속을 채우는 방법은 전기 도금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흡입열처리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공극은 전체 공간의 1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수직 정렬된 공극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에 전도성 금속이 채워진 방열판을 제공하고, 상기 구체예에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공하며, 상기 구체예에서, 공극은 전체 공간의 1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탄소나노튜브를 수직방향으로 정렬시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촉매로 사용되는 물질의 적절한 밀도가 필요하고, 나노튜브의 직경과 월(wall) 수는 촉매의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고, 열 기상증착이나 스퍼터(sputter)로 촉매를 올릴 경우 그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통상, 탄소나노튜브를 수직성장할 경우 약 ~10%의 부피를 차지하게 되며 나머지 90%인 튜브 사이사이는 다 비어있게 된다. 공기의 열전도도는 0.025W/mK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방열판 응용에 있어서 나노튜브의 밀도를 조절하는 점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열판은 수직 성장된 나노튜브의 방향성을 유지하면서 금속과 혼합하기 때문에 열적인 우수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공기로 채워진 공극을 전도성 금속으로 채움으로서 기존에 쓰이는 알루미늄 및 구리 방열판에 비하여 뛰어난 열방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2는 액상으로 준비한 촉매를 이용하여 나노튜브를 성장시킨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3은 수직성장된 나노튜브 사이로 침투한 금속에 대한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4는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Al 도금 전과 도금 후의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직 정렬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
실리콘 기판 위에 증착기(evaporator)로 10 - 20 nm 두께의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그 위에 1 nm 두께의 철을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시킨 후, 화학기상증착장비에서 알곤을 주입한 후 온도를 750 oC 이상으로 상승시키고 알곤, 수소, 탄화수소 가스를 동시에 주입하여 철 위에서 탄소나노튜브가 성장하게 하였다.
또한, 증착기를 이용하지 않고 염화철 또는 철질산염 등을 에탄올 또는 물에 녹여 용액을 제조한 후 실리콘 기판 위에 스핀 코팅 혹은 디핑(dipping)을 하여 밀도를 조절한 후 위와 같은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 정렬된 튜브를 얻었다.
도2은 액상으로 준비한 촉매를 이용하여 나노튜브를 성장한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일반적으로 밀도가 높아져야 수직으로 정렬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액상촉매만으로도 밀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탄소나노튜브 공극의 금속 충진
진공 증착
열 증착기(Thermal evaporator)를 이용하여 금속을 증착한 후 열처리 과정과 동시에 흡입하여 나노튜브를 코팅하였다.
실시예 1에서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에 열전도도가 우수한 Cu 및 Al 금속을 열증착기(Thermal evaporator)로 5 ㎛ 이상 증착시켰다. 이때, 증착 시간을 늘릴수록 금속들이 나노튜브 사이사이로 더 깊게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의 아래 부분을 사용하거나, 나노튜브가 얽혀 있는 부분을 플라즈마로 에칭하여 제거하여 나노튜브의 정렬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금속이 깊숙히 침투할 수 있게 하였다(도 3 참조).
전기 도금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 위에 전기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열전도도가 좋고 현재 방열판 재료로 많이 쓰이는 Al과 Cu을 도금하였다. 길이가 수십 ㎛에서 수 mm까지 조절 가능한 수직 성장된 탄소나노튜브를 작업 전극에 놓고 알루미늄 클로라이드를 녹인 도금 용액을 채운 후 -2 ~ -3V의 포텐셜을 인가하여 금속을 나노튜브 사이사이에 증착시켰다.
이때, 도 4는 Al 도금 전과 도금 후의 SEM 사진으로, 도금 전에는 나노튜브들 사이로 빈 공간들이 보이는데 도금한 후 빈 공간들이 다 채워진 것을 알 수 있다.
흡입 열처리
고온 고진공 챔버 안에 SUS 멤브레인을 기판에 놓고 그 위에 시료를 놓았다. 그 후 온도를 상승시키고 목적하는 금속이 녹게 되면 기판 하단 쪽으로 펌프를 이용하여 녹은 금속을 흡입함으로써, 균일하게 코팅되게 하였다. 이 흡입 열처리 과정은 상기 진공 증착 또는 전기 조금 이후에 수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의 열방출 효과
탄소나노튜브의 메트릭스 안에 금속인 알루미늄, 구리 및 아무것도 채워져 있지 않고 공기가 존재할 때의 탄소나노튜브의 열전도도의 값을 계산하였다. (하기 표1 참조)
Figure pat00001
열 전도도의 값은 kcomposite = (1-x)kmetal + xkCNT 로 계산되었다.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되어 성장된 탄소나노튜브가 차지하는 면적은 10% 내외이므로 Cu 와 같이 열전도도가 뛰어난 물질로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를 채워 넣게 된다면 두 배 이상의 열전도도값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기술하여 왔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 업자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화를 실시할 수 있으며 그의 요소들을 등가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많은 변형을 실시하여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내용에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계획된 최상의 양식으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 태양으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i) 탄소나노튜브를 수직정렬 형태로 제조하는 방법; 및
    ii)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극에 전도성 금속을 채우는 방법을 포함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극에 전도성 금속을 채우는 방법은 진공 증착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공극에 전도성 금속을 채우는 방법은 전기 도금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흡입열처리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공극은 전체 공간의 1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을 제조하는 방법.
  8. 수직 정렬된 공극을 가지는 탄소나노튜브에 전도성 금속이 채워진 방열판.
  9. 제 8항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
  10. 제 8항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
  11. 제 8항에 있어서,
    전도성 금속은 알루미늄, 구리, 금 및 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
  12. 제 8항에 있어서,
    공극은 전체 공간의 1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판.
KR1020110078245A 2011-08-05 2011-08-05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4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45A KR101240662B1 (ko) 2011-08-05 2011-08-05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8245A KR101240662B1 (ko) 2011-08-05 2011-08-05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5910A true KR20130015910A (ko) 2013-02-14
KR101240662B1 KR101240662B1 (ko) 2013-03-11

Family

ID=47895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245A KR101240662B1 (ko) 2011-08-05 2011-08-05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6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111A (ko) * 2017-02-20 2018-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탄소 재료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059210A (ko) * 2019-11-15 2021-05-25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수직성장 탄소나노튜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761B1 (ko) 2016-11-08 2018-06-08 희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led 광원 방열구조
KR101976079B1 (ko) 2018-11-29 2019-05-09 더원씨엔티(주) 내열안정성과 내수성이 향상된 방열소재 조성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3095B2 (en) * 2003-03-11 2007-09-25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noengineered thermal materials based on carbon nanotube array composites
JP2006147801A (ja) 2004-11-18 2006-06-08 Seiko Precision Inc 放熱シート、インターフェース、電子部品及び放熱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767184B1 (ko) * 2005-08-10 2007-10-15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전자부품 냉각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111A (ko) * 2017-02-20 2018-08-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금속-탄소 재료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059210A (ko) * 2019-11-15 2021-05-25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수직성장 탄소나노튜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662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9804B (zh) 一种泡沫骨架结构增强金属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5112754B (zh) 三维网络金刚石骨架增强金属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US10995192B2 (en) Composite material reinforced by foamed skeleton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s thereof
Shelimov et al. Composite nanostructures based on template-grown boron nitride nanotubules
CN105220049B (zh) 一种片状金刚石增强金属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KR101240662B1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열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779805A (zh) 泡沫金刚石骨架增强铜基复合材料及制备方法
CN100576410C (zh) 金属和碳纳米管或碳纤维薄膜发射阵列阴极及其制作方法
Sundaram et al. The influence of Cu electrodeposition parameters on fabricating structurally uniform CNT-Cu composite wires
US10562270B2 (en) Three-dimensional porous composite structure
CN1880516A (zh) 一种用于制备纳米材料的模板及其制备和应用
CN108866412B (zh) 三维多孔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08699684A (zh) 化学气相沉积法构建三维泡沫状结构
US20170058419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carbonfiber grown metal oxide
Chang et al. Controlled growth of ZnO nanopagoda arrays with varied lamination and apex angles
Zhao et al. Controlled Growth of Edge‐Enriched ReS2 Nanoflowers on Carbon Cloth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Hydrogen Evolution
TWI484061B (zh) 類鑽石薄膜及其製備方法
CN108817381A (zh) 一种低膨胀片状石墨/碳纳米管/铝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5890256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膜
CN1731279A (zh) 一维纳米材料的三维微构型制备方法
Yu et al. Patterned tailored hydrophobic films designed by synergy effect of electrochemical deposition and chemical deposition
Jiang et al. Effect of direct current density on microstructure of tungsten coating electroplated from Na2WO4-WO3-NaPO3 system
Tu et al. Facile synthesis of SnO2 nanotube arrays by using ZnO nanorod arrays as sacrificial templates
KR101898524B1 (ko) 금속-탄소 재료 복합 필름의 제조 방법
Xu et al. Highly ordered and well-oriented single-crystal CdTe nanowire arrays by direct-current electrode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