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439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439A
KR20130014439A KR1020120082885A KR20120082885A KR20130014439A KR 20130014439 A KR20130014439 A KR 20130014439A KR 1020120082885 A KR1020120082885 A KR 1020120082885A KR 20120082885 A KR20120082885 A KR 20120082885A KR 20130014439 A KR20130014439 A KR 20130014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wall
path tube
laminated steel
injection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787B1 (ko
Inventor
고키 야마시타
히로시 모리타
고지 모리타니
요스케 도쿠이
아츠로 다무라
도모히로 모리타니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14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1Means for guiding movable mould supports or injection units on the machine base or frame; Machine base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2045/645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magnetic means

Abstract

[과제] 전자석에 관련되는 부재를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하면서, 각 강판을 올바른 위치관계로 결합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에 의한 사출성형기는,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제1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제1 가동부재와, 제1 가동부재와 연결되어 제1 가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제2 고정부재와 제2 가동부재는, 전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고,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제2 고정부재 및 제2 가동부재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함과 함께 소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이 형성된 적층강판과, 적층강판의 홈 내에 삽입되는 끼워넣음 부재를 가지고, 홈은, 홈 내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에 의하여 적층강판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형체(型締; clamping)동작을 구동하는 전자석을 구비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수지를 사출장치의 사출노즐로부터 사출하여 고정금형과 가동금형 사이의 캐비티공간에 충전하고, 고화시킴으로써 성형품을 얻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금형에 대하여 가동금형을 이동시켜 형폐(型閉), 형체(型締) 및 형개(型開)를 행하기 위하여 형체장치가 설치된다.
그 형체장치에는, 유압실린더에 오일을 공급함으로써 구동되는 유압(油壓)식의 형체장치, 및 전동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電動)식의 형체장치가 있지만, 그 전동식의 형체장치는, 제어성이 높고, 주변을 오염시키는 일이 없으며, 또한, 에너지효율이 높기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전동기를 구동함으로써 볼나사를 회전시켜서 추력(推力)을 발생시키고, 그 추력을 토글기구에 의하여 확대하여, 큰 형체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의 전동식의 형체장치에 있어서는, 토글기구를 사용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토글기구의 특성상, 형체력을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여, 응답성 및 안정성이 나빠서, 성형 중에 형체력을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볼나사에 의하여 발생시킨 추력을 직접 형체력으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한 형체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경우, 전동기의 토크와 형체력이 비례하므로, 성형 중에 형체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형체장치에 있어서는, 볼나사의 내(耐)하중성이 낮아서, 큰 형체력을 발생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전동기에 발생하는 토크 리플에 의하여 형체력이 변동되어 버린다. 또한, 형체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전동기에 전류를 상시 공급할 필요가 있어서, 전동기의 소비전력량 및 발열량이 많아지므로, 전동기의 정격출력을 그만큼 크게 할 필요가 있어서, 형체장치의 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형 개폐동작에는 리니어모터를 사용하고, 형체동작에는 전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한 형체장치를 생각할 수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05/090052호 팸플릿
그런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자석의 흡착력을 이용한 형체장치를 사용하는 구성의 경우, 와전류의 발생에 의한 응답지연이나 철손, 그에 따른 발열 등이 문제가 되는데, 이 와전류는, 전자석이 형성되는 부재(전형적으로는, 리어플래튼)를 적층강판으로 구성함으로써, 없앨 수 있다. 그러나, 적층강판으로 예컨대 리어플래튼을 구성하는 경우, 이들 각 강판을 올바른 위치관계로 결합(일체화)하는 것이 유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석에 관련되는 부재를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하면서, 각 강판을 올바른 위치관계로 결합할 수 있는 사출성형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국면에 의하면, 고정금형이 장착된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제1 가동부재와,
상기 제1 가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며,
상기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중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함과 함께 소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이 형성된 적층강판과, 상기 적층강판의 홈 내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를 가지고,
상기 홈은, 상기 홈 내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적층강판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석에 관련되는 부재를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하면서, 각 강판을 올바른 위치관계로 결합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형체장치의 형폐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형체장치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실시예 1)에 의한 리어플래튼(1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도 4 (A)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B)는, 도 3의 라인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4 (C)는, 도 3의 라인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키홈(47a)의 다른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9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과 끼워넣음 부재(90)에 관련된 요부만을 빼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리어플래튼(13)의 단면에 장착되어도 되는 빠짐방지 판재(9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2)에 의한 리어플래튼(1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도 10 (A)는, 도 9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 (B)는, 도 9의 라인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 (C)는, 도 9의 라인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끼워넣음 부재(90)와 타이바(14)의 결합태양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리어플래튼(130)의 키홈(47a)과 끼워넣음 부재(90)에 관련된 요부만을 빼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끼워넣음 부재(90)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흡착판(22)의 키홈(22a)과 끼워넣음 부재(90)에 관련된 요부만을 빼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3)에 의한 리어플래튼(131)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4)에 의한 리어플래튼(132)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5)에 의한 리어플래튼(133)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6)에 의한 리어플래튼(134)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7)에 의한 리어플래튼(135)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설명을 행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형체장치에 대해서는, 형폐를 행할 때의 가동플래튼의 이동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형개를 행할 때의 가동플래튼의 이동방향을 후방이라 하며, 사출장치에 대해서는, 사출을 행할 때의 스크루의 이동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계량을 행할 때의 스크루의 이동방향을 후방이라 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형체장치의 형폐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형체장치의 형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해칭을 넣은 부재는 주요단면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부호 10은 형체장치, Fr은 사출성형기의 프레임(가대(架臺)), Gd는, 그 프레임(Fr)에 대하여 가동(可動)인 가이드, 11은,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 상 또는 프레임(Fr) 상에 재치(載置; 올려놓음)된 고정플래튼이고, 그 고정플래튼(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또한, 고정플래튼(11)과 대향시켜서 리어플래튼(13)이 설치되며, 고정플래튼(11)과 리어플래튼(13) 사이에 4개의 타이바(14; tie bar)(도면에 있어서는, 4개의 타이바(14) 중 2개만을 나타냄)가 가설된다. 타이바(14)에 있어서의 리어플래튼(13)측의 단부는, 후술하는 끼워넣음 부재(90)에 결합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3)은, 프레임(Fr)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타이바(14)를 따라 고정플래튼(11)과 대향시켜서 가동플래튼(12)이 형 개폐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가동플래튼(12)이 가이드(Gd)에 고정되고, 가동플래튼(12)에 있어서의 타이바(14)와 대응하는 개소에 타이바(14)를 관통시키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구멍이 형성된다. 다만, 가이드(Gd)에는, 후술하는 흡착판(22)도 고정된다.
또한, 고정플래튼(11)에는 고정금형(15)이, 가동플래튼(12)에는 가동금형(16)이 각각 고정되고, 가동플래튼(12)의 진퇴에 따라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이 접속·분리되어, 형폐, 형체 및 형개가 행하여진다. 다만, 형체가 행하여짐에 따라, 고정금형(15)과 가동금형(16)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캐비티공간이 형성되고, 사출장치(17)의 사출노즐(18)로부터 사출된 도시되지 않은 수지가 캐비티공간에 충전된다. 또한, 고정금형(15) 및 가동금형(16)에 의하여 금형장치(19)가 구성된다.
흡착판(22)은, 가동플래튼(12)과 평행으로 가이드(Gd)에 고정된다. 이로써, 흡착판(22)은, 리어플래튼(13)보다 후방에 있어서 진퇴 가능하게 된다. 흡착판(22)은, 자성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컨대, 흡착판(22)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판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는 전자(電磁)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리니어모터(28)는, 가동플래튼(12)을 진퇴시키기 위하여, 가이드(Gd)에 설치된다. 리니어모터(28)는, 고정자(29), 및 가동자(31)를 구비하고, 고정자(29)는, 프레임(Fr) 상에 있어서, 가이드(Gd)와 평행으로, 또한, 가동플래튼(12)의 이동범위에 대응시켜 형성되며, 가동자(31)는, 가동플래튼(12)의 하단에 있어서, 고정자(29)와 대향시키고, 또한, 소정의 범위에 걸쳐 형성된다.
가동자(31)는, 코어(34) 및 코일(35)을 구비한다. 그리고, 코어(34)는, 고정자(29)를 향하여 돌출시켜, 소정의 피치로 형성된 복수의 자극(磁極)치(齒)(33)를 구비하고, 코일(35)은, 각 자극치(33)에 감긴다. 다만, 자극치(33)는 가동플래튼(12)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으로, 서로 평행으로 형성된다. 또한, 고정자(29)는, 도시되지 않은 코어, 및 그 코어 상에 뻗어 있도록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영구자석을 구비한다. 그 영구자석은, N극 및 S극의 각 자극을 교대로, 또한, 자극치(33)와 동일한 피치로 착자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코일(35)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리니어모터(28)를 구동하면, 가동자(31)가 진퇴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Gd)에 의하여 가동플래튼(12)이 진퇴되어, 형폐 및 형개를 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자(29)에 영구자석을, 가동자(31)에 코일(35)을 설치하게 되어 있지만, 고정자에 코일을, 가동자에 영구자석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리니어모터(28)가 구동됨에 따라, 코일이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코일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만, 가이드(Gd)에 가동플래튼(12)과 흡착판(22)을 고정하는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가동플래튼(12) 또는 흡착판(22)에 리니어모터(28)의 가동자(3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형 개폐기구로는, 리니어모터(28)에 한정하지 않고, 유압식이나 전동식 등이어도 된다.
가동플래튼(12)이 전진되어 가동금형(16)이 고정금형(15)에 맞닿으면, 형폐가 행하여지고, 이어서, 형체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형체를 행하기 위하여, 리어플래튼(13)과 흡착판(22) 사이에, 전자석유닛(37)이 설치된다. 그리고, 리어플래튼(13) 및 흡착판(22)을 관통하여 뻗고, 또한, 가동플래튼(12)과 흡착판(22)을 연결하는 센터로드(39; rod)가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 센터로드(39)는, 형폐시 및 형개시에, 가동플래튼(12)의 진퇴에 연동시켜 흡착판(22)을 진퇴시키고, 형체시에, 전자석유닛(37)에 의하여 발생된 형체력을 가동플래튼(12)에 전달한다.
다만, 고정플래튼(11), 가동플래튼(12), 리어플래튼(13), 흡착판(22), 리니어모터(28), 전자석유닛(37), 센터로드(39) 등에 의하여 형체장치(10)가 구성된다.
전자석유닛(37)은, 리어플래튼(13)측에 형성된 전자석(49), 및 흡착판(22)측에 형성된 흡착부(51)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어플래튼(13)의 후단면의 소정의 부분,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센터로드(39) 둘레에 홈(45)이 형성되고, 홈(45)보다 내측에 코어(내극)(46), 및 홈(45)보다 외측에 요크(외극)(47)가 형성된다. 그리고, 홈(45) 내에서 코어(46) 둘레에 코일(48)이 감긴다. 또한, 리어플래튼(13)에 있어서의 타이바(14)측(백 요크부)의 표면에는, 후술하는 키홈(47a)이 형성된다. 키홈(47a)에는, 후술하는 끼워넣음 부재(90)가 끼워 넣어진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리어플래튼(13)과는 별도로 전자석(49)이, 흡착판(22)과는 별도로 흡착부(51)가 형성되어도 되고, 리어플래튼(13)의 일부로서 전자석을, 흡착판(22)의 일부로서 흡착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전자석과 흡착부의 배치는, 반대이어도 된다. 예컨대, 흡착판(22)측에 전자석(49)을 설치하고, 리어플래튼(13)측에 흡착부를 형성하여도 된다.
전자석유닛(37)에 있어서, 코일(48)에 전류를 공급하면, 전자석(49)이 구동되어, 흡착부(51)를 흡착하여, 형체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센터로드(39)는, 후단부에 있어서 흡착판(22)과 연결시키고, 전단부에 있어서 가동플래튼(12)과 연결시켜 설치된다. 따라서, 센터로드(39)는, 형폐시에 가동플래튼(12)과 함께 전진되어 흡착판(22)을 전진시키며, 형개시에 가동플래튼(12)과 함께 후퇴되어 흡착판(22)을 후퇴시킨다. 이를 위하여, 리어플래튼(13)의 중앙부분에, 센터로드(39)를 관통시키기 위한 각(角)형 구멍(41)이 형성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3)이 전자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되는 경우, 각형 구멍(41) 부분의 전자 적층강판은, 분할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되고(도 3의 (X1) 참조), 혹은, 적층 후, 각형 구멍(41)이 가공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형체장치(10)의 리니어모터(28) 및 전자석(49)의 구동은, 제어부(60)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부(60)는, CPU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하고, CPU에 의하여 연산된 결과에 따라, 리니어모터(28)의 코일(35)이나 전자석(49)의 코일(4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도 구비한다. 제어부(60)에는, 또한, 하중검출기(55)가 접속된다. 하중검출기(55)는, 형체장치(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타이바(14)의 소정의 위치(고정플래튼(11)과 리어플래튼(13) 사이에 있어서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당해 타이바(14)에 걸린 하중을 검출한다. 도면 중에는, 상하 2개의 타이바(14)에 하중검출기(55)가 설치된 예가 나타나 있다. 하중검출기(55)는, 예컨대, 타이바(14)의 신장량을 검출하는 센서에 의하여 구성된다. 하중검출기(55)에 의하여 검출된 하중은, 제어부(60)에 보내진다. 다만, 제어부(60)는, 도 2에 있어서는 편의상 생략되어 있다.
다음으로, 형체장치(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60)의 형 개폐처리부(61)에 의하여 형폐공정이 제어된다. 도 2의 상태(형개시의 상태)에 있어서, 형 개폐처리부(61)는, 코일(35)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어서, 리니어모터(28)가 구동되고, 가동플래튼(12)이 전진되어,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동금형(16)이 고정금형(15)에 맞닿게 된다. 이때, 리어플래튼(13)과 흡착판(22) 사이, 즉, 전자석(49)과 흡착부(51) 사이에는, 갭(δ)이 형성된다. 다만, 형폐에 필요하게 되는 힘은, 형체력과 비교하여 충분히 작게 된다.
이어서, 제어부(60)의 형체처리부(62)는, 형체공정을 제어한다. 형체처리부(62)는, 코일(48)에 전류를 공급하여, 흡착부(51)를 전자석(49)의 흡착력에 의하여 흡착한다. 이에 따라서, 흡착판(22) 및 센터로드(39)를 통하여 형체력이 가동플래튼(12)에 전달되어, 형체가 행하여진다. 형체 개시시 등, 형체력을 변화시킬 때, 형체처리부(62)는, 당해 변화에 의하여 얻어야 할 목표가 되는 형체력, 즉, 정상(定常) 상태에서 목표로 하는 형체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정상(定常)적인 전류의 값을 코일(48)에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다만, 형체력은 하중검출기(55)에 의하여 검출된다. 검출된 형체력은 제어부(60)에 보내지고, 제어부(60)에 있어서, 형체력이 설정치가 되도록 코일(48)에 공급되는 전류가 조정되어, 피드백제어가 행하여진다. 그동안, 사출장치(17)에 있어서 용융된 수지가 사출노즐(18)로부터 사출되어, 금형장치(19)의 캐비티공간에 충전된다.
캐비티공간 내의 수지가 냉각되어 고화되면, 형 개폐처리부(61)는, 형개공정을 제어한다. 형체처리부(62)는, 도 1의 상태에 있어서, 코일(48)에의 전류의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리니어모터(28)가 구동되고, 가동플래튼(12)이 후퇴되어,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동금형(16)이 후퇴한계 위치에 놓여져서, 형개가 행하여진다.
다만, 도시한 예에서는, 흡착판(22)의 후방측에는, 형 두께조정기구(44)가 설치된다. 형 두께조정기구(44)는, 금형장치(19)의 두께에 대응시켜서, 갭(δ)을 조정하는 기구이다. 예컨대, 형 두께조정기구(44)는, 도시하지 않은 형 두께조정용 모터에 의하여 흡착판(22)에 대한 센터로드(39)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이로써, 흡착판(22)에 대한 센터로드(39)의 위치가 조정되고, 고정플래튼(11) 및 가동플래튼(12)에 대한 흡착판(22)의 위치가 조정되어, 갭(δ)을 최적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즉, 가동플래튼(12)과 흡착판(22)의 상대적인 위치를 바꿈으로써, 형 두께의 조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도 3 이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실시예 1)에 의한 리어플래튼(1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리어플래튼(13)의 몇 개의 주요단면을 나타내고, 도 4 (A)는, 도 3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4 (B)는, 도 3의 라인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4 (C)는, 도 3의 라인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키홈(47a)의 다른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만,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화살표(h), 화살표(V)는, 각각 리어플래튼(13)의 좌우방향(수평방향), 상하방향(수직방향)을 나타낸다. 단, 이들 방향은 사출성형기의 설치상태(방향)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편의적인 것이다. 또한, 화살표(f)는 리어플래튼(13)의 전방을 나타낸다.
리어플래튼(13)은, 전자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다만, 전자 적층강판은, 강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박판(강판)을 절연층을 통하여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혹은, 전자 적층강판은, 절연층이 형성된 강판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강판은, 리어플래튼(13)의 좌우방향(화살표(h))을 따라 적층되어 있다. 리어플래튼(13)은,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을 일체화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어플래튼(13)은, 각형 구멍(41)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하방향의 2개의 라인(X1)으로 분할된 4개의 전자 적층강판을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일체화하기 위한 전자 적층강판의 수나 분할태양(분할방향 등)은 임의이다.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하방향(화살표(V))으로 분할되어 있지만, 좌우방향(화살표(h))으로 분할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리어플래튼(13)이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을 일체화하여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적층강판으로 구성이 곤란한 비교적 큰 체격의 리어플래튼(13)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은, 후술하는 끼워넣음 부재(90)로 일체화된다.
리어플래튼(13)의 후단면에는,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홈(45)이 면 직각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이 되는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홈(45)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내측의 볼록부가 코어(46)를 형성한다.
리어플래튼(13)의 전단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홈(47a)이 형성된다. 키홈(47a)은, 임의의 방향으로 뻗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조성의 관점에서, 전자 적층강판의 적층방향으로 뻗어 있는 태양으로 형성된다. 즉, 키홈(47a)은, 바람직하게는, 전자 적층강판의 강판에 대하여 면 직각방향으로 뻗어 있는 태양으로 형성된다. 키홈(47a)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등(等)단면에서 직선적으로 뻗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키홈(47a)의 단면형상은, 입구측(표면측)이 단변(短邊)이 되는 사다리꼴(쐐기형)이고, 이 경우, 사다리꼴의 경사변에 대응하는 면이 계지부(47b)(도 4 (A) 참조)를 구성한다. 다만, 키홈(47a)의 단면형상은, 바닥측이 입구측보다 폭이 넓게 되어서 계지부(47b)를 가지는 태양이면 되고, 임의이다. 예컨대, 키홈(47a)은, 도 5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측이 넓어지는 T자형이어도 되고, 도 5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측이 넓어지는 L자형이어도 된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90)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끼워넣음 부재(90)는, 금속과 같은 강도·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끼워넣음 부재(90)는,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간극 없이 끼워 넣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즉, 끼워넣음 부재(90)의 단면형상은, 키홈(47a)의 단면형상에 대응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끼워넣음 부재(90)의 단면형상은, 사다리꼴(쐐기형)이다. 단, 후술하는 슬라이드식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끼워넣음 부재(90)의 단면형상은, 키홈(47a)의 단면형상보다 약간 작은 형상(예컨대 축소된 서로 닮은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끼워넣음 부재(90)는, 바람직하게는, 키홈(47a)의 길이방향(화살표(h))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뻗어 있다.
끼워넣음 부재(90)는,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에 대하여, 리어플래튼(13)의 좌우방향의 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슬라이드식으로 끼워 넣어진다. 이때, 끼워넣음 부재(90)는,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한 전자 적층강판에 장착되어도 된다. 예컨대 리어플래튼(13)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의 대응하는 키홈(47a)에 끼워넣음 부재(90)가 삽입된다. 이 경우, 끼워넣음 부재(90)는,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 사이의 위치결정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은, 끼워넣음 부재(90)를 통하여 서로에 대하여 소기의 위치관계로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끼워넣음 부재(90)는, 타이바(14)에 결합되므로,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은, 끼워넣음 부재(90)를 통하여 타이바(14)에 대하여 소기의 위치관계로 일체화될 수 있다. 다만, 리어플래튼(13)을 구성하는 전자 적층강판은, 끼워넣음 부재(90)에 각 강판을 장착한 후 일체화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컨대 리어플래튼(13)이 하나의 전자 적층강판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끼워넣음 부재(90)는, 각 강판을 위치결정하는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도 7은,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과 끼워넣음 부재(90)에 관련된 요부만을 빼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넣음 부재(90)에는 타이바(14)가 결합된다. 이 결합태양은, 볼트결합 등을 포함한 임의의 태양이어도 된다. 따라서, 리어플래튼(13)은, 끼워넣음 부재(90)를 통하여 타이바(14)가 결합된다. 환언하면, 리어플래튼(13)은, 끼워넣음 부재(90)를 통하여 타이바(14)에 의하여 흡인방향으로 매달린다. 이로써, 리어플래튼(13)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전단력이나 굽힘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런데, 형체공정시에 있어서는 리어플래튼(13)이 흡착부(51)를 흡착하므로, 리어플래튼(13)은, 그 반력을 받아, 도 7에 화살표(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장력을 받는다. 이 인장력은, 리어플래튼(13)에 대하여, 타이바(14)에 결합된 끼워넣음 부재(90)로부터 인발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계지부(47b)를 가지는 키홈(47a)에 끼워넣음 부재(90)가 끼워 넣어져 있으므로, 리어플래튼(13)이 끼워넣음 부재(90)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리어플래튼(13)의 단면에 장착되어도 되는 빠짐방지 판재(92)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어플래튼(13)의 좌우방향(화살표(h))의 단면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플래튼(13)으로부터의 끼워넣음 부재(90)의 좌우방향의 빠짐을 방지하는 빠짐방지 판재(92)가 장착되어도 된다. 빠짐방지 판재(92)는, 리어플래튼(13)(전자 적층강판)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도 된다. 빠짐방지 판재(92)는,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의 좌우방향의 개구를 막아, 리어플래튼(13)으로부터의 끼워넣음 부재(90)의 좌우방향의 빠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완수한다. 다만, 도시된 예에서는, 빠짐방지 판재(92)는, 리어플래튼(13)의 좌우방향의 단면을 구성하는 강판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아 상기의 빠짐방지 기능을 완수하는 것이라면,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빠짐방지 판재(92)는, 리어플래튼(13)의 좌우방향의 양단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일방의 단면에만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끼워넣음 부재(90)는, 일방의 단면에만 설치되는 빠짐방지 판재(92)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2)에 의한 리어플래튼(1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리어플래튼(130)의 몇 개의 주요단면을 나타내고, 도 10 (A)는, 도 9의 라인 A-A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 (B)는, 도 9의 라인 B-B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 (C)는, 도 9의 라인 C-C를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 2에 의한 리어플래튼(130)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 1에 의한 리어플래튼(13)에 대하여, 2개의 극이 형성되어 다극화되어 있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의 상이점만을 주로 설명하고,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여도 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어플래튼(130)은, 다극화(2극화)에 대응하여, 코일(도시하지 않음)이 수용되는 2세트의 홈(45A 및 45B)이, 각각 상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만, 홈(45A 및 45B)에 의하여 형성되는 둘러싸이는 내측의 각 볼록부가 2세트의 코어(46A 및 46B)를 형성한다. 단, 홈(45A 및 45B)의 형성 패턴은 다종 다양하며, 극수(極數)도 임의이다.
리어플래튼(130)은, 리어플래튼(13)과 마찬가지로, 전자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리어플래튼(130)은,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을 일체화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리어플래튼(130)은, 각형 구멍(41)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각각 2개의 라인(X1)으로 분할된 8개의 전자 적층강판을 일체화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태양에 의하면, 동일 형상의 강판에 의하여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을 형성할 수 있어, 제조상 유리하게 된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4모퉁이의 4개의 전자 적층강판은, 동일한 형상의 강판의 조합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고, 각형 구멍(41)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각 세트의 전자 적층강판에 대해서도, 각각, 동일한 형상의 강판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일체화하기 위한 전자 적층강판의 수나 분할태양은 임의이다. 또한, 리어플래튼(130)의 전(前)단면은, 리어플래튼(13)과 마찬가지로, 키홈(47a)이 형성된다. 키홈(47a)에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끼워넣음 부재(90)(도 6 참조)가 끼워 넣어진다.
이와 같은 다극화를 실현하는 리어플래튼(130)을 이용한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다극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리어플래튼(130)을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으로 일체적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높아지고(또한, 전자 적층강판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음), 이 점에서, 상기 서술한 끼워넣음 부재(90)에 의한 위치결정 기능이 보다 유효하게 기능한다. 또한, 다극화하면서 전자 적층강판을 복수로 나누는 경우에는, 전자 적층강판의 폭을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극화의 효과에 의하여 백 요크부의 두께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로써 더욱 전자 적층강판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리어플래튼(130)의 단면에, 빠짐방지 판재(도 8의 빠짐방지 판재(92) 참조)가 장착되어도 된다.
도 11은, 끼워넣음 부재(90)와 타이바(14)의 결합태양의 기타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리어플래튼(130)의 키홈(47a)과 끼워넣음 부재(90)에 관련된 요부만을 빼낸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끼워넣음 부재(90)는, 2열의 키홈(47a)에 대응하여 2개 설치된다.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는, 연결부재(94)를 통하여 서로 결합된다. 연결부재(94)는,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에, 예컨대 볼트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도 되고,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된다. 연결부재(94)는, 끼워넣음 부재(90)와 마찬가지로, 금속과 같은 강도·강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연결부재(94)에는, 타이바(14)가 결합된다. 이로써, 타이바(14)에 있어서의 리어플래튼(130)측의 단부는, 연결부재(94)를 통하여 끼워넣음 부재(9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는,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에 결합하고 그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를 일체화하는 하나의 연결부재(94)를 통하여, 타이바(14)에 고정되어도 된다.
다만, 도 11에 나타내는 예는, 연결부재(94)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2에 의한 리어플래튼(130)에 대하여 적용되어 있지만, 연결부재(94)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1에 의한 리어플래튼(13)에 대하여 적용되어도 된다. 다만, 연결부재(94)가 연결하는 끼워넣음 부재(90)의 수는, 임의이고, 하나의 연결부재(94)가 3개 이상의 끼워넣음 부재(90)를 연결하여도 된다. 또한, 연결부재(94)는, 보조부재로서 하나의 끼워넣음 부재(90)에 대하여 설치되어도 된다.
도 12는, 끼워넣음 부재(90)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흡착판(22)의 키홈(22a)과 끼워넣음 부재(90)에 관련된 요부만을 빼낸 단면도이다. 다만, 도 12에 나타내는 적용예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서술한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적용예에서는, 흡착판(22)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 1에 의한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과 동일한 태양으로, 키홈(22a)이 형성된다. 키홈(22a)은, 흡착판(22)에 있어서의 형 두께조정기구(44)측의 표면에 형성된다. 키홈(22a)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1에 의한 리어플래튼(13)의 키홈(47a)과 동일하여도 된다. 키홈(22a)에는,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태양으로, 끼워넣음 부재(9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식으로 끼워 넣어진다. 다만, 흡착판(22)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키홈(22a)이 개구되는 측의 단면에 빠짐방지 판재(도 8의 빠짐방지 판재(92) 참조)가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흡착판(22)은, 복수의 전자 적층강판을 일체화하여 형성되어도 된다.
끼워넣음 부재(90)는, 형 두께조정기구(44)를 구성하는 부재에 고정·지지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형 두께조정기구(44)는, 도시하지 않은 형 두께조정용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기어(44a)와, 센터로드(39)의 나사(43)에 맞물림과 함께, 기어(44a)에 결합되어(기어(44a)와 함께 회전하여), 그 회전운동에 의하여 센터로드(39)를 직선운동(위치조정)시키는 형 두께조정 회전부(44c)와, 형 두께조정 회전부(44c)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4b)를 포함하고, 지지부재(44b)에 끼워넣음 부재(90)가 고정·지지되어 있다. 다만, 지지부재(44b)와 끼워넣음 부재(90) 사이의 결합태양은, 볼트를 이용한 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태양이어도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형 두께조정기구(44)의 구성은, 일례이고, 형 두께조정기구(44)는 다른 구성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3)에 의한 리어플래튼(131)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내용은, 흡착판(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넣음 부재(90)는,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구멍(91)을 가진다. 유로구멍(91)은, 끼워넣음 부재(90)를 관통하고 있고, 전자 적층강판의 적층방향과 평행으로 뻗어 있다. 온도조절 유체가 끼워넣음 부재(90)의 내부를 흐르므로, 전자 적층강판을 그 적층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유로가 되는 경우와 달리, 강판끼리의 사이로부터 온도조절 유체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온도조절 유체가 전자 적층강판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적층강판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조절 유체는, 전자 적층강판과 열교환하여, 전자 적층강판을 온도조절한다. 온도조절 유체는, 냉각수나 공기 등의 냉매(冷媒)이어도 된다. 냉매는, 전자 적층강판을 냉각함으로써, 전자석(49)의 코일(48)의 과열을 억제한다. 다만, 온도조절 유체는, 온수 등의 열매(熱媒)이어도 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31)이 복수의 끼워넣음 부재(90)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끼워넣음 부재(90)에 유로구멍(91)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끼워넣음 부재(90)는,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에 삽입되고, 예컨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키홈(47a)에 고정되어도 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예컨대 드라이아이스나 액체질소 등의 냉매로 끼워넣음 부재(90)를 냉각하여, 수축시킨 다음, 끼워넣음 부재(90)보다 고온(예컨대 실온)인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에 삽입한다. 그 후, 끼워넣음 부재(90)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끼워넣음 부재(90)가 팽창하여,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이 키홈(47a)의 내벽으로 조여진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전자 적층강판을 가열하여,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의 단면적을 크게 한 다음, 전자 적층강판보다 저온(예컨대 실온)인 끼워넣음 부재(90)를 키홈(47a)에 삽입한다. 그 후, 전자 적층강판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키홈(47a)의 단면적이 작아져서, 키홈(47a)의 내벽으로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이 조여진다.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의 간극이 적어져서, 접촉 열저항이 내려가므로, 전자 적층강판의 온도조절 효율이 좋아진다.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로서의 금속시트(93)가 개재되어도 된다. 금속시트(93)의 경도는, 끼워넣음 부재(90)의 경도보다 낮은(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시트(93)의 경도는,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 전에 압입 경도시험법으로 측정된다. 압입 경도시험법으로서는, 예컨대 브리넬 경도시험법(JISZ2243)이 이용된다. 예컨대, 끼워넣음 부재(90)를 형성하는 금속이 스테인리스강인 경우, 금속시트(93)의 금속으로서는, 구리(Cu), 알루미늄(Al), 주석(Sn), 납(Pb), 은(Ag), 인듐(In), 또는 이들 중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이 사용된다. 유연성 및 코스트의 관점에서, 인듐 또는 인듐합금이 특히 적합하게 사용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93)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에 감고, 금속시트(93) 및 끼워넣음 부재(90)를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에 삽입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키홈(47a)에의 삽입 전에, 끼워넣음 부재(90) 및 금속시트(93)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냉매로 냉각한다.
예컨대, 키홈(47a)에의 삽입 전에 끼워넣음 부재(90)만을 냉매로 냉각하는 경우, 키홈(47a)에의 삽입 후에 끼워넣음 부재(90)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93)가 끼워져서, 얇게 변형된다. 금속시트(93)의 변형은, 탄성변형이어도 소성변형이어도 된다. 금속시트(93)는, 끼워넣음 부재(90)보다 유연한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또한, 키홈(47a)에의 삽입 전에 금속시트(93)만을 냉매로 냉각하여, 금속시트(9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키홈(47a)에의 삽입 후에 금속시트(93)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금속시트(93)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93)가 끼워진다. 금속시트(93)는,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93)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에 감고, 가열한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에 금속시트(93) 및 끼워넣음 부재(90)를 삽입한다. 그 후, 전자 적층강판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키홈(47a)의 단면적이 작아져서,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93)가 끼워진다. 금속시트(93)는,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 모두, 금속시트(93)는,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따라서, 접촉 열저항이 더욱 내려가서, 전자 적층강판의 온도조절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상기 간극의 편차를 흡수할 때, 유연한 금속시트(93)가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단단한 끼워넣음 부재(90)의 국소적인 변형이 억제되므로, 끼워넣음 부재(90)의 손상이 저감된다.
다만, 도 13의 열전달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공기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열전달 부재는, 시트 형상이지만, 링 형상이어도 된다.
다만, 도 13의 끼워넣음 부재(90)는,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키홈(47a)에 고정되지만, 그 고정방법은,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키홈(47a)에 끼워넣음 부재(90)를 삽입하여 두고,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의 간극에 가열한 용융수지를 흘려 넣고, 용융수지를 냉각 고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경우,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로서의 수지층이 개재된다. 수지층의 경도는, 끼워넣음 부재(90)의 경도보다 낮게 된다.
다만, 도 13에서는,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지만, 열전달 부재가 없어도 된다. 즉, 키홈(47a)의 내벽과, 끼워넣음 부재(90)의 외벽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직접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는, 도 13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있어서, 도 13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서는 끼워넣음 부재(90)에 유로구멍(91)이 형성되어 있는데 대하여, 도 14에서는 끼워넣음 부재(90)의 전(前)단면에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 홈(95)이 형성되어 있고, 끼워넣음 부재(90)의 전단면에 덮개부재(97)가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덮개부재(97)는, 끼워넣음 부재(90)에 볼트 등으로 고정된다. 끼워넣음 부재(90)와, 덮개부재(97) 사이에는, 온도조절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씰 부재가 개재되어도 된다. 다만, 덮개부재(97)와 끼워넣음 부재(90)의 고정과, 끼워넣음 부재(13)의 키홈(47a)에의 삽입의 순서는, 어느 쪽이 먼저이어도 된다.
타이바(14)는, 덮개부재(97)에 고정되어도 된다
다만, 리어플래튼이 복수의 끼워넣음 부재(90)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끼워넣음 부재(90)에 유로 홈(95)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4)에 의한 리어플래튼(132)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내용은, 실시예 1~실시예 3의 내용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흡착판(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의 리어플래튼(132)은, 전자 적층강판을 보강하는 보강부재(98)를 가지는 점에서, 도 7의 리어플래튼(13)과 상이하다. 이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보강부재(98)는, 예컨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적층강판의 측면, 및/또는 전자 적층강판의 전(前)단면 등에 고정된다. 보강부재(98)는, 전자 적층강판의 적층방향과 평행으로 뻗어 있고, 전자 적층강판의 각 강판과 용접 등으로 연결된다.
보강부재(98)에는,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구멍(99)이 형성된다. 유로구멍(99)은, 전자 적층강판의 적층방향과 평행으로 뻗어 있다. 온도조절 유체가 보강부재(98)의 내부를 흐르므로, 전자 적층강판을 적층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 유로가 되는 경우와 달리, 강판끼리의 사이로부터 온도조절 유체가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온도조절 유체가 전자 적층강판과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 적층강판의 부식이 방지된다.
온도조절 유체는, 전자 적층강판과 열교환하여, 전자 적층강판을 온도조절한다. 온도조절 유체는, 냉각수나 공기 등의 냉매이어도 된다. 냉매는, 전자 적층강판을 냉각함으로써, 전자석(49)의 코일(48)의 과열을 억제한다.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또한, 온도조절 유체는, 온수 등의 열매이어도 된다.
타이바(14)는, 전자 적층강판의 전(前)단면에 고정되는 보강부재(98)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어도 된다.
다만, 도 15에서는, 보강부재(98)에 유로구멍(99)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14와 마찬가지로, 보강부재(98)에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보강부재(98)의 유로 홈이 형성되는 면에 덮개부재가 고정되고 있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유로구멍, 유로 홈)는, 보강부재(98)에 형성되지만, 예컨대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부재(94), 도 12에 나타내는 지지부재(44b) 등에 형성되어도 된다.
다만, 리어플래튼이 복수의 보강부재(98)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98)에 유로구멍, 또는 유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5)에 의한 리어플래튼(133)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있어서, 도 13(실시예 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내용은, 흡착판(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넣음 부재(90)에는, 유로관(71)을 삽입하는 삽입부로서의 삽입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관(71)은, 끼워넣음 부재(90)를 관통하여도 된다. 유로관(71)은 끼워넣음 부재(90)마다 하나씩 설치되지만, 복수 개씩 설치되어도 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33)이 복수의 끼워넣음 부재(90)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부에 유로관(71)이 삽입되어 있으면 된다.
유로관(71)은, 예컨대 원통 관으로서,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를 내부에 가진다. 온도조절 유체가 유로관(71)의 내부를 흐르고, 온도조절 유체가 끼워넣음 부재(90)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끼워넣음 부재(9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조절 유체는, 리어플래튼(133)과 열교환하여, 리어플래튼(133)을 온도조절한다. 온도조절 유체는, 냉각수나 공기 등의 냉매이어도 된다. 냉매는, 리어플래튼(133)을 냉각함으로써, 전자석(49)의 코일(48)의 과열을 억제한다. 다만, 온도조절 유체는, 온수 등의 열매이어도 된다.
유로관(71)은,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에 삽입되어, 예컨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삽입구멍(72)에 고정되어도 된다.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에서의 유로관(71)의 고정과,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에서의 끼워넣음 부재(90)의 고정은 어느 쪽이 먼저이어도 되고, 동시이어도 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드라이아이스나 액체질소 등의 냉매로 유로관(71)을 냉각하여, 유로관(71)의 외경을 작게 한 다음, 유로관(71)보다 고온(예컨대 실온)인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에 유로관(71)을 삽입한다. 그 후, 유로관(71)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유로관(71)이 팽창되어, 유로관(71)의 외벽이 삽입구멍(72)의 내벽으로 조여진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끼워넣음 부재(90)를 가열하여,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의 직경을 크게 한 다음, 끼워넣음 부재(90)보다 저온(예컨대 실온)인 유로관(71)을 삽입구멍(72)에 삽입한다. 그 후, 끼워넣음 부재(90)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삽입구멍(72)의 직경이 수축되어, 삽입구멍(72)의 내벽으로 유로관(71)의 외벽이 조여진다.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이 적어져서, 접촉 열저항이 내려가므로, 리어플래튼(133)의 온도조절 효율이 좋아진다. 유로관(71)의 외벽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균일하게 조여지도록, 유로관(71)은 원통 관으로 구성되고, 삽입구멍(72)은 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져도 된다.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로서의 금속시트(73)가 개재되어도 된다. 금속시트(73)의 경도는, 유로관(71)의 경도보다 낮은(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73)를 유로관(71)의 외벽에 감고, 금속시트(73) 및 유로관(71)을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에 삽입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삽입구멍(72)에의 삽입 전에, 유로관(71) 및 금속시트(73)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냉매로 냉각한다.
예컨대, 삽입구멍(72)에의 삽입 전에 유로관(71)만을 냉매로 냉각하는 경우, 삽입구멍(72)에의 삽입 후에 유로관(71)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유로관(71)이 팽창되어,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73)가 끼워져서, 얇게 변형된다. 금속시트(73)의 변형은, 탄성변형이어도 소성변형이어도 된다. 금속시트(73)는, 유로관(71)보다 유연한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또한, 삽입구멍(72)에의 삽입 전에 금속시트(73)만을 냉매로 냉각하여, 금속시트(7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삽입구멍(72)에의 삽입 후에 금속시트(73)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금속시트(73)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73)가 끼워진다. 금속시트(73)는,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73)를 유로관(71)의 외벽에 감고, 가열한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구멍(72)에 금속시트(73) 및 유로관(71)을 삽입한다. 그 후, 끼워넣음 부재(90)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삽입구멍(72)의 직경이 수축되어,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73)가 끼워진다. 금속시트(73)는,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 모두, 금속시트(73)는,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따라서, 접촉 열저항이 더욱 내려가서, 리어플래튼(133)의 온도조절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상기 간극의 편차를 흡수할 때, 유연한 금속시트(73)가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단단한 유로관(71)의 국소적인 변형이 억제되므로, 유로관(71)의 손상이 저감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열전달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공기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열전달 부재는, 시트 형상이지만, 링 형상이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유로관(71)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삽입구멍(72)에 고정되지만, 그 고정방법은,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삽입구멍(72)에 유로관(71)을 삽입하여 두고,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의 간극에 가열한 용융수지를 흘려 넣고, 용융수지를 냉각 고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경우,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로서의 수지층이 개재된다. 수지층의 경도는, 유로관(71)의 경도보다 낮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지만, 열전달 부재가 없어도 된다. 즉, 삽입구멍(72)의 내벽과, 유로관(71)의 외벽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직접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실시예 6)에 의한 리어플래튼(134)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에 있어서, 도 13(실시예 3)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내용은, 흡착판(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끼워넣음 부재(90)에는, 유로관(75)을 삽입하는 삽입부로서의 삽입 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관(75)은, 끼워넣음 부재(90)를 관통하여도 된다. 유로관(75)은 끼워넣음 부재(90)마다 하나씩 설치되지만, 복수 개씩 설치되어도 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34)이 복수의 끼워넣음 부재(90)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부에 유로관(75)이 삽입되어 있으면 된다.
유로관(75)은, 예컨대 각통(角筒) 관으로서,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를 내부에 가진다. 온도조절 유체가 유로관(75)의 내부를 흘러서, 온도조절 유체가 끼워넣음 부재(90)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끼워넣음 부재(9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조절 유체는, 리어플래튼(134)과 열교환하여, 리어플래튼(134)을 온도조절한다. 온도조절 유체는, 냉각수나 공기 등의 냉매이어도 된다. 냉매는, 리어플래튼(134)을 냉각함으로써, 전자석(49)의 코일(48)의 과열을 억제한다. 다만, 온도조절 유체는, 온수 등의 열매이어도 된다.
유로관(75)은,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에 삽입되어, 예컨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삽입 홈(76)에 고정되어도 된다.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에서의 유로관(75)의 고정과, 전자 적층강판의 키홈(47a)에서의 끼워넣음 부재(90)의 고정은 어느 쪽이 먼저이어도 되고, 동시이어도 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드라이아이스나 액체질소 등의 냉매로 유로관(75)을 냉각하여, 수축시킨 다음, 유로관(75)보다 고온(예컨대 실온)인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에 유로관(75)을 삽입한다. 그 후, 유로관(75)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유로관(75)이 팽창하여, 유로관(75)의 외벽이 단면 직사각 형상의 삽입 홈(193)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측벽)으로 조여진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끼워넣음 부재(90)를 가열하여,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의 홈 폭을 넓힌 다음, 끼워넣음 부재(90)보다 저온(예컨대 실온)인 유로관(75)을 삽입 홈(76)에 삽입한다. 그 후, 끼워넣음 부재(90)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삽입 홈(76)의 홈 폭이 좁아져서, 단면 직사각 형상의 삽입 홈(76)의 서로 대향하는 내벽으로 유로관(75)의 외벽이 조여진다.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의 간극이 적어져서, 접촉 열저항이 내려가므로, 리어플래튼(134)의 온도조절 효율이 좋아진다.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로서의 금속시트(77)가 개재되어도 된다. 금속시트(77)의 경도는, 유로관(75)의 경도보다 낮은(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77)를 유로관(75)의 외벽에 감고, 금속시트(77) 및 유로관(75)을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에 삽입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삽입 홈(76)에의 삽입 전에, 유로관(75) 및 금속시트(77)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냉매로 냉각한다.
예컨대, 삽입 홈(76)에의 삽입 전에 유로관(75)만을 냉매로 냉각하는 경우, 삽입 홈(76)에의 삽입 후에 유로관(75)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유로관(75)이 팽창되어,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77)가 끼워져서, 얇게 변형된다. 금속시트(77)의 변형은, 탄성변형이어도 소성변형이어도 된다. 금속시트(77)는, 유로관(75)보다 유연한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또한, 삽입 홈(76)에의 삽입 전에 금속시트(77)만을 냉매로 냉각하여, 금속시트(77)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삽입 홈(76)에의 삽입 후에 금속시트(77)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금속시트(77)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77)가 끼워진다. 금속시트(77)는,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77)를 유로관(75)의 외벽에 감고, 가열한 끼워넣음 부재(90)의 삽입 홈(76)에 금속시트(77) 및 유로관(75)을 삽입한다. 그 후, 끼워넣음 부재(90)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삽입 홈(76)의 홈 폭이 좁아져서,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77)가 끼워진다. 금속시트(77)는,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 모두, 금속시트(77)는,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따라서, 접촉 열저항이 더욱 내려가서, 리어플래튼(134)의 온도조절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상기 간극의 편차를 흡수할 때, 유연한 금속시트(77)가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단단한 유로관(75)의 국소적인 변형이 억제되므로, 유로관(75)의 손상이 저감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열전달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공기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열전달 부재는, 시트 형상이지만, 링 형상이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유로관(75)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삽입 홈(76)에 고정되지만, 그 고정방법은,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삽입 홈(76)에 유로관(75)을 삽입하여 두고,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의 간극에 가열한 용융수지를 흘려 넣고, 용융수지를 냉각 고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경우,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로서의 수지층이 개재된다. 수지층의 경도는, 유로관(75)의 경도보다 낮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지만, 열전달 부재가 없어도 된다. 즉, 삽입 홈(76)의 내벽과, 유로관(75)의 외벽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직접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실시예 7)에 의한 리어플래튼 (135)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에 있어서, 도 15(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내용은, 흡착판(2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내용은,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부재(94), 도 12에 나타내는 지지부재(44b) 등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부재(98)에는, 유로관(81)을 삽입하는 삽입부로서의 삽입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유로관(81)은, 보강부재(98)를 관통하여도 된다. 유로관(81)은 보강부재(98)마다 하나씩 설치되지만, 복수 개씩 설치되어도 된다. 다만, 리어플래튼(135)이 복수의 보강부재(98)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재(98)의 삽입부에 유로관(81)이 삽입되어 있으면 된다.
유로관(81)은, 예컨대 원통 관으로서,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를 내부에 가진다. 온도조절 유체가 유로관(81)의 내부를 흐르고, 온도조절 유체가 보강부재(98)와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보강부재(98)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온도조절 유체는, 리어플래튼(135)과 열교환하여, 리어플래튼(135)을 온도조절한다. 온도조절 유체는, 냉각수나 공기 등의 냉매이어도 된다. 냉매는, 리어플래튼(135)을 냉각함으로써, 전자석(49)의 코일(48)의 과열을 억제한다. 다만, 온도조절 유체는, 온수 등의 열매이어도 된다.
유로관(81)은,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에 삽입되어, 예컨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삽입구멍(82)에 고정되어도 된다.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에서의 유로관(81)의 고정과, 전자 적층강판에 대한 보강부재(98)의 고정은 어느 쪽이 먼저이어도 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드라이아이스나 액체질소 등의 냉매로 유로관(81)을 냉각하여, 유로관(81)의 외경을 작게 한 다음, 유로관(81)보다 고온(예컨대 실온)인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에 유로관(81)을 삽입한다. 그 후, 유로관(81)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유로관(81)이 팽창하여, 유로관(81)의 외벽이 삽입구멍(82)의 내벽으로 조여진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보강부재(98)를 가열하여,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의 직경을 크게 한 다음, 보강부재(98)보다 저온(예컨대 실온)인 유로관(81)을 삽입구멍(82)에 삽입한다. 그 후, 보강부재(98)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삽입구멍(82)의 직경이 수축되어, 삽입구멍(82)의 내벽으로 유로관(81)의 외벽이 조여진다.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이 적어져서, 접촉 열저항이 내려가므로, 리어플래튼(135)의 온도조절 효율이 좋아진다. 유로관(81)의 외벽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균일하게 조여지도록, 유로관(81)은 원통 관으로 구성되고, 삽입구멍(82)은 원 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져도 된다.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에는, 열전달 부재로서의 금속시트(83)가 개재되어도 된다. 금속시트(83)의 경도는, 유로관(81)의 경도보다 낮은(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83)를 유로관(81)의 외벽에 감고, 금속시트(83) 및 유로관(81)을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에 삽입한다. 냉각 끼워맞춤에서는, 삽입구멍(82)에의 삽입 전에, 유로관(81) 및 금속시트(83) 중의 적어도 어느 일방을 냉매로 냉각한다.
예컨대, 삽입구멍(82)에의 삽입 전에 유로관(81)만을 냉매로 냉각하는 경우, 삽입구멍(82)에의 삽입 후에 유로관(81)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유로관(81)이 팽창되어,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83)가 끼워져 얇게 변형한다. 금속시트(83)의 변형은, 탄성변형이어도 소성변형이어도 된다. 금속시트(83)는, 유로관(81)보다 유연한 금속으로 형성되므로,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또한, 삽입구멍(82)에의 삽입 전에 금속시트(83)만을 냉매로 냉각하여, 금속시트(83)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 삽입구멍(82)에의 삽입 후에 금속시트(83)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와서, 금속시트(83)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83)가 끼워진다. 금속시트(83)는,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우고,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가열 끼워맞춤에서는, 금속시트(83)를 유로관(81)의 외벽에 감고, 가열한 보강부재(98)의 삽입구멍(82)에 금속시트(83) 및 유로관(81)을 삽입한다. 그 후, 보강부재(98)의 온도가 실온으로 되돌아오면, 삽입구멍(82)의 직경이 수축되어,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에 금속시트(83)가 끼워진다. 금속시트(83)는,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 모두, 금속시트(83)는,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의 간극의 편차를 흡수하도록 변형되어 간극을 메워서,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의 양방에 밀착된다. 따라서, 접촉 열저항이 더욱 내려가서, 리어플래튼(135)의 온도조절 효율이 더욱 좋아진다. 또한, 상기 간극의 편차를 흡수할 때, 유연한 금속시트(83)가 선택적으로 변형되어, 단단한 유로관(81)의 국소적인 변형이 억제되므로, 유로관(81)의 손상이 저감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열전달 부재는, 금속으로 형성되지만, 공기보다 높은 열전도율을 가지고 있으면 되고, 수지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열전달 부재는, 시트 형상이지만, 링 형상이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유로관(81)은,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삽입구멍(82)에 고정되지만, 그 고정방법은, 냉각 끼워맞춤, 가열 끼워맞춤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삽입구멍(82)에 유로관(81)을 삽입하여 두고,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의 간극에 가열한 용융수지를 흘려 넣고, 용융수지를 냉각 고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경우,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로서의 수지층이 개재된다. 수지층의 경도는, 유로관(81)의 경도보다 낮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지만, 열전달 부재가 없어도 된다. 즉, 삽입구멍(82)의 내벽과, 유로관(81)의 외벽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에 의하여 직접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98)에는, 유로관(81)을 삽입하는 삽입부로서의 삽입구멍(82)이 형성되어 있지만, 삽입구멍 대신에, 도 17의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삽입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다만,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1 고정부재"는, 고정플래튼(11)에 대응하고,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1 가동부재"는, 가동플래튼(12)에 대응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2 고정부재"는, 리어플래튼(13)에 대응하고,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2 가동부재"는, 흡착판(22)에 대응한다. 단, 변형예로서, 흡착판(22)측에 전자석(49)을 설치하고, 리어플래튼(13)측에 흡착부를 설치하여도 되고, 이 변형예의 경우, "제2 고정부재"는, 흡착판(22)에 대응하고,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제2 가동부재"는, 리어플래튼(13)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의 "홈"은, 키홈(47a) 및/또는 키홈(22a)에 대응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일은 없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 각종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서술의 실시예에서는, 리어플래튼(13, 130, 131, 133, 134) 및 흡착판(22)은, 바닥측이 입구측보다 폭이 넓은 키홈(47a) 및 키홈(22a)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키홈(47a) 및 키홈(22a) 대신에, 원형 단면 이외의 단면형상의 홈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도, 홈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90)는, 리어플래튼(13, 130, 131, 133, 134) 및 흡착판(22)의 회전방향의 변위를 구속할 수 있어, 위치결정 기능을 완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리어플래튼(13, 130, 131, 133, 134) 및 흡착판(22)은, 전자 적층강판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키홈(47a) 또는 키홈(22a)이 형성되지 않는 구성의 경우는, 주물의 일체 구조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컨대, 도 12에 나타내는 적용예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리어플래튼(13)은 주물의 일체 구조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적용예를 채용하지 않는 경우는, 흡착판(22)은, 주물의 일체 구조로 구성되어도 된다.
다만, 상기 서술의 실시예에서는, 2열의 키홈(47a)에 대응하여 2개의 끼워넣음 부재(90)가 설치되어 있지만, 키홈(47a) 및 끼워넣음 부재(90)의 수는, 임의이다.
이상의 설명에 관하여, 더욱 이하의 항을 개시(開示)한다.
(부기 1)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제1 가동부재와,
상기 제1 가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중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강판과, 상기 적층강판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강부재는,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부기 2)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제1 가동부재와,
상기 제1 가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중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강판과, 상기 적층강판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온도조절 유체를 흘려 보내는 유로관이 삽입되고, 상기 유로관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부기 3)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유로관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는, 부기 2에 기재된 사출성형기.
(부기 4)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제1 가동부재와,
상기 제1 가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중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적층강판과, 상기 적층강판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가지고,
상기 보강부재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온도조절 유체를 흘려 보내는 유로관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유로관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부기 5)
상기 열전달 부재의 경도는, 상기 유로관의 경도보다 낮은, 부기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사출성형기.
Fr 프레임
Gd 가이드
10 형체장치
11 고정플래튼
12 가동플래튼
13, 130 리어플래튼
14 타이바
15 고정금형
16 가동금형
17 사출장치
18 사출노즐
19 금형장치
22 흡착판
22a 키홈
28 리니어모터
29 고정자
31 가동자
33 자극(磁極)치(齒)
34 코어
35 코일
37 전자석유닛
39 센터로드(rod)
41 각(角)형 구멍
43 나사
44 형 두께조정기구
44a 기어
44b 지지부재
44c 형 두께조정 회전부
45, 45A, 45B 홈
46, 46A, 46B 코어
47 요크
47a 키홈
47b 계지부
48 코일
49 전자석
51 흡착부
55 하중검출기
60 제어부
61 형 개폐처리부
62 형체처리부
71 유로관
72 삽입구멍
73 열전달 부재(금속시트)
75 유로관
76 유로관
77 삽입 홈
78 열전달 부재(금속시트)
81 유로관
82 삽입구멍
83 열전달 부재(금속시트)
90 끼워넣음 부재
91 유로구멍
92 빠짐방지 판재
93 열전달 부재(금속시트)
94 연결부재
95 유로 홈
97 덮개부재
98 보강부재
99 유로구멍

Claims (16)

  1. 고정금형이 장착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와 대향하여 설치되는 제2 고정부재와,
    가동금형이 장착되는 제1 가동부재와,
    상기 제1 가동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가동부재와 함께 이동하는 제2 가동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전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형체력을 발생시키는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고,
    상기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중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강판을 적층함과 함께 소정 방향으로 뻗어 있는 홈이 형성된 적층강판과, 상기 적층강판의 홈 내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를 가지고,
    상기 홈은, 상기 홈 내에 끼워 넣어지는 끼워넣음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적층강판의 회전운동을 규제하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적층강판의 적층방향으로 뻗어 있는 사출성형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형체력 발생기구를 구성하는 상기 제2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가동부재 중의 적어도 일방은, 복수의 적층강판으로 구성되는 사출성형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강판은, 상기 끼워넣음 부재로 일체화되는 사출성형기.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강판은, 상기 끼워넣음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일체화되는 사출성형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음 부재는, 타이바에 고정되고,
    상기 적층강판은, 상기 끼워넣음 부재를 통하여 타이바에 연결되는 사출성형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바닥측이 입구측보다 폭이 넓은 단면형상을 가지는 사출성형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강판에 있어서의 상기 홈은, 상기 적층강판의 단면에서 개구되고,
    상기 적층강판의 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를 막는 판재를 구비하는 사출성형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음 부재는, 온도조절 유체의 유로를 가지는 사출성형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음 부재는,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상기 적층강판의 상기 홈에 고정되는 사출성형기.
  11.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음 부재의 외벽과, 상기 적층강판의 상기 홈의 내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는 사출성형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의 경도는, 상기 끼워넣음 부재의 경도보다 낮은 사출성형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음 부재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온도조절 유체를 흘려 보내는 유로관이 삽입되고,
    상기 유로관이 냉각 끼워맞춤 또는 가열 끼워맞춤으로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는 사출성형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유로관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는 사출성형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넣음 부재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온도조절 유체를 흘려 보내는 유로관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의 내벽과, 상기 유로관의 외벽 사이에, 열전달 부재가 개재되는 사출성형기.
  16. 청구항 13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부재의 경도는, 상기 유로관의 경도보다 낮은 사출성형기.
KR1020120082885A 2011-07-29 2012-07-30 사출성형기 KR1013857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7012 2011-07-29
JP2011167012 2011-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439A true KR20130014439A (ko) 2013-02-07
KR101385787B1 KR101385787B1 (ko) 2014-04-16

Family

ID=47569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885A KR101385787B1 (ko) 2011-07-29 2012-07-30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12870B2 (ko)
KR (1) KR101385787B1 (ko)
CN (1) CN102896749B (ko)
TW (1) TWI4955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0094A (zh) * 2021-06-09 2021-09-07 吉林大学 一种生殖科用护理推车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3045Y2 (ko) * 1981-04-03 1988-11-10
JPS625620A (ja) * 1985-07-02 1987-01-12 Fuji Electric Co Ltd 液冷却形コイルの冷却装置
US5322430A (en) * 1992-01-30 1994-06-21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Mold clamping device i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8278091A (ja) * 1995-04-04 1996-10-22 Fujikura Ltd ヒートパイプ式冷却ユニットの製造方法
US5620723A (en) * 1995-06-07 1997-04-1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846606B2 (ja) * 1995-09-01 1999-01-13 リコー計器株式会社 電磁鋼板の積層構造
JP3155477B2 (ja) * 1996-11-25 2001-04-0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
US6703726B2 (en) 2000-05-12 2004-03-09 Shinano Electronics Co., Ltd. Platen for flat linear motor
DE10120171C2 (de) * 2000-10-10 2003-04-17 Demag Ergotech Gmbh Formschließeinrichtung für Spritzgießmaschinen
US20070158875A1 (en) * 2004-03-19 2007-07-12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Mold-clamping apparatus and method of adjusting mold thickness
JP4650067B2 (ja) * 2005-04-06 2011-03-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金型冷却構造の製造方法
JP4946455B2 (ja) * 2007-01-23 2012-06-06 マツダ株式会社 成形型装置
JP5241194B2 (ja) * 2007-10-23 2013-07-17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回転電機およびその鉄心
WO2009123312A1 (ja) * 2008-04-04 2009-10-0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
JP5670782B2 (ja) * 2011-03-07 2015-02-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型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96749B (zh) 2016-06-22
JP5912870B2 (ja) 2016-04-27
TW201313441A (zh) 2013-04-01
CN102896749A (zh) 2013-01-30
JP2013049260A (ja) 2013-03-14
TWI495555B (zh) 2015-08-11
KR101385787B1 (ko) 201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1737B2 (ja) 型締装置
KR101385787B1 (ko) 사출성형기
KR101395470B1 (ko) 사출성형기
KR101442336B1 (ko) 사출성형기
JP5839482B2 (ja) 射出成形機
JP4372319B2 (ja) リニアモータとその製造方法
KR101442337B1 (ko) 사출성형기
KR101407110B1 (ko) 사출성형기
KR101417592B1 (ko) 사출성형기
KR101407804B1 (ko) 사출성형기
JP5694107B2 (ja) 射出成形機
KR101327253B1 (ko) 사출성형기
JP5752555B2 (ja) 射出成形機
KR101407132B1 (ko) 사출성형기
JP5694106B2 (ja) 射出成形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