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151A -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151A
KR20130014151A KR1020110076098A KR20110076098A KR20130014151A KR 20130014151 A KR20130014151 A KR 20130014151A KR 1020110076098 A KR1020110076098 A KR 1020110076098A KR 20110076098 A KR20110076098 A KR 20110076098A KR 20130014151 A KR20130014151 A KR 2013001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organic
kaempferitrin
in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431B1 (ko
Inventor
이근하
주철규
주연정
조영롱
주일우
정용철
박청
권순상
Original Assignee
(주)모아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아캠 filed Critical (주)모아캠
Priority to KR102011007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431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4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페리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캠페리트린과 유기소재 또는 무기소재 자외선 차단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페리트린 자외선 차단 물질 및 기존의 자외선 차단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자외선 차단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자외선 차단지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유기/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여 피부자극, 독성, 안정성,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단점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자외선 차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V Protect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g Kaempferitrin}
본 발명은 캠페리트린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캠페리트린과 유기소재 또는 무기소재 자외선 차단제를 동시에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파장의 약 400nm에서 10nm 정도에 이르는 범위의 파장을 갖는 전자기파의 총칭으로 보통 파장 400 ~ 300nm 이상인 영역을 근 자외선, 300 ~ 200nm 이하인 영역을 원 자외선이라고 한다. 보통 땅 위에 이르는 자외선은 근 자외선 영역에 그치는데, 이것은 대기속의 오존이 290nm 이하의 자외선을 거의 흡수하므로 근 자외선 영역만이 지표에 도달한다. 이러한 자외선 영역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A, B, C의 3가지 영역으로 나뉘며 이중 UV-C (280이하)는 대부분 오존층에서 차단이 되나 UVA와 UVB영역은 차단이 되지 않고 지표면까지 도달하여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중 UVA는 자외선의 90%이상을 차지하며 피부노화의 주원인으로 꼽히며 특히 기미, 주근깨를 유발시킨다. UVB는 파장이 짧아 피부 깊숙이 침투하지는 못하지만 과다하게 쪼이면 일광화상을 일으키는 등 피부노화에 관여를 한다. 이러한 자외선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을 차단하기 위해 많은 자외선 차단 제품이 사용되고 있으며 인체, 특히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 자외선 차단제품의 사용은 필수적 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 소재들은 크게 유기소재와 무기소재로 나뉜다. 유기소재는 그 특성상 합성물질이 대다수이고, 천연물질로는 Cinnamate 유도체가 주류를 이룬다. 하지만 이 같은 유기 소재들은 광 안정성이 떨어지며 광독성, 피부자극, 환경 호르몬 배출 등 많은 단점을 가진다. 이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차단 소재는 대부분 무기 소재들로 대표적으로 TiO2, ZnO가 있는데, 이들은 차단 효율성 때문에 과량 사용하게 되며, 백탁현상, 광독성, 안정화, 안전성 문제인 나노물질의 유해성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의 시장에서 신기술 개발은 물론 제품의 품질향상, 새로운 소재개발 등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 자외선 차단제의 연구동향을 보면 무기자외선 차단제의 미립자화를 통한 사용감 향상과 백탁현상 저해기술 개발,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 개발로 유기자외선 차단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의 촉진제(부스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기 개발되어 상품화된 천연 자외선 차단제는 제품 상용성과 효능성 등의 문제로 전무한 실정이며 실험실 단위 연구로써만 활발히 진행중이나, 천연물을 선호하는 최근의 경향을 비추어 보았을 때 이에 대한 연구가 속속 진행 될 전망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54736호에는 자외선 차단제가 포집된 코아세르베이트를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자외선 차단용 부스터를 기재하고 있고, 상기 부스터는 그 자체는 자외선 차단력이 없으나 자외선 차단 캡슐이 피부 위에 잘 도포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질을 뜻하였으며, 왁스 등의 알코올류의 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53377호에는 이산화 티탄, 산화아연, 자몽 씨앗 추출물, 글리세린, 1,3 부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무방부제 베이스로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가 없는 무기계의 단독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12188호에는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여 부스팅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부스팅 효과를 내는 성분이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식물에서 추출한 캠페리트린을 이용하여 유기소재 또는 무기소재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극복하고 자외선 차단효과를 높이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캠페리트린을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면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보다 자외선 차단 효과가 크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 소재에 있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연 자외선 차단물질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무기 자외선 차단물질의 사용량을 줄이고 천연의 유기자외선 차단제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기존 자외선 차단효과의 부스팅 효과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캠페리트린(Kaempferitrin, kaempferol-3, 7-α-L-rhamnoside)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캠페리트린(Kaempferitrin, kaempferol-3, 7-α-L-rhamnoside)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캠페리트린 자외선 차단 물질 및 기존의 자외선 차단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제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 자외선 차단물질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자외선 차단지수를 비약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유기/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여 피부자극, 독성, 안정성,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단점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자외선 차단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캠페리트린(Kaempferitrin, kaempferol-3, 7-α-L-rhamnoside)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부스터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천연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물질인 캠페리트린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능력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일컫는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캠페리트린을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능을 부스팅 시켜, 기존의 단독으로 사용하는 유/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단점을 보완하여 자외선 차단능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였다.
상기 캠페리트린은 단독으로도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지나, 본 발명에서는 다른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여 자외선 차단능을 부스팅 시키는 역할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부스팅 에이전트로 사용하는 캠페리트린은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인 캠페리트린은 양마(ibiscus cannabinus L.)잎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 후 초고압 염석공정에 의해 유효성분인 kaempferitrin을 분리 정제하여 제조하였고, 95 %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물질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캠페리트린은 단독으로는 자외선차단효과가 낮으나, 유기/무기 자외선차단제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자외선차단효과를 높이는 시너지효과(부스팅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페리트린과 함께 사용하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호모살레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소듐페닐디펜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8(디옥시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캠페리트린(Kaempferitrin, kaempferol-3, 7-α-L-rhamnoside)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페리트린과 함께 사용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징크옥사이드,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캠페리트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 20 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약 0.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캠페리트린과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먼저 표 1의 원료 세테아릴알코올, 피이지 40캐스터오일, 소듐세테아릴설페이트, 데실올리에이트, 프로필파라핀 및 정제수와 45% 소듐하이드록사이드액, 메칠파라벤, 디소듐이디티에이, 캠페리트린 및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호모살레이트 또는 티타늄디옥사이드를 차례로 80℃로 가온한 후 식힌다. 정제수, 카보머 934P를 분산시킨 후 45% 소듐하이드록사이드액으로 중화한 다음 pH를 7.8~8.0으로 조정하고 상온까지 냉각하여 제조하였다.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크림을 이용하여 피험자 10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등에 시험하였다. 시료 도포 량은 2.0mg/cm2 또는 2.0uL/cm2으로 하였고 제품 도포 면적을 24cm2이상으로 하여 0.5cm2 이상의 면적을 갖는 5개 이상의 조사부위를 구획하였다. SPF 지수는 제품 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여 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 측정값으로 나누어 구하였다.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대조군의 SPF값에 대하여 캠페리트린을 함께 사용한 실험군의 SPF값이 60 ~ 82 %까지 증가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 3의 성분 중에서 먼저 정제수,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트리소듐이디티에이 및 페녹시에탄올 각 성분을 정제수에 넣어 70℃로 가열하고, 캠페리트린, 스테아릭엑시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및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또는 호모살레이트 또는 티타늄디옥사이드의 무게를 달아 70℃로 가열하여 완전히 녹인다. 배합된 두 가지의 원료 혼합물을 섞고 유화하여 유화된 액을 냉각시켜 표준시료 또는 실험예의 제형으로 제작하였다. 제조한 자외선 차단제 크림을 이용하여 피험자 10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등에 시험하였다. 시료 도포 량은 2.0mg/cm2 또는 2.0uL/cm2으로 하였고 제품 도포 면적을 24cm2이상으로 하여 0.5cm2 이상의 면적을 갖는 5개 이상의 조사부위를 구획하고, 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u)과 제품 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p)을 구하였다. 자외선A 차단지수(PFA)는 다음 계산식에 따라 각 피험자의 자외선A차단지수(PFAi)를 계산하여 그 산술평균값으로 하였다. 이 때 표준오차는 ㅁ10%이내로 시험하였다. 켐페리트린에 의한 자외선 차단 부스팅 효과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한 경우 32 %, 무기 자외선 차단제와 함께 사용한 경우 50 ~ 62 %까지 증가하는 것을 통해 천연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 물질인 캠페리트린이 유기 또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차단능력을 비약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자외선 차단지수(SPF)를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크림 및 바셀린 제형을 사용하였으며 통상적으로 로션, 에멀젼, 왁스, 오일 등 어떠한 제형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크림, 바셀린 제형에서 가장 정확한 자외선 차단지수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Kaempferitrin 함유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SPF 측정용) 제조
캠페리트린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1).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표 1의 원료 1 ~ 6의 성분을 80℃로 가온하여 완전 용해시킨 다음, 표 1의 원료 6 ~ 13을 80℃로 가온한 후 식힌다. 14 ~ 16의 각 성분의 무게를 달아 정제수에 카보머 934P를 분산시킨 후 45% 소듐하이드록사이드액으로 중화하였다. 배합된 원료 6 ~ 13을 교반하면서(균일하게 혼합해주면서) 원료 1 ~ 5를 넣고 이 혼합액을 교반하면서(균일하게 혼합해주면서) 원료 14 ~ 16을 넣고 3분간 균질화 시켰다. 소듐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젖산을 가지고 pH를 7.8~8.0으로 조정하고 상온까지 냉각하였다.
캠페리트린 함유 크림제형 제조 (중량 %)
번호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세테아릴알코올 1.05 1.05 1.05 1.05 1.05 1.05 1.05 1.05
2 피이지-40캐스터오일 1.05 1.05 1.05 1.05 1.05 1.05 1.05 1.05
3 소듐세테아릴설페이트 1.05 1.05 1.05 1.05 1.05 1.05 1.05 1.05
4 데실올리에이트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5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0.1 0.1 0.1
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7 45% 소듐하이드록사이드액 0.9 0.9 0.9 0.9 0.9 0.9 0.9 0.9
8 메칠파라벤 0.3 0.3 0.3 0.3 0.3 0.3 0.3 0.3
9 디소듐이디티에이 0.1 0.1 0.1 0.1 0.1 0.1 0.1 0.1
10 캠페리트린 10 10 10 10
1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0 10
12 호모살레이트 10 10
13 티타늄디옥사이드 10 10
14 정제수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15 카보머 934P 0.3 0.3 0.3 0.3 0.3 0.3 0.3 0.3
16 45% 소듐하이드록사이드액 0.3 0.3 0.3 0.3 0.3 0.3 0.3 0.3
실험예 1. 자외선 차단 지수 (SPF, UV-B) 실험
자외선 차단 효과는 아래와 같이 식약청고시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10명을 선정하였으며 시험부위는 피험자의 등에 시험하였다. 시료 도포 량은 2.0mg/cm2 또는 2.0uL/cm2으로 하였고 제품 도포 면적을 24cm2이상으로 하여 0.5cm2 이상의 면적을 갖는 5개 이상의 조사부위를 구획하였다. SPF 지수는 아래의 식과 같이 제품 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여 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 측정값에 나누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광원은 제논 아크 램프를 장착한 인공태양광조사기(solar simulator)를 사용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표준시료는 식약청 고시법에 따라 제조된 표준시료를 사용하였으며 SPF 측정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각 피험자의 자외선 차단지수 (SPF I)=제품 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 (MEDp)/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홍반량 (MEDu)
자외선 차단 지수 (SPF, UV-B) 실험결과
데이타 시료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SPF 측정값 1.2 3.9 12.4 26.4 4.6 11.2 16.5 30.2
부스팅 효과 82% 65% 60%
표 2의 부스팅 효과는 부스팅 에이전트인 캠페리트린이 첨가된 비교예 2의 SPF 측정값과 부스팅이 될 실시예의 시료 값의 합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6]에서 뺀 결과 값을 계산하여 추가로 증가된 SPF 값의 퍼센테이지를 구하였다.
표 2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캠페리트린은 유/무기 자외선을 각각 사용하였을 때에 비교하여 같이 사용하였을 경우 60 ~ 82%까지 SPF 값을 증가시켜 캠페리트린이 천연 자외선 차단제로써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SPF 지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천연 자외선 차단의 부스팅 에이전트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Kaempferitrin 함유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PFA 측정용) 제조
캠페리트린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여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3). 구성된 성분 중에서 먼저 1 ~ 5 의 각 성분의 무게를 달아 정제수에 넣어 용액을 70℃로 가열하여 녹였다. 6 ~ 11의 각 성분들의 무게를 달아 70℃로 가열하여 완전히 녹였다. 배합된 원료 1 ~ 5에 원료 6 ~ 11을 넣어 혼합물을 유화하고 호모게나이저로 유화된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였다. 유화된 액을 냉각하여 표준시료 또는 실험예의 제형으로 하였다.
캠페리트린 함유 크림제형 제조 (중량 %)
번호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2 디프로필렌글라이콜 5.0 5.0 5.0 5.0 5.0 5.0 5.0 5.0
3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12 0.12 0.12 0.12 0.12 0.12 0.12 0.12
4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5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0.3 0.3 0.3 0.3
6 캠페리트린 10 10 10 10
7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10 10
8 호모살레이트 10 10
9 티타늄디옥사이드 10 10
10 스테아릭애씨드 3.0 3.0 3.0 3.0 3.0 3.0 3.0 3.0
11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3.0 3.0 3.0 3.0 3.0 3.0 3.0 3.0
12 세테아릴알코올 5.0 5.0 5.0 5.0 5.0 5.0 5.0 5.0
13 페트롤라튬 3.0 3.0 3.0 3.0 3.0 3.0 3.0 3.0
14 트리에칠헥사노인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 에칠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0.2
16 메칠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0.2
실험예 2. 자외선 차단 지수 (PFA, UV-A) 실험
자외선 차단 효과는 아래와 같이 식약청고시 "자외선 차단효과 측정방법 및 기준"에 따라 실험하였다.
피험자는 시료 당 10명을 선정하였으며 시험부위는 피험자의 등에 시험하였다. 시료 도포 량은 2.0mg/cm2 또는 2.0uL/cm2으로 하였고 제품 도포 면적을 24cm2이상으로 하여 0.5cm2 이상의 면적을 갖는 5개 이상의 조사부위를 구획하였다. 자외선A 차단지수(PFA)는 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u)과 제품 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MPPDp)을 구하고, 다음 계산식에 따라 각 피험자의 자외선A차단지수(PFAi)를 계산하여 그 산술평균값으로 하였다. 이 때 자외선 A 차단지수(PFA)의 표준오차는 얻어진 자외선 A차단지수(PFA) 값의 ㅁ10%이내에서 시험하였다. 자외선 A 차단지수(PFA)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각 피험자의 자외선A 차단지수 (PFAi)=제품 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 (MPPDp)/제품 무도포부위의 최소지속형즉시흑화량 (MPPDu)
자외선 차단 지수 (PFA, UV-A) 실험결과
데이타 시료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SPF 측정값 1.1 3.8 1.3 5.9 1.2 5.6 8.6 15.2
부스팅 효과 62% 50% 32%
표 4의 부스팅 효과는 부스팅 에이전트인 캠페리트린이 첨가된 비교예 2의 PFA 측정값과 부스팅이 될 실시예의 시료 값의 합 [실시예 2, 실시예 4, 실시예 6]에서 뺀 결과 값을 계산하여 추가로 증가된 PFA 값의 퍼센테이지를 구하였다.
표 4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캠페리트린은 유/무기 자외선을 각각 사용하였을 때에 비교하여 같이 사용하였을 경우 32 ~ 62%까지 PFA 값을 증가시켜 캠페리트린이 천연 자외선 차단제로써 기존의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PFA 지수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매우 우수한 천연 자외선 차단의 부스팅 에이전트임을 알 수 있었다.
제형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형 예로써 로션 조성물(표 5), 크림 조성물 (표 6), 에센스 조성물(표 7)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의 통상적인 변화가 가능하다.
번호 성분 함량 (%)
1 정제수 잔량
2 메칠파라벤 0.2
3 글리세린 5.0
4 부틸렌글라이콜 7.0
5 카보머 0.1
6 잔탄검 0.05
7 세테아릴알코올 3.0
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9 프로필파라벤 0.1
10 미네랄오일 3.0
11 식물성 스쿠알렌 3.0
12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0
13 알지니 0.1
14 캠페리트린 5
15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16 착향제 미량
번호 성분 함량 (%)
1 정제수 잔량
2 메칠파라벤 0.2
3 글리세린 5.0
4 부틸렌글라이콜 7.0
5 카보머 0.2
6 잔탄검 0.08
7 세테아릴알코올 3.0
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9 베헤닐알코올 2.0
10 수첨레시틴 0.2
11 프로필파라벤 0.1
12 미네랄 오일 3.0
13 식물성 스쿠알란 3.0
14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3.0
15 알지닌 0.2
16 캠페리트린 5
17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18 착향제 미량
번호 성분 함량 (%)
1 정제수 잔량
2 메칠파라벤 0.2
3 히아루론산 0.05
4 부틸렌글라이콜 2.0
5 카보머 0.08
6 잔탄검 0.04
7 세테아릴알코올 0.5
8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0.5
9 프로필파라벤 0.1
10 미네랄 오일 1.0
11 식물성 스쿠알란 2.0
12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1.0
13 알지닌 0.08
14 에탄올 4.0
15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케스터오일 0.3
16 캠페리트린 5
17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18 착향제 미량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캠페리트린(Kaempferitrin, kaempferol-3, 7-α-L-rhamnoside) 및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페리트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 20 중량%이고, 유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약 0.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자외선 차단제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호모살레이트, 드로메트리졸트리실록산, 디소듐페닐디펜즈이미다졸테트라설포네이트, 디이에이-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벤조페논-8(디옥시벤존),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옥토크릴렌, 에칠헥실디메칠파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에칠헥실트리아존, 이소아밀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티이에이-살리실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센스, 파운데이션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캠페리트린(Kaempferitrin, kaempferol-3, 7-α-L-rhamnoside) 및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페리트린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 20 중량%이고,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함량은 약 0.01 ~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자외선 차단제는 징크옥사이드 및 티타늄 디옥사이드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센스, 파운데이션 및 파우더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076098A 2011-07-29 2011-07-29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28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98A KR101289431B1 (ko) 2011-07-29 2011-07-29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098A KR101289431B1 (ko) 2011-07-29 2011-07-29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151A true KR20130014151A (ko) 2013-02-07
KR101289431B1 KR101289431B1 (ko) 2013-07-24

Family

ID=4789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098A KR101289431B1 (ko) 2011-07-29 2011-07-29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4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1299A (ko) * 2007-06-18 2008-12-23 (주)아모레퍼시픽 캄페롤-3,7-o-알파-l-디람노피라노사이드를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외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431B1 (ko)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559197B (zh) 一种防晒乳及其制备方法
CN103221026B (zh) 防晒组合物
KR20190076425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92297B1 (ko) 수불용성 스폰지에 자외선 차단기능을 지닌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화장품
KR20150089517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투명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3924079A (zh) 由4种防晒剂组成的光保护系统
KR101408631B1 (ko) 무스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0187767A1 (en) Efficient sunscreen compositions with diethylamino hydroxybenzoyl hexyl benzoate and butyl methoxydibenzoylmethane free of octocrylene
US2021029051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MANGOSTIN, METHOD FOR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KR20180027846A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38453B1 (ko) 계면활성제 프리 액상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71911B1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995997B1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능이 향상된 spf 부스터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23038807A1 (en) Sunscreen composition and methods of protection from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KR101289431B1 (ko) 캠페리트린을 함유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50071133A (ko) 유중수중유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6889A (ko) 자외선 차단제 및 색조화장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티슈 또는 부직포 및 이를 포장한 자외선 차단 및 색조화장용 티슈제품
KR20140021963A (ko)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이용한 스프레이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4018B1 (ko)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놀트리아진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2928B1 (ko) 정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가 증가된 화장료 조성물
KR100823113B1 (ko)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 조성물
JP2024019503A (ja) 皮膚外用剤用近赤外線遮断剤
CN117064781A (zh) 一种安全温和的防晒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