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087A - 어류 포획용 어망 - Google Patents

어류 포획용 어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087A
KR20130014087A KR1020110075997A KR20110075997A KR20130014087A KR 20130014087 A KR20130014087 A KR 20130014087A KR 1020110075997 A KR1020110075997 A KR 1020110075997A KR 20110075997 A KR20110075997 A KR 20110075997A KR 20130014087 A KR20130014087 A KR 20130014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
rope
fishing
fish
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화자
Original Assignee
유화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화자 filed Critical 유화자
Priority to KR102011007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4087A/ko
Publication of KR2013001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4Fixed nets with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류 포획용 어망에 관한 것으로, 상부망과 하부망이 상,하로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에 측면망이 연결되어 각각의 망의 후단부에 먹이주머니가 연장형성된 끝자루가 형성되며, 상부망의 전단부에 로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부력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망 전단부의 로프에는 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망의 전단부에는 바닷속에 고정하도록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연결되어 있는 어류 포획용 어망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의 내측 일측부에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형성되어 있는 어망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어류 포획용 어망{FISHING NET}
본 발명은 어류 포획용 어망에 관한 것으로, 상부망과 하부망이 상,하로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에 측면망이 연결되어 각각의 망의 후단부에 먹이주머니가 연장형성된 끝자루가 형성되며, 상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부력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망의 전단부에는 바닷속에 고정하도록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연결되어 있는 어류 포획용 어망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의 내측 일측부에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어류포획용 어망은 포획하는 어종이나 어법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어져 있다.
그중 안강망과 낭장망은 조류가 빠른 곳에서 어류가 조류의 힘에 의해 어망 안으로 들어가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어구(漁具))이다.
안강망은 조류가 빠른 곳에서 어구(漁具)를 조류에 밀려가지 않게 고정해 놓고, 어군(魚群)이 조류의 힘에 의해 강제로 자루에 밀려 들어가게 하여 잡는 어구·어법이다.
안강망은 강제함정의 어법을 실행하므로 강제함정어구라고도 한다. 대체로 입구가 넓고 길이가 긴 자루 모양의 그물을 쓰며 닻으로 어구를 고정시킨다. 한국 서해안에는 참조기 ·민어 등의 고급 어종이 풍부한데, 조류가 매우 빨라서 다른 어법을 쓰기에 알맞지 않으므로 옛날부터 강제함정 어법이 발달되었다. 가장 초기의 것은 자루 입구에 말목을 세워서 고정시키는 주목망(柱木網)이 쓰였는데, 이것은 어구의 부설 위치를 이동시킬 수가 없어서 불편했으므로 후에 차차 어선에 의하여 어구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 어구를 임의의 어장에서 닻으로써 고정하는 안강망이 쓰이게 되었다. [출처] 안강망 [鮟鱇網, stow net ] | 네이버 백과사전
낭장망은 조류(潮流)가 빠른 곳에 설치하여 멸치를 잡는 어구(漁具)로서, 긴 자루 그물의 날개와 자루 끝을 닻 등으로 고정시키고 조류에 의하여 들어간 고기를 잡는 정치성(定置性) 어구이다. 자루 속에는 유도망이 있어 한 번 들어간 고기는 되돌아 나오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낭장망 [囊長網, long bag set net ] | 네이버 백과사전
상기와 같이 안강망과 낭장망은 조류가 빠른 곳에 설치하여 어류를 포획하는 것으로서, 빠른 조류로 인해 안강망과 낭장망의 입구(전단부)가 조류에 밀려 주름이 지게 된다.
상기 안강망과 낭장망과 같이 바닷속에 고정되어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은 전단부가 빠른 조류에 밀려 주름이 지게 되면, 주름진 곳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 조류에 밀린 어류들이 들어가게 되는데, 조류의 힘에 의해 안강망과 낭장망과 같은 어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주름이 조류에 의해 밀려 주름진 공간 내부에 포획된 어류와 어망이 마찰이 일어나 어류의 상품가치가 훼손되며, 설사 어류가 포획되지 않았더라도 주름진 곳의 마찰로 인해 어망이 훼손되어 사용자는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강망과 낭장망과 같이 바닷속에 고정되어 어류를 포획하는 어망에 있어서, 어망의 전단부가 조류에 밀려 주름이 지는 것을 예방하여 이에 대한 사용자의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어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강망과 낭장망과 같이 바닷속에 고정되어 어류를 포획하는 어류 포획용 어망에 관한 것으로, 상부망과 하부망이 상,하로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에 측면망이 연결되어 각각의 망의 후단부에 먹이주머니가 연장형성된 끝자루가 형성되며, 상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부력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망의 전단부에는 바닷속에 고정하도록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연결되어 있는 어류 포획용 어망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의 내측부에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로프가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연결로프가 조류에 의해 상부망 및 하부망을 훼손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부망과 하부망의 전단부에 로프를 형성할 때, 연결로프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인출한 로프를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교차하여 꼰 후, 꼬인 부분을 매듭을 짓거나 연결끈으로 묶어 형성된 이음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로프가 형성되는 측면망의 전단부에도 이음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것으로 바닷속에 고정되도록 닻과 어망을 연결하는 연결로프가 측면망의 전단부 뿐만 아니라, 상부망과 하부망의 전단부 내측 일측부에 형성되어 조류에 상부망과 하부망의 전단부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어류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망의 훼손을 예방하여 어망에 대한 어민들의 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에 형성된 이음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의 또 다른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어망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은 상부망(10)과 하부망(20)이 상,하로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에 측면망(30)이 연결되어 각각의 망의 후단부에 먹이주머니(50)가 연장형성된 끝자루(40)가 형성되며, 상부망(10)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부력재(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망(20)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침자(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망(30)의 전단부에는 바닷속에 고정하도록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가 연결되어 있는 어류 포획용 어망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10) 및 하부망(20)의 전단부의 내측 일측부에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가 더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은 안강망 또는 낭장망과 같이 조류가 빠른 곳에 전단부가 전개되면서 연결로프(70)에 의해 어망의 전단부가 개방되면서 바닷속에 고정되도록 닻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조류에 의해 어류가 어망의 내부로 들어가 어망의 끝자루(40)에 모여 어류를 포획한다.
이때, 상기 어망이 조류에 의해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가 조류에 밀려 주름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조류에 밀린 어류가 들어가게 된다.
상기 주름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내부에 들어간 어류는 조류에 의해 어망이 계속 밀리게 되어 어망이 망가지거나 어류가 훼손돼 상품가치를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에 주름의 형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 내측을 어망을 고정하는 닻에 연결로프(70)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로프(70)가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 내측에 형성되어 조류에 밀려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에 주름이 잡히는 것을 방지하여, 어류가 끝자루(40)까지 유입하게 되어 어류의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어류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망의 훼손을 예방하여 어망에 대한 어민들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의 내측에 연결로프(70)를 형성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에는 로프(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프(75)의 일측부에는 연결로프(70)가 형성되는 위치에 고리형태의 이음부(60)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망에 형성된 이음부(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음부(60)는 상부망(10)과 하부망(20) 및 양쪽의 측면망의 전단부에 로프(75)를 형성할 때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내측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로프(70)가 상부망(10) 및 하부망(20)의 전단부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상부망(10) 및 하부망(20)의 전단부에 형성된 연결로프(70)가 조류에 의해 상부망(10) 및 하부망(20)을 훼손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에 로프(75)를 형성할 때, 연결로프(70)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인출한 로프(75)를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교차하여 꼰 후, 꼬인 부분을 매듭을 짓거나 연결끈끈(61)으로 묶어 이음부(6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끈(61)은 상부망(10)과 하부망(20) 및 측면망(30)을 연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진 끈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각 망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연결끈(61)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상기 이음부(60)는 상기의 매듭을 짓거나 연결끈(61)으로 묶어 형성하는 방법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음부(6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좀 더 견고하게 매듭을 짓거나 연결끈(61)으로 묶어 형성된 이음부(60)의 최단부를 이음부(60)의 좌측 또는 우측의 로프(75)에 연결끈(61)으로 묶어 고정하여 조류의 영향에 최대한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음부(60)가 상부망(10)과 하부망(20) 및 양쪽의 측면망(30)의 전단부에 로프(75)를 형성할 때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리 등이 필요하지 않아 어망의 제조시 제조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이음부(60)는 연결로프(70)가 형성되는 측면망(30)의 전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60)를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뿐만 아니라 측면망(30)의 전단부에도 형성함으로써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의 연결을 좀 더 용이하며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음부(60)는 상부망(10)과 하부망(20) 및 측면망(30)의 전단부에 로프(75)를 형성할 때 연결로프(70)가 연결되는 부분에 로프(75)를 꼬아 고리형태의 이음부(60)를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60)는 상부망(10)과 하부망(20)에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그 수는 전체 어망의 크기에 따라 형성하여 조류에 의해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가 밀리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의 내측 일측부에 형성된 이음부(60)에 닻과 연결하는 연결로프(70)를 형성함으로써 조류에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가 밀리는 것을 예방하여 어망의 손실을 예방하며 포획한 어류의 훼손을 예방함으로써 생산자의 경제적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측면망(30)에도 이음부(60)를 형성하여 상기 이음부(60)에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를 연결하여 선체와 어망의 연결을 좀 더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어망의 전개를 좀 더 크게 할 수 있어 어류의 포획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어망의 내부로 유입되는 해파리를 어망의 외부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해파리 유도망과 끝자루(40)에 포획된 어류가 어망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도록 끝자루의 시작부에 여과망(80)을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망(80)은 입구에서 출구까지의 내부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어류는 직선으로만 유영하는데 여과망(80)은 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지만,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의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과망(80)의 출구로부터 나오는 해수의 수압이 커 어류가 여과망(80)의 출구를 통해 끝자루(4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끝자루(40)에 포획된 어류 전체를 포획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여과망(80)은 금속의 철심이 삽입되어 있는 로프(75)를 사용지 않고 각각의 망을 연결하는 연결끈(61)으로 여과망(60)의 입구와 끝자루(40)의 전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류의 영향으로 끝자루(40)를 포함한 어망이 유동하게 될 경우, 철심이 삽입되어 있는 로프가 해수의 수압 및 해류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여과망(80)의 입구가 연결된 끝자루(40)의 상부면과 하부면 및 양측의 측면부 사이에 어류의 유입될 경우 철심이 삽입되어 있는 로프가 어류에 압력을 가하여 어류에 손상을 입혀 상품가치를 훼손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철심이 삽입되어 있는 로프로 인하여 여과망(80)의 입구의 전개가 원활히 이루어지겠지만 해수의 수압과 조류의 영향으로 어류의 손상입혀 상품가치를 훼손하기 때문에 철심이 삽입되어 있는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어망의 각 면을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연결끈(61)을 사용하여 여과망(80)의 입구와 끝자루(40)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류가 포획되어 있는 끝자루(40)의 위치를 바다의 해면 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연결로프를 부표와 끝자루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끝자루(40)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연결형성된 부표 아래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로프(70)를 양망기 등으로 선체로 인양하여 끝자루(40) 후단부에 연결형성된 연결로프(70)를 풀어 포획된 어류를 분류하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끝자루(40)에 포획된 어류의 무게 및 어망과 선체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하여 끝자루(40)가 손상을 입게 되는데, 이를 예방할 수 있도록 끝자루(40)의 외측부에 소정의 폭과 길이로 구성된 보호망(90)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호망(90)은 상부망(10)과 하부망(20) 및 측면망(30)을 이루는 그물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그물로 구성되어 어류의 무게로 인한 상부망(10)과 하부망(20)과 측면망(30) 및 끝자루(40)가 선체 사이의 마찰력 등으로 인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겠다.
또한, 상기 보호망(90)은 포획된 어류의 무게로 인하여 인양되는 끝자루(40)의 일부가 포획된 어류의 무게를 감당하지 못해 어망 및 어류가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며, 인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상부망(10)과 하부망(20) 또는 측면망(30)의 전단부에서 끝자루(40)의 후단부를 향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으며 하나 이상으로 등분되어 연결끈(61) 등으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부망(10)과 하부망(20) 또는 측면망(30)의 일측 전단부에서 끝자루(40)의 후단부를 향하여 등분되어 있어 어망의 일측부가 조류나 해파리 등으로 손상을 입었을 때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하여 수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어망의 교체에 따른 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겠다.
각각의 망의 폭이 등분되어 있어 망의 제작기간이 통상적으로 등분되지 않는 망보다 오래 걸리며 인건비가 들어가지만, 어망의 일부만이 손상될 경우 이를 수리함에 있어서, 손상된 부분의 망을 분리하여 새로운 망으로 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손상된 망의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수리비용을 줄임으로써 조업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이음부(60)가 형성된 범포식 어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어망의 전개보다 좀 더 넓게 전개되면서 어망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하나 이상의 범포(2)가 다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으며 연결끈(61)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범포(2)를 양끝단부에 연결부재(3)와 연결하여 범포(2)가 다단으로 연결형성되어 있으며, 연결부재(3)의 위치에 대응하여 측면망(30)의 전단부에는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절개된 단부의 그물 올이 풀리지 않도록 마감된 하나 이상의 절개부(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부(4)가 형성된 측면망(30)의 전단부와 연결부재(3)를 로프(75)로 연결되어 있으며, 범포의 전단부에는 바닷속에 어망을 고정할 수 있도록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가 연결되어 구성된 범포식 어망의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의 내측 일측부에 조류에 의한 주름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부(60)를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범포식 어망에 이음부(60)를 형성함으로써 어망의 전개를 좀 더 넓게 할 수 있으며, 이음부로 인하여 범포식 어망의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에 조류에 의한 주름을 방지함으로써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훼손을 방지하며, 이와 더불어 어류의 포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망은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에 주름의 형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부망(10)과 하부망(20)의 전단부 내측을 선체와 연결하는 연결로프(70)를 형성되어 어망의 손상 및 어류의 손상을 예방하며, 어망의 전단부의 전개를 좀 더 넓게 하여 어류의 포획량을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10:상부망
11:부력재
20:하부망
21:침자
30:측면망
40:끝자루
50:먹이주머니
60:이음부
61:연결끈
70:연결로프
75:로프
80:여과망
90:보호망

Claims (3)

  1. 상부망(10)과 하부망(20)이 상,하로 구비되어 있고, 그 양측에 측면망(30)이 연결되어 각각의 망의 후단부에 먹이주머니(50)가 연장형성된 끝자루(40)가 형성되며, 상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부력재(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망 전단부에 형성된 로프에는 침자(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망의 전단부에는 바닷속에 고정하도록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가 연결되어 있는 어류 포획용 어망에 있어서,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로프의 일측부에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7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프가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에 연결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상부망 및 하부망의 전단부에 형성된 연결로프가 조류에 의해 상부망 및 하부망을 훼손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상부망과 하부망의 전단부에 로프를 형성할 때, 연결로프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소정의 길이로 인출한 로프를 고리형태를 이루도록 교차하여 꼰 후, 꼬인 부분을 매듭을 짓거나 연결끈(61)으로 묶어 형성된 이음부(60)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닻과 연결되는 연결로프가 형성되는 측면망의 전단부에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망.
KR1020110075997A 2011-07-29 2011-07-29 어류 포획용 어망 KR20130014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997A KR20130014087A (ko) 2011-07-29 2011-07-29 어류 포획용 어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997A KR20130014087A (ko) 2011-07-29 2011-07-29 어류 포획용 어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087A true KR20130014087A (ko) 2013-02-07

Family

ID=47894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997A KR20130014087A (ko) 2011-07-29 2011-07-29 어류 포획용 어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40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581A (zh) * 2016-12-20 2017-03-15 怀宁县鲶鱼湾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快速收网渔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581A (zh) * 2016-12-20 2017-03-15 怀宁县鲶鱼湾生态农业有限公司 一种快速收网渔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1788B (zh) 用于捕获水生动物的装置和方法
US8109034B1 (en) Shoreline outrigger rod system
KR101096750B1 (ko) 안강망 어업용 어망
KR101561057B1 (ko) 안강망 어구 파손방지 안전통
CN104938442A (zh) 一种大水面捕捞方法
JP2016093105A (ja) 太刀魚用テンヤ
CN105076071B (zh) 近海双船表层有翼单囊大型水母拖网
KR20130014087A (ko) 어류 포획용 어망
CN110250118A (zh) 捕鱼笼
KR20180000103U (ko) 갈치 낚시용 낚시채비
KR101599232B1 (ko) 자망 구조
CN211746352U (zh) 一种带有防挂底铅坠的渔具
KR20130061159A (ko) 바다에서 어족자원 보호 위한 저인망 어선 조업 방지용 인공어초
JP6532624B1 (ja) 魚捕獲器、および、魚捕獲器を用いた漁獲方法
CN203015664U (zh) 一种拖网网囊出鱼口的结构
JP4730855B1 (ja) 釣り針や餌をくるみ保護する釣り用仕掛け
NO316457B1 (no) Oljelense
CN206341744U (zh) 一种鱼类诱捕装置
KR101837818B1 (ko) 양식로프용 보조 테이프
JP6234495B2 (ja) 漁網
KR20130017616A (ko) 어망
JP2018174886A (ja) 大型魚の釣り方法とその仕掛けと道糸連結具。
CN211910207U (zh) 一种渔网
JP5401625B1 (ja) ズックビク
CN218851681U (zh) 一种防挂网的渔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