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2828A -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2828A
KR20130012828A KR1020110074236A KR20110074236A KR20130012828A KR 20130012828 A KR20130012828 A KR 20130012828A KR 1020110074236 A KR1020110074236 A KR 1020110074236A KR 20110074236 A KR20110074236 A KR 20110074236A KR 20130012828 A KR20130012828 A KR 20130012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information
route
public transportation
schedul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029B1 (ko
Inventor
오석문
박종훈
최명훈
엄진기
민재홍
권용장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02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3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user preferences are taken into account or the user selects one route out of a plur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대중교통수단의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정보 분석수단과;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에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하여 최적의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를 설정하여 승객에게 제공하여 환승 대기 시간을 줄여주고, 최종 목적지까지의 막차가 끈긴 경우에는 다수의 대안이 되는 경로에서 제외하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이 안정적으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 Route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complex public transport using public transportation schedules }
본 발명은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버스나 도시철도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을 고려한 경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도시철도 등의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 주로 승객의 경험에 의존해 소요시간 등을 인지하여 왔다.
한편, 최근에는 도시철도가 정차하는 도시철도 역사의 승강장이나 버스가 정차하는 정류장 등에 교통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버스나 도시철도 등의 대중교통수단이 해당 승강장이나 정류장에 도착하는 예상 소요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버스나 도시철도와 같은 개개의 대중교통수단은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및 소요시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이 교통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승객이 버스와 도시철도, 버스와 버스, 도시철도와 도시철도 등과 같은 복합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환승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다수의 대중교통수단의 이동경로만을 고려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에 도달하는 단순 경로 정보만 승객에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환승이 이루어지는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우 단순히 이동경로만을 고려한 경로 정보만을 승객에게 제공하는 경우 환승 시간이 맞지 않아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떤 경우에는 막차를 놓치게 되어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버스나 도시철도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을 고려한 최단경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여 승객이 신뢰성을 갖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게 할 수 있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로를 설정시 막차가 끊긴 경우에는 경로에서 제외하여 경로를 설정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중교통수단의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정보 분석수단과;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에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은, 개별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운행경로의 정거장별 도착시간 및 출발시간에 대한 스케쥴정보와, 다수의 환승 정거장에서 승객이 환승하기 위해 정거장 내에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환승시간을 관리하는 환승시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운행정보저장부와;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부터 경로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별 대중교통수단의 경로정보를 이용해 하나 이상의 대안경로를 추출하고 그 대안경로의 대기시간, 정거장별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시간 및 출발시간, 환승 정거장의 환승시간을 합산하여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최단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운행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스케쥴정보는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서버의 대중교통 스케쥴DB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은 다수의 대안경로를 선택시 3개 이하의 대안경로가 검색되면 그 대안경로 정보를 모두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은 다수의 대안경로를 선택시 대안경로가 3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3개의 대안경로 정보를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은 각각의 정거장에 다수의 승객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정형으로 설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은 개인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대안경로는 K-shortest path 알고리듬을 통해 분석하여 최종적인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대중교통수단은 버스 또는 도시철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하여 최적의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를 설정하여 승객에게 제공하여 환승 대기 시간을 줄여주고, 최종 목적지까지의 막차가 끊긴 경우에는 다수의 대안이 되는 경로에서 제외하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승객이 안정적으로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최단 경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망의 경로 탐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망에서의 대안경로 탐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분석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최단 경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망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ㄱ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망의 경로 탐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망에서의 대안경로 탐색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분석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은 시내버스, 간선버스 등의 버스(이하, '버스'라 한다.)와 지하철과 같은 도시철도 등의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쥴을 고려하여 승객에게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이동가능한 다양한 경로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대중교통 통행경로 제공 서비스의 최종결과는 개별 구간마다의 통행시간과 출발지부터 도착지까지의 총 통행시간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승객은 그와 같은 결과값인 통행시간을 가지고 불확실한 상황을 예상하며 여유시간을 두고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여유시간은 대표적으로 정류장이나 도시철도역 등의 정거장(이하, '정거장'이라 한다.)에서 차량을 기다리는 대기시간이 있다. 통상 대기시간은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을 고려하여 산출해야 하는 것으로, 출발지인 정류장 또는 도시철도역 등의 정거장에서 존재하고 환승이 일어날 때마다 발생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총 통행시간은 달라진다.
즉, 총 통행시간이 달라진다는 것은 경로가 바뀔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대기시간의 산출을 위하여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해야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은 대중교통수단의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출발지(i)에서 목적지(j)까지의 최단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정보 분석수단(100)과,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에 출발지(i)와 목적지(j)에 대한 경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으로부터 산출된 최단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대중교통수단의 대기시간은 출발지(i)에서 버스 또는 도시철도 등의 대중교통수단을 기다리는 시간으로, 출발지(i)와 환승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서 개개의 대중교통수단의 대기 시간은 가변 적용된다.
이하, 각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버스와 도시철도 등과 같은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서버(10)로 구성함이 가능하지만, 그와 같은 교통서버(1)로부터 대중교통 스케줄 정보를 수집하여 승객이 요청한 출발지(i)에서 목적지(j)까지의 최단경로를 산출하는 별도의 운영서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교통서버(10)의 대중교통 스케쥴DB(12)에 저장되는 버스와 도시철도 등의 개별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운행경로의 정거장별 도착시간 및 출발시간에 대한 스케쥴정보를 수신하고, 다수의 환승 정거장에서 승객이 환승하기 위해 정거장 내에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환승시간을 관리하는 환승시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운행정보저장부(110)와,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부터 경로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별 대중교통수단의 경로정보를 이용해 하나 이상의 대안경로를 추출하고 그 대안경로의 정거장별 도착시간과 출발시간과 환승시간정보의 환승시간을 합산하여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최단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1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개별 대중교통수단이 해당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승강장 도착시간과 출발시간 정보를 교통서버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승강장 도착시간과 출발시간 정보는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으로 수집되어 개별 대중교통수단의 경로정보를 업데이트 하여 좀더 높은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다수의 대안경로를 선택하는 경우 3개 이하의 대안경로가 검색되면 그 대안경로 정보를 모두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대안경로가 3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3개의 대안경로 정보만을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전송하여 승객이 선택하게 함도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은 각각의 정거장에 다수의 승객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정형으로 설치 구비하거나, 스마트폰이나 타블릿 PC 등과 같은 개인휴대단말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개인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승객의 경우 이동중에도 특정 출발지(i)와 도착지(j)의 최단경로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더욱 신뢰성을 갖고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은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조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을 통해 승객이 출발지(i)와 목적지(j)에 대한 경로 요청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수신된 경로 요청정보에 따라 출발지(i)로부터 목적지(j)에 도달하는 다수의 대안경로를 검색하고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최단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에 표시되어 승객은 이를 확인하여 대중교통수단을 이용시 그 이동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시스템의 결과를 예시한 도면으로, 버스와 지하철 등이 혼재되어 있는 복합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승객이 이동하고자 하는 출발지(i)에서 목적지(j)까지의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최단경로를 나타낸다.
이 경우 먼저 승객은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을 통해 출발지(i)와 목적지(j)에 대한 경로 요청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수신된 경로 요청정보에 따라 다수의 대안 경로를 선택하고 그 대안경로 중에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최단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대중교통수단이 도착 및 출발하는 각 정류장 및 도시철도역마다 도착과 출발 예상시간을 제시하며 경로를 나타낸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환승역인 1번 도시철도역에서의 도착시간은 출발지(i)에서 23시40분에 출발하여 버스 차내시간 10분과, 1번 도시철도역까지의 환승시간 5분을 더하여 23시55분이 된 것이다. 그리고 1번에서 5번으로 가는 도시철도 스케줄을 고려하여 00시05분에 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최단경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부터 출발지(i)와 목적지(j)에 대한 경로 요청정보를 수신받는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수신된 경로 요청정보에 따라 다수의 대안 경로를 선택하고 그 대안경로중에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최단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대안경로(K-shortest path) 탐색 과정 중 그 경로를 서비스하는 다양한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통행이 연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본 시스템은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을 고려하므로 같은 경로임에도 대중교통수단의 출발시간에 따라 대기시간이 변동되어 경로결과가 달라진다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대중교통 이용시간이 막차시간대인 경우에는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다수의 대안경로 중에서 이용이 불가능한 경로가 존재하므로, 이를 판단하여 이용 가능한 경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추가로 더 고려할 사항으로는 대중교통 서비스의 정시성이다. 대중교통 특성상 계획된 스케줄에 완벽히 맞춰서 운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시성에 대한 고려사항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대 오차시간이라는 옵션을 설정하여, 만약 최대 오차시간이 10분이라면 최악의 경우 각각의 이용 정류장 및 정차역 등의 정거장마다 대중교통수단이 스케줄에 비해 10분 늦게 올 경우의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발지(i)에서 목적지(j)까지의 이동가능한 복합대중교통망이 제시되며, 도 4는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을 고려하여 경로를 찾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에 의하면 최초 출발지(i)의 출발시각은 23시30분이며, 각 환승지점인 환승 장거장(1,2,3,4,5,6)마다 승객이 환승을 위해 이동시 소요되는 시간인 환승시간이 존재하고 정류장 및 도시철도역 등의 정거장(i,1,2,3,4,5,6)에 대중교통수단이 도착할 때까지의 대기시간도 있다.
이때, 출발지(i)에서 목적지(j)까지의 노선 스케줄이 막차시간이라면, 출발지(i) 정거장의 도착시간이 이 스케줄보다 늦다면 대중교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가능여부를 판단하여 경로를 제시해야 한다.
이와 같은 최종 대안경로 3가지를 제시하는 것으로 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경로정보 분석수단(10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때, 최단경로는 통행시간으로 90분이 소요되는 '경로1'로서 환승 정거장(1,5)을 거치게 된다.
즉, 도 4의 스케쥴을 통해 출발지(i)에서 도착지(j)까지의 이동에 필요한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시간, 환승시간, 대기시간, 이동시간을 모두 고려하여 대안경로의 각각의 통행시간을 산출하고, 그 대안경로들 중에 통행시간이 최단시간인 경로1을 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로1의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절차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서버(10)의 대중교통 스케쥴DB(12)에 저장된 버스 또는 도시철도 등의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쥴정보를 수신하여 대안경로를 K-shortest path 알고리즘을 통해 분석하여 최종적인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제시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0: 교통서버 12: 대중교통 스케쥴DB
100: 경로정보 분석수단 110: 운행정보저장부
120: 정보처리부 200: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

Claims (9)

  1. 대중교통수단의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최단경로 정보를 산출하는 경로정보 분석수단과;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에 출발지와 목적지에 대한 경로정보 요청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으로부터 산출된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경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은,
    개별 대중교통수단이 이동하는 운행경로의 정거장별 도착시간 및 출발시간에 대한 스케쥴정보와, 다수의 환승 정거장에서 승객이 환승하기 위해 정거장 내에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환승시간을 관리하는 환승시간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운행정보저장부와;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부터 경로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개별 대중교통수단의 경로정보를 이용해 하나 이상의 대안경로를 추출하고 그 대안경로의 대기시간, 정거장별 대중교통수단의 도착시간 및 출발시간, 환승 정거장의 환승시간을 합산하여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최단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전송하는 정보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정보저장부에 저장되는 스케쥴정보는 대중교통수단의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서버의 대중교통 스케쥴DB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은 다수의 대안경로를 선택시 3개 이하의 대안경로가 검색되면 그 대안경로 정보를 모두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분석수단은 다수의 대안경로를 선택시 대안경로가 3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3개의 대안경로 정보를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은 각각의 정거장에 다수의 승객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승객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정형으로 설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정보 요청 및 표시수단은 개인휴대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안경로는 K-shortest path 알고리듬을 통해 분석하여 최종적인 최단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교통수단은 버스 또는 도시철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10074236A 2011-07-26 2011-07-26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25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36A KR101255029B1 (ko) 2011-07-26 2011-07-26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4236A KR101255029B1 (ko) 2011-07-26 2011-07-26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828A true KR20130012828A (ko) 2013-02-05
KR101255029B1 KR101255029B1 (ko) 2013-04-17

Family

ID=4789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4236A KR101255029B1 (ko) 2011-07-26 2011-07-26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02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250A (ko) * 2014-04-11 2015-10-22 (주)피엑스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68101B1 (ko) * 2015-06-09 2016-10-24 네이버 주식회사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74109B1 (ko) * 2017-12-21 2019-04-30 그제고스 말레비치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로의 여정에 대한 루트 또는 루트 소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시스템
KR102042413B1 (ko) * 2019-01-29 2019-11-0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중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시스템 및 대중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방법
CN111062531A (zh) * 2019-12-13 2020-04-24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干线运输方案的生成方法及装置
KR20210008213A (ko) * 2019-07-11 2021-01-21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다중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0079A (ko) * 2019-07-19 2021-01-27 (주)한컴모빌리티 복수의 이동 수단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이동 경로의 추천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1849A (ko) * 2019-07-23 2021-02-02 한빛 세마텍(주) 스마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964268A (zh) * 2013-08-19 2021-06-15 通腾导航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获得多模式路线的方法及系统
KR20210138341A (ko) * 2020-05-12 2021-11-19 손승희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6576A (ko) * 2000-12-22 2001-03-05 박형술 키오스크를 이용한 대중교통 이용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627808B1 (ko) * 2004-07-15 2006-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 도보 구간 또는/및 대중 교통 수단 운행구간의 연계를 통한 지리 정보 제공 방법
KR20090000417A (ko) * 2007-06-28 2009-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경로와 교통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과시스템
KR20090108192A (ko) * 2008-04-11 2009-10-15 엔에이치엔(주) 이종의 대중 교통을 연계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4268A (zh) * 2013-08-19 2021-06-15 通腾导航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获得多模式路线的方法及系统
KR20150118250A (ko) * 2014-04-11 2015-10-22 (주)피엑스디 대중교통 수단의 운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68101B1 (ko) * 2015-06-09 2016-10-24 네이버 주식회사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74109B1 (ko) * 2017-12-21 2019-04-30 그제고스 말레비치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로의 여정에 대한 루트 또는 루트 소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시스템
KR20190075866A (ko) * 2017-12-21 2019-07-01 그제고스 말레비치 출발지 위치로부터 목적지 위치로의 여정에 대한 루트 또는 루트 소요 시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시스템
KR102042413B1 (ko) * 2019-01-29 2019-11-08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대중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시스템 및 대중교통 네트워크 최적화 방법
KR20210008213A (ko) * 2019-07-11 2021-01-21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다중 경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0079A (ko) * 2019-07-19 2021-01-27 (주)한컴모빌리티 복수의 이동 수단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이동 경로의 추천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11849A (ko) * 2019-07-23 2021-02-02 한빛 세마텍(주) 스마트 교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1062531A (zh) * 2019-12-13 2020-04-24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干线运输方案的生成方法及装置
CN111062531B (zh) * 2019-12-13 2021-08-27 上海中通吉网络技术有限公司 快递干线运输方案的生成方法及装置
KR20210138341A (ko) * 2020-05-12 2021-11-19 손승희 미세먼지정보가 반영된 지하철노선경로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029B1 (ko)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5029B1 (ko)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Stiglic et al. Enhancing urban mobility: Integrating ride-sharing and public transit
CN107545320B (zh) 一种基于图论的城市轨道交通乘客路径规划方法及系统
CN107944797A (zh) 运输任务的监控方法、装置及系统
US9014883B2 (en) In-vehicle congestion-status display system and congestion-status guidance method
US84679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outes using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KR20120002102A (ko)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이동 소요 시간을 계산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368404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経路探索サーバおよび経路探索方法
CA2885611C (en) Determining real-time delay of transportation means
GB2499795A (en) Routing in a network, based on travel and waiting time
EP2913244A1 (en) Train-service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JP2006293446A (ja) バス時刻案内システム、情報配信サーバ、案内端末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303245B (zh) 交通分析系统以及交通分析方法
JP2017124646A (ja) 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運行管理方法
JP7289949B2 (ja) 公共輸送システムの制御装置、公共輸送システム、適応出発時間決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2010221839A (ja) 列車運行予測装置
JP6999519B2 (ja) 輸送力調整装置、輸送力調整システムおよび輸送力調整方法
JP2012076708A (ja) 運行整理案作成装置及び方法
JP6788488B2 (ja) 車両運用業務支援システム
JPH10170288A (ja) 乗車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349580B1 (ko) 열차 비상 운행 제어 시스템
CN114971085A (zh) 一种公交站点可达性的预测方法、系统及存储介质
EP2747005A1 (en) Determining real-time delay of transportation means
JPH1166015A (ja) 交通機関利用案内装置
JP2017137059A (ja) 旅客案内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