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101B1 -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101B1
KR101668101B1 KR1020150081458A KR20150081458A KR101668101B1 KR 101668101 B1 KR101668101 B1 KR 101668101B1 KR 1020150081458 A KR1020150081458 A KR 1020150081458A KR 20150081458 A KR20150081458 A KR 20150081458A KR 101668101 B1 KR101668101 B1 KR 10166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means
public transportation
level
information
class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하나
김효정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은,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 전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PRESENTING TRANSPORT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지하철, 버스, 철도, 항공 등의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대중교통을 이용한 경로를 탐색하는 종래기술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59867호는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동종 및 이종 대중교통 수단의 설정 경로를 기반으로 한 대중교통 경로탐색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두 개의 위치간의 경로를 위해 연계되는 이종의 교통 수단을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노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이종의 교통 수단을 쉽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 전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로서의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차별화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미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레벨 관리부; 전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로서의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차별화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미리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두 개의 위치간의 경로를 위해 연계되는 이종의 교통 수단을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노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이종의 교통 수단을 쉽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가 교통 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길 안내를 위한 정보의 표시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가 교통 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브레벨에 따라 차별화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경로에 대한 다른 경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두 개의 위치(일례로 출발지와 목적지)간의 경로를 지하철, 버스, 철도 등과 같은 교통 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 또는 표시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도 검색 서비스나 길 안내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교통 수단'은 지하철, 버스, 철도 등 정해진 일정과 노선에 따른 연결편이 마련되어 있는 모든 수단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버스와 지하철을 교통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동작 환경의 일례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서버(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나타내고 있다.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이러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 각각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와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또는 복수의 장치들로서 컴퓨팅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50, 160)는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코드를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고,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전자 기기(110, 120, 130, 140)가 포함하는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제공된 코드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기기(110, 120, 130, 140)는 서버(150, 160)를 통해 서비스의 제공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해놓고, 저장된 데이터와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의 데이터(일례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나 전자 기기(110, 120, 130, 14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체적으로 서비스를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스마트폰에 대응하는 하나의 전자 기기(110)와 전자 기기(110)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서버(150)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문서에 개시되는 기술적 사상은 네비게이션,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전자 기기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 단독으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와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나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 또는 다른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에서 발생한 요청 메시지가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되어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다양한 입력 장치, 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및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215)이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버가 교통 수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세서(2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벨 관리부(310), 정보 생성부(320) 및 정보 전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벨 관리부(310), 정보 생성부(320) 및 정보 전송부(330)는 도 4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410 내지 430)을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레벨 관리부(310)는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분류하고, 대중 교통 수단별로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나 철도 등과 같이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가 지상인 대중 교통 수단은 지상의 레벨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하철과 같이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가 지하인 대중 교통 수단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지하철 역시 노선의 구간에 따라 일부 구간은 지상에 노선이 위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지하철은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이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벨 관리부(310)는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의 구간별 차이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을 분류할 수도 있다.
단계(420)에서 정보 생성부(320)는 전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되,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도록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우선 전자 기기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110)에 대응될 수 있다. 전자 기기는 교통 수단 정보가 표현되는 사용자의 단말로서 출발지 및 도착지와 같은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생성부(320)는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간에 가능한 경로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대중 교통 수단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정보 생성부(320)는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함께 포함되도록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430)에서 정보 전송부(330)는 생성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한 전자 기기는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는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서로 차별화하여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버스의 지시자는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지하철의 지시자보다 화면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버스와 지하철과 같은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들을 쉽게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의 제1 화면(500)은 출발지와 도착지까지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화면(500)에서 제1 점선박스(510)는 "1500-1"번 버스와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표시하고 있으며, 제2 점선박스(520)는 지하철 노선을 나타내는 "2호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이때,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1500-1"번 버스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지하철 "2호선"의 지시자가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출발지에서 도착지로 이동하기 위해 대중 교통 수단들(일례로 버스와 지하철)을 시각적으로 쉽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1500-1"번 버스의 지시자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지하철 "2호선"의 지시자보다 화면의 상단에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들이 두 대중 교통 수단들을 시각적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제3 점선박스(530)에서도 지하철 노선을 나타내는 "신분당" 및 "분당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들이 지하의 레벨로 분류되어 지상의 레벨로 분류되는 "203" 버스와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됨에 따라 그 구분이 매우 용이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대중 교통 수단들의 실제 깊이의 차이가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들을 표시함에 있어서도 차별화 요소로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에서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차별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1 옵션 및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을 오프(off)하기 위한 제2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길 안내를 위한 정보의 표시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기기의 제2 화면(610)은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들을 모두 동일한 레벨로 표시하고 있는 모습(상술한 제2 옵션에 따라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이 오프(off)되어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2 화면(6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11)는 지시자들의 표시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611)의 영역을 선택(일례로 손으로 해당 영역을 탭)하는 경우 제2 화면(610)은 전자 기기의 제3 화면(620)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제3 화면(620)은 지시자들이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에 따라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되는 표시방식(상술한 제1 옵션에 따라 지시자들이 서로 차별화되어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사용자들이 원하는 표시방식에 따라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시 노선의 구간에 따라 일부 구간은 지상에 노선이 위치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지하철은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이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벨 관리부(310)는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의 구간별 차이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의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을 분류할 수도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서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노선의 구간별로 분류된 레벨에 따라 지시자의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하철과 같은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라 하더라도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경로에 포함된 구간이 지상의 구간인 경우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는 버스의 지시자와 동일한(또는 유사한) 깊이의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레벨 관리부(310)는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을 노선들간의 상대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서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은 서브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더 차별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7호선"보다 지하철 "분당선"이 상대적으로 더 깊은 위치에 노선이 존재하는 경우 지하철 "분당선"의 지시자는 지하철 "7호선"의 지시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적인 차별화는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벨 관리부(310)는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을 육상과 항공의 두 종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기기에서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은 서브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더 차별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행기와 같은 항공 수단은 버스와 같은 육상 수단보다 상대적으로 화면의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교통 수단의 노선이 갖는 실질적인 수직적 위치의 차이를 이용하여 교통 수단의 레벨을 분류하고, 분류된 레벨에 따라 교통 수단의 지시자의 표시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쉽게 시각적으로 대중 교통들을 분류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는 두 개의 위치(일례로 출발지와 도착지)간에 존재하는 복수의 경로 중 일부의 경로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길 안내를 위한 정보는 일부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해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안내문구를 상기 리스트의 해당 경로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에서 해당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선택방식에 따라 해당 경로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되고 해당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제2 선택방식에 따라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한 다른 경로가 해당 경로를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선택방식은 리스트상에서 원하는 경로에 대한 탭(tab)일 수 있다. 또한 제2 선택방식은 리스트상에서 원하는 경로에 대한 스와이프(swipe)나 플리킹(flicking)과 같은 터치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경로에 대해 사용자가 탭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제1 경로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제1 경로에 대해 플리킹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제1 경로가 제2 경로로 변경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5의 제1 화면(500)에서 환승이 없는 경로에 대해 플리킹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도보 20분 구간 대신 마을버스와 도보가 결합된 다른 경로(제2 경로)가 제1 경로 대신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교통 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 기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가 교통 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를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세서(2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710), 정보 확인부(720) 및 표시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710), 정보 확인부(720) 및 표시부(730)는 도 8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810 내지 830)을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통해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81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710)는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로서의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출발지나 도착지를 특정하기 위한 단어나 검색어를 입력받고, 입력된 단어나 검색어를 통해 검색된 결과들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된 리스트에서 사용자에게 선택되는 결과가 출발지 또는 도착지로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설정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820)에서 정보 확인부(7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길 안내를 위한 정보는 서버(15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기기는 길 안내를 위한 정보의 생성을 위한 데이터들을 미리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직접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830)에서 표시부(730)는 확인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 차별화되도록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은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미리 분류될 수 있다. 서버(150)를 통해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수신하는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되어 수신될 수 있다. 한편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전자 기기가 생성하는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들에 이러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부(730)는 단계(830)에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1 옵션 및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을 오프(off)하기 위한 제2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중 교통 수단은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의 구간별 차이에 따라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이 분류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730)는 단계(830)에서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노선의 구간별로 분류된 레벨에 따라 지시자의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과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은 각각 서브레벨로 더 분류될 수 있음을 이미 설명하였다. 이 경우 표시부(730)는 단계(830)에서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 또는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을 각각의 서브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더 차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브레벨에 따라 차별화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는 "신분당" 노선보다 "분당선" 노선이 물리적으로 더 깊은 위치에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지하철 "분당선" 교통 수단은 지하철 "신분당" 교통 수단보다 더 낮은 위치를 위한 서브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110)는 도 9에서와 같이 지하철 "분당선"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지시자가 지하철 "신분당" 대중 교통 수단을 위한 지시자보다 상대적으로 더 낮은 위치에 표시되도록 차별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레벨과 서브레벨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단순하게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복수의 레벨들 중 하나로 구분되는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 "분당선" 교통 수단은 레벨 -5, 지하철 "신분당" 교통 수단은 레벨 -4, 버스 "203" 교통 수단은 레벨 1과 같이 상대적인 레벨들을 대중 교통 수단들마다 복수의 레벨들 중에서 미리 설정해놓고 이를 활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경로에 대한 다른 경로를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처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경로(1010)에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안내문구(1011)가 포함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만약 사용자가 안내문구(1011)의 지시대로 제1 경로(1010)가 표시된 영역을 드래그하는 경우 제1 경로(1010)는 제2 경로(1020)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제2 경로(1020)는 도보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마을버스 "4"번의 교통 수단에 대한 지시자가 더 포함되고 도보시간이 감소한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211, 221)에 포함된 프로그램 코드는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코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교통 수단 정보를 제공 또는 표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두 개의 위치간의 경로를 위해 연계되는 이종의 교통 수단을 시각적으로 구분하여 노출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이종의 교통 수단을 쉽게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310: 레벨 관리부
320: 정보 생성부
330: 정보 전송부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
    전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을 노선들간의 상대적인 물리적 깊이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은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물리적 깊이 위치가 깊을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에 차별화되어 표시되고,
    상기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분류함에 따라,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시각적으로 서로 다르게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1 옵션 및 상기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을 오프(off)하기 위한 제2 옵션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의 구간별 차이에 따라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상기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을 분류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상기 노선의 구간별로 분류된 레벨에 따라 상기 지시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을 육상과 항공의 두 종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은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더 차별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두 개의 위치간에 존재하는 복수의 경로 중 일부의 경로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해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안내문구를 상기 리스트의 해당 경로에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해당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선택방식에 따라 상기 해당 경로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해당 경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선택방식에 따라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한 다른 경로가 상기 해당 경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7.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로서의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차별화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미리 분류되고,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은 노선들간의 상대적인 물리적 깊이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을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물리적 깊이 위치가 깊을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에 차별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분류함에 따라,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시각적으로 서로 다르게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1 옵션 및 상기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을 오프(off)하기 위한 제2 옵션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의 구간별 차이에 따라 상기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이 분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상기 노선의 구간별로 분류된 레벨에 따라 상기 지시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을 육상과 항공의 두 종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을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더 차별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로 상기 분류된 레벨을 연관하여 관리하는 레벨 관리부;
    전자 기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이 포함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와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상에서 서로 차별화되어 표시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레벨 관리부는,
    상기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을 노선들간의 상대적인 물리적 깊이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은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물리적 깊이 위치가 깊을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에 차별화되어 표시되거,
    상기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분류함에 따라,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시각적으로 서로 다르게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1 옵션 및 상기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을 오프(off)하기 위한 제2 옵션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관리부는,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의 구간별 차이에 따라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상기 노선의 구간별로 레벨을 분류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에 포함된 상기 노선의 구간별로 분류된 레벨에 따라 상기 지시자의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표시를 위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6. 삭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관리부는,
    상기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을 육상과 항공의 두 종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지상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은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더 차별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는 상기 두 개의 위치간에 존재하는 복수의 경로 중 일부의 경로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일부의 경로 중 적어도 하나의 경로에 대해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안내문구를 상기 리스트의 해당 경로에 더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해당 경로에 대한 사용자의 제1 선택방식에 따라 상기 해당 경로에 대한 추가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해당 경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제2 선택방식에 따라 상기 대중 교통 수단별 조건을 변경한 다른 경로가 상기 해당 경로를 대체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1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컴퓨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사용자로부터 출발지와 도착지로서의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두 개의 위치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두 개의 위치간의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길 안내를 위한 정보가 포함하는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차별화되도록 상기 길 안내를 위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은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이 운행되는 노선의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적어도 지상과 지하의 두 종류의 레벨 중 하나로 미리 분류되고,
    상기 두 종류의 레벨 중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은 노선들간의 상대적인 물리적 깊이 위치에 기반하여 복수의 서브레벨로 더 분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지하의 레벨로 분류된 대중 교통 수단들의 지시자들을 상기 서브레벨에 따라 상기 물리적 깊이 위치가 깊을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더 아래쪽에 차별화하여 표시하고,
    상기 물리적인 위치에 기반하여 대중 교통 수단의 레벨을 분류함에 따라, 이종의 대중 교통 수단이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 시각적으로 서로 다르게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중 교통 수단의 지시자를 서로 차별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제1 옵션 및 상기 제1 옵션에 따른 차별화 기능을 오프(off)하기 위한 제2 옵션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시스템.
KR1020150081458A 2015-06-09 2015-06-09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66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58A KR101668101B1 (ko) 2015-06-09 2015-06-09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458A KR101668101B1 (ko) 2015-06-09 2015-06-09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101B1 true KR101668101B1 (ko) 2016-10-24

Family

ID=57256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458A KR101668101B1 (ko) 2015-06-09 2015-06-09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1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192A (ko) * 2008-04-11 2009-10-15 엔에이치엔(주) 이종의 대중 교통을 연계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10217940A (ja) * 2009-03-13 2010-09-30 Hitachi Ltd 経路案内システムとその情報提供方法
JP2012093319A (ja) * 2010-10-28 2012-05-17 Zenrin Datacom Co Ltd ナビゲーション端末、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30012828A (ko) * 2011-07-26 2013-02-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192A (ko) * 2008-04-11 2009-10-15 엔에이치엔(주) 이종의 대중 교통을 연계한 경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시스템
JP2010217940A (ja) * 2009-03-13 2010-09-30 Hitachi Ltd 経路案内システムとその情報提供方法
JP2012093319A (ja) * 2010-10-28 2012-05-17 Zenrin Datacom Co Ltd ナビゲーション端末、ナビゲーション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20130012828A (ko) * 2011-07-26 2013-02-0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대중교통 스케줄을 고려한 복합 대중교통수단의 경로 정보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6180B (zh) 关于目的地标识停车位置
CN111680362B (zh) 一种自动驾驶仿真场景获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117543B1 (ko)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공 지능 기반 영상 처리 서비스 시스템
CN101517371B (zh) 产生用于导航装置中的改进的地图数据的方法
JP6927209B2 (ja) 信号制御装置、交通制御システム、信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185651A1 (en) Navigation system utilizing XML/SVG map data converted from geographic map data and layered structure of XML/SVG map data based on administrative regions
KR101821456B1 (ko)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18628B1 (ko) 지도 화면에서 벗어난 관심 지점을 표시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
KR102441727B1 (ko) Poi 클러스터링 기법을 이용한 주변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35351A (ko) 대표 이미지 생성
KR101710490B1 (ko) 레이어 데이터 단위의 실시간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RU2580335C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картографических данных
KR20170035694A (ko) 여행성 질의에 대응하는 검색 결과로 코스를 추천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28587A1 (en) Route guidance method and device using augmented reality view
KR101668101B1 (ko) 교통 수단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30380A (ko) 지도를 이용한 여행 코스 설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00382A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20035217A (ja) 自動運転システム、自動運転方法、自動運転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690691B1 (ko) 교통 수단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32924B1 (ko) 교육 시설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1919821B1 (ko) 언어 변환 툴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40132101A1 (en) Autonomous driving system in heterogeneous sd map and hd map environment and management method for the autonomous driving
KR102216700B1 (ko) 인터렉티브 지하철 노선도
US201602659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rching route
KR102347230B1 (ko) 대중교통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