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936A -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936A
KR20130011936A KR1020120077764A KR20120077764A KR20130011936A KR 20130011936 A KR20130011936 A KR 20130011936A KR 1020120077764 A KR1020120077764 A KR 1020120077764A KR 20120077764 A KR20120077764 A KR 20120077764A KR 20130011936 A KR20130011936 A KR 20130011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keyboard
key
pointer
character inpu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카시 다카시마
아츠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1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과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조작에 있어서, 이용자는 항상 키의 위치를 인식한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입력 조작이 번잡하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키를 선택가능한 제1의 소프트 키보드와,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키를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구성되고,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키를 선택함으로써, 포인터의 이동 거리에 의존하지 않는 문자 입력을 실현한다.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 PROGRAM}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행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터치패널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입력 장치로서 이용하여,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기술이 실용화되어 있다. 그러한 기술로서, 소프트 키보드 상에 일본어의 50음에 있어서의 「あ행」~「わ행」까지의 행을 각각 소프트 키로서 배치하고, 이용자는 특정한 소프트 키를 터치함으로써 행을 선택하고, 그 상태에서 손가락을 떼내거나, 상하 좌우 방향의 어느 하나로 손가락을 이동하여 문자를 선택함으로써,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터치패널 상의 임의의 점에서 손가락을 터치한 후, 터치한 장소로부터 방사상으로 각 행의 문자를 표시, 손가락의 이동 방향으로 행을 선택하고, 이동 거리로 문자를 선택함으로써, 문자를 신속하게 입력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2008-28238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10-15570호 공보
종래, 물리 키가 탑재된 휴대 단말에서는, 문자 입력을 행할 때에, 키에 접촉했을 때에 촉감이 얻어지므로, 이용자가 키를 보지 않아도, 키의 위치를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물리 키가 탑재된 단말에서는, 엄지 손가락의 가동 범위 내에 키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한쪽손의 엄지 손가락만으로의 문자 입력 조작이 용이했다.
그러나, 터치패널이 탑재된 휴대 단말에서는, 표시 장치 상의 소프트 키에서는 키의 촉감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동적으로 표시되는 소프트 키의 위치를 항상 인식하면서 입력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어, 조작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태블릿형 단말과 같이, 터치패널이 탑재된 휴대 단말은 화면 사이즈가 커지는 경향이 있고, 화면 사이즈에 따라, 소프트 키보드도 크게 표시되어, 엄지 손가락의 가동 범위 외에 키가 배치된 경우, 엄지 손가락만으로의 문자 입력 조작이 곤란한 상황이 되었다.
이들 과제를 감안하여, 터치패널로 대표되는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단말에 있어서의 문자 입력의 조작성 향상을 위해서는, 소프트 키보드 상의 키의 위치를 인식하지 않아도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엄지 손가락의 가동 범위에서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자 입력 장치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입력 개시점을 소프트 키 보드 상의 선택할 문자가 표시된 키의 위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키의 위치를 따라서 입력 조작을 개시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기술은, 문자의 입력 조작에 있어서의, 입력 개시점을 터치패널 상의 임의의 점으로 할 수 있는데, 표시된 각 행의 문자 중에서 입력할 문자를 선택할 때에, 그 문자가 표시된 키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키의 위치에 따라서 입력할 문자를 선택해야 하다.
어떠한 기술이나, 선택하고 싶은 키(문자) 상에서 문자 입력의 개시, 혹은 선택을 행할 필요가 있고, 이용자는 항상 키의 위치를 인식한 문자 입력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조작에 있어서, 이용자가 표시되는 키의 위치를 인식하지 않고 임의의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키를 선택가능한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와,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 키를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소프트 키 보드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는 입력할 포인터의 이동 방향의 변화만을 인식하면 되고, 키의 위치를 알 필요는 없으므로, 상기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의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 있어서 선택된 방향은,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는 키가 선택 불가능한 키 배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문자의 선택을 포인터의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 방향의 변화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의 방식에 추가하여, 문자 입력 개시 시에,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는, 이용자가 문자 입력을 개시한 좌표와는 다른 좌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가 입력 개시 위치를 헤매지 않고 조작을 개시할 수 있으므로, 키의 위치를 인식하지 않고 문자 입력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키를 선택가능한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와,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 키를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는 입력할 포인터의 이동 방향의 변화만을 인식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해지므로, 화면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의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 있어서 선택된 방향은,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는 키가 선택 불가능한 키 배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문자의 선택을 포인터의 이동 거리가 아니라, 이동 방향의 변화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각 문자를 이동 방향의 변화만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의 키의 선택 후에 표시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할때까지, 포인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포인터의 이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초심자에게도 사용하기 쉬운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와는 다른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소프트 키 보드의 이동 범위를 한정된 범위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시점의 이동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되는 소프트 키 보드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포인터의 이동을 명확하게 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의 시점을 항상 고정 위치로 할 수 있으므로, 쓰기 쉬운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 및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와는 다른 문자를 할당한 소프트 키 보드를 선택가능한 키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많은 문자를 이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문자 입력 개시 시에,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는, 이용자가 문자 입력을 개시한 좌표와는 다른 좌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소프트 키보드에 이용자의 손가락의 그림자가 지는 것을 피한 표시가 가능해지므로, 이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관련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하면,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조작에 있어서, 이용자가 표시되는 키의 위치를 인식하지 않고 임의의 문자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う」의 문자 입력 조작예.
도 2의 (a)~(f)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 보드의 일련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의 (a)~(d)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 보드의 일련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あ행~な행 문자의 소프트 키 보드에의 배치의 예.
도 5는 소프트 키 보드의 종류와 키의 배치의 예(a)~(c).
도 6은 소프트 키 보드에 있어서의 선택가능한 방향과 선택불가능한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의 (a), (b)는, 일본어의 문자 할당표의 예와 각 문자의 궤적 일람.
도 8의 (a), (b)는, 영어의 문자 할당표의 예와 각 문자의 궤적 일람.
도 9의 (a), (b)는, 본 실시의 형태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가 메모리에 보유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문자 입력 장치(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키를 선택가능한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와,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 키를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는 입력하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의 변화만을 인식하여 문자 입력이 가능해지므로, 화면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고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의 방식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 있어서 선택된 방향은,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는 키가 선택 불가능한 키 배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문자의 선택을 포인터의 이동 거리가 아니라, 이동 방향의 변화만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각 문자를 이동 방향의 변화만의 조합으로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서의 키의 선택후에 표시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할때까지, 포인터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가 입력하고 있는 포인터의 이동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해지므로, 초심자에게도 사용하기 쉬운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와는 다른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표시되는 소프트 키 보드의 이동 범위를 한정된 범위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시점의 이동을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이동 범위를 크게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포인터의 이동을 명확하게 전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 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용자의 시점을 항상 고정 위치로 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쉬운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에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 및 제2의 소프트 키 보드와는 다른 문자를 할당한 소프트 키 보드를 선택가능한 키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많은 문자를 이용하는 언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 방법은,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문자 입력 개시 시에, 상기 제1의 소프트 키 보드는, 이용자가 문자 입력을 개시한 좌표와는 다른 좌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소프트 키 보드에 이용자의 손가락의 그림자가 지는 것을 피한 표시가 가능해지므로, 이용자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문자 입력 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う」의 문자를 입력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좌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널이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와, 선택된 문자나 소프트 키 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도 1과 같이 행을 선택하는 소프트 키보드(101)와, 열을 선택하는 소프트 키 보드(102)를, 포인터(100)를 움직여서 조작함으로써, 문자를 입력한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는, 터치패널과 같이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설치되어도 되고, 마우스나 커서와 같이 따로 설치되어도 된다.
1. 문자 입력 조작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그 문자를 입력하는 조작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2(a)~도 2(f) 및 도 3(a)~도 3(d)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 보드의 일련의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손가락(201)을 터치패널(202)에 접촉시킨 후, 「う」「み」를 선택하고, 디스플레이 상의 문자 표시부(211)에 선택된 문자가 표시될 때까지의 모습을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터치패널(202)은,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설치된 포인팅 디바이스의 일예이다.
우선, 도 2(a)~도 2(f)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う」를 입력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도 2(a)에 있어서, 이용자가 손가락(201)을 터치패널(202) 상의 임의의 좌표점(212)에 접촉하면, 터치패널(202) 상의 어느 좌표점을 중심으로 하여, 일본어의 50음에 있어서의 「あ행」~「わ행」까지를 선택가능한 제1의 소프트 키 보드(101)와, 제1의 소프트 키 보드(101)의 중심에 손가락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포인터(100)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제1의 소프트 키 보드(101)에는, 초기 상태로서 「あ행」부터 「な행」을 나타내는 키와, 「행 그룹 변환 키」(210)가 선택가능한 항목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행 그룹 변환 키」란, 「は행」부터 「わ행」의 문자를 입력할 때에 선택하는 키이다.
다음에, 이용자가 「う」가 속하는 「あ행」을 선택하기 위해서, 손가락(201)을, 도 2(b)의 화살표 220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에 연동하여 포인터(100)가 이동하여, 「あ행」의 영역을 통과한다. 이 때의 모습을 도 2(b)에 나타낸다.
포인터(100)가 「あ행」의 영역을 통과함으로써, 「あ행」을 선택했다고 판정된다. 이 판정이 행해지면, 다음에, 「あ행」의 문자를 선택가능한 제2의 소프트 키보드(102)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이 때의 화면을 도 2(c)에 도시한다.
여기에서, 「あ행」의 문자를 선택 가능한 제2의 소프트 키 보드(102)는, 그 중심에 배치된 「あ」이외의 문자 「い」,「う」,「え」,「お」에 대해서는, 이용자가 「あ행」을 선택한 후, 손가락(20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지 않으면 선택할 수 없도록 제2의 소프트 키 보드(102)는 동작한다.
이용자가 손가락(201)을 도 2(b)에 있어서의 화살표 220과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시켰을 때에는, 제2의 소프트 키 보드(102)는 손가락(201)의 이동 방향과 동 방향으로 동 거리분만큼 이동한다. 이 때의 화면을 도 2(d)에 도시한다. 이와같이 이동시킴으로써, 제2의 소프트 키 보드(102)가 손가락 밑에 표시되어, 이용자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는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이용자가 손가락(201)을 화살표 221과 같이 도 2(d)의 화살표 220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그 이동 방향의 변화를 계기로, 「う」의 영역이 선택된다. 그 결과, 「う」의 문자가 입력되고, 문자 표시부(211)에 「う」가 표시된다. 이 때의 화면을 도 2(e)에 도시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あ」를 선택하는 방법으로는, 제2의 소프트 키 보드(102)가 표시된 상태에서, 포인터(100)를 이동시키지 않고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201)을 떼는 동작을 취하면 된다. 단, 「あ」의 선택에는 반드시 이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치패널을 탭하는 등의 조작을 할당해도 된다.
문자를 입력한 후는, 도 2(f)와 같이 포인터(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제1의 소프트 키 보드(101)를 표시한다. 단, 문자 입력 후의 동작은 반드시 이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2(a)의 단계로 되돌아감으로써, 손가락(201)의 위치를 이용자가 조작하기 쉬운 장소에 재배치해도 된다.
다음에 도 3(a)~도 3(d)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み」를 입력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도 2(f)의 화면에 있어서, 이용자가 손가락(201)을 화살표 320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포인터(100)가, 행 그룹 변환 영역(210)에 들어가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は행」부터 「わ행」을 나타내는 키와, 「행 그룹 변환 키」(210)가 선택가능한 항목으로서 설정된 제1의 소프트 키 보드(301)가 표시된다. 여기에서, 「행 그룹 변환 키」는, 「あ행」부터 「な행」의 문자를 입력할 때에 선택하는 키이다.
다음에, 이용자가 「み」를 선택하기 위해서, 손가락(201)을, 도 3(b)의 화살표 321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그에 연동하여 포인터(100)가 이동하여, 「ま행」의 영역을 통과한다. 이 포인터(100)의 이동에 의해 「ま행」이 선택되면, 「ま행」의 문자를 선택가능한 제2의 소프트 키 보드(302)가 표시된다. 이 때의 화면을 도 3(b)에 도시한다.
여기서, 「ま행」의 문자를 선택가능한 제2의 소프트 키 보드(302)에 있어서, 그 중심에 배치된 「ま」이외의 문자 「み」,「む」,「め」,「も」에 대해서는, 이용자가 「ま」단을 선택한 후, 손가락(20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지 않으면 선택할 수 없도록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동작한다. 이 제어는, 도 2(e)에 있어서 「う」를 선택했을 때와 동일한 것이다.
다음에, 손가락(201)이 화살표 322와 같이 도 3(b)의 화살표 321과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면, 포인터(100)가 이동하여, 「み」의 영역을 선택했다고 판정된다. 그 결과, 「み」의 문자가 입력되고, 문자 표시부(211)에 「み」가 표시된다. 이 때의 화면을 도 3(c)에 도시한다.
문자를 입력한 후의 동작으로는, 도 3(d)와 같이 포인터(10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제1의 소프트 키보드(101)를 표시해도 되고, 도 2(a)의 단계로 되돌아가도 된다. 또한, 이용자가 손가락(201)을 화살표 323과 같이 터치패널(202)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입력 종료로 한다. 이러한 조작 방법의 할당은 이용자에 있어서 직감적이므로, 이용자가 문자 입력을 익히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2. 소프트 키보드의 키 배치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방식에서는, 이용자의 손가락(201)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행이나 문자가 선택된다. 도 4는, 제1의 소프트 키보드(101)로부터 입력되는 「あ행」부터 「な행」의 전 문자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 손가락을 움직여 입력할지를 나타낸 것이다. 각 문자는, 이 도면의 화살표를 연결한 꺾긴 선상의 궤적(즉, 손가락(201)의 궤적)과 일정하게 대응되게 된다.
이러한 대응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이동 방향과,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이동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아니도록, 각 키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도 5(a)~도 5(c)는, 그러한 배치의 예로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제1의 소프트 키보드와 제2의 소프트 키보드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는, 제1의 소프트 키보드의 배치이고, 2~7의 키를 6방향으로 선택가능한 배치로 되어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이용하고 있지 않지만, 중심의 1을 포함하면, 선택가능한 항목수는 7이 된다. 도 5(b)는, 도 4의 「あ행」「さ행」 및 「た행」에 대응하는 제2의 소프트 키보드이며, 4방향으로 선택가능한 배치로 되어 있다. 중심의 1을 포함하면 5항목이 선택 가능하다.
도 5(c)의 배치는, 도 4의 「か행」 및 「な행」에 대응하는 제2의 소프트 키보드이며, 도 5(b)의 소프트 키보드를 45°기울인 것이다. 도 5(b)의 배치의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도 5(a)의 2, 4, 5, 7이 선택되었을 때에 이용되고, 도 5(c)의 배치의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도 5(a)의 3, 6이 선택되었을 때에 이용된다.
도 5(a)~도 5(c)에 있어서는, 소프트 키보드의 주변뿐만 아니라, 중심도 선택가능한 배치로 했다. 중심의 영역에 배치된 키는, 예를 들면, 입력 종료의 동작으로 선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주변에 배치하는 키의 수를 1개 줄이고, 1항목당의 영역을 넓혀, 중심의 영역을 선택 가능하게 하지 않는 소프트 키보드에 비해, 이용자의 입력 오류를 막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하는 방향과,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방향이, 반드시 상이하도록 각 키를 배치함으로써, 이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거리에 의존하지 않고, 손가락의 이동 방향의 변화만을 계기로 하여, 문자를 선택하는 문자 입력 방식이 실현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행 그룹 변환 키」를 선택한 경우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5(a)의 소프트 키보드가 제1의 소프트 키보드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했는데, 이 경우에 도 5(a)의 소프트 키보드를 90도 회전시킨 제2의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행 그룹 변환의 조작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고, 「あ행」~「な행」을 선택하는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하는 방향과, 「は행」~「わ행」을 선택하는 소프트 키보드가 선택가능한 방향이, 반드시 상이하도록 각 키를 배치함으로써, 이동 방향의 변화를 계기로 하여 행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는 6방향,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는 4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경우를 예시했는데, 본 입력 방식은 이 조합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선택가능한 방향의 수에 상관없이, 제1의 소프트 키보드와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방향이 다르도록 키를 배치하면, 몇개의 방향이 선택가능해도 상관없다. 또한, 소프트 키보드는, 반드시 환 형상으로 키를 배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부채형이나 나비형으로 배치해도 상관없고, 각 키의 영역의 크기를 비대칭으로 해도 되고,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한 방향이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방향과 상이하면, 본 방식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나타낸 예에 있어서는,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한 방향과,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방향이 상이하도록 키를 배치했는데, 이에 추가하여,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도,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방향과는 상이하도록 키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킴으로써, 제2의 소프트 키보드의 위치를 조작하기 쉬운 장소로 되돌리거나, 혹은, 제1의 소프트 키보드의 선택을 캔슬하는 등의 조작을 할당하여, 이용자에게 사용하기 쉬운 조작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 키보드의 키가 표시되어 있는 영역은, 포인터(100)가 그 영역에 들어가면, 키를 선택했다고 판단되는 영역(선택 영역)과, 그 이외의 영역(선택 불가 영역)으로 나뉘어진다. 도 6은, あ행과 か행을 예로서,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 불가 영역이 되는 방향과,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각각의 행이 선택 영역이 되는 방향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 불가로 되는 방향은, 고정적인 설계치(예를 들면 10°고정)로서 정해도 되고, 이용자가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했을 때에 이동하는 방향을 바탕으로, 동적으로 정해도 된다. 또한, 이용자가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한 후, 손가락의 이동의 정지나 완만한 방향의 변화의 정보를 바탕으로 동적으로 정함으로써, 이용자의 오조작이 적은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3.문자의 키에 대한 할당
여기에서는,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소프트 키보드에의 문자의 할당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이용한 일본어 문자의, 행 할당 일람표 (이하, 할당표라고 부른다)를 나타낸다.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는, 이 표의 「あ행」~「な행」을 선택하는 것과, 「は행」~「わ행」을 선택하는 것이 있고, 「행 그룹 변환 키」에 그 둘을 서로 바꾸는 역할을 할당하고 있다. 또한,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행이 선택되면, 선택한 행의 각 문자를 선택하기 위한 제2의 소프트 키보드가 표시된다.
도 7(b)에, 각 문자를 입력할 때의 포인터의 궤적의 일람을 표시한다. 이용자는, 이 표를 기억하고, 익힘으로써, 화면의 표시를 보지 않고, 소프트 키보드를 조작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일본어를 예로서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일본어 문자의 입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와 동일한 표를 작성함으로써, 다른 언어라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로서, 도 8(a)에 영어의 경우의 각 문자의 할당을, 도 8(b)에, 그 경우의 궤적의 일람을 표시한다.
또한, 도 7(a), 도 7(b), 도 8(a), 도 8(b)에 있어서 나타낸 문자의 할당과 궤적은 일예이며, 어느 문자를 어느 장소에 할당해도 상관없다. 또한, 예로서 히라가나와 알파벳의 경우를 나타냈는데,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자를 부수별로 분류하여 할당표를 구성해도 되고, 한글 문자를 자모에 의해 분류하여 할당표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할당표의 항목을 「あ행」~「わ행」의 10개, 할당 그룹을 「あ행」~「な행」과 「は행」~「わ행」의 2개로 했는데, 이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할당 그룹의 수를 늘림으로써,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키의 수를 줄이고, 1항목당 선택가능한 영역을 넓힘으로써, 이용자의 입력 오류를 막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할당표의 항목을 늘림으로써 각 행의 선택 갈래를 줄이고,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가능한 키의 수를 줄이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와같이 선택가능한 키의 수를 줄임으로써, 1항목당 선택가능한 영역을 넓혀, 이용자의 입력 오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소프트 키보드의 표시 위치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도 2(c), 도 2(d), 도 2(f), 도 3(a), 도 3(b), 도 3(d)의 조작에 있어서, 이용자의 손가락의 이동 거리에 따라, 표시한 제2의 소프트 키보드(102)를, 손가락의 입력 방향과 동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표시한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라서 소프트 키보드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직감적인 피드백을 이용자에게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a)~도 2(f) 및 도 3(a)~도 3(d)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포인팅 디바이스에서 지시하는 장소, 즉, 손가락이 있는 장소와, 소프트 키보드의 표시 위치를, 상이한 장소로 했다. 이와같이 배치하여, 항상 손가락과 동시에 소프트 키보드가 이동함으로써, 소프트 키보드의 표시에 손가락의 그림자가 져, 이용자의 시인성을 악화시키는 사태를 막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의 문자 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소프트 키보드를 손가락의 이동과 동시에 이동시키는 방식을 예로서 나타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소프트 키보드의 이동 거리를 손가락의 이동 거리의 반으로 함으로써, 문자 입력 중의 이용자의 시점의 이동을 작은 범위에 한정하여, 이용자의 눈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소프트 키보드를 항상 일정한 장소에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배치하여, 이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가 블라인드 입력하기 쉬운 문자 입력 방식인 것을 이용하여, 입력 중은 화면의 표시를 소등하여 소비 전력을 적게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5. 문자 입력 소프트웨어
여기서는, 본 실시의 형태를 실현하는 문자 입력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그 일예를 설명한다.
도 9(a), 도 9(b)에, 본 실시의 형태를 실현하는 소프트웨어가 메모리에 보유하는 정보를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한 문자 입력 제어 테이블은, 소프트 키보드에 키로서 표시되는 문자와, 그 키가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을 표의 형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도 9(b)에 도시한 소프트 키보드 정보는, 현시점에서 표시되고 있는 소프트 키보드의 좌표와, 문자 입력 제어 테이블에 있어서의 테이블명을 유지하는 정보이다.
문자 입력 제어 테이블의 「그룹 1」 및 「그룹 2」는,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 대응하는 정보이며, 「あ행」부터 「わ행」은,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 대응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소프트 키보드 정보의 테이블명의 난의 내용이 「그룹 1」일 때에는, 도 5(a)와 동일한 항목수 7로 회전 각도 0의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고, 각 키에는, 문자 입력 제어 테이블의 표시 문자열의 난에 지정되는 문자열을 표시한다. 표시된 소프트 키보드에서 키가 선택되었을 때에는, 그 때의 소프트 키보드 정보의 테이블명의 난의 내용으로 문자 입력 제어 테이블의 테이블명을 참조하여,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처리의 난에 기재된 동작을 실행하고, 천이처의 난에 지정된 테이블명으로 소프트 키보드 정보의 테이블명을 갱신한다. 이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식이 실행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 1부터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문자 입력은, 이용자가 좌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패널이나 포인터(100)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1001)와, 선택된 문자나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003)와, 문자 입력 제어 테이블(도 9(a) 참조) 및 소프트 키보드 정보(도 9(b) 참조)를 보유하는 메모리(1005)와, 디스플레이(1003)에 표시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각종 조작, 포인팅 디바이스(1001), 및 디스플레이(1003)에 표시되는 문자나 소프트 키보드를 제어하는 제어부(1007)를 구비하는 문자 입력 장치(1000)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6. 그 외의 실시의 형태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터치패널을 이용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우스나 리모콘과 같은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휴대단말뿐만 아니라, TV나 PC 등에도 본 입력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손가락의 이동 방향의 변화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을 행하는 것이며, 종래의 문자 입력 방법에 비해, 조작성이 높은 문자 입력 방법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나 부품으로서 실장되고, 터치패널이 탑재된 휴대전화, 휴대단말이나, 태블릿형 단말에 탑재됨으로써, 조작성이 높은 문자 입력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우스나 리모콘 등, 터치패널 이외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입력 장치로서 구비한, 텔레비전이나 PC 등의 가전 기기에 대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휴대형의 단말과 마찬가지로 조작성이 높은 입력 조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포인터 101 : 제1의 소프트 키보드(あ행~な행)
102 : 제2의 소프트 키보드(あ행) 201 : 손가락
202 : 터치패널 210 : 행 그룹 변환 키
211 : 문자 표시부 212 : 입력 개시점
220 : 손가락(201)의 이동을 나타내는 화살표(「あ행」의 선택)
221 : 손가락(201)의 이동을 나타내는 화살표(「う」의 선택)
301 : 제1의 소프트 키보드(は행~わ행)
302 : 제2의 소프트 키보드(ま행)
320 : 손가락(201)의 이동을 나타내는 화살표(행 그룹)
321 : 손가락(201)의 이동을 나타내는 화살표(「む행」의 선택)
322 : 손가락(201)의 이동을 나타내는 화살표(「み」의 선택)
1000 : 문자 입력 장치
1001 : 포인팅 디바이스 1003 : 디스플레이
1005 : 메모리 1007 : 제어부

Claims (14)

  1.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키를 선택가능한 제1의 소프트 키보드와,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키를 선택한 후에 표시되는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선택된 방향은,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는 키가 선택 불가능한 키 배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의 키의 선택 후에 표시되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할 때까지의 동안, 포인터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와는 상이한 거리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는,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 및 제2의 소프트 키보드와는 상이한 문자를 할당한 소프트 키보드를 선택가능한 키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개시 시에,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는, 이용자가 문자 입력을 개시한 좌표와는 상이한 좌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적어도 2개의 소프트 키보드로 구성되는 문자 입력 장치의 문자 입력 프로그램으로서,
    컴퓨터에,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포인터의 이동 방향에 따라 키를 선택하는 제1 선택 단계와,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서 키를 선택한 후에 제2의 소프트 키보드를 표시하는 표시 단계와,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된 것을 계기로 하여 키를 선택하는 제2 선택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문자 입력 프로그램.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단계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 의해 선택된 방향이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에서는 키가 선택 불가능한 키 배치가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 후에,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가, 상기 포인터의 이동 방향이 변화할 때까지의 동안, 상기 포인터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단계를 갖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계는,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가,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와는 상이한 거리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
  12.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소프트 키보드가, 상기 포인터의 이동 거리에 상관없이, 이동하지 않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
  13.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단계는,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에,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 및 제2의 소프트 키보드와는 상이한 문자를 할당한 소프트 키보드를 선택가능한 키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
  14.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문자 입력 개시 시에, 상기 제1의 소프트 키보드가, 이용자가 문자 입력을 개시한 좌표와는 상이한 좌표에 배치되는 단계를 갖는 문자 입력 프로그램.
KR1020120077764A 2011-07-21 2012-07-17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KR201300119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0034A JP2013025579A (ja) 2011-07-21 2011-07-21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JP-P-2011-160034 2011-07-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936A true KR20130011936A (ko) 2013-01-30

Family

ID=47783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764A KR20130011936A (ko) 2011-07-21 2012-07-17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25579A (ko)
KR (1) KR201300119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713B1 (ko) * 2013-02-08 2014-10-15 윤갑영 소수의 기호를 이용한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EP3053008B1 (en) * 2013-10-01 2019-12-25 Quantum Interface, Llc Selection attractive interfaces and systems including such interfaces
CN103576878A (zh) * 2013-11-11 2014-02-12 白军 平板电脑及其键盘
JP6368181B2 (ja) * 2014-07-15 2018-08-01 株式会社高知システム開発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用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方法
JP5973506B2 (ja) * 2014-07-22 2016-08-2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プログラム
JP6387299B2 (ja) * 2014-12-26 2018-09-05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入力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126072B2 (ja) * 2018-05-31 2022-08-26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guiプログラム
JP7170312B2 (ja) * 2018-09-12 2022-11-14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JP3797977B2 (ja) * 2003-03-17 2006-07-19 株式会社クレオ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JP4087879B2 (ja) * 2006-06-29 2008-05-21 株式会社シンソフィア タッチパネルの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入力方法
JP4694579B2 (ja) * 2007-04-11 2011-06-08 株式会社フェイビー 文字入力システム
US20090037813A1 (en) * 2007-07-31 2009-02-05 Palo Alto Research Center Incorporated Space-constrained marking menus for mobile devices
CN100593151C (zh) * 2008-07-04 2010-03-03 金雪松 日语输入方法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25579A (ja)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1936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US8669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US840560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302418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5801348B2 (ja) 入力システム、入力方法およびスマートフォン
US20150253870A1 (en) Portable terminal
US8456433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election method of user interface icon for multi-touch panel
US20150100911A1 (en) Gesture responsive keyboard and interface
US20100295793A1 (en) Two stroke touch panel data entry system
US201103025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US9606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JP5102894B1 (ja) 文字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9169451A (ja) 携帯端末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1313287B1 (ko) 문자 입력을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20150012866A1 (en) Method for Data Input of Touch Panel Device
KR101561783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 방법
EP2799954B1 (en) Portable terminal
JP5245708B2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20100013234A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2235111B1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KR20210154906A (ko) 전자장치에서 문자 입력할 때 간단한 오타 수정 방법 등
CN112667136A (zh) 一种使用方向键从表格中快速定位单元格的交互方法
KR20100099867A (ko)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KR20180086393A (ko)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