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9867A -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9867A
KR20100099867A KR1020090018421A KR20090018421A KR20100099867A KR 20100099867 A KR20100099867 A KR 20100099867A KR 1020090018421 A KR1020090018421 A KR 1020090018421A KR 20090018421 A KR20090018421 A KR 20090018421A KR 20100099867 A KR20100099867 A KR 20100099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mode
input m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자
Original Assignee
윤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자 filed Critical 윤인자
Priority to KR1020090018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9867A/ko
Publication of KR20100099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G06F3/0213Arrangements provid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in a keyboard, e.g. trackball, mini-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는. 둥근형상으로 일정곡률을 가지며,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되는 형태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되어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는 받침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표면상의 일정부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제1입력유닛부와; 상기 제1표면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입력유닛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일정곡선을 이루며 배열되는 제2입력유닛부와; 상기 제1표면과는 일정단차를 가지는 제2표면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제3입력유닛부와; 상기 파지부의 측면 특정부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일정간격을 가지며 배열되는 제4입력유닛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이 간단하고 입력이 용이하며, 단축키 설정이 가능하다.
키보드, 마우스, 단축키, 파지, 통합형, 한손

Description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Input apparatus for one hand handling and inputting}
본 발명은 통합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나 게임기 등에서 사용되는 키보드/마우스나 조이스틱을 대체하거나, 이들에 더하여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통합형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임기를 포함하여 대다수의 컴퓨터 시스템에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마우스 등의 입력장치가 필요하다.
컴퓨터 시스템이라 함은 1개 이상의 처리 장치와 주변 기기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받고, 산술연산이나 논리 연산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실질적인 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정보를 입력하여 그 정보를 정해진 과정대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기억 장치, 연산 장치 및 제어 장치가 포함된다.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는 컴퓨터 키보드와 마우스가 널리 사용된다.
컴퓨터 키보드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대략 가로 45㎝, 세로 15㎝ 정도의 판 위에 대략 100개 이상의 입력키들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키를 누르면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컴퓨터 본체로 보내어 사용자가 컴퓨터 동작의 어떤 측면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정보가 컴퓨터 키보드에서 컴퓨터 본체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컴퓨터 키보드는 입력 전용 장치이다. 컴퓨터 키보드는 기능적으로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완전한 입출력 장치를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입력장치인 컴퓨터 키보드는 대부분의 영문 타자기와 같이 쿼티(QWERTY)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인쇄 가능한 표준문자 세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컴퓨터 키보드의 제작 회사와 모델 또는 나라에 따라서 유럽 언어의 특수 문자, 한글과 한자 등 다양한 비표준 문자 또는 확장 문자 세트를 포함하고 있다. 비문자 키 중에서 컨트롤 키(Control key,Ctrl), 알트 키(Alt key), 시프트 키(Shift key) 등은 다른 어떤 키의 의미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 이스케이프 키(Escape key,Esc), 엔터 키(Enter key), 기능 키(Function key), 탭 키(Tab key) 등 다른 비문자 특수 키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키와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거나 화면상에서 텍스트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한편 마우스는 컴퓨터 키보드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모양이 쥐(mouse)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컴퓨터 화면 위의 어떤 장소를 가리키거나, 그 위치로부터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장치의 하나이다. 특정한 위치에 갖다 놓고 버튼을 누르거나(클릭), 버튼을 누른 채로 마우스를 끌고 다니거 나(드래그), 버튼을 재빨리 두 번 연속하여 누르는(더블클릭) 등의 동작으로 여러 가지 일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입력장치는 한손으로는 입력이 어려우며 두 손을 동시에 사용하여 입력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키보드와 마우스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두 손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입력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필수 입력장치이어서 복수의 입력값을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단축키로써 임의의 입력키를 사용하는 것이 불편하다. 따라서 종래의 키보드/마우스를 대체하거나, 종래의 입력장치인 키보드나 마우스를 보조하여 단축키로서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통합형 입력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통합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키보드/마우스를 대체할 수 있는 통합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키보드/마우스를 보조하여 단축키로써 이용될 수 있는 통합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한손으로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는. 둥근형상으로 일정곡률을 가지며,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되는 형태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되어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는 받침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표면상의 일정부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제1입력유닛부와; 상기 제1표면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입력유닛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일정곡선을 이루며 배열되는 제2입력유닛부와; 상기 제1표면과는 일정단차를 가지는 제2표면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제3입력유닛부와; 상기 파지부의 측면 특정부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일정간격을 가지며 배열되는 제4입력유닛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입력유닛부는, 중앙부위에 상하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고 클릭(누룸)이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는 제1스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3입력유닛부는, 중앙부위에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클릭(누룸)이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는 제2스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측면부분에 키보드/마우스 모드와 단축키모드의 선택을 위한 모드변환키 및 전원 온/오프 키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제1 및 제2입력유닛부 배치부위를 제외한 상기 제1표면상의 특정부위에, 입력모드의 표시를 위해 배치되는 액정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입력유닛부는, 적어도 제1 내지 제12 입력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제1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ㄱ' 'ㄴ' 'ㄲ', 영문입력모드에서는 'A' 'B' 'C', 숫자입력모드에서는 ‘1’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function key)입력모드에서는 ‘F1키' 로 설정되며, 제2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ㄷ' 'ㄹ' 'ㄸ', 영문입력모드에서는 'D' 'E' 'F', 숫자입력모드에서는 ‘2’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2키' 으로 설정되며, 제3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ㅁ' 'ㅂ' 'ㅃ', 영문입력모드에서는 'G' 'H' 'I', 숫자입력모드에서는 ‘3’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3키' 으로 설정되며, 제4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ㅅ' 'ㅇ' 'ㅆ', 영문입력모드에서는 'J' 'K' 'L', 숫자입력모드에서는 ‘4’가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4키' 로 설정되며, 제5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ㅈ' 'ㅊ’ 'ㅉ', 영문입력모드에서는 'M' 'N' 'O', 숫자입력모드에서는 ‘5’가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5키' 으로 설정되며, 제6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ㅋ' 'ㅌ', 영문입력모드에서는 'P' 'Q' 'R', 숫자입력모드에서는 ‘6’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6키' 으로 설정되며, 제7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ㅍ' 'ㅎ', 영문입력모드에서는 'S' 'T' 'U', 숫자입력모드에서는 ‘7’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7 키' 으로 설정되며, 제8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ㅡ', 영문입력모드에서는 'V' 'W' 'X', 숫자입력모드에서는 ‘8’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 드에서는 ‘F8키' 으로 설정되며, 제9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ㅣ', 영문입력모드에서는 'Y' 'Z', 숫자입력모드에서는 ‘9’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9키' 으로 설정되며, 제10입력키는 숫자입력모드에서는 ‘0’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10키' 으로 설정되며, 제11입력키는 한글, 영문, 숫자입력모드에서는 'Caps Lock 키',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1키' 으로 설정되며, 제12입력키는 한글, 영문, 숫자입력모드에서는 'Scroll Lock',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2키' 로 설정될 수 있다.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상기 제1입력유닛부는, ‘Insert/! 키', ‘Home/@ 키’, ‘End/# 키’, 'Page Up/$ 키’, ‘Page Dn/% 키’, ‘BS(← )/^ 키’, 'Del/& 키’, ‘인터넷접속키’로 기능하는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스틱을 감싸는 구조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스틱은 클릭 횟수에 따라, 한글입력모드, 영문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되고, 한글입력모드에서 상하좌우움직임을 통해 ‘ㅏ,ㅑ,ㅓ,ㅕ,ㅗ,ㅛ,ㅜ,ㅠ’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능키 입력모드는 상기 제1표면상에 구비되는 별도의 기능키 입력모드 진입키를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유닛부는, ‘Print/) 키’, 상측이동(↑)/* 키, ‘-/_ 키’, ‘우측이동(→)/+’ 키, ‘마우스 오른쪽 버튼기능키/= 키’, ‘하측이동(↓)// 키’, ‘마우스 왼쪽버튼기능키/:키’, ‘좌측이동(←)/( 키’로 기능하는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2스틱을 감싸는 구조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스틱은 상하좌우를 포함하는 다방향 움직임을 통해 마우스 커서를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입력유닛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 상기 제1스틱, 및 제2스틱은 엄지손가락을 통한 터치 또는 움직임을 통해 입력값들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4입력유닛부는 ‘Shift키', 'Space키',’Tab키',‘Ctrl키’,‘Alt키’,‘Enter키’가, 2열 3행구조로 상기 파지부를 감싸는 적어도 3개의 손가락들의 끝부분 위치에 인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상기 액정표시부와 인접되는 부위의 상기 제1표면상에 ‘Esc키’,‘한자변환키’와, ‘<’, ‘>’.‘[’,‘]’,‘?’,‘~’,‘·’,‘.’,‘,’,‘:’,‘;’,‘“’를 포함하는 일부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입력키들이 배치되는 제5입력유닛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축키 모드에서는, 복수의 입력키를 통해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입력이 가능한 입력값들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입력유닛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별도의 키맵프로그램을 통해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로써 설정되며, 상기 단축키모드에서는 세팅된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상기 입력값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의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본체에서 사용되는 관련 소프트웨어들 각각에 필요한 입력값들에 대한 단축키로써, 각각의 소프트웨어별로 별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본체의 구동소프트웨어가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소프트웨어에 필요한 입력값들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를 구비함에 의해, 종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대체하거나 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단축키로써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입력장치는, 파지부(100), 받침부(200), 제1 내지 제5입력유닛부(310,320,410,150,360)를 구비하여, 한손으로 파지하여 입력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파지부(100)는 둥근형상으로 일정곡률을 가지며,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파지부(100)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로써 상기 파지부(100)의 표면이 감싸지는 형태로 둥근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100)에는 파지되는 손가락들의 위치선정이 용이하도록 손가락 모양의 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파지부(100)에서 연장되어 후방으로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한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 손바닥이 위치되는 부분으로, 손바닥의 형상에 알맞도록 둥근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200)는 상기 파지부(100)에서 연장되는 부분에서 가장 두껍고 돌출길이가 길어질수록 얇아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 및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는 상기 파지부(100)에의 상단부에 일정면적으로 형성되는 제1표면(300)상에 구비된다. 상기 제1표면(300)은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한손으로 파지하는 경우에 엄지손가락으로 클릭이나 터치가 가능한 범위내의 표면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는 상기 제1표면(300)상의 일정부분에 원형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입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에는, 상기 복수의 입력키들이 둘러싸는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의 중앙부위에 상하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고 클릭(누룸)이 가능한 구조의 제1스틱(315)이 배치된다. 즉 상기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스틱(315)을 감싸는 구조로 배치된다.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은 상기 통합형 입력장 치의 입력모드인 키보드/마우스 모드 또는 단축키 모드 여부에 따라 그 입력값이 달라지나, 기본적으로 키보드/마우스 모드를 디폴트 값으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는, ‘Insert/! 키', ‘Home/@ 키’, ‘End/# 키’, 'Page Up/$ 키’, ‘Page Dn/% 키’, ‘BS(← )/^ 키’, 'Del/& 키’, ‘인터넷접속/\ 키’로 기능하는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스틱(315)을 감싸는 구조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인터넷 접속키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하나의 입력키에 두 개의 입력값을 입력할 수 있는 배치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입력키에서 두 개의 입력값을 입력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키보드에서와 동일하게 ‘Shift' 키를 이용함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제1스틱(315)은 클릭 횟수에 따라, 한글입력모드, 영문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한번 누르면 한글, 두 번 누르면 영문, 세 번 누르면 숫자 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제1스틱(315)을 이용한 한글/영문/숫자입력모드의 전환은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제2 내지 제5입력유닛부(320,410,150,360)에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입력모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1스틱(315)은 둥글게 돌출된 형태 또는 막대모양을 가지나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모양이 가능하다.
상기 제1스틱(315)은 한글입력모드에서 특히 유용하다. 한글입력모드에서 상기 제1스틱(315)는 상하좌우움직임을 통해 ‘ㅏ,ㅑ,ㅓ,ㅕ,ㅗ,ㅛ,ㅜ,ㅠ’가 입력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한글입력모드에서 상기 제1스틱(315)를 상 방향으로 한 번 움직이면 ‘ㅗ’가 입력되고, 연속적으로 두 번 움직이면, ‘ㅛ’이 입력되며, 하 방향으로 한번 움직이면, ‘ㅜ’ 가 입력되고, 연속적으로 두 번 움직이면, ‘ㅠ’가 입력되는 구조이다. 또한 좌측으로 한번 움직이면, ‘ㅓ’가 입력되고, 연속적으로 두 번 움직이면, ‘ㅕ’가 입력되며, 우측으로 한번 움직이면, ‘ㅏ’가 입력되고, 연속적으로 두 번 움직이면, ‘ㅑ’가 입력되는 구조이다.
단축키모드에서는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의 복수의 입력키들은 사용자가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로써 세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파일 재생이나 동영상 재생, TV 시청의 경우에 볼륨조절, 채널변경, 재생(play), 스탑(stop)버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스틱(315)은 게임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경우 조이스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는 상기 제1표면(300)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의 일부를 감싸면서 일정곡선을 이루며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에는 적어도 12개의 입력키 즉 제1 내지 제12 입력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일정곡선을 이루며 배열된다. 상기 제1 내지 제12입력키들의 배열구조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한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S'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곡선형 'L' 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입력키들의 배치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 중 제1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ㄱ' 'ㄴ' 'ㄲ', 영문입력모드에서는 'A' 'B' 'C', 숫자입력모드에서는 ‘1’이 입력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능키(function key) 입력모드에서는 ‘F1키' 로 설정된다.
여기서 기능키 입력모드는 상기 제1화면(300)상의 특정위치에 구비되는 기능키 입력모드 진입키(Fn;350)를 한번 누름(활성화)에 의해 설정되고, 이후 한번 더 누룸(비활성화)에 의해 해제되게 된다. 이하 같다
상기 제1입력키에 인접되는 제2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ㄷ' 'ㄹ' 'ㄸ', 영문입력모드에서는 'D' 'E' 'F', 숫자입력모드에서는 ‘2’이 입력되도록 설정된다. 또한,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2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2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3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ㅁ' 'ㅂ' 'ㅃ', 영문입력모드에서는 'G' 'H' 'I', 숫자입력모드에서는 ‘3’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3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3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4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ㅅ' 'ㅇ' 'ㅆ', 영문입력모드에서는 'J' 'K' 'L', 숫자입력모드에서는 ‘4’가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4키' 로 설정된다.
상기 제4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5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ㅈ' 'ㅊ’ 'ㅉ', 영문입력모드에서는 'M' 'N' 'O', 숫자입력모드에서는 ‘5’가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5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5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6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ㅋ' 'ㅌ ', 영문입력모드에서는 'P' 'Q' 'R', 숫자입력모드에서는 ‘6’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6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6입력키에 인접되는 제7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ㅍ' 'ㅎ', 영문입력모드에서는 'S' 'T' 'U', 숫자입력모드에서는 ‘7’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7 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7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8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ㅡ', 영문입력모드에서는 'V' 'W' 'X', 숫자입력모드에서는 ‘8’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8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8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9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ㅣ', 영문입력모드에서는 'Y' 'Z', 숫자입력모드에서는 ‘9’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9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9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10입력키는 숫자입력모드에서는 ‘0’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10키' 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10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11입력키는 한글, 영문, 숫자입력모드에서는 'Caps Lock 키',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1키' 으로 설정되며, 상기 제11입력키에 인접배치되는 제12입력키는 한글, 영문, 숫자입력모드에서는 'Scroll Lock',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2키' 로 설정된다.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에 배치되는 복수의 입력키들은 단축키모드에서는 상기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의 입력값들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키로 설정이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입력값들이 하나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동시에 입력이 가능한 단축키로써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입력유닛부(410)는 상기 제1표면(300)과는 일정단차를 가지는 제2표면(400)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3입력유닛부(410)는, 상기 복수의 입력키들이 배치된 원형의 중앙부위에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클릭(누룸)이 가능한 구조로 제2스틱(420)이 배치되게 된다. 즉 상기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고, 원형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2스틱(420)을 감싸는 구조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입력유닛부(410)는, ‘Print/) 키’, 상측이동(↑)/* 키, ‘-/_ 키’, ‘우측이동(→)/+’ 키, ‘마우스 오른쪽 버튼기능키/= 키’, ‘하측이동(↓)// 키’, ‘마우스 왼쪽버튼기능키/:키’, ‘좌측이동(←)/( 키’로 기능하는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2스틱을 감싸는 구조로 원형으로 배열된다.
또한 상기 제2스틱(420)은 상하좌우를 포함하는 다방향 움직임을 통해 마우스 커서를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2스틱(420)은 둥글게 돌출된 형태 또는 막대모양을 가지나 이와 달리 다양한 형태의 모양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입력유닛부(410)은 키보드/ 마우스 모드에서 커서의 상하좌우 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입력유닛부(410)는 특히 상기 제2스틱(420), 상기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키, 및 상기 마우스 왼쪽버튼 기능키를 이용하여 종래의 마우스를 대체하거나 보조할 수 있다.
단축키 모드에서는 상기 제3입력유닛부(410)를 구성하는 복수의 입력키들, 및 상기 제2스틱(420)은 상기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의 입력값들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키로 설정이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입력값들이 하나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동시에 입력이 가능한 단축키로써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악파일 재생이나 동영상 재생, TV 시청의 경우에 볼륨조절, 채널변경, 재생(play), 스탑(stop)버튼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스틱(420)은 게임프로그램에 적용하는 경우 조이스틱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음악의 재생이나 동영상 재생시에 상기 제2스틱(420)의 누름은 재생 및 일시정지기능,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 움직임의 경우, 스탑(stop)기능, 빨리 앞으로 감기기능, 뒤로 빨리 감기기능, 음소거기능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입력유닛부(310,320,410)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 상기 제1스틱(315), 및 제2스틱(420)은 엄지손가락을 통한 터치 또는 움직임을 통해 입력값들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4입력유닛부(150)는 상기 파지부(100)의 측면 특정부위에 복수의 입력키들(L1,L2,L3,R1,R2,R3)이 일정간격을 가지며 배열된다. 상기 복수의 입력키들(L1,L2,L3,R1,R2,R3)은 상기 파지부(100)를 감싸는 적어도 3개의 손가락들의 끝부분위치에 인접되도록 2열3행구조로 배열된다.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상기 제4입력유닛부(150)는 ‘Shift키(L1)', 'Space키(L2)',’Tab키(L3)',‘Ctrl키(R1)’,‘Alt키(R2)’,‘Enter키(R3)’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Shift키가 ‘L1키’에 대응되고, 'Space키’가 ‘L2키’에 대응되고, ‘Tab키’가 ‘L3키',‘Ctrl키’가 ‘R1키’,‘Alt키’가 ‘R2’키,‘Enter키 ’카 ‘R3키’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사용자의 요구 또는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Shift키', 'Space키', ’Tab키',‘Ctrl키’,‘Alt키’,‘Enter키’를 'L1,L2,L3,R1,R2,R3' 키들에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Shift키’의 경우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L1,L2,L3,R1,R2,R3' 키들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Space키', ’Tab키',‘Ctrl키’,‘Alt키’,‘Enter키’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는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설정키를 변경하고자 하는 것으로, 별도의 설정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는 제4입력유닛부(150)의 경우만 가능하도록 설정되나 다른 입력유닛부의 경우도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축키 모드에서 상기 제4입력유닛부(150)를 구성하는 복수의 입력키들(L1,L2,L3,R1,R2,R3)은 상기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의 입력값들과는 상관없이,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키로 설정이 가능하며, 두 개 이상의 입력값들이 하나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동시에 입력이 가능한 단축키로써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제1 및 제2입력유닛부(310,320) 배치부위를 제외한 상기 제1표면(300)의 특정 가장자리부위에, 입력모드의 표시를 위해 액정표시부(500)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측면부분(예를 들면 오른쪽 측면부분)에 키보드/마우스 모드와 단축키모드의 선택을 위한 모드변환키(도 3의 460), 및 전원 온/오프 키(4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변환키(460)는 상기 키보드/마우스 모드와 단축키모드이외에 시계모드와 계산기 모드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변 환시키는 가능하다. 시계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액정표시부(500)에 시간이 표시되게되며, 계산기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액정표시부(500)에 계산을 위한 입력값 및 계산값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스틱(315)를 이용하여 한글, 영문, 숫자 등의 입력모드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모드가 상기 액정표시부(50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부(500)에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키보드/마우스모드, 단축키모드, 시계모드, 계산기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해당모드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5입력유닛부(360)에는 상기 액정표시부(500)와 인접되는 부위의 상기 제1표면(300)상에 ‘Esc키’,‘한자변환키’와, ‘<’, ‘>’.‘[’,‘]’,‘?’,‘~’,‘·’,‘.’,‘,’,‘:’,‘;’,‘“’를 포함하는 일부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해 복수의 입력키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5입력유닛부(360)는 상기 액정표시부(500)와 상기 제1표면(300)이 만나는 부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일자형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단축키 모드에서 사용되며, 상기 제2표면(400)상의 특정부위에 배치되는 자동키(450)를 구비한다. 상기 자동키(45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단축키 모드에 대한 설명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치구조를 가지는 통합형 입력장치를 이용한 한글, 영문 숫자 입력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영문이나 숫자 입력방식은 일반적인 종래의 키보드 입력방식보다는,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영문 및 숫자입력방식과 유사하다.
숫자의 경우에는 상기 제1스틱(315)를 이용하여 숫자입력모드로 변환시킨후,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입력하면된다. 예를 들어, 숫자 ‘1’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제1입력키를 누름으로써 가능하다.
영문의 경우에는 하나의 입력키에 두 개 또는 세 개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입력키를 누르는 횟수에 대응하여 입력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제1입력키를 이용하여, 영어 알파벳 'C'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제1입력키를 세 번 연속적으로 누름으로써 가능하다. 알파벳 ‘B’의 경우에는 두 번 연속적인 누름으로써 가능하고, ‘A'의 경우에는 한번 누름으로써 가능하다. 영어 대문자나 소문자는 제4입력유닛부(150)의 Shift 키(L1)를 통해 구분 입력이 가능하다. 대문자만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제11입력키의 Caps lock 키를 이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키보드의 경우와 동일하다.
한글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휴대폰 등의 모바일 기기와는 입력방식이 전혀 다르다. 물론 그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배치구조도 전혀 다른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어 ‘짱구’라는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에, 제4입력유닛부(150)의 Shift 키(L1)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제5입력키를 누르면 쌍자음‘ㅉ'이 입력되고, 이후에 상기 제1입력유닛부(310)의 제1스틱(315)을 우측으로 움직이면, 모음 'ㅏ’가 입력되어 ‘짜’가 입력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제4입력키를 한번 누르면 ‘ㅇ’이 입력되어 ‘짱’ 자가 완성되게 된다. 이후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제1입력키를 한번누르면 ‘ㄱ’이 입력되 고, 상기 제1스틱(315)를 하방향(아래)로 움직이면 모음‘ㅜ’가 입력되어 ‘구’자가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단축키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축키를 사용하고자 하면, 단축키가 대응되는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맞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즉 게임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게임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데 편리하도록 단축키가 설정되어야 하며, 포토샵이나 파워포인트 등의 소프트 웨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이들 소프트웨어의 사용에 편리하도록 단축키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별도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함께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이상의 입력값을 단축키로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단축키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본체에 단축키 설정을 위한 키맵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키맵 설정화면에 따라 단축키를 설정하게 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맵 즉 단축키를 설정하고자 하는 대상 프로그램을 등록한다. 도 6를 도면 Kmplayer, internet explorer, powerpoint gomplayer, photoshop, 3ds max 등의 대상프로그램들이 등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고 단축키가 필요한 프로그램을 등록할 수 있다.
프로그램을 등록하거나 등록된 프로그램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도록 단축키 설정화면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게 된다. 도 7에서 기능설명부분은 해당단축키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간단하게 제목이나 기능요약을 기재하는 란이며 단축키 부분은 해당 단축키의 입력값이 기재된다.
기능설명란이나 단축키를 기재하는 공간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모양의 화상키보드가 본체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나게된다. 화상키보드에 마우스를 이용하여 글자판을 눌러주고 입력을 누르고 저장을 하게 되면 해당 입력키가 단축키로써 설정되게 된다. 일반키보드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이용해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경설정을 통하여 자동키(도 1의 450)의 활성화여부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자동키(450)는 활성화 되는 경우 키맵프로그램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 자동으로 해당프로그램의 단축키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자동키(450)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의 제2표면(400)의 특정부위에 배치된다.
상기 자동키(450)가 활성화되면,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본체의 구동소프트웨어가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소프트웨어에 필요한 입력값들을 입력하기 위한 단축키로 변경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자동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가능하다. 이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에서 무선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본체에서 수신하고, 상기 본체의 구동 소프트웨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구동소프트웨어의 신호가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에 전송되도록 함에 의해 가능할 수 있 다. 상기 구동소프트웨어 신호는 상기 단축키의 설정시에 함께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축키 모드 실행여부를 물어보도록 하는 설정을 통해 키보드 모드 상태에서 키맵에 등록된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해당프로그램의 단축키 모드로 변경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으며, 키맵모드에서 설정된 단축키의 입력값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등의 설정을 할 수 있다.
도 10은 제3입력유닛부(410)를 통해 Alsong 프로그램을 위한 단축키로써의 설정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키가 많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부 입력유닛부만을 사용하여 단축키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를 구비함에 의해, 종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대체하거나 보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수의 프로그램에서 필요한 단축키로써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합형 입력장치는 도면에서 왼손으로 파지하여 입력 가능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 경우에 따라서 오른손으로 파지하여 입력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 받침부, 제1내지 제5입력유닛부의 배치구조를 대응하여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은 입력모드에 따라 해당 입력모드에 대응되어 설정된 입력값 만이 표시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입력유닛부(320)의 제1입력키는 숫자모드에서는 숫자 ‘1’만 이 표시되고,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ㄱ’,‘ㄴ' 만이 표시되고, 영문입력모드에서는 ’A,B,C' 만이 표시되고,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 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축키 모드에서는 해당 단축키 입력값(예를 들면, play)만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1의 단축키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화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파지부 200 : 받침부
300 : 제1표면 310 ; 제1입력유닛부
320 : 제2입력유닛부 410 : 제3입력유닛부
150 : 제4입력유닛부 360 : 제5입력유닛부
500 : 액정표시부

Claims (15)

  1.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에 있어서:
    둥근형상으로 일정곡률을 가지며, 하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길이 이상 연장되는 형태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에서 연장되어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는 받침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표면상의 일정부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제1입력유닛부와;
    상기 제1표면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입력유닛부의 일부를 감싸면서 일정곡선을 이루며 배열되는 제2입력유닛부와;
    상기 제1표면과는 일정단차를 가지는 제2표면상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원형으로 배열되는 제3입력유닛부와;
    상기 파지부의 측면 특정부위에 복수의 입력키들이 일정간격을 가지며 배열되는 제4입력유닛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유닛부는, 중앙부위에 상하좌우 움직임이 가능하고 클릭(누룸)이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는 제1스틱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3입력유닛부는, 중앙부위에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클릭(누룸)이 가능한 구조로 배치되는 제2스틱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측면부분에 키보드/마우스 모드와 단축키모드의 선택을 위한 모드변환키 및 전원 온/오프 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제1 및 제2입력유닛부 배치부위를 제외한 상기 제1표면상의 특정부위에, 입력모드의 표시를 위해 배치되는 액정표시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유닛부는, 적어도 제1 내지 제12 입력키들이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제1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ㄱ' 'ㄴ' 'ㄲ', 영문입력모드에서는 'A' 'B' 'C', 숫자입력모드에서는 ‘1’이 입력 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function key)입력모드에서는 ‘F1키' 로 설정되며, 제2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ㄷ' 'ㄹ' 'ㄸ', 영문입력모드에서는 'D' 'E' 'F', 숫자입력모드에서는 ‘2’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2키' 으로 설정되며, 제3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ㅁ' 'ㅂ' 'ㅃ', 영문입력모드에서는 'G' 'H' 'I', 숫자입력모드에서는 ‘3’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3키' 으로 설정되며, 제4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ㅅ' 'ㅇ' 'ㅆ', 영문입력모드에서는 'J' 'K' 'L', 숫자입력모드에서는 ‘4’가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4키' 로 설정되며, 제5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ㅈ' 'ㅊ’ 'ㅉ', 영문입력모드에서는 'M' 'N' 'O', 숫자입력모드에서는 ‘5’가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5키' 으로 설정되며, 제6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ㅋ' 'ㅌ', 영문입력모드에서는 'P' 'Q' 'R', 숫자입력모드에서는 ‘6’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6키' 으로 설정되며, 제7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ㅍ' 'ㅎ', 영문입력모드에서는 'S' 'T' 'U', 숫자입력모드에서는 ‘7’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7 키' 으로 설정되며, 제8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ㅡ', 영문입력모드에서는 'V' 'W' 'X', 숫자입력모드에서는 ‘8’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8키' 으로 설정되며, 제9입력키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ㅣ', 영문입력모드에서는 'Y' 'Z', 숫자입력모드에서는 ‘9’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9키' 으로 설정되며, 제10입력키는 숫자입력모드에서는 ‘0’이 입력되도록 설정되고, 기능키입력모드에서는 ‘F10키' 으로 설정되며, 제11입력 키는 한글, 영문, 숫자입력모드에서는 'Caps Lock 키',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1키' 으로 설정되며, 제12입력키는 한글, 영문, 숫자입력모드에서는 'Scroll Lock',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F12키' 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상기 제1입력유닛부는, ‘Insert/! 키', ‘Home/@ 키’, ‘End/# 키’, 'Page Up/$ 키’, ‘Page Dn/% 키’, ‘BS(← )/^ 키’, 'Del/& 키’, ‘인터넷접속키’로 기능하는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1스틱을 감싸는 구조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스틱은 클릭 횟수에 따라, 한글입력모드, 영문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설정되고, 한글입력모드에서 상하좌우움직임을 통해 ‘ㅏ,ㅑ,ㅓ,ㅕ,ㅗ,ㅛ,ㅜ,ㅠ’가 입력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능키 입력모드는 상기 제1표면상에 구비되는 별도의 기능키 입력모드 진입키를 통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입력유닛부는, ‘Print/) 키’, 상측이동(↑)/* 키, ‘-/_ 키’, ‘우측이동(→)/+’ 키, ‘마우스 오른쪽 버튼기능키/= 키’, ‘하측이동(↓)// 키’, ‘마우스 왼쪽버튼기능키/:키’, ‘좌측이동(←)/( 키’로 기능하는 복수의 입력키들이 상기 제2스틱을 감싸는 구조로 원형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2스틱은 상하좌우를 포함하는 다방향 움직임을 통해 마우스 커서를 상하좌우를 포함한 다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의해 감싸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입력유닛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 상기 제1스틱, 및 제2스틱은 엄지손가락을 통한 터치 또는 움직임을 통해 입력값들을 입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4입력유닛부는 ‘Shift키', 'Space키',’Tab키',‘Ctrl키’,‘Alt키 ’,‘Enter키’가, 2열 3행구조로 상기 파지부를 감싸는 적어도 3개의 손가락들의 끝부분 위치에 인접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는, 상기 액정표시부와 인접되는 부위의 상기 제1표면상에 ‘Esc키’,‘한자변환키’와, ‘<’, ‘>’.‘[’,‘]’,‘?’,‘~’,‘·’,‘.’,‘,’,‘:’,‘;’,‘“’를 포함하는 일부 특수문자의 입력을 위한 복수의 입력키들이 배치되는 제5입력유닛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입력유닛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입력키들 각각의 표면에는 한글입력모드에서는 한글만이 표시되고, 영문입력모드에서는 영문만이 표시되고, 숫자입력모드에서는 숫자만이 표시되고, 기능키 입력모드에서는 기능키만이 표시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13. 청구항 3에 있어서,
    단축키 모드에서는, 복수의 입력키를 통해 키보드/마우스 모드에서 입력이 가능한 입력값들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입력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입력유닛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키가 별도의 키맵프로그램을 통해 종류별로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로써 설정되며, 상기 단축키모드에서는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상기 입력값들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는,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의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본체에서 사용되는 관련 소프트웨어들 각각에 필요한 입력값들에 대한 단축키로써, 각각의 소프트웨어별로 별도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본체의 구동소프트웨어가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소프트웨어에 필요한 입력값들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로 변경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입력장치.
KR1020090018421A 2009-03-04 2009-03-04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KR20100099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421A KR20100099867A (ko) 2009-03-04 2009-03-04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421A KR20100099867A (ko) 2009-03-04 2009-03-04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867A true KR20100099867A (ko) 2010-09-15

Family

ID=4300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421A KR20100099867A (ko) 2009-03-04 2009-03-04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98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88B1 (ko) * 2020-03-09 2021-05-14 서원석 키보드 입력을 이용한 rfid 리더의 펌웨어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388B1 (ko) * 2020-03-09 2021-05-14 서원석 키보드 입력을 이용한 rfid 리더의 펌웨어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2725B1 (ko)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840560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10141027A1 (en) Data entry system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EP2577430A1 (en)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BRPI0617061A2 (pt) teclado portátil
KR20140073196A (ko)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US9063642B2 (en) Text entry device and method
KR20130011936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프로그램
KR101599227B1 (ko)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용 면촉 자판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JP4944267B1 (ja) 選択肢選択・文字入力装置、選択肢選択・文字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00099867A (ko) 한손으로 파지 및 입력이 가능한 통합형 입력장치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4741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JPH11327762A (ja) マウス機能付きキー入力装置
EP2799954B1 (en) Portable terminal
Hirche et al. Adaptive interface for text input on large-scale interactive surfaces
KR20090047257A (ko)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JP2008123114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4229528B2 (ja) キー入力装置
KR20200006714A (ko) 16키 한글 통일 자판
KR20140001016A (ko) 터치 디스플레이 상의 드레그에 기반하여 입력 문자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70162A (ko) 한 손 키보드
KR101139955B1 (ko) 한글 자음 배열 및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