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234A -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234A
KR20100013234A KR1020080114080A KR20080114080A KR20100013234A KR 20100013234 A KR20100013234 A KR 20100013234A KR 1020080114080 A KR1020080114080 A KR 1020080114080A KR 20080114080 A KR20080114080 A KR 20080114080A KR 20100013234 A KR20100013234 A KR 20100013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creen
numbers
symbols
let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6948B1 (ko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듀얼로그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듀얼로그, 김명수 filed Critical (주)듀얼로그
Publication of KR20100013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 좌, 우, 중앙(5방향)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를 할당한 후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등으로 쉽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개별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으면,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 제 1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위치에 따라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온스크린 방향키, 좌향키, 우향키, 중앙키, 문자입력, 입력모드

Description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ON-SCREEN DIRECTION KEY }
본 발명은 컴퓨터(PC)나 PMP,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시스템에서 온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 좌, 우, 중앙의 5방향의 온스크린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를 할당한 후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등으로 쉽게 문자(혹은 숫자나 기호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리모콘 등과 같이 숫자 키(KEY, 혹은 버튼)와 방향키가 함께 있는 경우에는 통상 키가 많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한글문자를 입력하고, 이와 같이 숫자키에 문자를 할당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숫자키가 없고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키만 있는 MP3, PSP, 디카,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장치에서의 문자 입력은 방향키의 숫자가 적기 때 문에 구현이 어려웠다.
현재까지 알려진 방향키를 이용한 일반적인 문자입력방식은 입력할 문자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후 검색을 통해 일련의 문자들을 표시한 후 방향키로 커서를 이동하여 선택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또한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에 문자가 표시된 키보드 형상의 이미지를 띄워 놓고 마우스나 터치 펜 등으로 버튼을 클릭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온스크린 키보드 방식도 알려져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방식은 입력할 문자를 찾기까지 검색과 커서 이동을 위해 다수의 조작을 거쳐야 하므로 문자 입력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스크린 키보드는 자판 이미지가 크기 때문에 화면을 가려 화면의 내용을 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웹 서핑 중에 웹 페이지 화면에 검색어와 같은 문자를 입력해야 할 경우에 종래의 온스크린 키보드는 웹 페이지 내용을 보지 못하게 함으로써 사용이 불편함과 아울러 화면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 하, 좌, 우, 중앙의 5방향의 온스크린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등을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입력할 방향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한두번의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등으로 쉽게 문자(혹은 숫자나 기호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개별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으면,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 제 1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위치에 따라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코드가 저장된 코드 테이블;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수단을 통해 첫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개별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방향키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두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 중에서 대응하는 방향의 하나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여 상기 코드 테이블의 해당 코드를 출력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시키고, 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택수단은,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중앙키(C)로 이루어진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혹은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 좌, 우, 중앙으로 이루어진 5 방향키나 이미지 형태의 온스크린 방향키에서 각 개별 방향키에 3 내지 5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기능 등을 할당한 후 해당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개별 방향키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표시함으로써 매우 쉽고 신속하게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작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도 표시가 용이한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터치나 클릭 혹은 드래그 방식으로 조작하므로 휴대용 전자제품(휴대폰, PMP, 웹 컴퓨터 등)의 문자 입력수단으로 적합하고, 컴퓨터나 노트북 등의 경우에도 모니터 화면의 극히 일부에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할 수 있어 다른 화면을 가리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의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원모양의 방향키의 예이고 (b)는 사각형모양의 방향키의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좌, 우, 중앙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5방향에 맞춰 배치된 5개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온스크린 방향키(10)는 중앙에 위치한 중앙키(C)를 중심으로 위에 배치된 상향키(U)와, 아래에 배치된 하향키(D), 좌측에 배치된 좌향키(L), 우측에 배치된 우향키(R)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10)의 각 개별 방향키(U,D,L,R,C)에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개의 입력할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어오기 위한 기능이나 대문자-소문자 변환 등과 같은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가 할당되는데, 각 개별 방향키(U,D,L,R,C)에 할당된 3 내지 5개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는 입력할 개별 방향키(U,D,L,R,C)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갖도록 배치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스크린 방향키(10)에 표시된 문자들의 위치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게 원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3개의 문자(또는 숫자 혹은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개별 방향키(U,D,L,R,C)에 4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이며, 도 7은 개별 방향키(U,D,L,R,C)에 5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이고, 도 8은 입력할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의 종류가가 많은 경우 서로 다른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가 할당된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는 예이다. 각 개별 방향키(U,D,L,R,C)에는 문자나 숫자, 기호, 도형 혹은 기능 등이 할당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문자'로 통칭하기로 한다.
[3문자 할당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상향키(U)와 하향키(D)에 수평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좌향키(U), 중앙키(C), 우향키(R)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좌향키(L)와 우향키(R)에 수직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향키(U), 중앙키(C), 하향키(D)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향키(U)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되어 있고, 하향키(D)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키(U)에서 좌측에 위치한 "a"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향키(U)'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상향키(U)에서 중앙에 표시된 "b"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향키(U)'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향키(U)에서 우측에 표시된 "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향키(U)'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클릭'은 마우스나 방향키를 이용한 버튼조작을 포함하고, '터치'는 터치패널(터치스크린)이 설치된 경우에 손이나 도구를 이용한 접촉을 포함하며, '드래그'는 마우스나 손 혹은 도구를 이용한 드래그 조작을 포함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향키(D)에서 "1"은 하향키(D)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2"는 하향키(D)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3"은 하향키(D)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좌향키(L)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되어 있고, 우향키(R)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좌향키(L)에서 상측에 위치한 "a"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향키(L)'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좌향키(L)에서 중앙에 표시된 "b"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향키(L)'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좌향키(L)에서 하측에 표시된 "c"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향키(L)'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우향키(R)에서 "1"은 우향키(R)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2"는 우향키(R)와 중앙키(C)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중앙키(C)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3"은 우향키(R)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4문자 할당 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상향키와 하향키에 수평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함과 아울러 하측 혹은 상측에 1개의 문자를 더 배치하여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좌,중,우향키와 하향키 혹은 상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4 문자 배치의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좌향키와 우향키에 수직방향으로 3개의 문자를 배치함과 아 울러 우 혹은 좌측에 1개의 문자를 더 배치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열된 상,중,하향키와 우향키 혹은 좌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4 문자 배치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향키(U)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평라인의 하측에 "d"가 표시되어 있고, 하향키(D)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평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평라인의 상측에 "4"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향키(U)의 "a,b,c"는 앞서 설명한 3문자 할당방식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좌향키와, 중앙키, 및 우향키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향키(U)에서 수평으로 배열된 "a,b,c" 라인의 하측에 표시된 "d"는 상향키(U)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상향키(U)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하향키(D)에서 수평으로 배열된 "1,2,3" 라인의 상측에 표시된 "d"는 하향키(D)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하향키(D)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좌향키(L)에는 "a,b,c"가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직라인의 우측에 "d"가 표시되어 있고, 우향키(R)에는 "1,2,3"이 할당되어 수직으로 표시됨과 아울러 그 수직라인의 좌측에 "4"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좌향키(L)의 "a,b,c"는 앞서 설명한 3문자 할당방식과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으므로 동일하게 상향키와, 중앙키, 및 하향키로 입력한다.
그리고 좌향키(L)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a,b,c" 라인의 우측에 표시된 "d"는 좌향키(L)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좌향키(L)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 함으로써 입력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우향키(R)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1,2,3" 라인의 좌측에 표시된 "4"는 우향키(R)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우향키(R)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키의 4방향에 4개의 문자를 배치한 후 상,하,좌,우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4 문자 배치의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중앙키(C)에는 상,하,좌,우에 따라 4방향으로 문자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에 표시된 "a"는 중앙키(C)와 상향키(U)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좌측에 표시된 "b"는 중앙키(C)와 좌향키(L)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좌향키(L)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하측에 표시된 "c"는 중앙키(C)와 하향키(D)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하향키(D)로 드래그하여 입력하고, 우측에 표시된 "d"는 중앙키(C)와 우향키(R)를 클릭하거나 터치 혹은 중앙키(C)에서 우향키(R)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앞서 설명을 생략한 중앙키(C)에 3문자를 할당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4방향 중 3방향에만 문자를 표시하여 입력한다.
[5문자 할당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각 개별 방향키에 5방향키에 대응하여 5개의 문자를 배치하여 해당 개별 방향키로 하나의 문자를 선택하는 5 문자 배치의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각 개별 방향키(U,D,L,R,C)에는 5개의 문자가 할당되어 있고, 5개의 문자는 상,하,좌,우,중앙으로 배치되어 표시되고 있다. 따라서 5문자 중 에서 4문자는 앞서 4문자 할당방식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고, 나머지 1문자는 문자가 표시된 개별 방향키와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문자이므로 해당 개별 방향키를 두번 클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한다.
예컨대, 상향키(U)에서 수평라인 상측에 표시된 문자는 상향키(U)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한다. 동일한 방식으로 좌향키(L)에서 수직라인 좌측에 표시된 문자는 좌향키(L)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하며, 중앙키(C)에서 중앙에 표시된 문자는 중앙키(C)를 더블 클릭하거나 터치하여 입력한다. 하향키(D)와 우향키(R)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5번째 문자는 하향키(D)나 우향키(R)를 더블 클릭하여 입력한다.
이와 같이 5개의 개별 방향키(U,D,L,R,C)에 5개의 문자를 배치할 경우 최대 25종류의 문자나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데, 그 이상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하거나 입력모드에 따라 분할하는 편이 인식하기 용이할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가 할당된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여 다수의 문자나 입력모드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10-1~10-4)가 채택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만을 표시한 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가 할당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와 원하는 문자 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다른 방향키를 불러오기 위해서는 현재 표시된 5개의 개별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기 위한 호출기능으로 사용한다. 도 8에서 'm1'은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에서 상향키(U)를 클릭하면 제2 온스크린 방향키(10-2)가 호출되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고, 'm2'는 제2 온스크린 방향키(10-2)에서 상향키(U)를 클릭하면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로 복귀하는 것을 나타낸다. 'm3'은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에서 중앙키(C)를 클릭하면 제3 온스크린 방향키(10-3)로 점프하는 것을 나타내고, 'm4'는 제3 온스크린 방향키(10-3)에서 제4 온스크린 방향키(10-4)로 점프하는 것을 나타내며, 'm5'는 제4 온스크린 방향키(10-4)에서 제1 온스크린 방향키(10-1)로 점프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현재 표시되는 온스크린 방향키에서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호출하는 방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 특히 입력모드에 따라 편리하게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온스크린 방향키를 기본으로 하여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로 이동한 후 자동으로 기본 온스크린 방향키로 복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들에 구현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예이며, 도 11은 컴퓨터 화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적용한 예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방향키에 문자를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S1)와, 방향성을 갖고 문자가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 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S2)와,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와,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가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S4)와,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가 있으면 입력할 문자가 있는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S5)와, 선택된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의 위치에 따라 해당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S6)와,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는 단계(S7)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가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23)와, 디스플레이장치(23)에 표시된 각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온스크린 방향키(10)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코드가 저장된 코드 테이블과, 디스플레이장치(23)에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하고 선택수단을 통해 첫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개별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방향키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두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 중에서 대응하는 방향의 하나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여 코드 테이블의 해당 코드를 출력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시키는 제어부(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선택수단은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중앙 키(C)로 이루어진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방향키 버튼(21)이나 터치 스크린(24,24) 혹은 마우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22)는 LCD 디스플레이장치(23)에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방향키(21)나 터치 스크린(24)과 터치 스크린 구동부(25)를 통해 개별 방향키의 선택을 입력받아 해당 문자의 코드를 문자처리부(26)로 전달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컴퓨터 화면상에 구현하여 웹 서비스를 이용하는 예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본체(33)에 키보드(31)와 마우스(32), 모니터(34)가 연결되어 있고, 모니터의 화면(38)에는 온스크린 방향키(10)가 표시되고 있다. 컴퓨터 본체(33)는 모뎀(35)을 통해 네트워크(36)에 접속되며, 웹 브라우저 등을 구동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웹 사이트(37)들을 접속할 수 있고, 웹 페이지 화면(38)에서 온스크린 방향키(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온스크린 방향키(10)에서 5개의 개별 방향키는 통상 마우스(32)로 선택하는데, 선택되기 전에 모든 키는 밝은 상태로 표시되다가 마우스(32)가 위치하여 선택될 키는 어둡게 하여 선택될 키를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택된 개별 방향키들을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는 입력모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데, 입력모드를 영문모드와 한글모드, 일본어 모드 등으로 구분할 경우에 영문모드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와 같이 4종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정의하여 영문(소문자/대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필요시 소문자-대문자 변 환 기능을 정의하여 소문자 입력 후 대문자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한글모드에서는 도 16 내지 도 20과 같이 5종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정의하여 한글, 영문(소문자/대문자),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영문모드]
도 12 내지 도 15는 영문모드에서 영문과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이다. 도 12에서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및 중앙키(C)로 이루어지는데, 각 방향키를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참조부호는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온스크린 방향키(10)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창(40)이 있고, 입력내용을 모두 지워버리기 위한 클리어(CLEAR) 버튼(42), 문자입력방식을 안내하는 헬프(HELP)버튼(44), 온스크린 방향키(10)를 종료시키기 위한 클로즈(CLOSE) 버튼(46)이 표시되어 있다. 도 12의 온스크린 방향키(10)에서 중앙키(C)를 클릭하면 도 13의 온스크린 방향키가 호출되고, 상향키(U)를 순차적으로 클릭하면 도 14 및 도 15의 온스크린 방향키가 순차적으로 호출된다. 각 온스크린 방향키를 보고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동일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2번 드래그하는 대신에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함으로써 2회 드래그하여 입력할 문자를 1회의 드래그로 입력할 수 있다. 예컨대, "aa"를 입력할 경우에 '상향키(U) + 좌향키(L)'를 2회 드래그하여 입력하는 대신에 '상향키(U) + 좌향키(L) + 상향키(U)'로 이어서 드래그함으로 써 보다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한글모드]
도 16 내지 도 20은 한글모드에서 한글과 영문,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온스크린 방향키(10)와 함께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문자 표시창(40)이 있고, 입력내용을 모두 지워버리기 위한 지우기 버튼(42), 문자입력방식을 안내하는 도움말 버튼(44), 온스크린 방향키(10)를 종료시키기 위한 닫기 버튼(46)이 표시되어 있다. 도 16의 온스크린 방향키에서 표시된 자음이나 모음의 입력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다만, 자음중에서 쌍자음은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함으로써 입력하며, 모음 중에서 "ㅠ"와 같은 복모음은 "ㅜ"와 같은 해당 단모음을 2회 입력하는 방식(혹은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하는 방식)으로 입력하고, "ㅡ"는 좌향키로부터 우향키로 드래그하여 입력하며, "ㅣ"는 상향키로부터 하향키로 드래그하여 입력한다.
예컨대, 도 16에서 자음 "ㄱ"은 '상향키(U) + 좌향키(L)'로 입력하고, 쌍자음 "ㄲ"은 상향키(U)로부터 좌향키(L)로 드래그한 후 이어서 좌향키(L)에서 다시 상향키(U)로 복귀하는 '상향키(U) + 좌향키(L) + 상향키(U)'를 드래그하여 쉽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단모음 "ㅗ"는 '중앙키(C) + 상향키(U)'로 입력하고, 복모음 "ㅛ"는 '중앙키(C) + 상향키(U)'를 2회 입력하거나 중앙키(C)에서 상향키(U)로 드래그한 후 다시 중앙키(C)로 복귀하는 '중앙키(C)+상향키(U)+중앙키(C)'를 드래그 하여 입력한다.
[일본어 온스크린 방형키의 예]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일본어를 입력할 경우 온스크린 방향키 화면의 예이다. 일본어의 경우도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등을 5개의 개별 방향키에 할당한 후 앞서 설명한 한글 입력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문자가 한글과 영문자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일본어 문자나 그리스어 문자, 로마자, 러시아어 문자, 아랍어 문자 등 다양한 다른 언어의 문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로 이루어진 온스크린 방향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3개의 문자(또는 숫자 혹은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4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개별 방향키(U,D,L,R,C)에 5개의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를 각각 할당한 예,
도 8은 입력할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의 종류가가 많은 경우 서로 다른 문자(또는 숫자나 기호)가 할당된 다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는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10은 휴대용 단말기들에 구현될 수 있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의 구성 예,
도 11은 컴퓨터 화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적용한 예,
도 12 내지 도 15는 영문모드에서 영문과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
도 16 내지 도 20은 한글모드에서 한글과 영문, 숫자, 기호 등을 입력하는 온스크린 방향키의 화면의 예,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일본어를 입력할 경우 온스크린 방향키 화면의 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1~10-4: 온스크린 방향키 20: 문자입력장치
21: 방향키 22: 제어부
23: 디스플레이장치 24: 터치 스크린
25: 터치스크린 구동부 26: 문자처리부
31: 키보드 32: 마우스
33: 컴퓨터 본체 34: 모니터
35: 모뎀 36: 네트워크
37: 웹 사이트

Claims (15)

  1. 개별 방향키에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할당하여 하나 이상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
    현재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에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없으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으면,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있는 제 1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 1 개별 방향키에 표시된 입력할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위치에 따라 5개의 개별 방향키 중에서 대응하는 하나의 제2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2개의 개별 방향키를 선택된 순서에 따라 클릭이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거나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향키 혹은 하향키에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 는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좌향키, 중앙키, 혹은 우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좌향키 혹은 우향키에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중앙키, 혹은 하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중앙키에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3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혹은 하향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향키 혹은 하향키에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 는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좌향키, 중앙키, 혹은 우향키에 의해 선택되고,
    나머지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평으로 배열된 3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하향 혹은 상향에 배치되어 하향키 혹은 상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좌향키 혹은 우향키에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
    3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중앙키, 혹은 하향키에 의해 선택되고,
    나머지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수직으로 배열된 3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의 우향 혹은 좌향에 배치되어 우향키 혹은 좌향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중앙키에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
    4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4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혹은 하향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는 단계는
    각 개별 방향키에 5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할당된 경우에는
    5개의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5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향키, 하향키, 좌향키, 하향키, 혹은 중앙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단계는
    5개의 개별 방향키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다른 온스크린 방향키를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입력모드에 따라 관련된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일련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 기호를 입력하는 단 계는 3개의 개별 방향키를 이어서 드래그함으로써 2회 드래그하여 입력할 문자를 1회의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방법은,
    한글 입력 모드인 경우 쌍자음이나 복모음은 제1 개별 방향키에서 제2 개별방향키로 드래그한 후, 다시 제1 개별 방향키로 복귀하여 1번의 드래그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방법은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전자기기나 컴퓨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14. 문자나 숫자, 기호 혹은 기능이 방향성을 갖고 배치된 5 방향의 개별 방향키들로 이루어진 하나의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된 온스크린 방향키의 각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
    상기 온스크린 방향키에 표시되는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코드가 저장된 코드 테이블;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온스크린 방향키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수단을 통해 첫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해당 개별 방향키에 할당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개별 방향키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의 배치 방향에 대응하는 두번째 개별 방향키가 입력되면, 선택된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 그룹 중에서 대응하는 방향의 하나의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선택하여 상기 코드 테이블의 해당 코드를 출력하여 문자나 숫자 혹은 기호를 입력시키고, 기능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은,
    상향키(U)와 하향키(D), 좌향키(L), 우향키(R), 중앙키(C)로 이루어진 개별 방향키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혹은 마우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KR1020080114080A 2008-07-30 2008-11-17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16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463 2008-07-30
KR20080074463 2008-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234A true KR20100013234A (ko) 2010-02-09
KR101016948B1 KR101016948B1 (ko) 2011-02-28

Family

ID=42087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4080A KR101016948B1 (ko) 2008-07-30 2008-11-17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376B1 (ko) * 2012-03-07 2014-02-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975A (ko) 2021-12-02 2023-06-09 주식회사 네임팬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758A (ko) * 2003-11-20 2005-05-25 지현진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805770B1 (ko) * 2006-08-16 2008-02-21 에이디반도체(주) 문자입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376B1 (ko) * 2012-03-07 2014-02-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948B1 (ko) 201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128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US6104317A (en) Data entry device and method
KR101441200B1 (ko) 유동형 자판을 제공하는 단말기 및 그의 유동형 자판 표시 방법
KR101350088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174190B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KR101589104B1 (ko) 키보드에 맵핑된 키보드 단축키들의 제공
CN101427202B (zh) 一种提高文字输入速度的处理方法和装置
US8381119B2 (en) Input device for pictographic languages
JP4501018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入力装置
US10387033B2 (en) Size reduction and utilization of software keyboards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67855A (ko) 텍스트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30113622A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95240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input by direction key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KR20130049842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016948B1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204151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장치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Hirche et al. Adaptive interface for text input on large-scale interactive surfaces
KR2015006210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JP7211481B2 (ja) 情報入力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EP2916200A2 (en) Semi-compact keyboard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