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2975A -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2975A
KR20230082975A KR1020210170991A KR20210170991A KR20230082975A KR 20230082975 A KR20230082975 A KR 20230082975A KR 1020210170991 A KR1020210170991 A KR 1020210170991A KR 20210170991 A KR20210170991 A KR 20210170991A KR 20230082975 A KR20230082975 A KR 20230082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s
key
input mode
cen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임팬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임팬, 김명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임팬
Priority to KR1020210170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2975A/ko
Publication of KR20230082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2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4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witches operable in different dir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하,좌,우,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 일본어,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한글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자모의 위치에 따른 한글 자모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알파벳의 위치에 따른 영문 알파벳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숫자나 특수문자의 위치에 따른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일본어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4 방향 키에 아(あ)단의 가나(かな)를 각각 할당하고 중앙 키에 이(い)단, 우(う)단, 에(え)단, 및 오(お)단의 모음변환 기능과 추가기능을 할당하여 일본어 문자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keys}
본 발명은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좌,우,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 일본어,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가전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과 직접 연결되는 TV를 이용하여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을 대형 화면으로 시청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TV 화면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인터넷상에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한글과 영문 등의 문자 입력이 필요한데, TV나 셋톱박스를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은 통상적으로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달리 키가 제한되어 문자입력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인은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만 있는 MP3, PSP, 디카,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장치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여 출원번호 제10-2006-0068567호로 출원한 후 등록번호 제10-0749137호로 등록받은 바 있고, '온스크린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을 발명하여 출원번호 제10-2008-0114080호로 출원한 후 등록번호 제10-1016948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은 한글입력만을 위한 것으로서 모든 키를 한글입력에 사용하므로 영어/숫자 등 다른 문자의 입력이나 백 스페이스, 모드변환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온스크린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은 터치스크린용으로서 리모컨과 같은 하드버튼에서는 화면을 구현할 수 없고, 기능 키를 위해서는 별도의 키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KR 10-0749137 B1 KR 10-1016948 B1
종래의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기술은 한글만 입력이 가능하거나 조작 방법이 복잡하여 TV를 이용하여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을 시청하기 위해 콘텐츠를 검색할 때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하,좌,우,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 일본어, 숫자, 특수문자, 및 기능키를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을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한글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자모의 위치에 따른 한글 자모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알파벳의 위치에 따른 영문 알파벳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숫자나 특수문자의 위치에 따른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 방향 키가 2회 터치되면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로 토글 변환하는 단계와,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에서 우 방향 키가 2회 터치되면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고,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다시 우 방향 키가 2회 터치되거나 상 방향 키가 2회 터치되면 문자 입력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글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우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하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동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영문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우측에 알파벳이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앙,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하측에 알파벳이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앙,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동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우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앙,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하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앙,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일본어뿐만 아니라 영문, 숫자 및 특수문자 등을 쉽고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일본어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가나의 위치와 모음변환에 위해 해당 가나를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알파벳의 위치에 따른 영문 알파벳을 입력받는 단계와,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숫자나 특수문자의 위치에 따른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본어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및 우측에 아단의 가나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우 방향 키의 순차 조작에 의해 해당 가나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및 하측에 아단의 가나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하 방향 키의 순차 조작에 의해 해당 가나가 선택되어 입력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이단, 우단, 에단, 및 오단의 모음변환 기능이 배치되어 아단의 가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이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단의 가나를 이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우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단의 가나를 우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며,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에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단의 가나를 에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오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단의 가나를 오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은 휴대폰이나 리모컨 등에 구현되어 5개의 하드웨어 버튼으로 한글이나 영문, 일본어, 숫자, 특수문자, 및 기능키 등을 편리하게 입력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신속하게 검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5 방향 키의 조작에 추가버튼 기능을 구비하여 확장성을 가질 수 있고, 특히 하나의 5 방향 키에 공통의 규칙을 적용하여 한글, 영문, 일본어, 숫자 등 각 문자를 하나의 자판 환경에서 모두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입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 온스크린 형태로 구현된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터치동작이나 드래그 동작으로 한글이나 영문, 숫자, 특수문자, 및 기능키 등을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 방향 키에 아단의 가나문자를 각각 할당하고 중앙 키에 이단, 우단, 에단, 오단의 모음변환 기능과 추가기능을 할당하여 일본어 문자도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향 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b는 도 1a와 같은 하드웨어 방향 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문자와 기호를 표시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 키의 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문과 특수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 키의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화면에 구현된 온스크린 방향 키의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 키에서 드래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본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 키의 예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향 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도 1a와 같은 하드웨어 방향 키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할당된 문자와 기호를 표시한 예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 키(1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키(C)와, 중앙 키(C)의 상측에 배치된 상 방향 키(U), 중앙 키(C)의 하측에 배치된 하 방향 키(D), 중앙 키(C)의 좌측에 배치된 좌 방향 키(L), 중앙 키(C)의 우측에 배치된 우 방향 키(R)와 같이 5개의 방향 키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5 방향 키(10)는 리모컨 등에 하드웨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스마트폰 화면 등과 같은 터치 스크린 위에 온스크린 화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모컨과 같은 하드웨어 방향 키에 적용될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5 방향 키(U,D,L,R,C)에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기능 키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문자와 기호들이 모두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 방향 키(U)를 '상', 하 방향 키(D)를 '하', 좌 방향 키(L)를 '좌', 우 방향 키(R)를 '우', 중앙 키(C)를 '중'으로 간단히 표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를 '한글 입력모드', '영문 입력모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로 구분하여 5방향 키(10)에 각각 문자나 숫자, 특수문자 등을 할당한 후 방향 키를 누르거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는 조작을 하여 할당된 문자나 숫자, 특수문자가 입력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 1과 같이 모드 변환이나 특수 조작을 위한 키 조작을 정의한다.
명 칭 키 표시 방향 키 조작 내 용
한글/영문 모드변환 가A 상상 상방향 키를 2회 누르면 한글모드와 영문모드가 토글 변환됨
숫자모드 모드변환 12 우우 우방향 키를 2회 누르면 숫자모드로 변환됨
스페이스
└┘
하하 하방향 키를 2회누르면 공백 입력됨
백 스페이스 좌좌 좌방향 키를 2회 누르면 백스페이스 입력됨
엔터 하하하하 하방향 키를 4회 누르면 엔터에 의해 줄바뀜
확장기능 + 중중 문자입력시 중앙 키를 2회 눌러 문자를 확장할 수 있음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상 방향 키(U)를 2회 터치하면 한글 입력모드와 영문 입력모드가 토글 방식으로 서로 전환된다.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로 문자 입력 중 우 방향 키(R)를 2회 터치하면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진입하여 숫자를 입력할 수 있고, 숫자/특수문자 입력이 끝나 우 방향 키(R)를 2회 터치하거나 상 방향 키(U)를 2회 터치하면 원래의 문자 입력 모드로 되돌아간다.
또한 하 방향 키(D)를 2회 터치하면 스페이스(Space)가 입력되고, 좌 방향 키(L)를 2회 입력하면 백 스페이스(Back Space)가 입력되며, 하 방향 키(D)를 4회 입력하면 엔터(Enter) 동작에 의해 줄 바뀜이 실행된다.
또한 문자 입력모드에서 중앙 키(C)를 2회 터치하면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입력되는 문자를 확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드 선택을 위한 버튼을 별도로 정의함으로써 한글뿐만 아니라 영문, 숫자, 특수문자 등을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한글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 키의 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문과 특수문자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 키의 예이다. 도 3과 도 4는 각 입력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로서, 리모컨과 같은 하드웨어의 경우에는 도 1a와 같이 전체 자판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언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만 표시한 것이고, 스마트 폰과 같은 터치화면에 구현된 5 방향 키의 경우에는 입력모드에 따라 도 3 및 도 4와 같이 해당 언어의 입력 자판만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절차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S1)와, 한글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소정의 조작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는 단계(S2~S4)와,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소정의 조작에 따라 영문을 입력하는 단계(S5~S7)와,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소정의 조작에 따라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단계(S8~S10)로 구성된다. 입력이 완료되면 다시 입력모드 선택 단계(S11)로 간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드선택 단계(S1)에서는 상 방향 키를 2회 터치하여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를 선택하거나 우 방향 키를 2회 터치하여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진입한다. 숫자나 특수문자 입력이 끝나면 우 방향 키를 2회 터치하거나 상 방향 키를 2회 터치하여 원래의 문자 입력 모드로 되돌아간다.
모드 선택단계에서 한글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5 방향 키 조작에 따라 해당 한글 자모를 입력받는다. 한글 자모를 5 방향 키로 입력하는 방식은 도 3의 5 방향 키에 표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자모가 방향 키에 할당된 위치를 보고 해당되는 방향 키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한글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우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하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동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글 입력모드에서 상 방향 키의 좌측에 'ㄱ', 우측에 'ㄴ'이 배치되어 있고, 좌 방향 키의 상측에 'ㄷ', 하측에 'ㄹ'이 배치되어 있으며, 우 방향 키의 상측에 'ㅁ', 하측에 'ㅂ'이 배치되어 있고, 하 방향 키의 좌측에 'ㅅ', 우측에 'ㅈ'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 방향 키의 상측에 'ㅇ' 이 배치되어 있고, 우 방향 키의 좌측에 'ㅎ' 이 배치되어 있다. 쌍자음은 방향 키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해당 단자음을 선택한 후 중앙 키를 2회 터치하면 입력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격자음도 방향 키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ㄱ'이 표시된 상 방향 키와 중앙 키를 누르면 'ㅋ'이 입력되고, 'ㄷ'이 표시된 좌 방향 키와 중앙 키를 누르면 'ㅌ'이 입력되며, 'ㅂ'이 표시된 우 방향 키와 중앙 키를 누르면 'ㅍ'이 입력되고, 'ㅈ'이 표시된 하 방향 키와 중앙 키를 누르면 'ㅊ'이 입력된다.
한글 입력모드에서 모음은 중앙 키에 "ㅏ, ㅣ, ㅜ, ㅗ" 4개가 배치되어 있는데, 중앙 키의 우측에 'ㅏ' 가 배치되어 있고, 좌측에 'ㅓ' 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측에 'ㅗ' 가 배치되어 있고 하측에 '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쌍모음은 해당 단모음을 선택한 후 동일한 키조작을 반복하면 입력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고, 'ㅡ' 는 좌 방향 키의 우측에 배치되고, 'ㅣ'는 상 방향 키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5 방향 키에 한글 자모를 배치한 후 해당 자모를 입력하는 5 방향 키 조작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 표 2와 같다.
구분 자모 방향 키 조작 자모 방향 키 조작
단자음 상좌 상우
좌상 좌하
우상 우하
하좌 하우
하상 우좌
쌍자음 상좌+중중 좌상+중중
우하+중중 하좌+중중
하우+중중
격자음 상중 좌중
우중 하중
단모음 중우 중좌
중상 중하
좌우 상하
복모음 중우+중우 중좌+중좌
중상+중상 중하+중하
모드 선택단계에서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5 방향 키 조작에 따라 해당 영문 알파벳을 입력한다. 알파벳을 5 방향 키로 입력하는 방식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알파벳이 할당된 위치를 보고 해당되는 방향 키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영문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우측에 알파벳이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앙,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하측에 알파벳이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앙,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동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문 입력모드에서 상 방향 키의 좌측에 'cd', 중앙에 'ef', 우측에 'hg'가 배치되어 있고, 좌 방향 키의 상측에 'lk', 중앙에 'm', 하측에 'n'이 배치되어 있으며, 우 방향 키의 상측에 'pq', 중앙에 'r', 하측에 's'가 배치되어 있고, 하 방향 키의 좌측에 'tv', 중앙에 'wx', 우측에 'yz'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키의 상측에 'ab'가 배치되어 있고, 좌측에 'ij'가 배치되어 있으며, 우측에 'o', 하측에 'u'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영어에만 쓰는 특수문자인 ''(아포스트로피)'는 좌 방향 키의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5 방향 키에서 복수의 알파벳이 배치된 경우에 2번째 알파벳은 중앙 키를 2회 누를 경우에 입력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상 방향 키의 좌측에 배치된 "cd"에서 2번째 알파벳인 d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 방향 키와 좌방향 키를 눌러 c를 선택한 후 중앙 키를 2회 누르면 d가 선택되어 입력된다.
이와 같이 5 방향 키에 알파벳을 배치한 후 해당 알파벳을 입력하는 5 방향 키 조작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 표 3과 같다.
구분 표시 방향 키 조작 표시 방향 키 조작 표시 방향 키 조작

알파벳
a 중상 b 중상+중중 c 상좌
d 상좌+중중 e 중상 f 중상+중중
g 상우+중중 h 상우 i 중좌
j 중좌+중중 k 좌상+중중 l 좌상
m 좌중 n 좌하 o 중우
p 우상 q 우상+중중 r 우중
s 우하 t 하좌 u 중하
v 하좌+중중 w 하중 x 하중+중중
y 하우 z 하우+중중
특수조작 ' 좌우
대문자 상하 마지막 자를 대문자로 변환함
모드 선택단계에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5 방향 키 조작에 따라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한다. 숫자나 특수문자를 5 방향 키로 입력하는 방식은 도 3이나 도 4와 같이 문자 입력모드에서 5 방향 키에 할당된 숫자나 특수문자의 위치를 보고 해당되는 방향 키를 조작하여 입력한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우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앙,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하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앙,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상 방향 키의 좌측에 '1', 중앙에 '2', 우측에 '3'이 배치되어 있고, 좌 방향 키의 상측에 '4', 중앙에 '5', 하측에 '6'이 배치되어 있으며, 우 방향 키의 상측에 '7', 중앙에 '8', 하측에 '9'가 배치되어 있고, 하 방향 키의 좌측에 '@', 중앙에 '0', 우측에 '/'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키의 상측에 '!'가 배치되어 있고, 좌측에 '?'가 배치되어 있으며, 우측에 '.', 하측에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 방향 키의 하측에 '&', 하 방향 키의 상측에 ';', 좌 방향 키의 우측에 '-', 우 방향 키의 좌측에 '_'가 배치되어 있다. 중앙 키의 중앙에 표시된 "+"는 현재 컴퓨터 자판의 숫자에 배치되어 있는 특수문자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예컨대 우 방향 키와 중앙 키를 눌러 숫자 "8"을 선택한 후 중앙 키를 2회 누르면 컴퓨터 자판의 8 숫자키에 할당된 "*"가 선택되고, 상 방향 키와 우 방향 키를 눌러 숫자 "3"을 선택한 후 중앙 키를 2회 누르면 컴퓨터 자판의 3 숫자키에 할당된 "#"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5 방향 키에 숫자나 특수문자를 배치한 후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하는 5 방향 키 조작의 구체적인 절차는 다음 표 4와 같다.
구분 표시 방향 키 조작 표시 방향 키 조작 표시 방향 키 조작

숫자
1 상좌 2 상중 3 상우
4 좌상 5 좌중 6 좌하
7 우상 8 우중 9 우하
0 하중

특수문자
@ 하좌 / 하우 . 중우
? 중좌 ! 중상 , 중하
& 상하 ; 하상 - 좌우
_ 우좌 # 상우+중중 $ 좌상+중중
% 좌중+중중 ^ 좌하+중중 * 우중+중중
( 우하+중중 ) 하중+중중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화면에 구현된 온스크린 방향 키의 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온스크린 방향 키에서 드래그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의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5 방향 키를 터치 스크린에 화면 형태로 구현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방향 키와 더불어 터치입력이나 드래그 입력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방식 버튼(24)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5 방향 키에 모든 배치문자나 숫자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 방향 키를 2회 터치하면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되고, 한글 입력모드에서 다시 상 방향 키를 터치하면 영문 입력모드로 변환된다.
그리고 입력방식 버튼(22)이 "TOUCH"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입력방식 버튼(22)을 터치하면 "DRAG"로 표시되면서 드래그 방식으로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터치방식의 입력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고, 드래그 방식의 입력은 5 방향 키에 배치된 문자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방식으로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다.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 및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 및 특수문자는 문자입력 표시창(24)에 표시되어 입력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한글 입력모드에서 화살표와 같이 상 방향 키에서 좌 방향 키로 드래그하면 "ㄱ" 문자가 입력되고, 상 방향 키에서 우 방향 키로 드래그하면 "ㄴ" 문자가 입력되며, 영문 입력모드에서 상 방향 키에서 좌 방향 키로 드래그하면 "c" 문자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문자는 도 5의 문자입력 표시창(24)에 표시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본어 입력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 키의 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앙 키(C)와, 중앙 키(C)의 상측에 배치된 상 방향 키(U), 중앙 키(C)의 하측에 배치된 하 방향 키(D), 중앙 키(C)의 좌측에 배치된 좌 방향 키(L), 중앙 키(C)의 우측에 배치된 우 방향 키(R)와 같이 5개의 방향 키(10)에 일본어 입력을 위한 가나(かな, 오십음도)를 할당하여 스마트폰이나 리모컨 등에서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먼저, 일본어의 오십음도는 히라가나(ひらがな)와 가타가나(カタカナ)로 구분되고, "a,i,u,e,o"라는 5개의 모음으로 구분되는 5개의 '단'과 10개의 '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적으로 행은 아(あ)행, 카(か)행, 사(さ)행, 타(た)행, 나(な)행, 하(は)행, 마(ま)행, 야(や)행, 라(ら)행, 와(わ)행으로 이루어지고, 단은 아(あ)단, 이(い)단, 우(う)단, 에(え)단, 오(お)단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본어의 오십음도는 청음, 탁음, 반탁음을 포함하고, 요음(拗音)와 촉음 등이 있다. 요음이란 일본어의 부족한 음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1음절을 2개의 가나로 표시하는 것이며, "い, ぢ"를 제외한 "い단"의 오른쪽 아래에 "や행"의 글자를 작게 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あばは らだた かがな まざさ ぱや" 14가지를 기본자라 정의하고, 이 기본자와 모음변환 "いおうえ"를 결합하여 일본어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모음변환이란 4 방향키의 기본자(아단)를 먼저 입력한 후 중앙 키와 4방향 키의 조합에 의해 아(あ)단의 입력을 이(い)단이나 우(う)단, 에(え)단 혹은 오(お)단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 방향키(U)에 "あばは"를 할당하고, 좌 방향키(L)에 "らだた"를 할당하며, 우 방향키(R)에 "かがな"를 할당하고, 하 방향키(D)에 "まざさ"를 할당한다. 따라서 "あ"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 방향키를 누르거나 터치 혹은 드래그한 후 이어서 좌 방향 키를 누르거나 터치 혹은 드래그하는 조작(이를 "상+좌"로 표시함)을 하고, "ば"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방식으로 상+중 키를 조작하고, "は"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상+우 키를 조작한다. "ま"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좌 키를 조작하고, "ざ"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중 키를 조작하며, "さ"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하+우 키를 조작한다. "ら"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상 키를 조작하고, "だ"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중 키를 조작하며, "た"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하 키를 조작한다. "か"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상 키를 조작하고, "が"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중 키를 조작하며, "な"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우+하 키를 조작한다. 그리고 상 방향키의 하측에 "ぱ"를 할당하여 상+하 키로 입력되게 하고, 좌 방향키의 우측에 "や"를 할당하여 좌+우 키로 입력되게 한다.
그리고 중앙 키(C)의 좌측에 "い" 모음변환을 할당하고, 우측에 "お" 모음변환을 할당하며, 하측에 "う" 모음변환을 할당하고, 상측에 "え" 모음변환을 할당하며, 중앙(+로 표시됨)에 촉음 변환을 할당한다. 따라서 아단의 기본자가 아닌 경우에는 먼저 기본자를 입력한 후 중+좌 키를 조작하여 い 모음변환하거나 중+우 키를 조작하여 お 모음변환하거나 중+하 키를 조작하여 う 모음변환하거나 중+상 키를 조작하여 え 모음변환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면, "く"를 입력할 경우에는 먼저 우+상 키 조작으로 "か"를 선택한 후 중+하 키 조작으로 う 모음변환하여 입력하고, "よ"를 입력할 경우에는 좌+우 키 조작으로 "や"를 선택한 후 중+우 키 조작으로 お 모음변환하여 입력한다.
또한 촉음(작은 글자)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중+중 키 조작을 추가한다. 예를 들면, "ぁ"는 상+좌 키 조작으로 あ를 선택한 후 중+중 키 조작으로 촉음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우 방향 키의 좌측에 "わ"가 할당되어 우+좌 키 조작으로 "わ"를 입력하고, 하 방향키의 상측에는 "んをゐゑ"이 할당되어 하+상 키조작 후에 중+중 키 조작으로 차례로 다음 자로 변환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면, "を"를 입력할 경우에는 하+상 키 조작으로 ん를 선택한 후 이어서 중+중 키 조작으로 두번째 "を"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또한 가다가나는 상+상 키 조작으로 모드변환을 통해 입력한다. 모드변환은 히라가나 -> 가다가나 -> 영문 -> 히라가나..순으로 순차 변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예문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あ(상+좌), り(좌+상 중+좌), が(우+중), と(좌+하 중+우), う(상+좌 중+하), ご(우+중 중+우), ざ (하+중), い(상+좌 중+좌), ま(하+좌), す(하+우 중+하) 방식으로 방향 키 조작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방향 키 22: 입력방식 버튼
24: 문자입력 표시창 U: 상 방향 키
D: 하 방향 키 L: 좌 방향 키
R: 우 방향 키 C: 중앙 키

Claims (7)

  1.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한글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자모의 위치에 따른 한글 자모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알파벳의 위치에 따른 영문 알파벳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숫자나 특수문자의 위치에 따른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 방향 키가 2회 터치되면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로 토글 변환하는 단계와,
    한글 입력모드나 영문 입력모드에서 우 방향 키가 2회 터치되면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고,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에서 다시 우 방향 키가 2회 터치되거나 상 방향 키가 2회 터치되면 문자 입력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우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하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자모가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동작에 의해 해당 자모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문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우측에 알파벳이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앙,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하측에 알파벳이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앙,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동작에 의해 해당 알파벳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우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앙,우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하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앙,하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숫자나 특수문자가 배치되어 중앙 키와 4 방향 키의 순차 연속 조작에 의해 해당 숫자나 특수문자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6.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를 이용하여 입력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일본어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가나(かな)의 위치와 모음변환에 위해 해당 가나(かな)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영문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알파벳의 위치에 따른 영문 알파벳을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모드 선택단계에서 숫자/특수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상, 하, 좌, 우, 중앙의 5 방향 키에 할당된 숫자나 특수문자의 위치에 따른 숫자나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본어 입력모드는
    상 방향 키와 하 방향 키의 좌측과 중앙, 및 우측에 아(あ)단의 가나(かな)가 배치되어 상/하 방향 키와 좌중우 방향 키의 순차 조작에 의해 해당 가나(かな)가 선택되고, 좌 방향 키와 우 방향 키의 상측과 중앙, 및 하측에 아(あ)단의 가나(かな)가 배치되어 좌/우 방향 키와 상중하 방향 키의 순차 조작에 의해 해당 가나(かな)가 선택되어 입력되며,
    중앙 키의 상측과 하측, 좌측, 우측에 이(い)단, 우(う)단, 에(え)단, 및 오(お)단의 모음변환 기능이 배치되어 아(あ)단의 가나(かな)가 선택된 상태에서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이(い)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あ)단의 가나(かな)를 이(い)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우(う)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あ)단의 가나(かな)를 우(う)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며,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에(え)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あ)단의 가나(かな)를 에(え)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고, 중앙 키와 방향 키에 의해 오(お)단 모음변환이 선택되면 해당 아(あ)단의 가나(かな)를 오(お)단으로 변환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20210170991A 2021-12-02 2021-12-02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2300829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91A KR20230082975A (ko) 2021-12-02 2021-12-02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991A KR20230082975A (ko) 2021-12-02 2021-12-02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2975A true KR20230082975A (ko) 2023-06-09

Family

ID=86765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991A KR20230082975A (ko) 2021-12-02 2021-12-02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29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37B1 (ko) 2005-07-21 2007-08-13 주식회사 씽크앤두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016948B1 (ko) 2008-07-30 2011-02-28 김명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137B1 (ko) 2005-07-21 2007-08-13 주식회사 씽크앤두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016948B1 (ko) 2008-07-30 2011-02-28 김명수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518B2 (ja) 文字入力装置
JP2007514363A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該入力方法
KR20210058291A (ko) 쉬운 일문용 로마자 배열을 갖는 일문 입력 시스템 및 방법
JP5369023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KR100894382B1 (ko) 한글 입력방법 및 한글 키보드
JP5599909B2 (ja) 日本語入力システム
JP2001084086A (ja) 携帯文字入力装置
KR20230082975A (ko) 방향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N102422621A (zh) 字母输入的方法与装置
KR101249329B1 (ko) 키조합 방식의 자판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304424Y1 (ko) 휴대용 문자입력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보조 키버튼 설치 및 알파벳 문자 입력 시스템
KR200221584Y1 (ko) 리모콘입력방식 한글자판
KR20130004648A (ko) 터치스크린패널기기에서의 문서편집기능이 있는 다국어 문자입력장치
KR101445061B1 (ko)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200221583Y1 (ko) 리모콘입력방식 한글자판 및 키배열방법
KR20060107646A (ko) 디지털 단말기 한글입력시스템
KR101550141B1 (ko)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한글문자 입력방법
JP2005078107A (ja) 電子機器に対する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KR20230121558A (ko) 일본어 pc용 키보드 및 게임용 키보드
KR101000348B1 (ko) 휴대전화의 자판을 이용한 훈민정타 한글 입력 시스템
KR101509571B1 (ko) 대기시간이 없는 터치패드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