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393A -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393A
KR20180086393A KR1020180083026A KR20180083026A KR20180086393A KR 20180086393 A KR20180086393 A KR 20180086393A KR 1020180083026 A KR1020180083026 A KR 1020180083026A KR 20180083026 A KR20180083026 A KR 20180083026A KR 20180086393 A KR20180086393 A KR 2018008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lock
smart device
virtual keyboard
keyboar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일
Original Assignee
안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일 filed Critical 안병일
Priority to KR1020180083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6393A/ko
Publication of KR2018008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2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2 스마트 기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VIRTUAL KEYBOARD REALIZATION SYSTEM THROUGH LINKAGE BETWEEN COMPUTER(S) AND/OR SMART TERMINAL(S)}
본 발명은 가상키보드를 분할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나 스마트기기에 문자나 숫자 값 등을 입력하는 데에 있어 추가적인 스마트기기의 터치스크린을 가상키보드의 분할된 일부로서 활용토록 하여 사용자가 공간적으로 자유롭고 편안한 자세로 효율적으로 입력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순히 전화를 걸거나 받고,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휴대 전화의 개념을 탈피하여, WIFI 망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인터넷에 접속하여 지도를 검색하거나, 실시간으로 뉴스 등을 검색할 수 있고, 증권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실시간 거래가 가능한 장점들로 인하여, 사용자수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사용자들은 터치스크린상에서 멀티터치 기능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실행하는데 편리함을 느끼게 되었다. 예컨대, 종래의 컴퓨터 입력 장치로 이용되는 마우스 등은 화면상의 한 지점만을 선택할 수 있고, 따라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화면상에 해당 기능을 실행하는 탭으로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여 클릭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으나, 멀티터치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터치패드에 손가락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 상에서 이전 페이지이지 또는 앞 페이지로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함)에서는 입력장치로서 마우스와 키보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키보드로는 문자만을 입력할 수 있을 뿐이며, 필기체나 그림을 입력할 수는 없다. 마우스로는 필기체와 그림을 입력할 수는 있지만 정확하게 입력하기가 어렵다.
컴퓨터용 일반키보드 및 각종 스마트기기에서 제공하는 가상키보드는 보통 하나의 세트를 이루는 자판조합(예를 들어, qwerty 자판, 한글세벌식자판 등등)을 이루는 모든 키들을 하나의 장치내 제한된 너비의 공간에 모두 포함시키고 있으므로, 개별키의 크기와 간격을 확대하는데 제약이 있으며 사용자가 양 팔을 편안하게 벌린다든지 양 손을 자유롭게 위치 시킨 상태에서는 입력이 어렵게 되는 편의상의 제약이 있다.
관련하여 일반키보드를 물리적으로 분할한 형태로 사용하는 사례가 있으나, 이는 별도의 분리된 물리적인 키보드를 구비해야 하는 비용적 부담과 아울러 사용자가 분리시켜 사용할 키블럭을 설정하거나 전환하여 나타내기 어려운 물리적 한계에 따른 편의성의 제약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컴퓨터(PC)의 입력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또한, 기존에는 여러가지 워드프로세서(예를 들면, MS 워드, 아래 한글, 메모장 등)의 제품, 버젼 또는 운영체제 별로 특수문자나 기호의 입력기능의 위치나 사용방법이 다르다. 이에 따라, 해당 기능이 위치한 메뉴가 다르고 메뉴 내에서도 세부 위치가 달라 사용자가 모두를 다 기억하고 적응해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0840615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가상의 분할키보드를 추가적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제공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입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기존의 일반키보드 및 가상키보드에서는 언어전환을 한다든지, 특수문자표 등으로 전환하기 위해 특정 키(한/영 전환키, 특수문자/기호 입력키 등)를 누르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어떠한 문자/숫자 값을 입력 하는 명령과는 다른 "전환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명령임에도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행동이 특정 키 값을 입력할 때 typing 하도록 하는 것과 동일한 양식으로 구현되는 명령방법이므로 이를 다른 양식의 명령방법으로 구분하여 실행토록 (동 제안에서 터치의 슬라이딩) 하는 것에 비하여 인지적 직관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2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2 스마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블럭은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키블럭은 상기 제2 스마트 기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3 키블럭을 저장하되, 상기 제1 키블럭 또는 제2 키블럭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소정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3 키블럭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3 키블럭 및 제4 키블럭을 저장하되,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이 상기 제3 키블럭 및 제4 키블럭으로 각각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 키블럭 또는 제2 키블럭은 기설정된 특정 자판키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키세트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키세트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제2 키블럭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키블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미러 키블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미러 키블럭은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의 표시 레이아웃의 변환에 따라 표시 위치가 변환되거나,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입력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표시 위치가 변환될 수 있다.
상기 미러 키블럭은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상에서의 표시 위치, 표시 크기 또는 표시 색상이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미러 키블럭은 상기 제2 키블럭 상에서 표시되는 바를 따라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지점을 표시하거나, 접촉지점에 해당하는 키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최근 터치된 일정 수의 터치 지점들 또는 터치 지점에 해당하는 키들을 표시하거나, 입력되고 있는 커서가 위치한 지점과 인접한 지역에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지점에 해당하는 키 정보를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 손가락과의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을 저장하는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 상기 제2 키블럭이 표시되는 키블럭 영역과, 상기 키블럭 영역에 대한 테두리 영역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모듈; 및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키블럭을 결정하여 상기 키블럭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키블럭 영역에 표시된 제2 키블럭에 대한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좌표, 기호 또는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 영역은, 복수 개의 퀵전환 필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특정 명령을 통하여 마우스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며, 다시 한번 해당 명령을 통해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환된 키블럭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키블럭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환된 가상키보드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개별 가상키보드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키블럭 영역과 상기 테두리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한 입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순서 또는 방법대로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모드 전환 필드로 할당된 퀵전환 필드가 터치되는 경우 마우스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며, 다시 한번 퀵전환 필드가 터치되는 경우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모드 전환 필드로 할당된 퀵전환 필드가 더블터치되는 경우 기본적으로 설정된 키블럭이 표시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은, 슬라이딩되는 이동 위치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 영역 상에서 사용자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슬라이딩되는 이동 위치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은, 슬라이딩되는 속도값 또는 슬라이딩 횟수값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 영역 상에서 일정 속도값 또는 일정 횟수값을 가지는 사용자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슬라이딩되는 속도값 또는 슬라이딩 횟수값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은,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 또는 슬라이딩 방향 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 영역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 또는 슬라이딩 방향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마우스 이동을 감지하는 영역에서 사용자의 접촉점이 커서가속영역으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를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테두리 영역 내부로 사용자의 접촉점이 진입된 방향으로 해당 커서가 가속 이동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접촉점이 상기 커서가속영역으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를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는, 복수 개의 키블럭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의 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및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좌표, 기호 또는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동일한 단일의 제3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3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3 스마트 기기에 구비되는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제3 스마트 기기에 구비되는 키보드는 상기 제1 키블럭 또는 제2 키블럭과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각각의 미러 키블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는 컴퓨터 장치,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단말로 구현되고, 상기 제1 키블럭은 상기 컴퓨터 장치에 구비되는 실제 키보드의 특정 자판영역으로 제1 키블럭을 대응시키는 키보드일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제1 키블럭에 대응되는 키보드에 대한 미러 키블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 및 제2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단말, 상기 제3 스마트 기기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마트 기기는 컴퓨터 장치,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 단말로 구현되고,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제2 키블럭이 표시되는 경우, 제1 스마트기기에 구비되는 실제 키보드의 제1 특정 자판영역에 제1 키블럭을 대응시키도록 요청하며, 상기 제2 스마트 기기에 제1 키블럭이 표시되는 경우,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되는 실제 키보드의 제2 특정 자판영역에 제2 키블럭을 대응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키블럭, 제2 키블럭 및 미러 키블럭 이미지 상에 미리 설정된 배경 또는 스킨 이미지를 입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컴퓨터의 외부 입력 모듈로서 동작되도록 하여, 컴퓨터의 마우스나 키보드가 없더라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컴퓨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특히 분할 키보드의 전환 수단을 구비하여, 손쉬운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컴퓨터와 스마트기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특수문자조합에 대하여 가상키보드 또는 N개의 분할 키블럭으로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이 세트 또는 분할 키블럭의 구성만 파악하고 사용하면 워드프로세서의 종류, 버전, 운영체제 등이 업데이트되거나 달라진다 하여도 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일관되고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입력방법을 동일하게 사용하여 입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의 키블럭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된 키블럭이 표시된 컴퓨터와 스마트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키보드를 가지는 컴퓨터와 연동되고 각각 분할된 키블럭을 가지는 스마트기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블럭이 반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 분할된 키블럭이 표시되는 스마트기기들을 통하여 해당 키블럭이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 상에 표시되는 미러 키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미러 키블럭에 실시간 접촉점을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미러 키블럭에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호버링(hovering)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화면 상에 컴퓨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기기들의 키블럭에 대한 미러 키블럭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기기 상에서 키블럭 전환이나 가상키보드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영문 쿼티 자판에 기반한 하나의 가상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의 화면 상에 실제 키보드의 이미지와 스마트 기기의 미러 키블럭이 함께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5에서 미러 키블럭의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에서의 키블럭 전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컴퓨터 장치(100)에, 스마트기기(200)에서 입력되는 숫자나 문자, 접촉 좌표, 기호, 코드 등의 입력 정보를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스마트기기(200)를 활용하여 컴퓨터 장치(100)의 외부입력이 가능해진다.
이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스마트기기를, 다른 한 손으로는 컴퓨터 장치의 자판의 일부 또는 다른 스마트기기를 통하여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양 손의 기기를 통하여 하나의 가상 키보드 세트를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가상 키보드의 개별 키(key) 또는 키블럭(key block) 배열을 커스텀마이징(customizing; 사용자 맞춤형 배치)하여 키보드의 일부만을 활용하거나 다양한 병렬 조합으로 동시 활용이 가능하다.
가상 키보드를 분할하면, 물리적으로 사람이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 여유롭고 편안하게 자판입력이 가능하다, 여러 스마트기기(200)에 분할되어 나누어진 키블럭은, 독자적으로 기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연동하도록 한다. 이를테면, 어느 한쪽에서 한글모드나 특수기호/숫자모드로 전환한다면 양쪽 기기에 있는 가상 키보드블록이 같이 해당모드로 전환되어 나타나야 한다. 이를 위해 연결된 각각의 스마트기기(200)에서 실행되는 동 리모트 키보드 앱 또는 프로세스간에 그러한 상태정보가 교환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 스마트기기(200)로부터 입력 정보를 제공받는 컴퓨터 장치(100)는, 데스크탑 PC(desktop PC), 노트북 PC(notebook PC), TV, 또 다른 스마트기기(태블릿 PC, 슬레이트 PC, 스마트폰 등) 등과 같이 화면과 처리장치가 마련되어 구동되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메모장, 문서 작업 프로그램, 웹브라우저 등)에 입력을 받아들여 디스플레이하는 기기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스마트기기(200)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PC(Personal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입력 작업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모듈(240)이 마련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110a)이 구비되는 제1 스마트 기기(100a)와, 제1 스마트 기기(100a)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제1 키블럭(110a)과 연동 및 결합되어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2 키블럭(210a)이 구비되는 제2 스마트 기기(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비된다"는 표현은 스마트 기기에 키블럭이 표시되거나, 일반 키보드의 특정 자판 영역에 해당 키블럭이 할당되는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가상 키보드가 좌우 2개로 분할되어 제1 키블럭(110a)과 제2 키블럭(210a)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좌측 키보드를 나타내는 제1 키블럭(110a)이 제1 스마트기기(100a)에 표시될 수 있으며, 우측 키보드를 나타내는 제2 키블럭(210a)이 제2 스마트기기(200a)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스마트기기(100a)에서 표시되는 제1 키블럭(110a)이 제2 키블럭(210a)으로 전환 표시될 경우, 제1 스마트기기(100a)는, 제2 스마트기기(200a)에서 표시되는 제2 키블럭(210a)이 제1 키블럭(110a)으로 전환되도록 제2 스마트기기(200a)에 요청하며, 제2 스마트기기(200a)에서 표시되는 제2 키블럭(210a)이 제1 키블럭(110a)으로 전환 표시될 경우, 제2 스마트기기(200a)는, 제1 스마트기기(100a)에서 표시되는 제1 키블럭(110a)이 제2 키블럭(210a)으로 전환되도록 제1 스마트기기(100a)에 요청한다.
따라서, 제1 스마트기기(100a)와 제2 스마트기기(200a)는 서로 연관되는 다른 키블럭을 표시하여, 입력되는 정보들을 동일한 제1 스마트기기(100a)상에서 표시하거나 또 다른 컴퓨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hift, ctrl, Caps Lock, 한/영 등과 같은 키들은 어느한 키블록에만 눌려도 다른 키블록에 연동하여 같이 반영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컴퓨터 장치나 스마트 기기간에 통신을 통해 그러한 입력정보/상태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가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3 키블럭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키블럭 또는 제2 키블럭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소정 동작에 의하여 제3 키블럭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가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3 키블럭 및 제4 키블럭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1 스마트 기기 또는 제2 스마트 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소정 동작에 의하여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이 제3 키블럭 및 제4 키블럭으로 각각 전환될 수도 있다.
제1 키블럭 또는 제2 키블럭은 기설정된 특정 자판키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가상키보드 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가상키보드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키보드는 특정 자판키의 조합(예를 들면, 영문 쿼티(qwerty) 자판, 한글 두벌식 자판 등)을 중심으로 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키블럭을 추가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N개의 분할 키블럭으로 분할하되, 자모부분(알파벳이나 한글 자모등)에 대하여는 좌우 2개로 분할하여 제1 키블럭과 제2 키블럭이 이를 각각 담당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키블럭과 제2 키블럭은 사용자가 어떤 자판조합의 가상 키보드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키보드는 한글 두벌식 자판 좌측키블럭, 한글 두벌식 자판 우측키블럭, 숫자및문장 부호키블럭 및 특수키 방향키블럭으로 구성된 제1 가상 키보드나, 영문 쿼티 자판 좌측키블럭, 영문 쿼티 자판 우측키블럭, 숫자및문장부호 키블럭 및 특수키 방향키블럭으로 구성된 제2 가상 키보드나, 특수문자 1조합, 특수문자 2조합 및 특수문자 3조합으로 구성된 제3 가상 키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 스마트기기와 제2 스마트기기는 최초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 어떤 스마트기기가 제1 스마트기기 또는 제2 스마트기기를 담당할 지에 관하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상의 기본 설정메뉴에서 설정하게 된다. 이때, 제1 스마트기기는 제1 키블럭을 표시하고, 제2 스마트기기는 제2 키블럭을 표시하는 것이 기본이고, 일반적인 키입력 작업을 사용자가 수행하는 중간에는 사용자가 키블럭전환 기능을 명령하는 것만으로는 제1 스마트기기가 제2 키블럭을 담당하게 되거나 제2 스마트기기가 제1 키블럭을 담당하도록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사용자의 혼돈요소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하여 제1 키블럭과 제2 키블럭중 어느 한쪽에서만 키블록 전환 명령이 슬라이드 동작 등을 통해서 인식되어도 두 개의 키블럭이 같이 전환되는 모드인 일체형 전환모드와, 제1 키블럭과 제2 키블럭 중 키블럭 전환명령이 인식된 기기에서만 키블록이 전환되는 모드인 독립형 전환모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일체형 전환모드에서는 제1, 제2 키블럭은 제3, 제4 키블럭 또는 제5, 제6 키블록으로 쌍을 이루어 한 번에 같이 변하며, 독립형 전환모드에서는 각각 다르게 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기기(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모듈(210), 분할 키보드 저장모듈(220), 디스플레이모듈(240), 및 제어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모듈(210)은, 컴퓨터 장치(100)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한다. 유선 통신을 하는 경우, USB케이블 등의 통신 케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을 하는 경우, 블루투스, 와이파이(WiFi) 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분할 키보드 저장모듈(220)은,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도록 각각 분할된 다수 개의 키블럭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이다. 참고로 키보드를 분할했다는 것은, 가상의 키보드를 복수개의 분할 키블럭으로 분할 처리했다는 의미로서, 예를 들어,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2개의 분할 키블럭(즉, 제1 키블럭, 제2 키블럭), 또는 3개의 분할 키블럭(즉, 제1 키블럭, 제2 키블럭, 제3 키블럭), 또는 N개의 분할 키블럭(즉, 제1 키블럭, 제2 키블럭,..,제N 키블럭)로 분할할 수 있다. 아울러 일반 키블럭에서 제공하지 않는 다양한 특수문자 또한 일종의 분할 키블럭의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240)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펜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으로서, 자판이 배열된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되어, 필요한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는 패널이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모듈(2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키블럭이 표시되는 키블럭 영역(10)과, 키블럭 영역을 제외하거나 키블럭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인 테두리 영역(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키블럭 영역(10)에 표시되는 자판 배열의 위치 및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키블럭 영역(10)과 테두리 영역(20)간에는 경계선(실제로는 보이지 않거나 희미한 회색 라인 정도로 처리함)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은 키블럭 영역과 테두리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중첩 영역에 대한 입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순서 또는 방법대로 처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테두리 영역(2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블럭 전환필드, 가상키보드 전환필드, 모드 전환필드 등으로 할당되는 퀵전환 필드가 복수개, 즉, 제1 퀵전환 필드 내지 제8 퀵전환 필드(1, 2, 3, 4, 5, 6, 7, 8)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 영역(20)에서 상하좌우 귀 영역을 제외한 상하좌우변의 영역은 키보드 입력영역과 중첩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하좌우변의 경우에는 접촉후 떼는 터치 입력은 키값 입력으로, 접촉한 후 슬라이드하는 입력은 전환 명령을 위한 것으로 입력하는 방식의 차이에 따라 구분하여 인식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현 또한 가능하다.
제어모듈(230)은, 사용자의 접촉 위치 또는 접촉 방식에 의하여 키블럭을 결정하여 키블럭 영역(10)에 표시하며, 키블럭 영역(10)에 표시된 키블럭에 대한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좌표, 기호 또는 코드 정보를 컴퓨터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모듈(230)은 사용자의 설정사항 및 다른 컴퓨터 또는 스마트기기 상에 표시되거나 할당된 키블럭으로부터의 상태정보(예를 들어, 키블럭을 전환한다던지, 다른 키블럭에서 shift가 눌렸다던지, 다른 키블럭에서 한/영 키가 눌렸다던지)에 따라 연동하여 키블럭 또는 키블럭의 상태를 결정하여 키블럭 영역(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통신 경로는 컴퓨터 장치와의 유무선 연결을 통하도록 하나, 연결되는 기기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 장치와 연결된 다른 입력장치로서의 스마트 기기 또는 기타 통신 중계 시스템과의 유무선 연결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컴퓨터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과 같은 컴퓨터 장치뿐만 아니라 연결되는 조합에 따라 다른 스마트기기가 최종 전송을 받는 주체가 될 수도 있으며, 해당 기기는 컴퓨터 장치로서 전송받는 내용의 처리 및 디스플레이를 담당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가상 키보드의 분할 키블럭의 한쪽 입력을 모두 담당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100)는 수신되는 문자나 숫자 등을 구동중인 메모장, 한글프로그램, 워드프로그램, 웹 브라우저 등의 입력창에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터치라 함은, 키의 타이핑과 같은 동작을 말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모듈(240)에 손가락 또는 터치펜이 접촉되었다가 디스플레이모듈(240)에서 이격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Sliding)이라 함은, 디스플레이모듈(240)에 손가락 또는 터치펜이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디스플레이모듈(240)상에서 손가락 또는 터치펜이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참고로, 제어모듈(230)는, 스마트기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은, 엑셀 프로그램, C-프로그램과 같은 매크로나 프로그램 코딩을 통해 연산 처리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면 모두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모듈(230)이 어플리케이션(앱; APP)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200)에서 실행되는 앱으로서,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스마트기기(200)에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마켓, 애플스토어 등에서 키보드를 화면에 표시하여 입력받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기기(200)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모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전환 필드가 터치되는 경우 마우스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며, 다시 한번 퀵전환 필드가 터치되는 경우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되는 경우,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환된 키블럭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키블럭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되는 경우,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환된 가상키보드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개별 가상키보드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220)은, 슬라이딩되는 이동 위치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230)은, 소정 영역 상에서 사용자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슬라이딩되는 이동 위치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220)은, 슬라이딩되는 속도값 또는 슬라이딩 횟수값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230)은, 소정 영역 상에서 일정 속도값 또는 일정 횟수값을 가지는 사용자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슬라이딩되는 속도값 또는 슬라이딩 횟수값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220)은,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 또는 슬라이딩 방향 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모듈(230)은, 소정 영역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 또는 슬라이딩 방향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별도의 마우스 모드 변환 요청이 있고 사용자의 접촉점의 이동이 감지될 경우, 이동되는 좌표를 제1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마우스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230)은, 마우스 이동을 감지하는 영역에서 사용자의 접촉점이 커서가속영역으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를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테두리 영역 내부로 사용자의 접촉점이 진입된 방향으로 해당 커서가 가속 이동되도록 동작하고, 접촉점이 커서가속영역으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를 포함하는 테두리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실행중인 프로그램 창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스크롤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접촉위치 및 접촉방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모듈(240)에 표시되는 분할 키블럭의 종류가 결정되는데, 이러한 분할 키블럭의 종류가 결정되도록 하는 사용자 터치 방식은 버튼 터치 방식, 슬라이딩 방식, 아이콘 터치 방식이라는 세 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버튼 터치 방식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 영역(20)에 복수개의 퀵전환 필드를 마련하여, 이러한 퀵전환 필드의 터치가 있는 경우 키블럭의 전환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어모듈(230)은, 복수개의 퀵전환 필드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퀵전환 필드의 종류에 따라서 키블럭 영역(10)에 표시되는 키블럭이 결정되도록 한다.
키블럭은, 가상 키보드가 좌우 2개로 분할되어 제1 키블럭과 제2 키블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퀵전환 필드는, 제1 키블럭이 표시되도록 하는 퀵전환 필드와, 제2 키블럭이 표시되도록 하는 퀵전환 필드를 각각 다르게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키블럭과 제2 키블럭은 서로 대응되는 분할 키블럭일뿐 만 아니라 퀵전환 필드마다 사용자가 설정한 키보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하여 나누어진 복수개의 퀵전환 필드(1,2,3,4,5,6,7,8)가 테두리 영역(20)에 마련된 경우, 복수개의 퀵전환 필드(1,2,3,4,5,6,7,8) 중에서 어느 하나의 퀵전환 필드(1,2,3,4,5,6,7,8)이 터치된 경우 표시되는 키블럭을 전환 및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퀵전환 필드(1,2,3,4,5,6,7,8)중 퀵전환 제2 필드(2)는 상하 스크롤 기능으로 전환 및 변경가능하고, 퀵전환 제3 필드(3)는 사용자에 의하여 타이핑된 숫자 및 문자열의 내용을 확인하는 작은 디스플레이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230)은, 모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전환 필드가 눌리어진 경우 마우스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며, 다시 한번 모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전환 필드가 눌러진 경우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모드로 전환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테두리 영역(20)의 좌측에 마련된 퀵전환 제1 필드(1)와, 테두리 영역(20)의 우측에 마련된 퀵전환 제2 필드(2)와, 테두리 영역(20)의 상측에 마련된 퀵전환 제3 필드(3)와, 테두리 영역(20)의 하측에 마련된 퀵전환 제4 필드(4)와, 테두리 영역(20)의 좌상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5 필드(5)와, 테두리 영역(20)의 우상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6 필드(6)와, 테두리 영역(20)의 우하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7 필드(7)와, 테두리 영역(20)의 좌하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8 필드(8)로서 이루어졌다고 할 때, 좌하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8 필드(8)가 모드 전환 필드로 할당될 수 있다. 이럴 경우, 퀵전환 제8 필드(8)를 한번 터치하는 경우 마우스 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한번 터치하는 경우 키보드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좌하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8 버튼 필드(8)를 더블터치하는 경우 이것은 기본블록 복귀명령으로서, 한번 터치하는 경우 현재 가상스크린에 나타나있는 키보드가 무엇이든 간에 또는 마우스모드로 사용되었던 간에 기본(default) 키보드로 복귀하여 전환되도록 한다. 만약, 하변 영역이 키보드의 스페이스키가 위치한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설정되었다면 하변영역의 제4 버튼 필드(4)를 더블터치하는 경우도 기본블록복귀명령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또한, 좌하측 모서리에 마련된 퀵전환 제8 버튼 필드(8)를 일정 시간동안 누르고 있는 경우는 임시 전환명령으로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키블럭 또는 가상키보드로 전환되었다가 떼면 다시 원상복귀한다. 이는 임시적인 전환입력이 필요한 경우(예를 들어, 한글 위주의 입력을 진행하다가 일부 단어에서 영문입력이 필요한 경우, 임시적인 방향키 입력이 필요한 경우 등)에 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두번째 슬라이딩 방식 즉 키블럭 영역(10)에서 사용자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과 관련하여, 슬라이딩의 속도와, 슬라이딩의 상하좌우 방향, 키블럭 영역(10)에서 시작된 슬라이딩이 테두리 영역(20)까지 이어졌는지의 여부,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에 따라서 다양한 명령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 내용과 같은 설정을 적용할 수 있다.
키블럭 영역(10)에서 사용자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이 기준속도 이상으로 일어나는 경우 우향이면 다음 키블럭, 좌향이면 이전 키블럭으로 전환하는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하며, 또한 하향이면 다음 가상키보드(예를 들어, 한글 두벌식 제 1 가상키보드에서 영어 쿼티 제 2 가상 키보드로의 전환), 상향이면 이전 가상키보드로 전환하는 명령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보다 확실한 명령구분 인식을 위해서 기준속도 외의 추가적인 조건을 부여하여 슬라이딩 시작되는 접촉점의 수가 두 개 이상이면서 슬라이딩이 테두리 영역(20)까지 이어진 이후 종료되는 경우만 키블록 또는 가상키보드 전환명령으로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변 영역(좌우하귀를 제외한 아래쪽 영역)은 키블럭 전환필드로서 이 필드에서 시작된 기준속도 이상의 슬라이딩이 오른쪽 방향인 경우 다음 키블럭으로 전환된다. 또한, 키블럭 전환필드에서 왼쪽으로 기준속도 이상으로 슬라이딩후 터치를 종료하면 이전 키블럭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키블럭 전환필드는 필요시 설정에 따라 키보드 하단 영역과 일부 중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 스페이스키가 위치한 영역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에 대해서는 키값 입력명령으로 인식하고 슬라이딩하는 입력은 블럭전환명령으로 기기가 분별하여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또한, 좌변을 아래방향으로 긴 슬라이딩하는 경우 좌우 분할된 키블럭이 독립형으로 동작하며 좌변을 위로 긴 슬라이딩하는 동작으로 좌우 분할된 키블럭을 일체형으로 동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 중에서 키블럭전환필드(하변)를 그냥 터치하는 것으로는 전환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슬라이딩이 일어나야 전환기능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스페이스키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좌우스크롤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마우스 모드일 경우에는 하변의 슬라이드는 좌우스크롤로 동작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용자 슬라이딩은 하나의 퀵전환 필드 내에서 일어나는 경우에 전환명령으로 인식된다.
다만, 사용자 슬라이딩은 두 개의 인접한 퀵전환 필드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수평으로 인접한 두 개의 퀵전환 필드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감지되는 경우이거나, 또는 수직으로 인접한 두 개의 퀵전환 필드 사이에서 슬라이딩이 감지되는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인접한 필드를 통과하는 슬라이딩에 의한 전환의 경우에도, 두 개의 퀵전환 필드 사이가 아니라, 두 개의 분할영역을 통과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져도 된다. 즉, 좌변영역에서 내부영역으로 들어오거나, 내부영역에서 우변으로 빠져나가는 슬라이딩이 그 예가 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용자 슬라이딩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슬라이딩되는 영역이 스크린 하단의 영역으로 한정짓지 않고, 스크린 하단의 영역내에 중첩되는 스페이스키가 위치한 부분을 슬라이딩해도 분할 키보드의 전환명령으로 인식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퀵전환 필드내에서의 슬라이딩을 통한 다음 가상키보드(예를 들어, 하향슬라이딩) 또는 다른 키블럭(예를 들어, 우향슬라이딩)으로 전환시에, 전환효과(예를 들어, 페이지가 넘어가는 듯한 그래픽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키블럭의 종류가 결정되도록 하는 세 번째 방식인 아이콘 터치 방식은, 오동작 방지를 위해, 또한 키보드입력과 구분하기 위해 접촉이나 한 점에서의 터치가 아니라 슬라이딩이 일어난 후 해당 위치에서 손가락을 떼어 선택되도록 한다. 이때, 슬라이딩이 처음 시작되는 위치는 하변, 좌하귀에서 일어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내부영역에서 슬라이딩이 시작되어 해당 아이콘에서 슬라이딩이 종료되고 손가락이 떼어져 선택되어도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 터치 방식은, 선택 가능한 분할 키보드의 키블럭이, 조그마한 아이콘처럼 디스플레이모듈(240)의 소정의 위치에 차례로 위치해서 접촉점을 이동해가며 선택할 수도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모듈(240)에는, 복수의 키블럭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되며, 제어모듈(230)은, 소정의 키블럭의 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키블럭을 키블럭 영역(10)에 전환하여 표시한다.
한편, 사용자의 슬라이딩 동작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위치까지 슬라이딩해서 해당블록으로 바꾸는 것은 옵션이고, 기본적으로는 한번 슬라이딩할 때마다 한 블록씩 순차적으로 넘어가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테두리 영역(20)에는, 키블럭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를 표시하는 타이핑 표시 필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타이핑 표시 필드는, 퀵전환 필드의 조작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모듈(240)에 표시되는 키블럭의 종류가 전환 표시되더라도 이전의 타이핑 표시가 유지되도록 구현한다. 따라서, 키블럭의 표시 전환이 있더라도 입력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이핑 표시 필드는, 옵션 사항으로 사용자 요청이 있을 때만 표시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스마트기기(200)와 컴퓨터 장치(100)의 조합으로 구동이 가능한데,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1과 함께 상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분할된 키블럭이 표시된 컴퓨터와 스마트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키보드를 가지는 컴퓨터와 연동되고 각각 분할된 키블럭을 가지는 스마트기기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키블럭이 반투명한 상태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 분할된 키블럭이 표시되는 스마트기기들을 통하여 해당 키블럭이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기기 상에서 키블럭 전환이나 가상키보드 전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제 키보드(110b)가 구비되는 컴퓨터 장치인 제1 스마트기기(100b)와, 제2 키블럭(210b)이 표시되는 제2 스마트기기(200b)를 포함하며, 제1 스마트기기(100b) 및 제2 스마트기기(200b)는 각각의 제1 키블럭(110b) 및 제2 키블럭(210b)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를 동일한 단일의 제1 스마트기기(100b)로 전송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실제 키보드(110c)가 구비되는 컴퓨터 장치인 제1 스마트기기(100c)와, 제2 키블럭(210c)이 표시되는 제2 스마트기기(200c)와, 제3 키블럭(210d)이 표시되는 제3 스마트기기(200d)를 포함하며, 제1 스마트기기(100c),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는 각각의 제1 키블럭(110c), 제2 키블럭(210c) 및 제3 키블럭(210d)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를 동일한 단일의 제1 스마트기기(100c)로 전송한다.
나아가, 제1 스마트기기(100c)는,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나 숫자 이외에, 컴퓨터 장치인 제1 스마트기기(100c)에 마련된 실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마트기기(100c)의 화면에는,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로부터 수신되는 문자나 숫자 등의 정보 이외에 제1 스마트기기(100c)의 실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도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컴퓨터 장치와 같이 터치스크린기기가 아닌 제1 스마트기기(100c)와 스마트폰같은 스마트기기가 짝을 이루어 2대(즉,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를 같이 입력에 활용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으로 연동이 필요하다. 예컨대, 제1 스마트기기(100c)인 컴퓨터 장치의 물리 키보드에서 한/영 전환 키를 누르거나 Caps lock을 누르거나 하는 경우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의 디스플레이모듈 또한 같이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스마트기기(100c)의 실제 키보드(즉, 물리 키보드)의 특정 자판 영역만 활성화되도록 하여 제1 키블럭을 할당하도록 하며,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는, 각각의 키블럭을 표시되도록 하며, 제2 스마트기기(200c) 및 제3 스마트기기(200d)는 각각의 키블럭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나 숫자를 제1 스마트기기(100c)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스마트기기(100c)의 실제 키보드의 특정 자판 영역 중 제1 특정 자판영역에 대하여 제1 키블럭을 매칭시키거나, 제2 특정 자판 영역에 제2 키블럭을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이밖에 도 9에서 설명한 컴퓨터 장치와 스마트기기간의 통신 세트 조합 이외에도 다양한 조합이 있을 수 있는데,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의 조합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도 11에 도시한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의 조합이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조합이 있을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제1 스마트기기는 컴퓨터 장치, 제2 스마트기기는 스마트 단말로 구현되거나, 제1 스마트기기 및 제2 스마트기기는 둘다 스마트 단말로 구현되거나, 제1 스마트기기 및 제2 스마트기기는 스마트 단말, 제3 스마트기기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마트기기 상에서 키블럭 전환이나 가상키보드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기기상에서의 키블럭 전환은 주로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을 활용하여 왼자판, 오른자판, 숫자키, 문장부호, 방향키, 기능키를 전환시키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으로 반드시 하변영역 뿐만 아니라 키블럭 영역을 좌우로 슬라이딩하거나 빠르게 슬라이딩하는 동작만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가상키보드 전환은 주로 사용자의 검지를 활용하여, 한글 두벌식 가상키보드, 영문 쿼티 가상키보드, 다른 언어 가상키보드, 특수문자 조합 가상키보드 등등 가상키보드간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설정으로 반드시 하변영역뿐만 아니라 키블럭 영역을 좌우로 슬라이딩하거나 빠르게 슬라이딩하는 동작만으로 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전환 동작은 한글 키보드나 영문 키보드 등과 같이 키블록 전환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도록 다양한 기능 제공이 가능한데, 이와 관련하여 도 12 내지 도 15와 함께 상술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 상에 표시되는 미러 키블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미러 키블럭에 실시간 접촉점을 표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도 12의 미러 키블럭에 사용자 손가락에 의한 호버링(hovering)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 화면 상에 컴퓨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기기들의 키블럭에 대한 미러 키블럭이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0은 도 15에서 미러 키블럭의 위치가 변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제1 스마트 기기(100f)에 제2 키블럭(210g)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2 키블럭(210g)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미러 키블럭(120)이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디스플레이되는 제1 스마트기기(100f) 화면의 특정 공간(예를 들어, 좌우하귀 등)을 이용하여 입력만을 담당하는 제2 스마트기기(200g)의 제2 키블럭(210g)의 상태를 축소된 형태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 스마트기기(100f)의 디스플레이만 주시하고도 제2 키블럭(210g)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키블럭(100f)과 제2 키블럭(210g)은 세트를 이루어 상태전환(한/영, 특수문자, 번호키)시 동기화되어 전환할 수도 있지만, 선택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상태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미러 키블럭(120)은 제1 스마트 기기(100f)의 표시 레이아웃(예를 들어, 가로 또는 세로)의 변환에 따라 표시 위치가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미러 키블럭(120)은 제1 스마트 기기(100f) 상에서의 표시 위치, 표시 크기 또는 표시 색상이 각각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에서 제1 스마트기기(100g)에 표시된 미러 키블럭(120)은 입력만을 담당하는 제2 스마트기기(200h)의 제2 키블럭(210h)에 접촉이 일어나고 있는 지점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스마트기기(100g)에 표시된 미러 키블럭(120)은 터치가 일어났다가 떨어지는 것까지 완료되는 이벤트가 아닌 실시간으로 접촉이 일어나고 있는 지점을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선을 분산시키지 않고도 실제 타이핑할 지점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에서 제1 스마트기기(100g)에 표시된 미러 키블럭(120)은 입력만을 담당하는 제2 스마트기기(200i)의 제2 키블럭(210i)에 사용자 손가락의 하버링(hovering) 영역을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미러 키블럭(120)은 사용자 손가락이 제2 키블럭(210i)과 얼마나 가까운 지에 따라 진하기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미러 키블럭(120)은 제2 키블럭(210i) 상에서의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지점을 표시하거나 사용자 손가락과의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컴퓨터 장치인 제1 스마트기기(100i)와 스마트 단말인 제2 스마트기기(200j) 및 제3 스마트기기(200k)가 연결되는 경우, 제1 스마트기기(100i)의 화면에는 제2 스마트기기(200j)의 제2 키블럭(210j)과 제3 스마트기기200k)의 제3 키블럭(210k)의 입력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두 개의 미러 키블럭(1100a, 1100b)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컴퓨터 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은 컴퓨터 장치인 제1 스마트기기(100i)와 스마트 단말인 제2 스마트기기(200j) 및 제3 스마트기기(200k)가 연결되는 경우, 제1 스마트 기기(100i)에 입력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두 개의 미러 키블럭(120a, 120b)의 표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영문 쿼티 자판에 기반한 하나의 가상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문 쿼티 가상키보드를 복수개의 키블럭(총 4개)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할 키보드로서 넓은 공간을 활용하기 때문에 사용자 양 팔의 각도 및 손위치의 자연스러움으로 인해 키의 위치가 여기저기 뒤틀려 자리잡거나 왜곡될 염려가 적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퓨터의 화면 상에 실제 키보드의 이미지와 스마트 기기의 미러 키블럭이 함께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 장치인 제1 스마트기기(100j)와 스마트 단말인 제2 스마트기기(200l)와 같이 각 1대씩의 조합인 경우, 제1 스마트기기(100j)에서의 화면에서 제2 스마트기기(200l)의 제2 키블럭(210l)에 대한 미러 키블럭(1200b)을 표시함과 동시에, 물리키보드(1200c)의 현재 활성화된 상태를 작게 표시(1200a)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스마트기기(100j)의 물리키보드(1200c)의 활성화된 상태는 어떤 가상키보드(즉, 한글 두벌씩 가상키보드인지, 영문 쿼티 가상키보드인지)의 제1 키블럭이 할당되었는 지에 따라 달라지는 데, 물리키보드(1200c) 상에 글씨로 쓰인 것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면 상의 미러 키블럭 이미지 상에 변환된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 컴퓨터 장치
200: 스마트기기
210: 유무선 통신모듈
220: 분할 키보드 저장모듈
230: 제어모듈
240: 디스플레이모듈

Claims (14)

  1.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2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2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제2 키블럭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키블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미러 키블럭이 표시될 수 있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2.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1 스마트 기기; 및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가 구성되는 제2 키블럭이 구비되는 제2 스마트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키블럭은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구비되는 실제 키보드의 특정 자판 영역이며, 상기 제2 키블럭은 상기 제2 스마트 기기 상에 표시되고 상기 제1 키블럭과 연동 및 결합되어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자판 영역이며,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제2 키블럭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제2 키블럭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미러 키블럭이 표시될 수 있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블럭은 상기 제1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제2 키블럭은 상기 제2 스마트기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표시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키블럭은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의 표시 레이아웃의 변환에 따라 표시 위치가 변환되거나,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에 입력되는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 표시 위치가 변환될 수 있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마트 기기는
    상기 제1 스마트 기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통신모듈;
    상기 하나의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개별 가상 키보드와, 상기 개별 가상 키보드를 구성하는 제1 키블럭 및 제2 키블럭을 저장하는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
    상기 제2 키블럭이 표시되는 키블럭 영역과, 상기 키블럭 영역에 대한 테두리 영역으로 이루어진디스플레이모듈; 및
    사용자의 터치에 의하여 키블럭을 결정하여 상기 키블럭 영역에 표시하며, 상기 키블럭 영역에 표시된 제2 키블럭에 대한 터치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 숫자, 좌표, 기호 또는 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키블럭 영역과 테두리 영역은 중첩될 수 있고,
    상기 테두리 영역 또는 키블럭 영역은,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퀵전환 필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특정 명령을 통하여 마우스 입력이 이루어지는 마우스 모드로 전환하며, 다시 한번 해당 명령을 통해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지는 키보드 모드로 전환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키블럭 전환 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키블럭 전환 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환된 키블럭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키블럭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키블럭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되는 경우, 상기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가 접촉된 상태에서 전환된 가상키보드 상에서의 키보드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개별 가상키보드 전환필드로 할당된 퀵 전환 필드 상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개별 가상키보드 순으로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키블럭 영역과 상기 테두리 영역이 중첩되는 중첩 영역이 포함되고,
    상기 중첩 영역에 대한 입력 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순서 또는 방법대로 처리되어 표시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은, 슬라이딩되는 이동 위치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 영역 상에서 사용자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슬라이딩되는 이동 위치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은, 슬라이딩되는 속도값 또는 슬라이딩 횟수값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 영역 상에서 일정 속도값 또는 일정 횟수값을 가지는 사용자 슬라이딩이 감지되면, 슬라이딩되는 속도값 또는 슬라이딩 횟수값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키블럭 저장모듈은,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 또는 슬라이딩 방향 별로 각각의 키블럭에 대응되는 제어 정보를 할당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 영역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접촉점의 수 또는 슬라이딩 방향에 할당된 제어 정보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추출하여 추출된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에는, 복수 개의 키블럭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되며,
    상기 제어모듈은, 소정의 아이콘이 터치되는 경우, 터치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키블럭을 상기 키블럭 영역에 전환하여 표시하는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KR1020180083026A 2018-07-17 2018-07-17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KR20180086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26A KR20180086393A (ko) 2018-07-17 2018-07-17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26A KR20180086393A (ko) 2018-07-17 2018-07-17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300A Division KR20180050592A (ko) 2016-10-07 2016-11-30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393A true KR20180086393A (ko) 2018-07-31

Family

ID=6307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26A KR20180086393A (ko) 2018-07-17 2018-07-17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639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15B1 (ko) 2007-11-01 2008-06-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에서의 컴퓨터 입력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그휴대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615B1 (ko) 2007-11-01 2008-06-2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폰에서의 컴퓨터 입력 장치의 기능 수행 방법 및 그휴대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US201801210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aracter input interface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3024183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20100164897A1 (en) Virtual keypad systems and methods
JP5755219B2 (ja) 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携帯端末及びその入力方法
US20110285651A1 (en) Multidirectional button, key, and keyboard
CN103425425B (zh) 手写输入选字系统及方法
WO2004010276A1 (ja) 情報表示入力装置及び情報表示入力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
US201501239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form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Goguey et al. Leveraging finger identification to integrate multi-touch command selection and parameter manipulation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US20110126100A1 (en) Method of providing gui for guiding start position of user operation and digital device using the same
CN102841752B (zh) 一种人机交互设备的字符输入方法和装置
CN103365451B (zh) 用于智能平台的多维增速省空间的人机交互方法及装置
CN105700806A (zh) 一种用于智能电视或智能眼镜的方位手势输入方法及装置
KR20150126786A (ko) 핸드헬드 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150132896A (ko) 터치패드로 구성된 리모컨과 그 작동 방법
US10423328B2 (en)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wo cursors within a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setting of movement by a single key at a time or a plurality of keys at a time
KR20180086393A (ko)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KR20180050592A (ko)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KR101016948B1 (ko) 온스크린 방향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WO2013078621A1 (zh) 用于电子设备的触屏输入方法和电子设备
KR20110051321A (ko) 터치스크린 상의 입력효율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