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568A -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 Google Patents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568A
KR20130011568A KR1020110072807A KR20110072807A KR20130011568A KR 20130011568 A KR20130011568 A KR 20130011568A KR 1020110072807 A KR1020110072807 A KR 1020110072807A KR 20110072807 A KR20110072807 A KR 20110072807A KR 20130011568 A KR20130011568 A KR 20130011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irate
unit
sound wav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464B1 (ko
Inventor
제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110072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46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5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 G01S13/956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eteorological use mounted on ship or other plat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7/00Sir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의 물체를 원격으로 감지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에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적선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해적선박을 향해 경고방송을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 상기 경고신호발생부에 의한 경고신호에도 상기 선박의 접근이 계속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선박에 대하여 고출력 음파를 발생시키는 지향성 음파발생부; 및 상기 레이더, 영상촬영부, 경고신호발생부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SHIP SECURING SYSTEM FOR DISCRIMINATING AND CLEARING SEA ROBBER ON THE SEA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을 선원피난처와 같은 안전공간상에서 모니터링 및 상황별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적선박의 출현으로 인해 야기되어지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경제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가간 교역량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간 교역을 위해 많은 양의 화물은 항공 혹은 선박을 통해 수송되어지고 있다. 항공을 이용한 수송방법은 수송이 빠른 장점이 있지만 소요되는 비용이 크고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선박을 이용한 수송방법은 수송이 상대적으로 느린 반면 소요되는 비용이 크지 않고 많은 양의 화물을 대량으로 수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이유로 비교적 수송시간이 여유로운 화물에 대하여 많은 국가에서 선박을 이용한 화물운송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지만 화물선박의 특성상 무장이 어렵고, 해상 이동경로가 이미 오픈되어져 있어 최근 소말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약소국의 해적선박에 의한 납치사건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한 세계 주요국가에서는 해군력을 동원하여 자국을 포함한 타 국가의 화물선박에 대하여 상호 보호체계를 가동하여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지만, 워낙 감시해야할 면적이 넓어 해상을 이동하는 모든 선박에 대하여 일일이 감시 및 보호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일단 해적선박에 노출되면 아무런 저항도 할 수 없는 상태에서 무기력하게 납치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선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단지 인근 해군함정에 구조신호를 보내는 것과, 선원피난처(citadel)에 피신해 있는 것 밖에는 달리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납치시에 소극적으로 타인에 의한 구조를 기다리기에 앞서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납치를 예방하고 아울러 선원의 안전은 물론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화물선 등에 접근하고 있는 선박이 해적선박인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하며, 다음으로 해적선박으로 판단시 화물선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이를 차단하는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해상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을 선원피난처와 같은 안전공간상에서 모니터링 및 상황별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적선박의 출현으로 인해 야기되어지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해상의 물체를 원격으로 감지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에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적선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해적선박을 향해 경고방송을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 상기 경고신호발생부에 의한 경고신호에도 상기 선박의 접근이 계속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선박에 대하여 고출력 음파를 발생시키는 지향성 음파발생부; 및 상기 레이더, 영상촬영부, 경고신호발생부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선박의 크기, 이동방향, 및 속도정보를 입력받아, 이미 저장된 해적선박의 특징적인 속성값과 비교하여 당해 선박이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 이후에도 상기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되는 것으로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해적선박에 대하여 고압의 물을 발사하는 물대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 이전 단계 혹은 이와 함께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빔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단계에서 영상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인접한 군함 혹은 해양항만 상황관리실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6) 본선에 장착된 레이더가 인근 해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포착하기 위해 검색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인근 해상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촬영부가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
영상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 저장된 해적선박의 특징적인 속성값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해적선박에게 1차적으로 본선으로의 접근을 중지할 것을 알리는 경고방송을 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될 경우 2차적으로 고출력의 지향성 음파를 발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의 식별 및 퇴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음파의 발사에도 불구하고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될 경우 물대포를 발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의 식별 및 퇴치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을 선원피난처와 같은 안전공간상에서 모니터링 및 상황별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적선박의 출현으로 인해 야기되어지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의 구성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 프로세스의 기본적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 프로세스의 구체적 절차도.
본 발명은 해상의 물체를 원격으로 감지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에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적선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해적선박을 향해 경고방송을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 상기 경고신호발생부에 의한 경고신호에도 상기 선박의 접근이 계속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선박에 대하여 고출력 음파를 발생시키는 지향성 음파발생부; 및 상기 레이더, 영상촬영부, 경고신호발생부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시스템이 탑재되어지는 선박은 「본선」으로 칭하기로 하며,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레이더(10), 영상촬영부(20), 데이터처리부(30), 경고신호발생부(40), 지향성 음파발생부(50), 및 제어부(70)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물대포(60)를 포함한다.
레이더(10)는 무선탐지와 거리측정이 가능한 장치로 마이크로파와 같은 전자기파를 물체에서 쏘아보내어 그 물체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물체와의 거리, 방향, 고도 등을 알아내는 무선감시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기존 본선에 장착되어 있는 레이더 이외에 별도로 해적선박만을 감시하기 위한 별도의 레이더를 운용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기존의 본선에 장착되어 있는 레이더를 본 발명에 따른 선박보안 시스템과 연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영상촬영부(20)는 레이더에 의해 해상에서 본선과 일정한 거리에 떨어진 물체가 감지된 경우 당해 물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구성으로, 통상적인 주간용 카메라(예로 CCD 카메라)와 주야간 겸용 열영상 카메라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주간에는 CCD 카메라 등으로 빛을 통해 감시하지만, 야간에는 물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검출하여 물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처리부(30)는 영상촬영부(20)에서 주간 및 야간에 촬영된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아 이로부터 해적선박 식별을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을 통해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선박의 크기, 이동방향, 및 속도정보를 레이더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받은 후, 기준값과 비교하여 당해 선박이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해적선박인지 판단을 위한 알고리즘의 구체적인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라 후술하기로 하며, 이의 구현은 통상적인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펌웨어 등의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경고신호발생부(40)는 상기 데이터처리부(30)를 통해 해상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 음성을 통해 접근하지 말 것을 경고하는 장치로 해상선박에 장착되는 일반적인 스피커일 수 있다. 이때 경고음성은 데이터처리부(30)에서 판단되어진 상황에 따라 미리 녹음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송하는 형태로 하면 충분하다.
지향성 음파발생부(50)는 고출력의 음파를 특정한 방향으로 집중하여 발사할 수 있는 일종의 음향대포로서, 경고신호가 발생된 이후에도 본선에 계속하여 접근할 경우에 혹은 계속하여 본선의 주변을 배회하는 등의 경우에 당해 해적선박으로 추정되는 선박에 대하여 음파를 발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향성 음파발생부는 140-150dB 정도의 음파를 2km 정도까지 일정한 세기로 음향을 방사할 수 있는 장치로서 근거리에서 고막이 파열될 수 있는 정도의 스피커를 들 수 있으며, 예로는 TARVOTM (제이디 솔루션, 한국)와 같은 제품이 있다.
상기에서 경고신호발생부(40)와 지향성 음파발생부(50)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되어질 수 있고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1의 시스템에서는 편의상 이들 구성이 하나의 장치내에 구현되어진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고 있다.
물대포(60)는 소방호스 수준의 높은 압력의 물을 뿌리는 장치로서, 화재를 막는 소방을 위해, 또는 경찰이 시위나 다중범죄를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방수포(放水砲), 물포(-砲)라고도 한다. 물대포는 최후의 수단으로 해적선박이 고출력 음파의 공격에도 이를 무시하고 계속 접근할 경우 당해 해적선박에 고압의 물을 살포한다.
제어부(70)는 레이더(10) 및 영상촬영부(20)의 감시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레이더 및 영상촬영부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처리부(30)가 내린 판단의 결과에 따라 경고신호발생부(40)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50)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 이전 단계 혹은 이와 함께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 빔 발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빔 발생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적선박에 레이저빔(예로, 그린레이저)을 조준 발사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의 사정거리보다 긴 거리에서 접근 혹은 배회하는 해적선박에 대하여도 레이저 빔의 가격이 가능하며, 해적선원의 시야를 무력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이저 빔 발생부는 지향성 음파발생부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상승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단계에서 영상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인접한 군함 혹은 해양항만 상황관리실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송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송출부는 해적선박에 대하여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공격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위성통신을 매개하여 인근에 위치한 자국군함 혹은 타국군함, 혹은 해양항만 상황관리실에서 운영하는 서버에 송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조작전으로의 투입결정 혹은 피랍시 구조작전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상기 본 발명 시스템을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기본적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먼저 본선에 장착된 레이더(10)가 인근 해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포착하기 위해 검색모드를 개시한다(S201). 이후 레이더는 본선의 인근 해상에 존재하는 모든 이동 혹은 정지된 물체를 포착하여 이들의 이동경로, 속도, 및 접근거리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데이터처리부(30)로 전송한다.
레이더의 감시과정에서 인근 해상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촬영부(20)가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촬영을 개시한다(S202).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영상촬영부(20)는 레이더로부터 입력된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제어부(70)에 의해 상기 이동중인 물체의 궤적을 추종할 수 있도록 그 동작이 제어되어진다.
데이터처리부(30)는 영상촬영부(20)로부터 얻어진 이미지를 입력받아 이를 분석하여 이미 저장된 해적선박의 특징적인 속성값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를 판단한다(S203). 해적선박인지를 결정하는 속성은 기본적으로는 선박의 크기, 이동방향, 및 속도가 이용되며, 이외에 열분포도, 스키프(SKIFF) 설치여부, 천막의 설치여부, 추진여부, IMO 넘버의 존부, 현재 본선과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지 여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단계 203에서 상기 물체가 속성값을 비교한 결과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해적선박에게 1차적으로 본선으로의 접근을 중지할 것을 알리는 경고방송을 한다(S204).
상기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될 경우 2차적으로 고출력의 지향성 음파를 발사한다(S205). 이 경우 상기 경고방송 및 지향성 음파의 발사를 위해 경고신호발생부(40)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50)는 제어부에 의한 제어신호에 따라 해적선박을 향하도록 그 움직임이 제어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영상촬영부(20)는 이들 경고신호발생부(40)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50)에 탑재하여 일체로 움직이도록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단계 205의 과정에서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시 영상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인접한 군함 혹은 해양항만 상황관리실 서버로 전송하여 구조작전으로의 투입결정 혹은 피랍시 구조작전 등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S205').
필요에 따라, 상기 지향성 음파의 발사에도 불구하고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될 경우 해적선박에 물대포를 발사한다(S206). 물대포 역시 제어부(7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적선박의 움직임을 추종하도록 하여 제어신호에 의해 언제든 정확하게 발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해적선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거나 해적선박이 지향성 음파의 발사 등에 의해 본선으로부터 멀어질 경우 다시 검색모드로 들어간다(S207).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보안 시스템을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프로세스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먼저, 단계 301을 통해 해상에서 레이더에 수상한 물체가 포착되면, 영상촬영부를 구성하는 카메라가 실시간 혹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상기 물체를 촬영한다(S302). 이때 카메라는 주간의 경우 통상적인 카메라가 사용되고, 야간일 경우 열영상 카메라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촬영부를 통해 얻어진 이미지는 데이터처리부에 전송되어 정해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는 선박이 이동하는 경로를 계속하여 추종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촬영된 이미지로부터 물체(이하, 선박)의 크기를 추출해 낸다. 이때 단계 303에서 상기 선박의 크기가 20M 이하인 것으로 판단될 경우 이는 해적선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이후의 프로세스를 진행시킨다. 이와는 달리 선박의 크기가 20M 이하인 경우 상기 선박이 변침 혹은 배회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4). 여기서 변침은 선박이 배의 항로를 바꾸는 행위를 말하며, 배회는 보호 대상이 되는 선박 주위를 맴도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선박의 경우 변침이나 배회를 하지 않는다는 경험적 관찰로부터 유래된다.
만일 단계 304에서 당해 선박이 변침 혹은 배회가 있던 경우 상기 선박의 속도정보를 추출해 내고, 없는 경우에는 단계 313으로 진입하여 상기 선박이 추진하고 있는 물체인지를 판단한다.
선박의 속도정보는 레이더(10)로부터 제공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때 측정된 선박의 이동속도가 15knot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적선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305). 이는 통상적인 해적선의 경우 소형이면서 15knot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선박의 속도가 15knot 미만일 경우에는 단계 314로 진입하여 상기 선박과 본선간의 거리가 최소 안전거리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단 선박의 이동속도가 15knot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해적선박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상기 선박의 열분포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6). 이때 열분포도는 열영상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정보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선박의 열분포도를 판단하는 이유는 해적선박의 경우 통상적으로 해적들이 선상에 한곳에 모여 있어 군집을 형성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며, 이와 같이 지정된 열분포도를 보이는 경우 상기 선박은 해적선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만일 지정된 열분포도를 갖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315로 진입하여 열감지가 되는 선박인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지정된 열분포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선박은 해적선박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선박이 현재 본선에 근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7). 만일 본선에 근접하고 있다면 경계모드로 돌입하고 후속 물리적 대응 조치를 강구한다. 이와는 달리 근접하고 있지 않다면 단계 316으로 진입하여 접근방향이 본선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경계모드로 돌입한 경우 본 발명에서는 물리적인 대응수단으로 1차적으로 경고신호발생부(40)를 통해 경고방송을 상기 접근 선박에 내보낸다.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상기 선박이 계속하여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향성 음파발생기(50)를 통해 고출력의 지향성 음파를 발사한다. 이러한 지향성 음파발생기(50)는 본선에 근접하는 해적선박의 위치에 추종하여 발사할 수 있도록 제어부(7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만일 지향성 음파발생기(50)를 이용하여 고출력의음파를 발사하였음에도 계속하여 상기 선박이 접근을 시도할 경우 물대포(60)를 발사하여 상기 선박의 접근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러한 물대포(60)는 본선에 근접하는 해적선박의 위치를 추적하여 발사할 수 있도록 제어부(7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만일 단계 303에서 선박의 크기가 20M을 넘는 경우에는 상기 선박의 갑판상에 스키프(SKIFF)가 탑재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다시 스키프가 탑재된 경우 갑판상에 천막이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1), 스키프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IMO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9).
만일 단계 311에서 상기 선박에 천막이 설치된 경우 청해부대에서 제공된 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다(S312). 청해부대에서 제공된 선박일 경우 추진하고 있는 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13), 청해부대에서 제공된 선박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선박의 크기가 100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단계 313에서 추진하고 있는 선박으로 판단되어지면 다음 단계에서 본선이 의심 선박으로부터 최소안전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314), 추진하고 있지 않은 선박으로 판단되어지면 열 영상이 분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1).
단계 314에서 최소안전거리 이내일 경우에는 열감지가 되는 선박인지를 판단하고(S315), 최소안전거리를 벗어나 있는 경우에는 본선과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2).
만일 단계 315에서 열감지가 되지 않는 선박일 경우에는 본선과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2).
단계 315에서 열감지가 되는 선박인 경우 접근방향이 본선 방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16). 접근방향이 본선방향일 경우 상기 선박을 해적선박으로 판단하여 경계모드로 돌입하고 후속 물리적 조치를 강구한다. 이때 후속 물리적 조치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는 달리 접근방향이 본선 방향이 아닌 경우에는 본선과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2). 단계 322에서 본선과의 거리가 좁혀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의심 선박을 해적선박으로 판단하여 경계모드로 돌입하고 후속 물리적 조치를 강구한다.
만일 단계 319에서 IMO 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선박의 크기가 100M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20), IMO 번호가 있는 경우 상기 선박은 해적선박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를 해제하고 검색모드로 진입한다(S325).
단계 320에서 선박의 크기가 100M 이하일 경우 상기 선박에서 열 영상이 분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1). 만일 열영상이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단계 322에서 본선과의 거리가 좁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열영상이 분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선박은 해적선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를 해제하고 검색모드로 진입한다(S325).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식별 및 퇴치 프로세스에 의하면 해상에서 이동하는 물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단시간내에 정확하게 식별이 가능하고, 이러한 과정을 선원피난처와 같은 안전공간상에서 모니터링 및 상황별 대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해적선박의 출현으로 인해 야기되어지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해를 미연에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레이더
20: 영상촬영부
30: 데이터처리부
40: 경고신호발생부
50: 지향성 음파발생부
60: 물대포
70: 제어부

Claims (7)

  1. 해상의 물체를 원격으로 감지하는 레이더; 상기 레이더에 감지된 물체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물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적선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해적선박을 향해 경고방송을 발생하는 경고신호발생부; 상기 경고신호발생부에 의한 경고신호에도 상기 선박의 접근이 계속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선박에 대하여 고출력 음파를 발생시키는 지향성 음파발생부; 및 상기 레이더, 영상촬영부, 경고신호발생부 및 지향성 음파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선박의 크기, 이동방향, 및 속도정보를 입력받아, 이미 저장된 해적선박의 특징적인 속성값과 비교하여 당해 선박이 해적선박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 이후에도 상기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되는 것으로 데이터처리부에 의해 판단된 경우 상기 해적선박에 대하여 고압의 물을 발사하는 물대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 이전 단계 혹은 이와 함께 레이저 빔을 발사하는 레이저빔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며, 지향성 음파발생부에 의한 고출력 음파의 발생단계에서 영상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영상을 인접한 군함 혹은 해양항만 상황관리실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6. 본선에 장착된 레이더가 인근 해상에 존재하는 물체를 포착하기 위해 검색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인근 해상에 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촬영부가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여 촬영을 개시하는 단계;
    영상촬영부로부터 얻어진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 저장된 해적선박의 특징적인 속성값과 비교하여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물체가 해적선박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해적선박에게 1차적으로 본선으로의 접근을 중지할 것을 알리는 경고방송을 하는 단계; 및
    상기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될 경우 2차적으로 고출력의 지향성 음파를 발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의 식별 및 퇴치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향성 음파의 발사에도 불구하고 해적선박의 접근이 계속될 경우 물대포를 발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에서의 해적선박의 식별 및 퇴치방법.
KR1020110072807A 2011-07-22 2011-07-22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KR101247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807A KR101247464B1 (ko) 2011-07-22 2011-07-22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807A KR101247464B1 (ko) 2011-07-22 2011-07-22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68A true KR20130011568A (ko) 2013-01-30
KR101247464B1 KR101247464B1 (ko) 2013-03-25

Family

ID=4784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807A KR101247464B1 (ko) 2011-07-22 2011-07-22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4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5367B2 (en) 2014-03-13 2019-04-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ccident data
KR102112000B1 (ko) * 2019-11-08 2020-05-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더 기반 해상교량 및 해안시설물 충돌 경보 시스템
KR20210011193A (ko) 2019-07-22 2021-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듈통합형 보안장치
CN114220237A (zh) * 2021-12-10 2022-03-22 昆仑杰信(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安防雷达防盗防跌落报警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16B1 (ko) 2012-04-27 2014-04-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적선 퇴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4780A (ja) 2006-01-06 2007-07-19 Ihi Aerospace Co Ltd 遠隔監視装置
KR101324221B1 (ko) * 2008-08-27 2013-11-0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영상 촬영을 통한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7514B1 (ko) * 2008-12-29 2010-10-12 주식회사 세너틱스 대 테러 진압 시스템
KR101078432B1 (ko) * 2009-04-30 2011-10-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5367B2 (en) 2014-03-13 2019-04-0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Vessel traffic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ng accident data
KR20210011193A (ko) 2019-07-22 2021-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모듈통합형 보안장치
KR102112000B1 (ko) * 2019-11-08 2020-05-18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레이더 기반 해상교량 및 해안시설물 충돌 경보 시스템
CN114220237A (zh) * 2021-12-10 2022-03-22 昆仑杰信(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安防雷达防盗防跌落报警方法
CN114220237B (zh) * 2021-12-10 2024-04-05 昆仑杰信(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安防雷达防盗防跌落报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464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7464B1 (ko)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KR101078432B1 (ko)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
US20120229282A1 (en) Maritime Overboard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US9953513B2 (en) Offshore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9244459B2 (en) Reflexive response system for popup threat survival
KR101779938B1 (ko) 사생활 보호를 위한 드론 보안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00130B1 (ko) 울타리 주변 영역에서 타겟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9996037B (zh) 一种水域的安全监控方法、装置、设备及系统
KR20130038549A (ko)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JP2016139343A (ja) 防犯システム
KR101210327B1 (ko) 지능형 선박용 경보 시스템
KR20190117334A (ko) 항만 보안 감시 시스템
KR101229143B1 (ko)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 통합 시스템 및 방법
JP2010072831A (ja) 警備用ロボット
CN112346078B (zh) 船舶超高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155237B2 (en) Perimeter alert defense system
KR20240021671A (ko) 실허상 확률에 기초한 의아 객체 모니터링 장치
KR101123488B1 (ko) 선박의 화재 및 침수사고를 예방하고 대처하는 능동형 안전시스템
KR101756871B1 (ko) 선박 내 cctv 영상 관제 시스템
KR20150054348A (ko) 해상에서의 레이더를 이용한 위협물체 자동감지 및 알림시스템, 및 방법
KR20100013384A (ko)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 통합시스템
KR20200084963A (ko)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음성 인식 모듈 및 드론을 이용한 확장형 감시 시스템
KR20130141246A (ko) 복수개의 지향성스피커를 이용한 선박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
JP2007206880A (ja) 不審船の判定方法
KR20150064805A (ko) 선박의 해적 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