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8549A -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8549A
KR20130038549A KR1020110102968A KR20110102968A KR20130038549A KR 20130038549 A KR20130038549 A KR 20130038549A KR 1020110102968 A KR1020110102968 A KR 1020110102968A KR 20110102968 A KR20110102968 A KR 20110102968A KR 20130038549 A KR20130038549 A KR 20130038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vessel
unit
signal
pi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걸
김응주
이석우
이신우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8549A/ko
Publication of KR20130038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85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7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레이더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소형선박 또는 선박의 영역에서도 선체의 외벽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한 후 경보를 발령하여, 승무원들이 외부 침입에 대응할 수 있게 하거나 선박 내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한 후 외부의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 선체의 외벽에 일정 거리마다 다수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고, 선박의 승무원에게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Detecting system for trespass of pirates}
본 발명은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레이더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소형선박 또는 선박의 영역에서도 선체의 외벽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한 후 경보를 발령하여, 승무원들이 외부 침입에 대응할 수 있게 하거나 선박 내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한 후 외부의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아프리카 소말리아 인근 해상에서 무장한 해적에 의해 선박 납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들은 국적을 불문하고 소말리아 인근 해상을 항해하는 수많은 선박들을 납치하고, 인질들의 몸값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무장 병력을 파견하여 선박 보호에 동참하고 있다. 여러 나라의 병력들이 서로 공조하면서 해적으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거나 해적을 소탕하고 있지만, 드넓은 해역을 제한된 병력으로 전부 경계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소말리아의 국내 사정으로 인해 해적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무장 병력에 의한 선박 보호 및 해적 소탕은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해적의 위협으로부터 선박을 보호하기 위해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Ship Security Alert System)이 있으나, 상기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은 레이더(radar)를 통해 접근하는 해적선의 위치를 추적하여 선박 보안 경보 신호 수신이 가능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해적선의 접근을 감시하는데, 소형 해적선의 경우 레이더가 해적선을 감지하지 못해 해적에 의한 피랍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은 선박 근처로 접근하는 해적선 존재의 유무만을 알 수 있고, 실제로 선박에 침입하는 해적이나 침입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또한, 상기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을 이용한 종래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출원번호 : 10-2009-0038506)이 있다. 도 1은 상기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기술은 탐색장치와 감시장치, 경보장치, 방어 장치로 구성되고, 해적으로 추정되는 선박이 출현시에는 단계적으로 대처하면서 경계하다가 해적으로 판명될 경우 물대포로 해적을 퇴치하는 것이다. 적극적으로 해적을 퇴치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선박에 추가되는 장치가 많아 설치 시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레이더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 소형선박 또는 선박의 영역에서도 선체의 외벽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의해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한 후 경보를 발령하여, 승무원들이 외부 침입에 대응할 수 있게 하거나 선박 내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한 후 외부의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 선체의 외벽에 일정 거리마다 다수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고, 선박의 승무원에게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케이블과 지지결합되며, 선박의 선체에 설치되는 고정체; 상기 선박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영상신호를 경보부에 전송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경보부는 감지부에서 송출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처리부; 상기 감지부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신호처리부와 영상처리부가 수신한 신호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중앙처리부의 경보 발령 지시에 의해, 선박의 승무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는 다수의 스피커;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경보부는 선박의 승무원에게 시각적으로도 경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박에 다수가 설치되는 경보램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한 경보부에 의해 경보가 발령되면, 외부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 주변해상 국가의 관계당국 또는 해상 경계부대에 구조신호를 송출하는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는다.
첫째, 구조가 단순하여 선박의 외벽에 간단히 설치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중인 선박뿐만 아니라 이미 건조가 완료된 선박에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둘째, 선체의 외벽에 설치된 다수의 센서와 선박의 외부에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해적 또는 침입자가 선박의 어느 구역을 통해 침입하는지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셋째, 해적 또는 침입자가 침입하면 경보가 자동으로 발령되어, 승무원들이 해적침입에 대응할 수 있게 하거나 선박 내의 안전한 장소로 대피할 수 있게 한 후 외부의 구조를 기다릴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인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의 감지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의 경보부의 블록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인 선박 해적 감시 및 방어 시스템과 그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의 감지부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의 경보부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은 감지부(200)와 경보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200)는 선박(10) 선체(100)의 외벽에 일정 거리로 다수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상기 경보부(300)에 송출한다. 또한, 경보부(300)는 상기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고, 선박(10)의 승무원에게 경보를 발령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200)는 센서(210), 고정체(220), 카메라(230), 케이블(240)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210)는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한다. 이때 적용할 수 있는 센서는 열감지센서, 모션센서, 광센서 등이 있으며, 각 센서의 감지 범위와 설치수량을 고려해서 1종류를 선정해서 적용한다.
또한, 상기 고정체(220)는 센서(210)의 케이블(240)과 지지결합되며, 선박(10)의 선체(100)에 부착되는데, 도 3에서 예시한 것처럼 상기 선박(10)의 난간(110)을 활용해서 지지결합시킨다. 특히, 상기 고정체(220)의 재질은 내식성과 기계적성질이 우수한 스텐레스 계열의 금속이나 동등한 성질을 가진 금속을 적용해서 케이블(240)의 고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230)는 선박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영상신호를 경보부(300)에 전송해서, 승무원에게 해적 또는 침입자가 선박의 어느 구역을 통해 침입하는 지를 확실하게 인지시켜, 효과적으로 침입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적용되는 카메라는 야간이나 기상 상태를 고려해서 적외선 카메라 기능을 가진 제품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240)는 센서(21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210)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경보부(30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특히, 상기 감지부(200)의 구성요소인 센서(210), 고정체(220), 카메라(230), 케이블(240)은 바닷바람과 바닷물, 해상에서의 날씨 변화를 고려해서 내구성과 내식성이 우수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을 적용한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300)는 신호처리부(310), 영상처리부(320), 중앙처리부(330), 디스플레이(340), 다수의 스피커(3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부(310)는 감지부(200)에서 송출한 감지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적고 전송이 확실한 제품을 적용하고, 상기 영상처리부(320)는 감지부(200)의 카메라(23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해상도가 높고 저장기능이 있는 제품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330)는 신호처리부(310)와 영상처리부(320)가 수신한 신호들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중앙처리부(330)는 선박(10)의 조타실(120)에 있는 항해용 컴퓨터를 활용해서 구성할 수 있고, 별도의 데스크톱이나 노트북 컴퓨터를 설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중앙처리부(310)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신호가 출력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340)는 선박에 기설치된 모니터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모니터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부(330)에 모니터가 포함된 노트북 컴퓨터를 적용했다면, 상기 디스플레이(340)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특히, 상기 스피커(350)는 중앙처리부(310)의 경보 발령 지시에 의해, 선박(10)의 승무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기 위해 다수가 선박(10)의 주요 위치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기설치된 선박(10)의 스피커를 활용해서 구성하거나, 전용 스피커를 별도로 설치해서 구성할 수 있는데 설치 위치는 승무원에게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는 위치를 고려해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경보부(300)는 경보램프(3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경보램프(360)는 선박(10)의 승무원에게 시각적으로 경보를 알릴 수 있게 선박(10)에 다수가 설치되며, 상기 선박(10)에 기설치되어 있는 비상등을 활용하거나, 전용의 램프를 별도로 선박(10)의 중요 위치에 다수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신장치(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장치(400)는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한 경보부(200)에 의해 경보가 발령되면, 외부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 주변해상 국가의 관계당국 또는 해상 경계부대에 구조신호를 송출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박(10)에 기설치되어 있는 통신장치를 활용하거나, 별도의 통신장치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장치(400)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한 통신능력을 갖춘 제품이 적용되어야 한다.
10 : 선박 100 : 선체
110 : 난간 120 : 조타실
200 : 감지부 210 : 센서
220 : 고정체 230 : 카메라
240 : 케이블 300 : 경보부
310 : 신호처리부 320 : 영상처리부
330 : 중앙처리부 340 : 디스플레이
350 : 스피커 360 : 경보램프
400 : 통신장치

Claims (5)

  1. GPS를 이용한 선박 보안 경보 시스템이 설치된 선박에 있어서,
    상기 선박(10) 선체(100)의 외벽에 일정 거리마다 다수가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감지부(200)와;
    상기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고, 선박(10)의 승무원에게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0)는
    기준거리 이내로 침입하는 해적 또는 침입자를 감지하는 센서(210)와;
    상기 센서(210)의 케이블(240)과 지지결합되며, 선박(10)의 선체(100)에 설치되는 고정체(220)와;
    상기 선박(10)의 주변 상황을 촬영하고, 영상신호를 경보부(300)에 전송하는 카메라(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300)는
    감지부(200)에서 송출한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처리부(310)와;
    상기 감지부(200)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처리부(320)와;
    상기 신호처리부(310)와 영상처리부(320)가 수신한 신호들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330)와;
    상기 중앙처리부(310)에 의해 제어되어, 영상신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340)와;
    상기 중앙처리부(310)의 경보 발령 지시에 의해, 선박(10)의 승무원에게 경보음을 송출하는 다수의 스피커(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300)는
    선박(10)의 승무원에게 시각적으로도 경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박(10)에 다수가 설치되는 경보램프(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200)에 의해 감지되어 송출된 신호를 수신한 경보부(200)에 의해 경보가 발령되면, 외부 구조를 요청하기 위해 주변해상 국가의 관계당국 또는 해상 경계부대에 구조신호를 송출하는 통신장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KR1020110102968A 2011-10-10 2011-10-10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KR201300385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968A KR20130038549A (ko) 2011-10-10 2011-10-10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968A KR20130038549A (ko) 2011-10-10 2011-10-10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8549A true KR20130038549A (ko) 2013-04-18

Family

ID=4843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2968A KR20130038549A (ko) 2011-10-10 2011-10-10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854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9554A1 (en) * 2014-05-20 2015-11-26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frames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9693386B2 (en) 2014-05-20 2017-06-27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Time chart for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9778066B2 (en) 2013-05-23 2017-10-03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User query and gauge-reading relationships
US9779183B2 (en) 2014-05-20 2017-10-03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Sensor management and sensor analytics system
US10084871B2 (en) 2013-05-23 2018-09-25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frames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10277962B2 (en) 2014-05-20 2019-04-30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CN110111519A (zh) * 2018-07-23 2019-08-09 李苏宁 基于视频图像识别技术的长江河道禁采执法工作系统
KR20230025189A (ko) 2021-08-13 2023-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4차원 레이더를 활용한 해적 선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8066B2 (en) 2013-05-23 2017-10-03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User query and gauge-reading relationships
US10084871B2 (en) 2013-05-23 2018-09-25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frames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WO2015179554A1 (en) * 2014-05-20 2015-11-26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frames for 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9693386B2 (en) 2014-05-20 2017-06-27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Time chart for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US9779183B2 (en) 2014-05-20 2017-10-03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Sensor management and sensor analytics system
US10277962B2 (en) 2014-05-20 2019-04-30 Allied Telesis Holdings Kabushiki Kaisha Sensor based detection system
CN110111519A (zh) * 2018-07-23 2019-08-09 李苏宁 基于视频图像识别技术的长江河道禁采执法工作系统
KR20230025189A (ko) 2021-08-13 2023-02-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4차원 레이더를 활용한 해적 선박 감지 시스템 및 방법, 동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8549A (ko) 해적 침입 감시 시스템
US8810436B2 (en) Maritime overboard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KR100931319B1 (ko) 선박 침입자 탐지 및 격퇴장치 및 그 방법
CA2658347C (en) Intruder detection using video and infrared data
US9953513B2 (en) Offshore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KR101163734B1 (ko) 선박 충돌 방지 및 인지 시스템
US20140218518A1 (en) Firearm Discharg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WO2004099811A2 (en) Automatic detection and monitoring of perimeter physical movement
JP2007184780A (ja) 遠隔監視装置
KR101800130B1 (ko) 울타리 주변 영역에서 타겟을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3391426A (zh) 一种摄像机及其安防方法
JP2006171944A (ja) 複合型防犯センサ
KR101247464B1 (ko) 해상에서의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를 위한 선박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적선박 식별 및 퇴치방법
KR20090111495A (ko)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WO2019120463A1 (en) Robotic safety system for marine vessels
KR101229143B1 (ko)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 통합 시스템 및 방법
CN103544792A (zh) 目标监测系统
KR20100065543A (ko) 선박의 침입자 감지 장치
KR20100013384A (ko) 선박의 해상강도 대응 통합시스템
CN208569031U (zh) 基于雷达的哨兵预警系统
JP2007272393A (ja) 自動監視警告システム
Nakano et al. Harbor monitoring network system for detecting suspicious objects approaching critical facilities in coastal areas
JP4277676B2 (ja) 監視システム並びに該システムの検知手段
JP3148609U (ja) 船舶保安システム
KR20150064805A (ko) 선박의 해적 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