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9136A -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9136A
KR20130009136A KR20110070026A KR20110070026A KR20130009136A KR 20130009136 A KR20130009136 A KR 20130009136A KR 20110070026 A KR20110070026 A KR 20110070026A KR 20110070026 A KR20110070026 A KR 20110070026A KR 20130009136 A KR20130009136 A KR 2013000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opening
row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7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4338B1 (ko
Inventor
한정엽
장승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338B1/ko
Priority to US13/549,113 priority patent/US8859127B2/en
Publication of KR2013000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7Stationary installations, e.g. power plant buffering or backup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01M10/6557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arranged between th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나란히 배열된 배터리 트레이들과,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1 덕트와,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2 덕트와,강제적으로 외기를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제2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장치와 이를 위한 랙 하우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 파괴, 자원 고갈 등이 문제되면서, 전력을 저장하고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발전 과정에서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 조력이나 풍력, 태양광 등을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전력저장장치는 신재생 에너지와, 전력을 저장한 배터리, 및 이들과 함께 연계된 기존의 계통 전력을 구비하여, 전력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력저장장치는 비상용 작동 전원 등을 제공하기 위한 무정전 전원장치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주 전력원의 중단과 같은 상황에서 산업 설비에 요구되는 전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터리 트레이들을 집약적으로 수납하고, 배터리 트레이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나란히 배열된 배터리 트레이들;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1 덕트;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2 덕트; 강제적으로 외기를 상기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제2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의 열을 가운데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과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의 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의 열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배터리 트레이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홀;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마주보도록 제2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홀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홀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배터리 트레이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제외한 면이 닫힌 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열을 이루며, 배터리 트레이들을 수납하도록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 공간들;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수납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1 덕트;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들과 대향하는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2 덕트; 강제적으로 외기를 상기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제2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랙 하우징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을 가운데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의 크기와 상기 제2 개구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배터리 트레이들을 집약적으로 수납하여 구조적으로 모듈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배터리 트레이들 각각을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전력저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하우징과 공기유입부재 및 공기배출부재가 연결된 랙 하우징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 중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단위 전력저장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 중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단위 저장장치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 중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단위 전력저장장치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수납 공간의 열(RG)" 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들(G)을 나타낸다. 예컨대, 수납 공간의 열(RG)은 도 2의 D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 트레이의 열(RB)"은 수납 공간의 열(RG)에 구비된 각각의 수납 공간(G)에 배터리 트레이들(100)이 수납된 상태로서, 일 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복수의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나타낸다. 따라서, 배터리 트레이의 열(RB)도 D1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외기"는 제1 덕트(210)로 유입되기 전의 공기를 나타내고, "제1 공기"는 제1 덕트(210)로 유입된 공기로서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통과하기 전의 공기를 나타내며, "제2 공기"는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통과한 후 제2 덕트(220)의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전력저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 하우징과 공기유입부재 및 공기배출부재가 결합된 랙 하우징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전력저장장치(1)는 배터리 트레이들(100), 랙 하우징(200), 공기유입부재(300),및 공기배출부재(400)를 포함한다.
배터리 트레이들(100)은 다수의 단위 팩들(미도시)이 하나의 단위로 패킹되어 모듈화 된 것으로, 배터리 트레이들(100)이 다수 모여 직렬/병렬 연결될 수 있다. 직렬/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트레이들(100)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배터리 제어 시스템 (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라 함)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 각각은 일 방향을 따라 적층된 평평한 형태 복수의 단위 팩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에는 방전 전류를 외부부하(미도시)로 인출하거나, 외부 전원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충전 전류를 입력하기 위한 전원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랙 하우징(200)는 다수의 배터리 트레이들(100)이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이들 간의 전원연결 및 통신 연결을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제공할 수 있다. 랙 하우징(200)은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를 포함하며,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 각각은 공기유입부재(300)와 공기배출부재(400)와 연결되어 랙 하우징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랙 하우징(200)은 대략 격자를 이루며 랙 하우징(200)의 골격을 형성하는 가로 프레임부(201)와 세로 프레임부(202), 및 가로 프레임부(201)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의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가로 프레임부(201)는 제2 덕트(220)가 하방에 배치된 제1 덕트(210)와 소정의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2 덕트(220)를 고정시켜 줄 수 있다.
가로 프레임부(201)와 세로 프레임부(202), 및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의 결합은 용접과 같은 영구적인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는, 나사 결합과 같은 기계적인 체결 방식을 통해 해제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랙 하우징(200)은 다수의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높은 집적도로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수납 공간(G)을 제공한다. 복수의 수납 공간들(G)은 D1 방향을 따라 하나의 열을 이루고, 하나의 수납 공간의 열(RG)은 D3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다수의 열을 형성할 수 있다.
수납 공간(G)은 세로 프레임부(202) 및 서로 마주보는 세로 프레임부(202) 사이에 배치되는 배리어(213)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수납 공간(G)은 4개의 측면들이 개방된 대략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 또는,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만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는 개방된 측면을 통해 수납 공간(G)에 수납될 수 있다.
수납 공간의 열(RG)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덕트(210)는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제1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고, 제2 덕트(220)는 배터리 트레이들(100)을 상부에서 지지하면서 제2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덕트(210)의 일면, 즉 수납 공간(G)과 대응되는 면에는 제1 개구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덕트(210)를 이동하던 제1 공기는 제1 개구부(212)를 통해서 수납 공간(G)에 안착된 배터리 트레이(10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공기유입부재(300)는 외기를 제1 덕트(21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기유입부재(300)는 모터(305) 및 모터(305)에 의해 회전하는 팬(307), 모터(305)와 팬(307)의 동작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제1 덕트(210)로 안내하기 위한 제1 보조 덕트(3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기가 하나의 제1 보조 덕트(310)를 통해 한꺼번에 복수의 제1 덕트들(210)로 유입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나의 공기유입부재(300)가 하나의 제1 덕트(21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덕트(220)는 수납 공간들(G)을 사이에 두고 제1 덕트(210)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덕트(220)는 제1 개구부(212)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며 제1 개구부(21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제2 개구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를 통과한 제2 공기는 제2 개구부(222)를 통해 제2 덕트(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배출부재(400)는 제2 덕트(220)의 내부를 이동하는 제2 공기를 외부를 향해 배기시킨다. 이를 위해, 공기배출부재(400)는 모터(405) 및 모터(405)에 의해 회전하는 팬(407), 모터(405)와 팬(407)의 동작에 의해 제2 덕트들(220)을 이동한 제2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 제2 보조 덕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2 덕트들(220)을 이동한 제2 공기가 하나의 제1 보조 덕트(310)를 통해 한꺼번에 배출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나의 공기배출부재(400)가 하나의 제2 덕트(22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납 공간의 열(RG)을 사이에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는 배터리 트레이(100)의 높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공간(G)의 높이는 배터리 트레이(10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 각각에 제1,2 개구부들(212, 2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유입부재(300)에 의하여 제1 덕트(210)로 유입되어 제1 덕트(210)의 내부를 이동하던 제1 공기가 제1 개구부(212)를 통해 수납 공간(G) 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수납 공간(G)이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2 덕트(220)를 향해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수납 공간(G)의 높이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구비하므로, 수납 공간(G)에 배터리 트레이(100)가 안착되면 제1 개구부(212)와 제2 개구부(222)는 배터리 트레이(100)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덕트(210)의 내부를 이동하던 제1 공기는 제1 개구부(212)를 통해 배터리 트레이(100)의 내부를 이동하여 배터리 트레이(100)를 냉각시키고, 배터리 트레이(100)를 통과한 제2 공기는 제2 개구부(222)를 통해 제2 덕트(220)로 유입된 후 공기배출부재(400)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의 화살표는 배터리 트레이(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 공기와 제2 공기의 이동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배터리 트레이들(100)이 수납됨으로써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폐루프가 형성되는 상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 중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단위 전력저장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 중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단위 전력저장장치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단위 전력 저장장치(40)는 하나의 배터리 트레이의 열(RB), 및 하나의 배터리 트레이의 열(RB)을 가운데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를 포함한다.
제1 덕트(210)은 배터리 트레이의 열(RB)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덕트(220)는 제1 덕트(210)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터리 트레이의 열(RB)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의 이격 거리는 배터리 트레이(100)의 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 덕트(210)의 제1 개구부(212)와 제2 덕트(220)의 제2 개구부(22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1,2 개구부(212, 222) 사이에 배터리 트레이(100)가 수납된다. 제2 덕트(220)는 가로 프레임부(201)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배터리 트레이(100)를 통과한 제2 공기가 제2 덕트(220)를 향해 이동할 수 있도록 가로 프레임부(201)는 제2 개구부(222)와 동일한 크기의 홀(201a)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는 D1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위 팩들(110)과, 단위 팩들(110)을 수용되는 트레이 하우징(120)을 포함한다. 트레이 하우징(120)은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제1 홀(112)과 제2 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공기 또는 제2 공기가 제1 홀(112)과 제2 홀(122)을 제외한 다른 경로로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홀(112)과, 제2 홀(122)을 제외한 트레이 하우징(120)의 면은 모두 닫힌 면일 수 있다.
트레이 하우징(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제1 홀(112)은, 제1 개구부(212)를 통과한 제1 공기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제1 덕트(210)의 제1 개구부(212)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공기의 일부가 누설되지 않고 배터리 트레이(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 홀(112)의 크기는 제1 개구부(212)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하우징(12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2 홀(122)은, 배터리 트레이(10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열을 흡수한 제2 공기가 제2 덕트(2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덕트(220)의 제2 개구부(222)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제2 덕트(2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 홀(122)의 크기는 제2 개구부(222)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는 손잡이(111)를 이용하여 -D2 방향을 따라 수납 공간(G)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의 이격 거리가 배터리 트레이(100)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배터리 트레이(100)의 상부면은 제2 덕트(220)의 하부면과 접촉하며, 이 때 제2 홀(122)과 제2 개구부(222)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트레이(100)의 하부면은 제1 덕트(210)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제1 홀(112)과 제1 개구부(212)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트레이(100)가 수납 공간(G)에 안착되면서 공기가 이동하는 폐루프 경로가 완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부재(300)에 의해 제1 덕트(210)로 유입된 제1 공기는 D1 방향을 따라 제1 덕트(210)의 내부를 이동하다가, 제1 개구부(212) 및 제1 홀(112)을 지나서 배터리 트레이(100)로 유입된다.
배터리 트레이(100)로 유입된 제1 공기는 배터리 트레이(100)에 수납된 단위 팩들(110) 사이를 통과하면서 배터리 트레이(100)를 냉각시킨다. 배터리 트레이(10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팩들(110)은 D1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므로, 제1 공기는 D3 방향을 따라 단위 팩들(11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게 된다. 제1 공기는 단위 팩들(110) 사이를 통과하면서 단위 팩들(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다.
배터리 트레이(100)를 통과하면서 단위 팩들(110)로부터 열을 흡수한 제2 공기는 제1 공기에 비하여 온도가 높은 상태이므로 가벼워진다. 가벼워진 제2 공기는 상부, 즉 D3 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므로 제2 홀(122)과 제2 개구부(222)를 통과해 제2 덕트(220)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덕트(220)로 유입된 제2 공기는 공기배출부재(400)에 의해 외부로 배기된다.
공기유입부재(300)와 공기배출부재(400)를 이용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트레이(100)를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제1 덕트(210)는 배터리 트레이(100) 열의 하부에 배치하고, 제2 덕트(220)는 배터리 트레이(100) 열의 상부에 배치함으로써, 배터리 트레이(100)를 통과하면서 열을 흡수한 제2 공기가 제1 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트레이들(100)의 냉각 속도 및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저장장치 중 하나의 열을 구성하는 단위 전력저장장치를 발췌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단위 전력 저장장치는 수납 공간의 열(RG)에 배치되는 배터리 트레이들(100), 수납 공간의 열(RG)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된 제1 덕트(210)와 제2 덕트(220)를 포함한다. 또한, 배터리 트레이(100)가 수납 공간에 안착되면서 배터리 트레이(100)의 상부면이 제2 덕트(220)의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제2 홀(122)과 제2 개구부(222)가 접촉할 수 있는 점, 수납 공간(G)에 수납된 배터리 트레이(100)의 하부면이 제1 덕트(210)의 상부면과 접촉하면서 제1 홀(112)과 제1 개구부(212)가 접촉하여, 공기가 이동할 수 있는 경로가 완성됨은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덕트(220)에서의 공기의 이동 방향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를 보인다. 제2 덕트(220)의 배출구가 제1 덕트(210)의 유입구와 동일한 방향에 구비되면, 제1 덕트(210)와 배터리 트레이(100) 및 제2 덕트(220)를 이동하는 공기는 대략 "ㄷ자"의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전력 저장 장치 100: 배터리 트레이
200: 랙 하우징 210: 유입 덕트
212: 제1 개구부 213: 배리어
220: 제2 덕트 222: 제2 개구부
300: 공기유입부재 310: 제1 보조 덕트
400: 공기배출부재 410: 제2 보조 덕트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열을 이루도록 나란히 배열된 배터리 트레이들;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1 덕트;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개구부들을 구비하는 제2 덕트;
    강제적으로 외기를 상기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제2 덕트 내부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전력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의 열을 가운데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력저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과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전력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의 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들의 열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력저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전력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트레이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 홀; 및
    상기 제2 개구부와 마주보도록 제2 홀;을 포함하는 전력저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와 상기 제1 홀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력저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홀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전력저장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배터리 트레이는,
    상기 제1 홀 및 상기 제2 홀을 제외한 면이 닫힌 면인 전력저장장치.
  10. 하나의 열을 이루며, 배터리 트레이들을 수납하도록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납 공간들;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수납 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1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1 덕트;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개구부들과 대향하는 제2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제2 덕트;
    강제적으로 외기를 상기 제1 덕트의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부재; 및
    상기 제2 덕트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부재;를 포함하는 랙 하우징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와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을 가운데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랙 하우징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덕트는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덕트는 상기 수납 공간들의 열의 상부에 구비되는 랙 하우징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의 높이는 상기 배터리 트레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랙 하우징 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의 크기와 상기 제2 개구부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된 랙 하우징 조립체.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수납 공간을 향해 개방된 랙 하우징 조립체.
KR1020110070026A 2011-07-14 2011-07-14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KR101264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26A KR101264338B1 (ko) 2011-07-14 2011-07-14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US13/549,113 US8859127B2 (en) 2011-07-14 2012-07-13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026A KR101264338B1 (ko) 2011-07-14 2011-07-14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136A true KR20130009136A (ko) 2013-01-23
KR101264338B1 KR101264338B1 (ko) 2013-05-14

Family

ID=47519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026A KR101264338B1 (ko) 2011-07-14 2011-07-14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59127B2 (ko)
KR (1) KR1012643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23A (ko) 2014-09-05 2016-03-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배터리 연결 조립체
KR20170121559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 장치 및 전력 저장 장치 냉각 방법
US10593916B2 (en) 2016-10-31 2020-03-17 Lg Chem, Ltd. Energy storage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5742A1 (en) * 2012-11-29 2015-06-04 Stevan M. Bailey Battery storage rack
WO2014155411A1 (ja) * 2013-03-25 2014-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池収容棚
US20150382496A1 (en) * 2013-04-19 2015-12-31 Richard Burant, Jr. Electronic device and battery enclosure
WO2015045401A1 (ja) 2013-09-30 2015-04-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固定用フレーム部材、電池固定部材及び蓄電装置
CN103683393B (zh) * 2013-11-25 2016-05-04 唐山轨道客车有限责任公司 混合动力轨道车辆电源箱及混合动力轨道车辆
JP6261975B2 (ja) * 2013-12-11 2018-01-17 株式会社東芝 発熱体収容装置
DE102014112624A1 (de) * 2014-09-02 2016-03-0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KR101807350B1 (ko) * 2014-11-19 2017-1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KR101720278B1 (ko) 2015-03-09 2017-03-28 주식회사 태산하이텍 전력 저장장치의 배터리 모듈용 랙 하우징
DE112016006938A5 (de) * 2016-06-06 2019-03-14 Ads-Tec Gmbh Energiespeicher in einem Einbaugehäuse und einem Kühlluftstrom
KR102053988B1 (ko) * 2016-09-21 201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JP6286084B1 (ja) * 2017-03-24 2018-02-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収容装置
US10374263B2 (en) * 2017-08-22 2019-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oled containment compartments for packaged battery cells
CN110828912B (zh) * 2018-08-13 2021-06-0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动力电池冷却性能验证方法及系统
KR102120949B1 (ko) 2018-11-28 2020-06-09 김한정 전기 에너지 저장장치용 보조 프레임의 연결장치 및 보조 프레임 제조방법
DE102022201951A1 (de) 2022-02-25 2023-08-31 Siemens Mobility GmbH Batteriesystemgerüst, Gehäuse und Verfahren zur Aufnahme von mindestens einem ersten und mindestens einem benachbarten zweiten Batteriemodul in einem Fahrzeug zur Bildung eines Batteriesystems
DE102022122309A1 (de) * 2022-09-02 2024-03-07 Witzenmann Gmbh Tragstruktur für eine Anzahl an Batteriemodulen und Batteriemodul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5198B2 (ja) * 1991-12-04 2001-0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におけるバッテリ温度制御装置
US5585204A (en) * 1993-12-27 1996-12-1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for batteries and battery box for housing such batteries
US6085854A (en) * 1994-12-13 2000-07-11 Nissan Motor Co., Ltd. Battery frame structure for electric motorcar
JP4126726B2 (ja) * 1996-04-19 2008-07-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電池の冷却装置
US5806948A (en) * 1997-06-16 1998-09-15 Rowan, Sr.; W. Frank Retrofittable battery cabinet fo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s
AU9474701A (en) 2000-09-27 2002-04-08 Exide Technologies Seismic rated battery racking system
US6569556B2 (en) * 2001-01-29 2003-05-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oling system for a battery pack
JP4301750B2 (ja) * 2001-08-24 2009-07-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蓄電装置及びその管理システム
JP2003142166A (ja) * 2001-11-06 2003-05-16 Panasonic Ev Energy Co Ltd 電池の冷却制御方法及び装置
US7740142B2 (en) * 2001-11-20 2010-06-22 Concorde Battery Corporation Battery construction for mounting a shelved rack
JP4242665B2 (ja) * 2002-05-13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の冷却装置及び二次電池
JP4427355B2 (ja) * 2004-02-27 2010-03-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力貯蔵システム
KR100853621B1 (ko) 2004-10-26 2008-08-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의 냉각 시스템
KR100658715B1 (ko) * 2004-10-28 2006-1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0648698B1 (ko) * 2005-03-25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5030500B2 (ja) * 2006-07-31 2012-09-19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
JP4713615B2 (ja) 2008-06-19 2011-06-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箱およびこれを備える鉄道車両
JP5330810B2 (ja) 2008-11-18 2013-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モジュールを収容する電池箱及びそれを備える鉄道車両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23A (ko) 2014-09-05 2016-03-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배터리 연결 조립체
KR20170121559A (ko) * 2016-04-25 2017-1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력 저장 장치 및 전력 저장 장치 냉각 방법
US10593916B2 (en) 2016-10-31 2020-03-17 Lg Chem, Ltd. Energy storag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9127B2 (en) 2014-10-14
US20130017428A1 (en) 2013-01-17
KR101264338B1 (ko) 201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338B1 (ko)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KR102104383B1 (ko) 전력 저장 장치 및 전력 저장 장치 냉각 방법
KR101358762B1 (ko) 배터리 냉각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배터리 랙
RU2336607C1 (ru)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для батарейного блока
US8748027B2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ase providing improved distribution uniformity of coolant flux
JP5777724B2 (ja) 冷媒分配における均一性を改善した電池パック
EP2575192B1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KR102172433B1 (ko) 수냉식 배터리모듈용 수냉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KR102258818B1 (ko) 간접 냉각 방식의 배터리 팩
KR20070013455A (ko) 이차 전지 모듈
JP2007042642A (ja) 電池モジュール
US9614207B2 (en) Battery pack having reliable temperature control
US10529965B2 (en) Rack housing assembly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20069274A (ko) 래디얼 팬을 포함한 배터리 팩
KR102074321B1 (ko) 배터리 모듈용 냉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0637468B1 (ko) 이차 전지 모듈
KR101655328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00072665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적용된 컨테이너
JP2004311157A (ja) バッテリパックの冷却構造
JP6119529B2 (ja) 電池システム
JP5870290B2 (ja) 蓄電装置
CN108140764B (zh) 具有改进热性能的能量存储装置
KR102076168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JP2016072178A (ja) 蓄電モジュールを組み合わせた蓄電装置
KR10180711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