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8932A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8932A
KR20130008932A KR1020110069629A KR20110069629A KR20130008932A KR 20130008932 A KR20130008932 A KR 20130008932A KR 1020110069629 A KR1020110069629 A KR 1020110069629A KR 20110069629 A KR20110069629 A KR 20110069629A KR 20130008932 A KR20130008932 A KR 2013000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shaft
bearing
longitudinal direc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952B1 (ko
Inventor
김순장
유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9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952B1/ko
Publication of KR2013000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2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 B21B1/2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continuous or semi-continuous process by hot-rolling, e.g. Steckel hot mi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6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이물질 제거 장치는,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관통관을 갖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제1관통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관통관을 가지는 통형의 베어링과, 상기 제2관통관의 내부벽과 접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2관통관의 길이방향의 일단면에서 돌출된 바 형태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 체결된 프로펠러와, 상기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돌출되어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된 무게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dust and exhausting steam}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편의 냉각 공정 시에 발생되는 스팀이 배기 덕트를 통해 배출될 때 배기 덕트의 입구에 스팀 내의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 장치이다.
연속주조되는 주편(slab)의 제조공정은 레이들(ladle), 턴디쉬(tundish) 및 절단 설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제강공정에서 형성된 용강이 레이들, 턴디쉬, 몰드 및 절단 설비를 거치면서 주조되어 두께가 150~300mm 정도인 주편(slab)이 생성된다. 그 후, 후속공정인 열간압연에 의해 두께가 3~20mm 정도의 강판 형태의 스트립(strip)으로 제조된다.
턴디쉬 및 몰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주조되는 주편은 한국공개특허2005-0004359에 기술된 바와 같이, 냉각수가 분사되는 상하 이송롤러 사이를 이동하면서 연속 제조된 후, 절단 설비에 의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테이블 롤러에 의하여 집하장으로 이송된다.
한편, 주편 생산시에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몰드 내에 윤활제가 투입되고 균일한 냉각을 이룬다. 냉각 챔버 내에서 냉각 시에 발생하는 고온의 스팀(steam)은 스팀 배기 팬(steam exhaust duct fan)에 연결된 배기 덕트(exhaust duct)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냉각 챔버 내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데, 냉각 챔버내의 스팀에는, 몰드에 투입된 윤활제의 일부분, 스케일(scale)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다. 따라서 스팀 배출될 때 배기 덕트의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screen)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배기 덕트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배기 덕트 막힘에 의해 스팀 배출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주기적으로 인력을 투입하여 배기 덕트의 스크린 청소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편의 냉각 공정 시에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팀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팀 배출 시에 배기 덕트 입구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구동 동력 제공없이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스팀 배출 장치의 유지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이물질 제거 장치는,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관통관을 갖는 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제1관통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관통관을 가지는 통형의 베어링과, 상기 제2관통관의 내부벽과 접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2관통관의 길이방향의 일단면에서 돌출된 바 형태의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 체결된 프로펠러와, 상기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돌출되어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된 무게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의 제1관통관 일측에 위치하는 제1베어링과, 상기 하우징의 제1관통관 타측에 위치하는 제2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무게부재는 상기 베어링이 형성되지 않은 지점의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일정 하중을 가진채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무게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1/2 중심부가 아닌 지점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스팀 배출 장치는, 상기 냉각 챔버의 스팀을 배기 덕트 내로 흡입하는 스팀 흡입구와, 배기 덕트 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출구와, 상기 스팀 흡입구를 통해 배기 덕트내로 스팀을 흡입하여 상기 스팀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스팀 배출팬과, 상기 스팀 흡입구의 전면에서 막 형태로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고정 체결되어 자체 진동을 발생시키는 이물질 제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팀 배출 시에 배기 덕트 입구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아 스팀 배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물질이 달라 붙지 않아 인력을 투입하여 배기 덕트를 청소해야 하는 불편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주편 냉각 공정 시의 관리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상적인 스팀 배출로 인한 주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속주편의 냉각시에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있는 스팀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스팀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의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어링 구조를 갖는 이물질 제거 장치의 내부 절단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어링 구조를 갖는 이물질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연속주편의 냉각시에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출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레이들 터렛트(ladle turret)에 설치된 레이들(120;ladle)에 불순물 제거와 화학성분이 조정된 용강이 채워지고, 용강은 레이들(120)에 구비된 레이들 노즐(122)을 통하여 턴디쉬(110;tundish)에 공급된다.
상기 턴디쉬(110)내에 저장된 용강은 원통형 내화벽돌로 된 침지 노즐(130)을 통하여 몰드(140;주형;mould)로 공급된 다음, 장,단변으로 이루어진 몰드(14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몰드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상을 갖는 주편(150;slab)이 연속적으로 주조된다.
상기 몰드(140) 내에는 주편(150)을 인출 안내하게 되는 더미바(160;Dummy Bar)가 몰드(140)의 개방된 하부에 진입되고 몰드(140)에 유입된 최초의 용강은 더미바 헤드(170)의 요철부를 경계로 응고된다. 응고된 용강은 이후 이동궤도에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180)가 구동됨에 따라 더미바(160)에 의해 당겨져 냉각수가 분사되는 상하로 놓인 이송롤러 사이를 이동하면서 주편(150)으로서 연속 제조된다.
이송롤러는 상하에 위치하여 사이에 놓인 주편(150)을 이송시킨다. 이송롤러의 몸체부가 동일한 길이와 직경으로 이루어져 있고, 여러 개의 이송롤러(180)의 축이 베어링 블록에 연결되어 세트화되어 구동된다.
상하에 놓인 이송롤러(180)를 따라 이송되어 온 주편(150)은 출구측에 배치된 절단장치(190)에 의해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테이블 롤러(182)에 의하여 열간압연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에서 이송롤러(180)를 따라 이송 시에 냉각수를 분사하는데, 이는 소정의 단면 크기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외측으로부터 응고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사용하여 강제로 냉각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몰드(140)에서 나온 주편은 이송롤러(180)를 따라 이송될 때, 이송롤러 주변에서 주편(150)의 응고를 신속히 시키기 위해 주편 표면에 냉각수를 분사한다.
턴디쉬(110), 레이들(120), 몰드(140), 이송롤러(180) 등을 포함하는 냉각 챔버(100) 내에서 냉각 시에 고온의 스팀(steam)이 발생한다. 상기 고온의 스팀(steam)은 스팀 배기 팬(steam exhaust duct fan)에 연결된 배기 덕트(330;exhaust duct)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냉각 챔버(100)내의 스팀에는, 몰드에 투입된 윤활제의 일부분, 스케일(scale) 등의 이물질이 섞여 있다. 따라서 스팀이 배출될 때 배기 덕트(330)의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310;screen)에 스팀내의 이물질이 달라붙어, 배기 덕트(330)의 입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참고로, 상기 윤활제는 주편 생산시에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몰드 내에 윤활제가 투입되는 첨가물이며, 상기 스케일은 고온에서 제작되는 철강 제품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단시간에 형성되는 철산화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기 덕트(330)의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310)을 떨리게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를 두어서, 스크린(310)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한다.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배기 덕트 입구에 설치된 스크린(31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자체적으로 진동을 일으켜서 스크린을 떨리게 하는데 이하 도 2와 함께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에 설치되어 있는 스팀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어 설치된 스팀 배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가 배기 덕트의 베이스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냉각 챔버(100)의 일부 측벽에는 배기 덕트(330)가 설치되는데, 스팀 흡입구(320)와 스팀 배출구(340)를 구비한다. 스팀 흡입구(320)는 냉각 챔버(100)의 스팀을 배기 덕트(330) 내로 흡입하며, 스팀 배출구(340)는 배기 덕트(330) 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한다.
스팀 배출 팬(360)은 스팀 흡입구(320)를 통해 배기 덕트(330) 내로 스팀을 흡입하여 스팀 배출구(340)를 통해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스팀 배출 팬(360)은 모터(370)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으며, 일반적으로 스팀 배출 팬은 배출 능력이 167,000Nm3/h, 정압이 180mmAq, 속도가 910rpm에 이른다.
스팀 흡입구(320)의 전면에는 스크린(310)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310)은 냉각 챔버(100)에서 스팀 흡입구(320)로 스팀이 흡입될 때 스팀내의 이물질을 거르는 망으로서, 금속(metal) 재질의 망형태의 그물망 형태로 된다.
상기 스크린(310)은 스팀 흡입구의 전면에 다수개의 형태로 분할되어 스팀 흡입구(320)에 설치된다. 다수개로 분할된 형태로 설치될 경우에는, 스팀 흡입구의 전면에는 지지 프레임(350)이 십자 형태로 설치된다. 지지 프레임(350)은 흡입구의 전면에서 흡입구의 양측벽을 연결한다. 도 2는 사분할된 스크린(310)을 도시한 그림이며, 각 스크린(310)은 지지 프레임(350)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350)은 강성 재질로 구현되는데, 지지 프레임(350)에 체결되는 이물질 제거 장치의 떨림을 그대로 스크린에 전달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종류에 제한이 없다.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지지 프레임(35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지지된다. 즉, 십자 형태의 지지 프레임(350)이 교차하는 중앙부에 이물질 제거 장치(200)가 체결 고정된다. 이물질 제거 장치(200)에 지지 프레임(350)이 고정 체결되어 있어, 이물질 제거 장치(200)가 자체적으로 떨리게 되면 이물질 제거 장치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350) 역시 떨림 영향을 받아 진동하게 된다. 지지 프레임(350)의 떨림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350)의 측벽에 연결된 스크린(310) 역시 떨리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 떨림으로 인하여, 스크린(310)에는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게 된다.
한편,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50)의 중심부에 직접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350)의 상부에 돌출된 별도의 베이스 프레임(351)을 두고서 베이스 프레임(351)에 이물질 제거 장치가 체결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장치의 떨림이 베이스 프레임(351) 및 지지 프레임(35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하여 스크린(310)을 떨리게 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351)을 이용하여 이물질 제거 장치(200)를 지지 프레임(350)에서 이격된 상부에 둠으로써, 스팀내의 이물질이 이물질 제거 장치에 달라붙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 장치(200)는 자체적으로 떨리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데, 이러한 이물질 제거 장치(200)의 떨림은 냉각 챔버로부터 배기 덕트로 흡입되는 스팀 기류의 흡입방향과 흡입속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물질 제거 장치(200)에 프로펠러를 두어서, 스팀의 흡입 기류에 의해 프로펠러가 회전하고, 이로 인하여 프로펠러에 연결된 이물질 제거 장치를 떨리게 하는 것이다. 이하,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을 도 5 및 도 6 및 도 7과 함께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어링 구조를 갖는 이물질 제거 장치의 내부 절단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베어링 구조를 갖는 이물질 제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는, 하우징, 베어링, 샤프트, 프로펠러, 무게부재, 하우징 덮개판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일단면과 타단면이 관통된 제1관통관을 갖는 통형의 바디체이다. 베어링(220;200a,200b)을 제1관통관 내부에 두어 감싼다. 하우징(210)의 측벽의 일부는 제1관통관을 향해 홀(215;hole)을 가진다. 상기 홀(215)을 통하여 베어링 내부의 샤프트(230)에 나사결합된 무게부재(240)에 접근할 수 있다. 무게부재(240)의 나사 결합 조임정도를 달리하여 샤프트(230)에서의 무게부재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우징(210)의 외경에는 지지 프레임과 체결되는 체결수단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수단으로는, 고리 체결 구조, 볼트 체결 구조 등이 될 수 있다. 하우징 덮개판(250)은 프로펠러(260)가 위치하는 하우징(210)의 일단면을 덮은 보호판이다. 하우징 덮개판(250)과 하우징(210)의 일단면은 체결체에 의해 체결된다.
베어링(220)은 통형 구조로서, 하우징(210)의 제1관통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 위치하며, 일단면과 타단면이 관통된 제2관통관을 가진다. 베어링(220)은 샤프트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 역할을 한다. 베어링(220)은 분할된 복수개의 베어링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제1관통관의 길이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베어링(220a;상부 베어링)과 하우징의 제1관통관의 길이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2베어링(220b;하부 베어링)이 구비된다. 제1베어링(220a)과 제2베어링(220b)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지 않는 빈 공간 형태를 가진다.
상기 베어링이 형성되지 않은 빈 공간의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일정 하중을 가진채로 돌출되어 무게부재(240)가 형성되기 때문에, 이러한 제1베어링과 제2베어링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하여 샤프트(230)의 외경에 돌출되어 형성된 무게부재(240)가 샤프트(230)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베어링(220a)과 제2베어링(220b)의 각각의 양측 끝단에는 베어링 고정용 스톱링(211)이 형성된다. 베어링 고정용 스톱링(211)은 베어링이 하우징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링으로서 와셔 형태의 스냅링(snap ring) 등으로 구현하는데, 하우징의 내경을 원형 둘레를 따라 띠형의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베어링 고정용 스톱링을 삽입하여 베어링이 하우징을 벗어나 밀려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베어링과 하우징의 이격틈 사이에는 실링부재를 두어서, 결합력을 강화시킨다.
한편, 상기 베어링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베어링(220a)과 제2베어링(220b)의 복수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하나로 된 단일 개수의 구조의 베어링을 가질 수 있다. 단일 개수의 베어링 구조를 가질 경우에는, 베어링(220)의 제2관통관의 내경 둘레를 따라서 파여진 단차 저면을 가진다. 단차 저면을 가짐으로서 상기 단차 저면이 형성된 지점과 마주보며 대응되는 샤프트의 외경 표면 지점에서, 일정 하중을 가진채로 돌출된 돌출부재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샤프트(230)는 상기 제2관통관의 내부벽과 접한채로 삽입되어, 베어링과 별개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2관통관의 일단면에서 돌출된 바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샤프트(230)는 베어링(220)의 제2관통관의 내부벽에 접하여 있기 때문에, 베어링(220)은 샤프트의 진동 떨림을 그대로 전달받을 수 있다. 샤프트(230)는 제2관통관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샤프트(230)의 일측은 베어링의 제2관통관에서 일부가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프로펠러(260)는 상기 제2관통관에서 돌출된 샤프트(230)에 체결되는 회전날개 결합체이다. 다수의 회전날개가 구비되어 외부 바람 등의 영향으로 회전날개가 회전함으로써, 프로펠러에 체결된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스팀 흡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스팀 기류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게 되고, 프로펠러에 고정 체결된 샤프트가 회전하게 된다. 각각의 회전날개는 스팀 흡입구를 통해 들어오는 스팀 기류의 영향을 최대로 받을 수 있도록 통일된 경사 방향성을 갖는 면으로 구현한다.
상기 무게부재(240)는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돌출된 부재로서 일정 하중을 가진다. 샤프트(230)의 외경 표면의 특정 위치에만 무게부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흡입되는 스팀 기류에 의해 프로펠러(260)가 회전하여 샤프트(230)가 회전할 경우, 샤프트(230)의 무게 균형을 상실하게 되어 샤프트 떨림이 발생하게 된다. 샤프트(230)의 특정 위치에만 형성된 무게부재(240)가 회전함에 따라서, 무게부재(240)의 하중으로 인한 무게중심 쏠림 현상 지점이 회전되기 때문이다. 샤프트의 떨림으로 인하여, 샤프트(230)를 감싸는 베어링(220) 및 하우징(210)이 떨리게 된다.
상기 무게부재(240)는 샤프트(230)의 길이 방향의 1/2 중심부가 아닌 지점에 형성된다. 1/2 중심부에 무게부재(240)가 형성된다면, 무게부재(240)로 인한 쏠림 회전 현상 효과가 저감되어 진동이 작게 발생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무게부재(240)는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1/3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무게부재(240)는 하중을 지닌 부재여야 하는데, 볼트로 구현될 수 있다. 볼트를 샤프트의 외경에 삽입하여 볼트의 헤드(241)가 돌출되도록 하여 무게부재의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샤프트의 외경에서 내부 중심축 방향으로 나사선 홈(24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선 홈(242)에 볼트의 나사선핀이 삽입되어 나사선 결합을 하여 볼트 헤드(241)가 나사선 홈(242)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냉각 챔버 200: 이물질 제거 장치
210: 하우징 220: 베어링
230: 샤프트 240: 무게부재
250: 하우징 덮개판 260: 프로펠러

Claims (12)

  1.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관통관을 갖는 통형의 하우징;
    상기 제1관통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관통관을 가지는 통형의 베어링;
    상기 제2관통관의 내부벽과 접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2관통관의 길이방향의 일단면에서 돌출된 바 형태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 체결된 프로펠러;
    상기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돌출되어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된 무게부재;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단면을 덮은 하우징 덮개판이 상기 하우징의 일단면과 프로펠러 사이에 위치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하우징의 제1관통관 일측에 위치하는 제1베어링;
    상기 하우징의 제1관통관 타측에 위치하는 제2베어링;
    을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재는 상기 베어링이 형성되지 않은 지점의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일정 하중을 가진채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물질 제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1/2 중심부가 아닌 지점에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길이 방향의 1/3 지점에 형성되는 이물질 제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재가 위치하는 지점의 샤프트의 외경에서 내부 중심축 방향으로 나사선 홈이 형성된 이물질 제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무게부재는 상기 나사선 홈 내부로 삽입되어 나사선 결합되어 헤드가 돌출된 볼트인 이물질 제거 장치.
  9. 냉각 챔버내의 주편(slab) 냉각 시에 발생되는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챔버의 스팀을 배기 덕트 내로 흡입하는 스팀 흡입구;
    배기 덕트 내의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배출구;
    상기 스팀 흡입구를 통해 배기 덕트내로 스팀을 흡입하여 상기 스팀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스팀 배출팬;
    상기 스팀 흡입구의 전면에서 막 형태로 설치되어 이물질을 거르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에 고정 체결되어 자체 진동을 발생시키는 이물질 제거 장치;
    를 포함하는 스팀 배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전면에서 흡입구의 양측변을 잇는 지지 프레임이 구비된 스팀 배출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에 상기 스크린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고정 체결된 스팀 배출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 장치는,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1관통관을 갖는 통형의 하우징;
    상기 제1관통관의 내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삽입되며, 일단면과 타단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된 제2관통관을 가지는 통형의 베어링;
    상기 제2관통관의 내부벽과 접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2관통관의 길이방향의 일단면에서 돌출된 바 형태의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단에 고정 체결된 프로펠러;
    상기 샤프트의 외경 표면에서 돌출되어 하중을 가지도록 형성된 무게부재;
    를 포함하는 스팀 배출 장치.
KR1020110069629A 2011-07-13 2011-07-13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KR10131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29A KR101311952B1 (ko) 2011-07-13 2011-07-13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9629A KR101311952B1 (ko) 2011-07-13 2011-07-13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932A true KR20130008932A (ko) 2013-01-23
KR101311952B1 KR101311952B1 (ko) 2013-09-26

Family

ID=4783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629A KR101311952B1 (ko) 2011-07-13 2011-07-13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426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제거장치
EP4321274A1 (de) * 2022-07-27 2024-02-14 SMS Group GmbH Verfahren und strangführungs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kühlkamm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9251B2 (ja) * 1994-12-28 1998-10-30 敏夫 淡路 気液分離方法、気液分離装置、粉塵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957408A (ja) * 1995-08-18 1997-03-04 Yaskawa Electric Corp 連続鋳造冷却設備の蒸気排出ブロワ制御装置
JP2000140539A (ja) * 1998-11-04 2000-05-23 Toshio Awaji 粉塵含有排ガス処理装置及び粉塵含有排ガス処理方法
KR200230005Y1 (ko) * 2001-02-26 2001-07-19 정세용 바이브레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426A (ko) * 2016-10-10 2018-04-18 주식회사 포스코 부산물 제거장치
EP4321274A1 (de) * 2022-07-27 2024-02-14 SMS Group GmbH Verfahren und strangführungs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r kühlkam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952B1 (ko)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3650B (zh) 一种消失模工艺铸造侧叶片耐磨件的方法
CN107649500B (zh) 一种土壤修复装置
KR101311952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스팀 배출 장치
JP5320733B2 (ja) 冷却ロール清掃装置
KR101148971B1 (ko) 용탕 주입용 이동식 집진장치
CN115430821A (zh) 一种轧辊生产浇铸设备及其浇铸方法
CN109397512A (zh) 一种石英石板生产线
JP2010234389A (ja) 遠心力鋳造方法及び遠心力鋳造装置及び鋳造管
CN209127448U (zh) 一种刮板提升机
CN210705341U (zh) 一种混凝土配料机用水雾除尘装置
JPH0223263B2 (ko)
CN210010452U (zh) 一种落砂滚筒
JP4141013B2 (ja) 耐火レンガ成形機の原料供給装置
CN210587114U (zh) 铁合金辊模浇注装置
CN214136983U (zh) 一种防尘流延装置
AU2310001A (en) Apparatus for blending water with sand
CN106081544A (zh) 封闭式三辊气垫输送机
CN216705857U (zh) 一种可快速出料的铸造件铸造装置
CN211728825U (zh) 一种抛丸制作装置
CN212711769U (zh) 一种输料料斗装置
CN215232935U (zh) 一种环保铸件设备废气处理装置
KR101859517B1 (ko) 원심주조 금형
CN207770753U (zh) 一种具有测温测湿自动加水功能的旧砂给料系统
CN218801569U (zh) 一种防堵塞的喷砂除尘设备
CN220835979U (zh) 一种石料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