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188U - 필러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필러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188U
KR20130007188U KR2020120004796U KR20120004796U KR20130007188U KR 20130007188 U KR20130007188 U KR 20130007188U KR 2020120004796 U KR2020120004796 U KR 2020120004796U KR 20120004796 U KR20120004796 U KR 20120004796U KR 20130007188 U KR20130007188 U KR 201300071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treatment site
molding
handle
rub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398Y1 (ko
Inventor
박현근
Original Assignee
박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근 filed Critical 박현근
Priority to KR2020120004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398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필러 보조기구가 개시되며, 상기 필러 보조기구는 손잡이부;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을 상기 몰딩부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필러 시술 부위가 원하는 형태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필러 보조기구{ASSISTANCE APPARATUS FOR FILLER INJECTIONS}
본원은 필러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소침습(Minimal Invasive)의 개념으로 모든 술식이 발전하고 있는 가운데, 미용시술로서 수술의 부담이 없고 회복기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수술 효과에 근접할 수 있는 필러(Filler) 시술이 주목받고 있다. 필러는 연조직 확대재(Material For Soft Tissue Augmentation)로 정의되는데 자가지방, 고어텍스, 알로덤 등의 삽입 보형물도 해당되지만 주사기 형태에 미리 충진되어 상용화된 제품들을 일컫는다.
필러 시술은 일반적으로 손실된 부위를 필러로 채워 정상볼륨을 찾게 하거나, 좀 더 키우고 싶은 특정 부위에 필러를 채워서 확대시키며, 예시적으로, 콧대, 눈 밑 살 등 확대하고 싶은 부위에 주입하여 원하는 모양을 만드는 것이다.
특히, 눈 모양을 보다 귀엽게 보이기 위해 눈 밑 살에 필러를 주입하여 도톰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 캐뉼라 등과 같은 미세한 바늘을 통해 눈 밑에 필러를 주입하는데, 이렇게 눈 밑 살에 필러가 주입될 때 시술자 또는 보조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눈 밑 살의 형태를 일정하게 잡아주게 된다.
예시적으로, 시술자의 한 손은 필러를 주입하고, 다른 손은 필러 시술 부위를 만지면서 눈 밑 살의 형태를 잡아주는데, 눈 밑 살의 형태를 잡아주는 과정에서 주입된 필러가 굳을 때까지 눈 밑 살을 도톰하게 유지하기 위해 손으로 도톰해진 눈 밑 살을 받쳐주고 필러 주입 후에 마사지가 이루어질 때에도 도톰해진 눈 밑 살을 받쳐준다.
그런데, 도톰해진 눈 밑 살을 받쳐주는 과정에서, 눈 밑 살의 형태가 잡히도록 여러 손가락을 함께 이용하여 눈 밑 살의 둘레를 감싼다 하여도 연속적으로 감싸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눈 밑 살을 감싸고 있는 여러 손가락 중 일부 손가락이 따로 움직이게 되어 눈 밑 살의 형태가 일정하게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어려워 눈 밑 살이 원하는 형태로 잡히지 못할 수 있다.
또한, 필러 시술 부위의 면적이 작기 때문에 필러 시술 시 시술자 외의 보조자가 손으로 도톰해진 눈 밑 살을 받쳐줄 때, 시술자의 손과 보조자의 손이 필러 시술 부위에 모이게 되어 부딪히는 바, 시술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러가 주입되고 있는 눈 밑 살을 받쳐주어 필러 시술 부위의 설정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여 용이하면서 신뢰성 있는 필러 시술이 이루어지게 하는 필러 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필러 보조기구는, 손잡이부;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을 상기 몰딩부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필러 시술 부위가 원하는 형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필러가 주입된 눈 밑 살을 받쳐줄 수 있는 접촉면에 의해 시술자 또는 보조자와 환자간의 불필요한 신체접촉을 막아주면서 몰딩부에 대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통해 시술자 또는 보조자가 필러가 주입되고 있는 눈 밑 살을 용이하게 받쳐줄 수 있게 하고, 손잡이부에 의해 보조자의 손이 필러 시술 부위에서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바, 시술자의 손과 보조자의 손이 필러 시술 부위에 모이지 않아 용이한 필러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보조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하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위쪽이 상측, 아래쪽이 하측이 될 수 있다.
본원은 필러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보조기구(이하 '본 필러 보조기구'라 함)(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보조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러 보조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필러 보조기구(1)는 몰딩부(10)를 포함한다.
몰딩부(10)를 통해 필러 시술 부위의 설정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설정된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라는 것은 다음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눈 밑 살에 필러를 주입할 때, 주입된 필러를 통해 눈 밑 살이 반달 형태로 도톰해질 수 있는데, 반달 형태의 눈 밑 살을 본 필러 보조기구(1)를 이용하여 눈 방향을 향해 위쪽으로 살짝 밀어 도톰해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눈 밑 살에 주입된 필러는 굳기전에는 눈 밑 살 이외에 이를 테면, 볼, 코 등을 향해 흘러내릴 수 있는데, 몰딩부(10)는 필러의 주입으로 인해 다른 부위에 비해 도톰하게 돌출되어 있는 눈 밑 살을 눈 방향을 향해 받쳐줌으로써, 필러 시술 부위에서 주입된 필러가 다른 부위를 향해 흐르지 않고 도톰하게 돌출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을 몰딩부(10)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필러 시술 부위가 시술이 이루어지는 동안 원하는 형태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몰딩부(10)에는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면(11) 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접촉면(11)의 면적은 시술자의 손의 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접촉면(11)이 눈 밑 살의 아래 쪽 주변을 받쳐줄 때, 시술자가 손으로 직접 눈 밑 살을 받쳐주는 것보다 더 작은 면적으로 눈 밑 살을 받쳐줄 수 있어, 필러 시술 부위에 대한 불필요한 접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접촉면(11)은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함으로써 상하지 않게 하고, 환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1)은 필러 시술 부위의 원하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촉면(11)은 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밑 살에 필러를 주입하여 눈 밑을 반달 형태로 도톰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필러 시술 부위가 눈 밑 살이고, 이러한 눈 밑 살의 원하는 형태가 반달 형태인 경우)에,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촉면(11)은 반달 형태에 대응하여 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활 형상뿐만 아니라, 환자 각각이 원하는 눈 밑 살의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차이에 맞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테면, 둘 이상의 곡률 반경이 조합된 곡선 단면을 갖는 곡면 형상, 곡면과 평면이 조합된 형상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필러 보조기구(1)는 손잡이부(30)를 포함한다.
몰딩부(10)에 대하여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30)를 통해 사용자는 필러 시술 부위에 손이 위치하지 않고 필러 시술 부위와 이격되어서도, 주입된 필러로 인해 도톰해진 눈 밑 살을 받쳐줄 수 있다.
또한, 눈 밑 살의 아래 쪽과 같은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을 받쳐주는데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0)는 필러 시술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몰딩부(10)는 2시 및 8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손잡이부(30)는 이러한 몰딩부(10)와 평행한 방향인 2시 및 8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2시 내지 4시 사이(대략 3시) 정도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30)가 몰딩부(10)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면, 몰딩부(10)가 필러 시술 부위에 맞닿게 될 때 손잡이부(30)는 필러 시술 부위로부터 점차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지게 구비된 손잡이부(30)를 통해 사용자가 본 필러 보조기구(1)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고, 동시에 시술 부위에 대한 연직 방향 분력과 시술 부위에 대한 수평한 방향 분력을 시술 상황에 따라 조절하기 훨씬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30)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스테인레스 재질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환경 호르몬이 전혀 나오지 않으며, 변색이 없다.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은 화학적 오염에 대한 저항력이 매우 높아 오랜 시간 가열해도 유해물질이 새어 나오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하여 외과 수술시 몸 속의 뼈를 대신해 인체에 사용할 수도 있다. 수술용 보조도구로 스테인레스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안전한 시술을 수행할 수 있고, 환자에게 신뢰심을 줄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필러 보조기구(1)는 몰딩부(10)와 손잡이부(30)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50)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차부(50)는 손잡이부(3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손잡이부(30)에 대해 상측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몰딩부(10)에 대해서도 구부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50)에 의해 손잡이부(30)는 필러 시술 부위에서 이격되어 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잡이부(3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도 단차부(50)에 의해 필러 시술 부위에서 이격되는 바, 사용자의 손이 환자의 필러 시술 부위 근처의 코 등에 접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필러 시술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된 손잡이부(30)를 통해 사용자의 손도 손잡이부(30)를 따라 필러 시술 부위로부터 멀어질 수 있어, 사용자의 손과 필러 시술 부위를 더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필러 보조기구(1)를 파지한 사용자와 환자간의 접촉은 일차적으로 단차부(50)에 의해, 이차적으로 경사지게 구비된 손잡이부(30)에 의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단차부(50)를 통해 일차적으로 접촉면(11) 이외의 부분은 필러 시술 부위와 이격됨으로써, 본 필러 보조기구(1)와 필러 시술 부위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차부(50)에 의해 손잡이부(30)의 시작점이 필러 시술 부위에서 이격되는 바, 손잡이부(3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도 필러 시술 부위에서 이격될 수 있고, 경사지게 구비된 손잡이부(30)를 통해 본 필러 보조기구(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과 필러 시술 부위의 이격을 최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경사지게 구비된 손잡이부(30)를 통해 시술자 또는 보조자가 본 필러 보조기구(1)를 파지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몰딩부(10), 손잡이부(30) 및 단차부(5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0)는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필러 보조기구(1)는 몰딩부(10), 손잡이부(30) 및 단차부(5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본 필러 보조기구(1)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몰딩부(10), 손잡이부(30) 및 단차부(50)를 일체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몰딩부(10)는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러버층(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몰딩부(10), 손잡이부(30) 및 단차부(50)가 일체로 형성될 경우, 몰딩부(10)는 손잡이부(30)와 동일하게 스테인레스 재질일 수 있다. 그러나 스테인레스 재질은 스테인레스 표면의 온도가 필러 시술 부위의 표면의 온도 및 실온보다 낮기 때문에, 접촉면(11)이 스테인레스 재질이라면 필러 시술을 받는 환자가 불쾌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재질이 딱딱하기 때문에 필러가 주입되어 도톰해진 눈 밑 살을 받쳐주는데 있어서, 눈 밑 살에 접촉하기에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몰딩부(10)는 표면을 따라 러버층(15)을 포함할 수 있는데, 러버층(15)은 몰딩부(10)의 표면을 따라 코팅되어 몰딩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러버층(15)은 손잡이부(30)를 향할수록 얇아질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몰딩부(1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손잡이부(30) 및 단차부(50)와 일체로 형성된 후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러버층(15)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몰딩부(10) 자체가 러버(Rubber)로 이루어져 손잡이부(30) 및 단차부(50)와 함께 본 필러 보조기구(1)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러버층(15)의 재질은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11)의 표면에도 러버층(15)이 형성되기 때문에, 필러 시술 부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은 러버층(15)이다. 따라서, 러버층(15)은 필러 시술 부위에 무해해야 한다. 이에 따라, 러버층(15)은 천연 라텍스, 실리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단차부(50)는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러버층(15)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부(50)도 피부와 접촉될 경우를 대비하여 러버층(15)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를 위하여 손잡이부(30)도 손잡이부(3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러버층(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도 사용자의 손의 표면의 온도 및 실온보다 낮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손잡이부(30)의 온도로 인해 느낄 수 있는 불쾌감 및 딱딱한 스테인레스 재질의 손잡이부(30)로 인한 불쾌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필러 시술은 필러 시술 부위에 필러를 주입한 후 형태를 잡아주기 위해 시술자의 손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시술자와 환자간의 불필요한 신체접촉이 필요하였고, 형태를 잡아 줄 때, 눈 밑 살과 같은 작은 범위의 필러 시술 부위에 대해서는 시술자 외의 보조자가 형태를 잡아 주기 용이치 못햇다.
그러나, 본 필러 보조기구(1)에 의하면, 시술자의 손보다 더 작은 면적인 접촉면(11)에 의해 필러 시술 부위를 도톰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필러 시술 부위에 대한 불필요한 접촉을 줄일 수 있고, 몰딩부(10)에 대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손잡이부(30)를 통해 시술자 외의 보조자의 손이 필러 시술 부위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필러 시술 부위의 형태를 잡아줄 수 있어, 필러 시술이 신뢰성 있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필러 보조기구 10: 몰딩부
11: 접촉면 15: 러버층
30: 손잡이부 50: 단차부

Claims (10)

  1. 필러 보조기구에 있어서,
    손잡이부;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형성되는 몰딩부; 및
    상기 몰딩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단차지게 연결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필러 시술 부위의 주변을 상기 몰딩부를 통해 가압함으로써 필러 시술 부위가 원하는 형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인 필러 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필러 시술 부위의 원하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인 필러 보조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시술 부위의 원하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은 활 형상인 것인 필러 보조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필러 시술 부위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인 필러 보조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시술 부위는 눈 밑 살 부위이고,
    상기 접촉면은 상기 눈 밑 살 부위의 아래 쪽 주변과 접촉되는 것인 필러 보조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단차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필러 보조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부는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러버층을 포함하는 필러 보조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러버층을 포함하는 필러 보조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층의 재질은 실리콘을 포함하는 것인 필러 보조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스테인레스 재질인 것인 필러 보조기구.
KR2020120004796U 2012-06-07 2012-06-07 필러 보조기구 KR200472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96U KR200472398Y1 (ko) 2012-06-07 2012-06-07 필러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96U KR200472398Y1 (ko) 2012-06-07 2012-06-07 필러 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88U true KR20130007188U (ko) 2013-12-17
KR200472398Y1 KR200472398Y1 (ko) 2014-04-23

Family

ID=5148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96U KR200472398Y1 (ko) 2012-06-07 2012-06-07 필러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000A1 (ja) * 2021-06-28 2023-01-05 直輝 西谷 涙袋支持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9429A1 (en) * 2016-11-11 2018-05-17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Eyelid flipper tool
KR102218773B1 (ko) 2020-06-12 2021-02-22 김경모 필러물질 주사용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733Y1 (ko) 2001-04-06 2002-03-13 최봉영 속눈썹 화장용구
US20040060572A1 (en) 2002-09-30 2004-04-01 Olsen Francesca Guerrera Eyelash curl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8297972B2 (en) 2009-03-17 2012-10-30 Manuel Barry Gordon Combination tongue and flap retra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77000A1 (ja) * 2021-06-28 2023-01-05 直輝 西谷 涙袋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398Y1 (ko)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6176B2 (ja) 視力矯正冶具及び同冶具用の冷却流体注入具
JP6203173B2 (ja) 眼内薬剤送達デバイス
JP4987149B1 (ja)
JP7035135B2 (ja) 患者の皮膚の下へ鈍端カニューレを挿入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200472398Y1 (ko) 필러 보조기구
KR102462616B1 (ko)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EP3104916A1 (en) Pain reduc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WO2011077115A1 (en) Ocular device for guiding a needle
CN108478418B (zh) 鍉圆九针无创理疗工具
JP3149239U (ja) 片手で操作可能な注射器、注射器用補助具及び注射器セット
KR20190071942A (ko) 안구 건조증 치료용 장치
US20220202409A1 (en) Eyelid manipul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JP2019209129A (ja) シリンジグリップ
JP2008212618A (ja) 近視矯正治具
JP3173281U (ja) 脊椎矯正背もたれ
CN206138517U (zh) 可伸缩手部输液支撑器
JP5285398B2 (ja) 開瞼器
KR102049901B1 (ko)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RU2105534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глаз
JP2015228885A (ja) 美容およびマッサージ用シルク手袋
CN204428559U (zh) 一种输液用手部固定装置
CN111084704A (zh) 多元一体视力脊椎矫正方法
CN204121543U (zh) 一种输液固定保护装置
CN204133975U (zh) 一种留置针固定支具及其制作装置
CN107019626A (zh) 一种脸部精雕的按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