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9901B1 -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 Google Patents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9901B1
KR102049901B1 KR1020180053496A KR20180053496A KR102049901B1 KR 102049901 B1 KR102049901 B1 KR 102049901B1 KR 1020180053496 A KR1020180053496 A KR 1020180053496A KR 20180053496 A KR20180053496 A KR 20180053496A KR 102049901 B1 KR102049901 B1 KR 102049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conjunctiva
delivery device
drug delivery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0083A (ko
Inventor
박철용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901B1/ko
Priority to PCT/KR2019/095014 priority patent/WO2019216751A1/ko
Publication of KR2019013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는 결막과의 접촉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가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THE APPARATUS FOR APPLYING OCULAR DRUG BY TOUCHING CONJUNCTIVA}
본 발명은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과 질환 치료 등에 있어 안과 약물이 사용자의 결막과의 접촉을 통해서 눈에 효과적으로 전달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약물을 효율적으로 담지하고 결막과의 접촉 시 사용자의 눈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약물 전달기에 관한 것이다.
안과 질환 치료에 있어서, 안약 점안을 통한 약물 전달이 주된 치료 수단이다. 일반적으로 안약을 안구에 전달 하는 경우 환자의 고개를 뒤쪽으로 꺾은 후에 환자의 시선이 상향되도록 하여 액체로 된 안약을 투여하게 되는데, 안약을 자주 투여해보지 않거나 위와 같은 자세를 취하는 것이 불편한 사용자(예컨대, 환자)들은 안구에 안약을 정확하게 전달하기가 쉽지 않고, 적당한 양을 투여하기도 어려워 약물의 남용이 발생한다. 또한, 점안 이후 남은 안약이 피부에 흘러 마르면서 환자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시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안약 전달기는 용기 내에 액체로 안약이 담겨 있고, 뚜껑을 통해 안약을 투여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를 통해 안약을 점안하는 경우 사용자는 적당량을 투여하기 위한 손가락 힘을 조절하기 어렵고, 이 경우 안약이 피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특히, 한 손은 눈을 고정시키고 다른 한 손으로 안약 전달기의 뚜껑 부분이 눈 위에 오도록 하여 안약 용기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안약이 눈으로 투여되도록 한다. 또한, 점안 시 안약 전달기와 눈이 충돌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의하여 환자는 본능적으로 자신의 눈을 감게 될 수 있는데, 특히 타인(예컨대, 임상의 등)에 의한 점안 시 이러한 현상이 자주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안약의 전달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33061호에서는 눈꺼풀 벌림판을 통해 눈을 벌림과 동시에 누름판에 설치된 돌출부가 안약 용기에 압력을 가하여 적당량의 안약이 점안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약 전달기는 눈꺼풀이 고정되도록 하는 힘과 안약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힘이 함께 작용하기 어려우므로 눈에 밀착고정되기 힘든 문제점이 있고, 사용자의 눈에 상처가 생길 우려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061호 (등록일자 : 2001.05.23)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대한 일 대응 방안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를 사용자(예컨대, 환자 등)의 결막과 자연스럽게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안약이 사용자의 눈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액체 형태의 안약 뿐만 아니라 가루(powder) 형태의 건조형 약물이 환자의 눈물에 의해 녹아 안구에 전달되도록 하며, 약물을 담지하는 부분과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수단으로 하여금 결막 또는 각막과 약물을 담지하는 부분 간 접촉 시 충격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약물 전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는 결막과의 접촉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연결부는 가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의 헤드부는 굴곡 형태의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 표면 위에 약물을 담지할 수 있는 돌기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의 헤드부는 연결부 및 손잡이부의 신장된(elongated)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의 연결부는 헤드부가 결막과 접촉하는 방향에 무관하게 쉽게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의 연결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철부가 포함될 수 있고, 접철부가 접철됨에 따라 헤드부와 손잡이부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의 연결부의 중심부에는 공동(cavity)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공동은 헤드부가 결막과 접촉됨에 따라 확대됨으로써 손잡이부로부터 헤드부로 전달될 수 있는 외력이 완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의 연결부에는 약물 전달기의 사용 시 결막 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로 형성된 탄성부, 사용 시 결막 측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도록 탄성부 뒷편에 마련되어, 헤드부의 결막과의 접촉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는 탈착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는 헤드부의 오염(contamination) 발생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변색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에서는 약물이 담지(擔持)된 부분이 굴곡 형태의 표면을 가지고, 그 표면 상에는 약물을 포착하거나 약물이 부착되어 있도록 하기 위한 돌기부가 포함되어 있어서 약물의 담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약물의 상태(예컨대, 액체, 기체)와 무관하게 헤드부 상에 약물이 고르게 분포하여 담지(loading)되어 있을 수 있다.
액체형 약물 외에도 가루(powder)형 약물을 사용하여 효과적 담지를 이루게 하면서도 약물 전달기가 결막에 접촉시 발생되는 눈물에 의해 약물이 녹아(eluting) 안구에 약물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약 점안 시 약물을 적정량 만큼만 사용할 수 있고, 약물이 피부에 흘러내리는 종래기술에 따른 불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눈꺼풀을 내려 결막에 접촉하면 되므로, 안구에 접촉할 우려에 의해 두려워 눈을 감게 되는 환자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자는 본능에 따른 눈이 감길 염려 없이 약물의 전달을 쉽게 할 수 있다.
결막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약물을 담지하는 부분과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수단에 의해 접촉 시 생길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하여 눈에 상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결막에 접촉하는 부위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정확한 점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를 나타낸 것으로, 약물 전달기(1)가 결막에 접촉을 통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는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 표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 표면이 (a)의 헤드부(100) 표면과는 다른 굴곡 정도를 가지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에 굴곡 형태의 표면과 표면 위에 약물을 담지하고 있는 돌기부(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d) 각각은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 표면 상의 돌기부(12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가 연결부(200) 및 손잡이부(300)의 신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가 주름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가 철심부재(221)와 피복(222)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 포함된 접철부의 접철에 따라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 마련된 공동(241)이 결막과 헤드부(100)의 접촉에 따라 확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 마련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부와 헤드부(100)와 결막의 접촉으로 분리될 수 있는 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100)의 오염 발생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변색부(40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기(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정면도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를 결막에 접촉할 때 담지된 약물이 눈물에 의해 용해되어 추출(elute)됨으로써 눈으로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를 나타낸 것으로, 약물 전달기(1)가 사용자(예컨대, 환자 등)의 결막과의 접촉을 통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써,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1)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는 결막과의 접촉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100),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00),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손잡이부(300)를 포함하고, 연결부(200)는 가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헤드부(100)는 원형, 다각형, 막대형, 올리브 모양의 타원형 등 다양한 구조도 가능하며, 결막에 접촉하여 약물이 전달될 수 있는 형태이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결막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약물을 담지할 수 있는 재질이면 실리콘 재질, 천연고무 재질 및 합성 수지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써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헤드부(100)로 하여금 결막과 자연스러운 접촉을 유도하게 하고, 안구 주변의 굴곡진 부위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약물이 흡수되는 경우 흔들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약물이 사용자의 결막을 통해 안구로 정확히 투여되도록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결부(200)는 상기와 같이 헤드부(100)와 결막의 자연스러운 접촉을 유도하면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부(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철심부재, 주름부재, 탄성부재, 접철부재 등 다양한 재질 혹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30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한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로든 형성될 수 있으며, 강도가 강한 재질 또는 파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도 12를 참조하면 손잡이부(30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연결부(200)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형태는 삼각형, 사다리꼴형, 마름모꼴형 등일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처럼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서 파지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에는 미끄럼 방지 패치(310) 등을 부착하여 파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는 안구 표면(예컨대, 각막 등)에 직접 접촉을 통해 약물을 흡수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눈꺼풀 결막에 접촉시켜 약물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가 직접 또는 다른 도구를 이용하여 약물 전달기(1) 사용 시 아래 눈꺼풀을 살짝 당긴 이후에 노출되는 눈꺼풀의 결막과 접촉시킴으로써 약물이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약물은 눈의 진단, 치료, 세척 또는 보호를 위한 임의의 유형의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약물은 액체 형태의 안약은 물론, 가루(powder) 형태의 물질로써, 헤드부(100)에 담지(loading)되어 있을 수 있다.
헤드부(100)에 담지된 약물은 결막과 접촉함과 동시에 눈물에 의하여 용해되어 눈 표면으로 방출되며 퍼져 나갈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눈물이 부족한 환자의 경우에는 약물 전달기(1) 사용 전에 인공누액 또는 생리식염수 등을 이용하여 약물 담지부를 적신 후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하여 약물의 방출이 용이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가루 형태로 약물(130)이 담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헤드부(100)가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 시 발생될 눈물이 가루 형태의 약물을 녹임으로써 약물의 눈으로의 방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의 (a)는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 표면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 표면이 (a)의 헤드부(100) 표면과는 다른 굴곡 정도를 가지는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에 굴곡 형태의 표면과 표면 위에 약물(130)을 담지하고 있는 돌기부(12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 내지 (d) 각각은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 표면 상의 돌기부(12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는 굴곡 형태의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100) 표면 위에 약물(130)을 담지할 수 있는 돌기부(120)가 포함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굴곡 형태의 표면(110)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헤드부(100)가 눈 표면 또는 결막(10)과의 접촉 시 사용자가 느낄 수도 있는 통증 등을 완화할 수 있도록 실리콘 재질과 같은 연성, 탄성부재로 형성될 경우 그 완충작용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인체의 피부 또는 안구 표면이 어느 정도 굴곡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결막(10) 또는 눈 표면과의 접촉 시 효과적으로 약물(130)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0)는 약물(130)의 종류 또는 사용자의 눈의 특별한 구조를 고려하여 헤드부(100)의 표면의 굴곡 정도(예컨대, 마루의 높이, 골의 깊이 등)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의 표면에는 돌기부(120)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돌기부(120)로 하여금 약물(130)이 효과적으로 담지될 수 있다. 돌기부(120)는 약물(130)이 돌기들 사이의 공간에 포착(capture)되거나 많은 돌기들 자체에 부착(attach), 코팅(coat)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수의 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20)는 마이크로미터, 나노미터 단위의 굵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헤드부(100)의 굴곡 형태의 표면(110)에 돌기부(120)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완만한 표면에 돌기부(120)가 있을 때보다 효율적으로 약물(130)의 담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굴곡 형태의 표면(110)으로 인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돌출된 돌기부(120) 사이로 약물(130)이 포착되거나 부착되어 보다 많은 약물(130)이 액체 형태 또는 가루(powder) 형태로 담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된 돌기부(120)가 포함된 굴곡 형태의 표면(110)의 구조는 헤드부(100)가 눈 표면 또는 결막(10)과의 접촉 시 눈물(20)이 굴곡 형태의 표면(110)으로 인한 공간에 스며들기 용이하여 눈에 약물(130)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약물(130)의 종류에 따라 굴곡진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고, 이와 마찬가지로 약물(130)의 종류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 담지를 위한 돌출부의 구조 및 재질이 달라질 수도 있다.
돌기부(120)의 돌기는 약물(130)을 포착하거나 약물(130)이 부착, 코딩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4의 (a)에서와 같이 단일 돌기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많은 수의 돌기를 통해 약물(130)이 포착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서와 같이 수지상(dendrite) 형태의 돌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여러 돌기들 사이에 많은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약물(130)이 효과적으로 포착되거나 많은 돌기들 사이에 약물이 부착 등이 될 수 있다. 도 4의 (c)에서와 같은 형태로도 약물(130)이 담지될 수 있으며, 도 4의 (d)와 같은 고리형의 경우에는 약물(130)이 돌기 자체에 부착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d) 이외에도 약물의 포착, 부착, 코팅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로 돌기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헤드부(100)의 돌기부(120)는 물에 녹아 약물(130)과 함께 용액이 될 수 있다. 즉, 헤드부(100)의 결막(10) 또는 눈 표면과의 접촉 시 발생하는 눈물(20)이 돌기부(120)와 약물(130)을 함께 녹여 용액이 형성되어 눈 표면에 퍼질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부(120)는 용액이 눈에 더 잘 스며들게 하기 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가 연결부(200) 및 손잡이부(300)의 신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헤드부(100)는 연결부(200) 및 손잡이부(300)의 신장된(elongated)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θ)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연결부(200) 및 손잡이부(300)의 신장된(elongated) 방향(예컨대, 2점쇄선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θ)만큼 구부러져서 헤드부(1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헤드부(100)는 사용자가 헤드부(100)를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자연스럽게 접촉할 수 있도록 연결부(200) 및 손잡이부(300)의 신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00)의 전면부 전체가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 되거나 또는 헤드부(100)의 전면부 중 일부(예컨대, tip)가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헤드부(10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미리 기울어져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약물 전달기(1)를 보다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헤드부(100)를 거울 등을 보고 스스로 자신의 눈 표면 또는 결막에 접촉시키거나 타인의 눈 표면 또는 결막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사전 설정된 각도를 이루고 있는 것이 약물 전달기(1)의 현재 사용 상태(또는 상황)을 파악하기가 보다 수월하므로 눈으로의 약물의 정확한 전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연결부(200) 및 손잡이부(300)의 신장된 방향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소정의 각도는 사용 시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약물 전달기(1)를 사용하면서 그 상황을 파악하면서 약물을 전달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각도는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 시 흔들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지지가 이루이지기 위해서는 소정의 각도는 더 작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각도는 5도 내지 85도의 범위값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가 주름 형태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가 철심부재와 피복으로 구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는 헤드부(100)가 결막과 접촉하는 방향에 무관하게 쉽게 구부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헤드부(100)가 결막 또는 눈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 접촉하는 방향에 무관하게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결막 또는 눈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통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연결부(200)는 굴곡 형태의 주름 구조(210a)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접촉 방향에 따라 어떠한 형태(210b 또는 210c)로든 쉽게 구부러지도록 하여 헤드부(100)의 눈과의 자연스러운 접촉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름 형태의 연결부(200)는 약물이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전달되는 동안 헤드부(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헤드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이 연결부(200)는 철심부재(221)를 피복(222)이 감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철심부재(221)는 가요성(flexible)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피복(222)은 철심부재(221)를 잘 감쌀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가요성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철심부재(221)를 사용한 연결부(200)는 약물이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전달되는 동안 헤드부(100)가 흔들리지 않도록 헤드부(100)를 지지하여 헤드부(100)의 눈과의 자연스러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철심부재(221)는 헤드부(100)와 결막 또는 눈 표면의 접촉에 따라 구부러진 경우 반대쪽으로 구부리면 쉽게 구부러지지 않도록 항복응력이 감소되는 성질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 포함된 접철부의 접철에 따라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의 소정의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철부가 포함될 수 있고, 접철부가 접철됨에 따라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접철부의 접철을 통해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눈 표면 또는 결막과 헤드부(100)의 자연스러운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철부는 연결부(200)의 소정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접철부(예컨대, 231, 23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하기 위해 다수의 접철부들이 연결부(20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서와 같이 제1접철부(231)과 제2접철부(233)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의 각도는 네 가지의 경우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도 8의 230(a) 와 같이 제1접철부(231)과 제2접철부(233) 모두 접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도 8의 230(b)와 같이 제1접철부(231)가 접철되는 경우, 제2접철부(233)가 접철되는 경우 및 제1접철부(231) 및 제2접철부(233) 모두 접철되는 경우로써, 각각의 경우를 통하여 형성되는 각도는 상이할 수도 있다.
도 8에서 제1접철부(231)는 제2접철부(233)보다 헤드부(100)에 더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경우 제1접철부(231)가 접철되는 경우가 제2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보다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더 커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상황에 따라 도 8과 달리 3개 이상의 접철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접철부의 각도(232)는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마련되기 위해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철부의 각도가 작아질수록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는 작아질 수 있다. 반대로, 접철부의 각도가 커질수록 접철부가 접철되는 경우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가 이루는 각도는 커질 수 있다.
더불어, 연결부(200)는 접철부를 포함하면서도 탄성이 구비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 마련된 공동(241)이 결막과 헤드부(100)의 접촉에 따라 확대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의 중심부에는 공동(cavity)(241)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공동(241)은 헤드부(100)가 결막과 접촉됨에 따라 확대됨으로써 손잡이부(300)로부터 헤드부(100)로 전달될 수 있는 외력 등이 완충되게 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결막 또는 눈 표면과 헤드부(100)의 접촉 시 구부러질 수 있는 탄성부재(24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공동(241)이 마련되어 눈 표면과 헤드부(100)의 접촉으로 인해 탄성부재(242)가 구부러지면서 공동(241)이 확대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300)로부터 헤드부(100)로 전달될 수 있는 외력이 완충되어 눈 표면 또는 결막에 최소한의 충격이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 하게는 눈 표면 또는 결막에 전달되는 충격이 제거될 수 있다. 연결부(200)의 공동(241)은 연결부(20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200)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200)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경우에는 나머지 일부에는 공동(241)이 마련되지 않은 탄성부재(24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 마련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탄성부와 헤드부(100)와 결막의 접촉으로 분리될 수 있는 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의 연결부(200)에는 약물 전달기(1)의 사용 시 결막 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로 형성된 탄성부(예컨대, 252, 254), 사용 시 결막 측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도록 탄성부 뒷편에 마련되어, 헤드부(100)의 결막과의 접촉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는 탈착부(예컨대, 251, 253)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 따른 연결부(200)는, 250(b)의 상태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 전에 탈착부를 분리시킨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의 각도를 설정한 뒤 약물을 전달하거나 사용자가 헤드부(100)를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시킬 경우에 인가될 외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자동으로 탈착부가 분리됨으로써 약물이 전달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약물 전달기(1) 사용 전에 탈착부를 분리시켜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를 소정의 각도로 설정한 뒤 헤드부(100)를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자연스럽게 접촉을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가 헤드부(100)를 결막 또는 눈 표면에 접촉시킴에 따라 자연스럽게 탈착부가 분리되어 헤드부(100)를 지지하고, 눈 표면이나 결막에 가해질 수 있는 (외력에 의한) 충격 등을 완화할 수 있다.
연결부(200)는 도 10과 같이 2개의 탄성부와 2개의 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헤드부(100)와 손잡이부(300)의 각도 조절을 위해 제1탈착부(251) 및 제2탈착부(253)를 각각 또는 모두를 탈착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헤드부(100)를 눈 표면 또는 결막에 접촉시키는 경우 제1탈착부(251) 및 제2탈착부(253)가 각각 분리되거나 모두가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탄성부(252) 및 제2탄성부(254)에는 탄성력이 작용하여 눈 표면 또는 결막에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약물 전달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헤드부(100)의 오염 발생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변색부(400)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기(1)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는 헤드부(100)의 오염(contamination) 발생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변색부(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헤드부(100)의 오염은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공기 중에 방치한 채로 일정 시간이 지난 경우에 약물의 사용 가능 기한이 지났음을 알리기 위해서 변색부(400)에 헤드부(100) 오염 발생 유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에 담지된 약물의 효력을 억제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성분이 침투된 경우에도 변색부(400)에 헤드부(100) 오염 발생 유무가 표시될 수 있다.
변색부(400)는 도 11의 (a)와 같이 헤드부(10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도 11의 (b)에서와 같이 손잡이부(300)의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변색부(400)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공기 중 방치에 따른 변색 여부, 정도 등이 달리 결정될 수 있다. 약물이 다른 성분의 침투에 의해 오염된 경우 특정 약물에 따라 그 오염에 따른 변색 기준 등이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약물에 따라 특정 약물이 공기 중에 일정 시간 방치된 경우 그 사용 가능 기한에 따라 다른 변색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약물이 다른 침투 성분에 의해서 오염된 경우는 약물 성분 중 특정 성분의 수치가 기준치를 벗어나 약물이 변색되는 기준이 약물마다 달리 설정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약물 전달기(1)를 결막에 접촉할 때 담지된 약물이 눈물에 의해 용해되어 추출(elute)됨으로써 눈으로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과 같이 헤드부(100)가 결막(10)에 접촉하는 경우 눈에서 눈물(20)이 발생하고, 발생된 눈물(20)이 헤드부(100)의 굴곡진 표면에 형성된 공간으로 스며들어 돌기부(120)에 담지된 약물(130)을 용해한다. 이렇게 용해된 약물(130)이 포함된 눈물이 눈으로 이동되면서 약물이 눈으로 흡수되어 분포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00)를 인공누액 등으로 미리 적신 후, 헤드부(100)를 사용자의 결막(10)에 접촉시켜 눈으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약물 전달기 10 : 결막
20 : 눈물 100 : 헤드부
110 : 굴곡 형태의 표면 120 : 돌기부
130 : 약물 200 : 연결부
210a, 210b, 210c : 주름구조형태 예시
220 : 철심연결구조형태 예시
221 : 철심부재 222 : 피복
230(a), 230(b) : 접철연결구조형태 예시
231 : 제1접철부 232 : 접철부의 각도
233 : 제2접철부
240(a), 240(b) : 공동연결구조형태 예시
241 : 공동 242 : 탄성부재
250(a), 250(b) : 탈착연결구조형태 예시
251 : 제1탈착부 252 : 제1탄성부
253 : 제2탈착부 254 : 제2탄성부
300 : 손잡이부 310 : 미끄럼 방지 패치
400 : 변색부

Claims (8)

  1.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로서,
    결막과의 접촉을 통해 약물을 전달하기 위한 헤드부;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 및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상기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는 굴곡 형태의 표면을 가지며, 상기 표면 위에 상기 약물을 담지할 수 있는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가변형 구조를 갖는 것인 약물 전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신장된(elongated)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막과 접촉하는 방향에 무관하게 쉽게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철부가 포함되고, 상기 접철부가 접철됨에 따라 상기 헤드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는 약물전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심부에는 공동(cavity)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동은 상기 헤드부가 상기 결막과 접촉됨에 따라 확대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상기 헤드부로 전달될 수 있는 외력을 완충하는 약물전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약물 전달기의 사용 시 상기 결막 측에 인접하여 위치하도록 하여, 탄성 부재로 형성된 탄성부; 및
    상기 사용 시 상기 결막 측으로부터 먼 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탄성부 뒷편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부의 상기 결막과의 접촉에 의하여 분리될 수 있는 탈착부가 포함되는 약물 전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오염(contamination) 발생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변색부가 더 포함되는 약물 전달기.
KR1020180053496A 2018-05-10 2018-05-10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KR102049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96A KR102049901B1 (ko) 2018-05-10 2018-05-10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PCT/KR2019/095014 WO2019216751A1 (ko) 2018-05-10 2019-05-09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496A KR102049901B1 (ko) 2018-05-10 2018-05-10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083A KR20190130083A (ko) 2019-11-21
KR102049901B1 true KR102049901B1 (ko) 2019-11-29

Family

ID=6846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496A KR102049901B1 (ko) 2018-05-10 2018-05-10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9901B1 (ko)
WO (1) WO201921675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0856A1 (en) 2003-09-25 2005-03-31 Garry Tsaur Adjustable angle eye dropper
US20140094759A1 (en) 2012-10-02 2014-04-03 Harold D. Mansfield Eye drop applicator and drop transfer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80659B1 (en) * 1999-08-30 2003-09-24 Henlopen Manufacturing Co., Inc. Container-applicator system for material for the skin
KR200233061Y1 (ko) 2001-02-23 2001-09-25 정회석 안약 투약기
KR101434023B1 (ko) * 2012-08-08 2014-08-26 김재형 안약전달용 스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0856A1 (en) 2003-09-25 2005-03-31 Garry Tsaur Adjustable angle eye dropper
US20140094759A1 (en) 2012-10-02 2014-04-03 Harold D. Mansfield Eye drop applicator and drop transfer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16751A1 (ko) 2019-11-14
KR20190130083A (ko)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9564B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cular iontophoresis
US5314419A (en) Method for dispensing ophthalmic drugs to the eye
TW467740B (en) Sub-tenon drug delivery
EP2838470B1 (en) Delivery system for ocular implant
US20190358083A1 (en) Apparatus for eye treatment
MX2007001833A (es) Dispositivo de contrapresion para entrega de droga oftalmica.
JP6203173B2 (ja) 眼内薬剤送達デバイス
JP2014532466A (ja) 眼内注射用の支援デバイス
JP2014516617A (ja) 眼内注射用装置
CN105979914A (zh) 用于治疗剂的视网膜下递送的系统和方法
US5665069A (en) Pressure-directed peribulbar anesthesia delivery device
US20160193079A1 (en) Approach to administering ocular medication
US9693893B2 (en) Intravitreal injection device and method
US6010488A (en) Lower eyelid retractor and method for applying medication to the eye
JP2006500139A (ja) 触覚刺激装置
KR102049901B1 (ko)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KR20190071942A (ko) 안구 건조증 치료용 장치
CHIOU et al. Facilitation of retinal function recovery by natural products after temporary ischemic occlusion of central retinal artery
US10667944B2 (en) Ophthalmic intra ocular access tool
KR200472398Y1 (ko) 필러 보조기구
US5499065A (en) Device for preventing eye drops from entering the nasolacrimal duct system
JP2006116071A (ja) 眼科用薬剤投与器具
JP3211479U (ja) 安全な点眼用のデバイス
NL2023576B1 (en) An intraocular administration device for intraocular administration of a substance, for example a medication, into a human or animal eye.
KR102467288B1 (ko) 결막 접촉용 약물 전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