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7166U -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 Google Patents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7166U
KR20130007166U KR2020120004758U KR20120004758U KR20130007166U KR 20130007166 U KR20130007166 U KR 20130007166U KR 2020120004758 U KR2020120004758 U KR 2020120004758U KR 20120004758 U KR20120004758 U KR 20120004758U KR 20130007166 U KR20130007166 U KR 201300071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reinforcement plate
insulation
longitudinal
pla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7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842Y1 (ko
Inventor
박성현
박성평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47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84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71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1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8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4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composed of two half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2Arrangements for supporting insulation from the wall or body insulated, e.g. by means of spacers between pipe and heat-insulating materi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insulated bodies
    • F16L59/135Hangers or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ins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흐르는 덕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보강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는, 덕트(500)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 사이에 인슐레이션 부재(100) 및 보강판을 설치한 덕트(500)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로서,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폭방향 보강판(300); 및 상기 덕트(500)의 외측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보강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폭방향 보강판(300) 및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소정의 이격공간(2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Structure of reinforced plate for a insulatinong of a duct}
본 고안은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흐르는 덕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인슐레이션 보강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러 산업분야에서 고온의 유체가 흐르는 덕트에는 단열 및 인체 보호를 목적으로 덕트 외부에 인슐레이션 커버를 설치한다. 이러한 커버은 덕트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단열시켜 열손실을 줄이고, 고온의 덕트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보호 커버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0697호에 덕트을 감싸는 한 쌍의 반 원통체들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덕트 외부에 설치하는 덕트보호 커버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더불어 고온의 덕트에 인체가 접촉되어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함석판이나 단열재로 파이프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하는 보호커버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4902호, 제20-0446042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25701호 등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보호커버는 고온의 덕트 외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반원통형으로 분할 형성된 커버부재를 플랜지로 이음하여 조립하거나 돌출 슬릿을 형성하여 서로 조립하는 것으로 커버부재에 플랜지와 슬릿을 성형하고 이들을 체결볼트 등 별도의 수단으로 서로 조립하여 설치하게 되어 제작이 용이치 않을 뿐만 아니라 고온의 덕트 외부에 설치하는 조립작업 역시 용이하지 않은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보호커버는 덕트 외경에 삽입되는 조립공이 덕트으로부터 단열되도록 조립공측에 단열부재를 끼워 결합하게 되어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단 구조 및 조립이 용이하며, 화재 위험성이 제거된 구조의 덕트 제작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덕트에 부착되는 인슐레이션 보강판의 구조를 개선하여 덕트 조립체의 제작을 용이하도록 하며 화재 위험성 및 고소 작업 위험성을 제거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덕트(500)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 사이에 인슐레이션 부재(100) 및 보강판을 설치한 덕트(500)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폭방향 보강판(300); 및 상기 덕트(500)의 외측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보강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폭방향 보강판(300) 및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소정의 이격공간(2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덕트(500)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270)는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슐레이션 부재(100)는 복수개의 단열재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되는 단열재 중 최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재와 상기 측면 커버부재(400) 사이에는 이격공간(4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최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재와 상기 측면 커버부재(40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에는 복수개의 관통홀(250);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250)은 상기 적층되는 복수개의 단열층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덕트(500)는 횡단면이 원통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덕트(500)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 사이에 인슐레이션 부재(100) 및 보강판을 설치한 덕트(500)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보강판을 부착하되, 상기 보강판의 하단부와 상기 덕트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덕트(500)는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후행 보온작업에서 화기 작업을 해소하여 작업시 화재 위험성 및 고소 작업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고, 덕트 조립체의 조립작업에 있어 용접시수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인해 덕트 조립체의 조립작업을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단열재를 덕트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보강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의해 자재비 절감 및 덕트 조립체의 자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보강판 구조를 부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보강판 구조를 부부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덕트(500)는 인슐레이션 부재(100)를 포함하는 덕트인바, 보온 또는 보냉이 필요한 덕트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온 또는 저온의 덕트에 인체가 접촉되어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가스 터빈의 배기가스용 덕트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연결, 부착" 등의 부재간 연결방법은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부재간을 연결하는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연결강도의 강화를 위해 용접 연결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500)의 보강판 구조는, 덕트(500)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덕트(500)의 외측면 사이에 인슐레이션 부재(100) 및 보강판을 설치한 덕트(500)의 보강판 구조로서, 덕트(500)의 외측면에 보강판을 부착하되, 보강판의 하단부와 덕트의 외측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덕트의 조립 공정시 인슐레이션 부재를 덕트에 부착하는 후행 보온작업에 있어 보강판의 하단부와 덕트를 연결하는 화기작업(예를 들면, 용접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화재 위험성 및 고소 작업 위험성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보강판의 자중감소로 인해 덕트 조립체의 자중이 줄어들어 덕트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의 부담을 줄여 지지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500)의 보강판 구조를, 도 1 또는 도 2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폭방향 보강판(300), 길이방향 보강판(200)를 포함한다.
폭방향 보강판(300)은 덕트(5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덕트(500)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부착하며, 길이방향 보강판(200)는 덕트(500)의 외측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덕트(5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부착하는데, 부착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리벳 이음, 용접이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용접으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폭방향 보강판(300) 및 길이방향 보강판(200)은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하는데, 교차점에서의 두 보강판(300, 200)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2개의 부재가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할 때 적용하는 방법(일방에 홈을 형성하고, 타방을 홈에 끼우는 방식 또는 일방을 절단하여 타방의 측면에 용접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에는, 폭방향 보강판(300)을 일체로 형성하고, 길이방향 보강판(200)을 섹션으로 나누어 섹션의 양단부를 폭방향 보강판(300)의 측면에 용접으로 연결하여 용접연결부위(2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는 덕트(5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소정의 이격공간(260)을 형성하도록 하여 보강판(200)의 자중을 감소하고, 보강판(200)의 하단부와 덕트의 외측면과의 연결부위를 줄여 연결작업(예를 들면, 용접)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물론 폭방향 보강판(300)의 하단부에도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나, 폭방향 보강판(300)은 덕트 조립체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데 큰 역할을 하므로 하단부 전체가 덕트(5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의해 길이방향 보강판(200)이 덕트(50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기능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덕트(500)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70)를 형성하도록 하여 돌출부(270)의 단부를 덕트(500)의 외측면에 부착시켜 길이방향 보강판(200)도 덕트(500)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부재(100)는 복수개의 단열재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폭방향 보강판(300) 및 길이방향 보강판(200)은 인슐레이션 부재(100)가 덕트(500) 상에 잘 고정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슐레이션 부재(10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한다.
또한, 인슐레이션 부재(100)가 덕트(500) 상에 더욱 잘 고정될 수 있도록 인슐레이션 부재(100)의 외측을 망(mesh)으로 둘러싸고, 망 주위에 와이어를 감아 망이 덕트(500)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때, 인슐레이션 부재(100)가 복수개의 단열재가 적층되어 이루어졌다면, 각 단열재의 외측에 망을 설치하고 와이어로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와이어가 길이방향 보강판(200)을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250)을 길이방향 보강판(200)에 형성하여 적층되는 각 단열재를 덕트(500)상에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관통홀(250)는 적층되는 복수개의 단열재 각각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통홀(250)은 적층되는 복수개의 단열재 각각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망을 고정하는 와이어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층되는 단열재 각각의 외측면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관통홀(250)은 단열재를 둘러싸는 망을 고정하는 와이어가 관통할 뿐만아니라 망 없이 설치되는 단열재를 고정하는 와이어가 관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슐레이션 부재(100) 또는 적층되는 단열재의 최외측 단열재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인슐레이션 부재(100) 사이에는 이격공간(41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격공간(410)에 의해 덕트(500)의 단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인슐레이션 부재(100) 또는 최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재와 측면 커버부재(400)는 체결수단(420)으로 연결되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체결수단(420)은 일반적인 산업현장에서 이격된 2 부재간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도 2에는 인슐레이션 부재(100) 또는 최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재에 고정용 브라켓(422)을 설치하고, 측면 커버부재(400)와 고정용 브라켓(422)을 체결구(421; 예를 들면, 나사, 못 등)로 연결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덕트(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단면을 갖을 수도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단면이 원통형이 되거나 다각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보강판 구조의 작용을 도 1 내지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흐르는 덕트(500)를 보강하는 보강판은 덕트(500)의 외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나, 보강판의 높이는 덕트(500)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단열재를 고정하는 와이어가 관통하는 관통홀(250)을 형성할 정도로 형성한다.
보강판에 형성되는 최외측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단열재를 고정한 후 측면 커버부재와의 사이에 단열재를 추가로 적층할 수 있고, 이 때는 체결수단(420)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고정한다.
보강판(300, 200)은 자중을 줄이기 위해 하단부에 이격공간(260)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격공간(260)은 최하측에 형성되는 관통홀(250) 하부까지 다다르도록 형성하여 최대한 이격공간(260)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보강판(300, 200)을 덕트(500)에 용접으로 연결하는 경우 최소한의 용접개소를 갖도록 보강판(300, 20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이격공간(26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돌출부(270) 부분)를 덕트(500)와 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개소를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단열재의 보강을 강화하기 위해 폭방향 보강판(300)의 하단부는 덕트(500)와 연결시 적절한 개소를 용접으로 연결하여 덕트의 구조를 보강하도록 하고,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접개소를 최소한으로 유지하여 용접작업을 최소화하여 화재 위험성을 없애고, 덕트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배기덕트 150: 보강 스티프너
200: 링 가이드 부재 300: 배기덕트 지지부재
350: 가이드 부재 351, 352: 가이드 바
400: 덕트 지지구조물

Claims (9)

  1. 덕트(500)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 사이에 인슐레이션 부재(100) 및 보강판을 설치한 덕트(500)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폭방향 보강판(300); 및
    상기 덕트(500)의 외측에 폭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부착되는 복수개의 길이방향 보강판(200);을 포함하되,
    상기 폭방향 보강판(300) 및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은 서로 교차하며,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에는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소정의 이격공간(260)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길이방향 양단부는 상기 덕트(500)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27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270)는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션 부재(100)는 복수개의 단열재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적층되는 단열재 중 최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재와 상기 측면 커버부재(400) 사이에는 이격공간(410);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최외측에 적층되는 단열재와 상기 측면 커버부재(400)를 체결하는 체결수단(4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에는 복수개의 관통홀(250);을 형성하되,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250)은 상기 적층되는 복수개의 단열층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기 길이방향 보강판(200)의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덕트(500)는 횡단면이 원통형 또는 다각형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8. 덕트(500)의 외측을 감싸는 측면 커버부재(400)와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 사이에 인슐레이션 부재(100) 및 보강판을 설치한 덕트(500)의 보강판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덕트(500)의 외측면에 보강판을 부착하되, 상기 보강판의 하단부와 상기 덕트의 외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500)는 가스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흐르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KR2020120004758U 2012-06-05 2012-06-05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KR200482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58U KR200482842Y1 (ko) 2012-06-05 2012-06-05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758U KR200482842Y1 (ko) 2012-06-05 2012-06-05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166U true KR20130007166U (ko) 2013-12-13
KR200482842Y1 KR200482842Y1 (ko) 2017-03-08

Family

ID=5244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758U KR200482842Y1 (ko) 2012-06-05 2012-06-05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21B1 (ko) * 2014-01-16 2014-09-22 (주) 늘푸른동방 반도체 cvd 라인용 덕트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459A (en) * 1977-01-28 1978-08-16 Babcock Hitachi Kk Warm keeping and sound proofing duct
JPS5651760Y2 (ko) * 1979-09-27 1981-12-03
JPH04118898A (ja) * 1990-09-07 1992-04-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薄肉ダクトへの補強リブ取付方法
JP2000088330A (ja) * 1998-09-17 2000-03-31 Nippon Muki Co Ltd ダクトフランジ部の断熱施工方法及びダクトフランジ部用断熱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93459A (en) * 1977-01-28 1978-08-16 Babcock Hitachi Kk Warm keeping and sound proofing duct
JPS5651760Y2 (ko) * 1979-09-27 1981-12-03
JPH04118898A (ja) * 1990-09-07 1992-04-2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薄肉ダクトへの補強リブ取付方法
JP2000088330A (ja) * 1998-09-17 2000-03-31 Nippon Muki Co Ltd ダクトフランジ部の断熱施工方法及びダクトフランジ部用断熱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21B1 (ko) * 2014-01-16 2014-09-22 (주) 늘푸른동방 반도체 cvd 라인용 덕트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842Y1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0609B2 (en) Acoustic dampening pipe shoe
KR101686795B1 (ko) 보강와이어와 외부보강지주를 이용한 외부 보강 물탱크
US9388577B2 (en) Structural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ructural element
BRPI0909320B1 (pt) silo de estocagem
KR100993096B1 (ko) 터널 공사용 조립식 격자지보
RU2017107764A (ru) Конструкция наружной изоляции здания
KR20160133693A (ko) 내화 경량체 블럭을 갖는 복합형 풍도슬래브 패널의 제조방법 및 시공방법
US20130180996A1 (en) Structure for insulation of storage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RU127853U1 (ru) Неподвижная опора надзем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443444B1 (ko) 건설 구조물용 보강 구조체
KR20130007166U (ko) 덕트의 인슐레이션 보강판 구조
JP2017057969A (ja) 配管支持構造
KR200465188Y1 (ko) 배관커버용 간격유지대
CN203821870U (zh) 全钢复合防护网
JP5387324B2 (ja) バックステー連結機構
JP2019504225A (ja) 断熱トラス
WO2013079076A1 (en) A ceiling structure and a method for retaining insulating batts or slabs in a ceiling structure
KR101317548B1 (ko) 원형 지지판의 처짐 및 분리가 방지되는 콘크리트 파일 보강용 철근 캡 조립체
KR101256775B1 (ko) 무보강 물탱크
JP2013036185A (ja) 継手金物部位と開孔部とを併設配置した補強構造
JP6815726B2 (ja) 配管構造
JP6329785B2 (ja) ボイドスラブ
JP6815596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及び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
JP5236796B2 (ja) アンカー部材連結体
AU2020100272B4 (en) Twist resistant roof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