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962U -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 Google Patents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962U
KR20130006962U KR2020120004417U KR20120004417U KR20130006962U KR 20130006962 U KR20130006962 U KR 20130006962U KR 2020120004417 U KR2020120004417 U KR 2020120004417U KR 20120004417 U KR20120004417 U KR 20120004417U KR 20130006962 U KR20130006962 U KR 201300069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cover
interpolation
folding lin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387Y1 (ko
Inventor
박종호
Original Assignee
박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호 filed Critical 박종호
Priority to KR2020120004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38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9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9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3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3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4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column markers or line or heading indicator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6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with at least one foldable or folded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9/00Bookmarkers; Spot indicators; Devices for holding books open; Leaf turners
    • B42D9/001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 B42D9/002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in a book, e.g. bookmarkers permanently attached to the boo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2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 표지부에 포장으로서의 기능 및 책갈피 기능을 구비하여 독서시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에 관한 것으로, 책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지부와 상기 표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표지측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이 인쇄되는 복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책으로서,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삽부,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로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 및 상기 내삽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목차 또는 페이지가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상기 절첩라인까지의 폭은, 상기 절첩라인에 인접한 표시부의 목차 또는 페이지에 해당되는 내지까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독서자가 간편하게 책의 해당 페이지나 목차를 찾을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A BOOK HAVING FUNCTIONAL COVER}
본 고안은 책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책 표지부에 포장으로서의 기능 및 책갈피 기능을 구비하여 독서 및 책의 선택시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이나 전자책이 활성화됨에 따라 전자 컨텐츠의 개발과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책의 풍미와 시각적인 우수성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종이책의 수요는 꾸준히 상승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사용되고 있는 전자책과 같은 경우는 책갈피나 메모 기능이 전자적으로 제공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있으나, 종이책의 경우에는 이러한 책갈피 등의 기능적 부분에 있어서는 생산상의 공정 문제나 경제성 문제로 인하여 한계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책은 책의 내용이 인쇄되는 내지와 상기 내지의 앞면과 뒷면을 보호하는 하나 이상의 표지로 이루어진다.
책의 표지의 사이에 복수의 내지들은 접착되거나 다양한 결합부재들에 의하여 접합되어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제본되어 제작된다.
이렇게 제본이 완료된 책은 앞표지와 뒷표지 각각의 끝단이 내지의 개방단 끝부분까지만 덮을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람이 표지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지들을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책은 보통 휴대하여 읽는 것이 일반적인데, 때와 장소에 따라 책을 읽은 후 책을 덮게 되면 전에 읽은 페이지를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이 경우에는 독서자가 페이지를 한 장씩 펼쳐가면서 찾아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재로서 책갈피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책을 보는 과정에서 덮기 전에 해당 페이지의 사이에 얇은 클립이나 평판과 같은 부재를 끼워 넣는 방식으로 표시를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책갈피는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번거롭게 소지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어 사용 도중 분실될 우려가 있고, 경우에 따라 페이지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이러한 종이 재질로 이루어지는 책은 서점 등에 수납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표지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책들은 개별 포장이 어렵기 때문에 구매 전에 내용이 노출될 수 있는 상태로 전시된다.
그런데, 소비자들이 서점에서 내용을 전부 읽을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이러한 경우 판매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책 자체에 책갈피 기능을 단순한 방법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책갈피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책갈피 기능을 구비하는 책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책의 내용의 일부를 책 표지가 포장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내용의 바람직하지 않은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책을 보호할 수 있는 책갈피 기능을 구비하는 책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책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지부와 상기 표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표지측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이 인쇄되는 복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책으로서,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삽부,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로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 및 상기 내삽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목차 또는 페이지가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상기 절첩라인까지의 폭은, 상기 절첩라인에 인접한 표시부의 목차 또는 페이지에 해당되는 내지까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독서자가 간편하게 책의 해당 페이지나 목차를 찾을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절첩라인이 일렬의 탭이 가압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작공정이 단순하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표시부가 상기 표지측부와 동일한 인쇄가 형성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책에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내삽부가 상기 표지부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고 각각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을 포함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책갈피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책의 보호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내삽부가 각각 상호간에 절첩되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내지 사이에 함께 삽입되어 내지를 보호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의 양측에서 보호 및 포장 기능이 강화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내삽부가 하나의 절첩라인에서 내측으로 절첩되고 상기 하나의 절첩라인보다 단부측에 인접된 다른 절첩라인에서 외측으로 절첩되어 책을 덮은 상태에서 단부측의 일부가 상기 내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갈피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책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지부와 상기 표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표지측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이 인쇄되는 복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책으로서,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표지측부에서 상기 내지와 함께 결합되는 접착부 및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삽부와 상기 접착부를 분리하도록 절단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의 포장기능 향상과 함께 판매가 촉진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내삽부가 상기 표지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뒤쪽 내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의 보호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절단부가 두 개의 탭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절취시 상기 절단부가 상기 내삽부와 상기 접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절단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로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갈피로서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상기 내삽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책의 일측의 일부를 덮는 후면표지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표지측부가 상기 표지측부와 동일한 인쇄가 형성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의 구별이 용이하고 미관이 향상된다.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책의 표지부가 책갈피, 보호 및 표장으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판사 또는 제작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나타나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의 사용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도면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에서는 책갈피 기능을 구비한 책을 제시한다.
기본적으로 책은 책(10)의 내용을 보호하는 표지부(11)와 상기 표지부(11)에 연결되고 내용물이 인쇄 또는 수록되는 내지(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지부(11)는 단부측에서 내측 즉, 내지(1)측으로 절첩되는 부위인 내삽부(1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내삽부(12)를 형성하기 위한 절첩부위가 책의 단부측을 형성함으로써 표지부(11)의 모서리로서의 강성과 보호성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내삽부(12)는 책(10)의 가장 외곽에 배치되는 표지에만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표지부(11)의 내측에 배치되고 내지(1)를 보호하는 삽지(미도시)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상기 삽지는 표지부(11)로서 이해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삽지는 표지부(11)와 내지(1)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내지(1)들간의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념에서는 상기 내삽부(12)에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21)이 형성되어 책갈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삽부(12)는 상기 표지부(11)의 일면에서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21)이 형성되어 내삽부(12)의 일부가 좌우로 절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삽부(12)의 횡방향 길이는 표지부(11) 일면의 횡방향 길이의 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첩라인(21)의 개수는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절첩라인(21)의 사이의 간격에는 소정의 절첩라인(21)에 인접하여 표시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책의 목차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절첩라인(21) 사이의 간격은 상기 목차나 페이지에 해당하는 내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넓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독서자가 책을 읽는 도중에 책을 덮는 경우 해당 내용의 목차에 해당되는 절첩라인(21)을 접어서 내지(1)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다시 펼칠 때 어느 부위를 읽다가 중단하였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표시부(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절첩라인(21)의 간격 사이에 인쇄 또는 접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데, 횡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되 상호간에 종방향으로 단을 지어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절첩라인(21)은 인쇄된 형태의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하나 이상의 탭이나 복수의 천공이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절첩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작 과정에서 표지부(11)의 형성시 소정의 가공수단을 통하여 압력을 가하여 종방향의 탭을 내는 간단한 과정으로 절첩라인(21)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에도 이점이 있다. 이렇게 절첩라인(21)이 탭이나 천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독서자는 간편하게 원하는 절첩라인(21)을 좌우방향으로 접을 수 있고, 표시부(22)의 바람직하지 않은 구겨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탭은 내삽부에 형성되는 소정의 홈 또는 홀 형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탭이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가압하는 공정에서 주변 부위보다 두께를 얇게 만들어 절첩이 용이하게 하는 것을 의미하고, 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복수의 홀들이 상호간에 이격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절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은 상기한 책갈피 기능을 구비한 책의 사용예의 측면도와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에서 상기 내삽부(12)는 하나의 절첩라인(21)에 의하여 내측으로 절첩되고, 내지(1) 사이의 소정 페이지에서 삽입된다. 이때, 표시부(2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데 여기서 나타나는 표시부(22)의 페이지 또는 목차가 내삽부(12)가 삽입되는 페이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되는 절첩라인(21)에 인접된 해당 표시부(22)가 목차 '[3]'을 나타내고, 내삽부(12)의 외곽측에서 절첩된 절첩라인(21)까지의 폭은 내지(1)의 목차'[3]'에 해당되는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독서자는 자신이 읽다가 덮은 페이지 또는 목차를 상기 표시부(22)를 통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상기 내삽부(12)에는 목차 또는 페이지가 아닌 표지부(11)의 모서리부인 표지측부(13)와 동일한 외관의 인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책(10)은 표지측부(13)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호간에 전후면을 마주본 상태로 배열되어 서고 등에 정리되는데, 이때는 내삽부(12)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표지측부(13)에 대향되는 부위에 배치되어 소비자 또는 독서자가 책이 배열되는 방향에 무관하게 책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내삽부(12)는 표지부(11)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전면과 후면에 모두 배치되는 경우 두 개 이상의 페이지의 책갈피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출고 당시에 전면의 내삽부와 후면의 내삽부가 상호 밀착된 상태로 내지(1) 사이에 삽입되어 책의 측면을 보호하는 일종의 포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이러한 책갈피 기능을 구비한 책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상기 내삽부(12)가 두 번 절첩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즉, 내삽부(12)의 소정 절첩라인(21)에서 내측으로 절첩되어 내지(1) 사이에 삽입되면, 상기 절첩라인(21)보다 내측에 배치되는 즉, 내삽부(12)의 단부측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절첩라인(21)에서 외측으로 절첩되어 내지(1)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삽부(12)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내지(1)는 적층된 상태에서 외관이 대략 평면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독서자가 다시 펼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외부에 노출된 일부 내삽부(12)를 잡고 용이하게 해당 내지(1)의 페이지를 펼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개념에서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도 4 내지 도 6을 기초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한 예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다른 개념에서도 책은 표지부와 상기 표지부에 결합되는 내지(1) 및 상기 표지부의 일부에서 내측으로 절첩된 내삽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내삽부는 표지부의 일부에서 내측으로 절첩되어 내지(1)와 함께 표지부에 함께 결합되는 개념을 제시한다.
도 4의 예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지부(도 1의 11)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표지부(30)에서 내측으로 절첩되는 후면내삽부(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내삽부(31)는 단부측에서 내지(1)와 함께 표지측부(도 1의 13)에서 접착되는 등의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후면표지부(30)는 내지(1)의 뒤쪽 페이지의 소정 부위를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측부에는 자연스럽게 후면표지측부(36)가 형성되어 책(10)의 일측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책(10)의 출고상태에서는 내지(1)가 쉽게 펼칠 수 있는 상태로 서고나 서점 등에 배치되는데 소비자가 내용물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판매량의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내지(1)의 내용을 쉽게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별도의 포장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생산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어려움이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 본 고안의 다른 개념에서는 표지부의 일부가 책의 포장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책(10)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후면표지부(30)는 대략 책의 내지(1) 한페이지 넓이 이상되는 넓이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절첩되어 후면표지측부(36)와 후면내삽부(31)를 형성하며, 상기 후면내삽부(31)의 단부측은 다시 표지부와 접착되어 접착부(32)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소비자가 책(10)을 구매한 이후에 뒤쪽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내삽부(31)의 일부분에는 절단부(33a)가 형성되어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단부(33a)는 상기한 절첩라인(도 1의 21)과 같이 하나 이상의 탭이나 복수의 천공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져 소비자가 용이하기 소정 라인을 따라 절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면내삽부(31)가 삽입되는 내지(1) 사이의 페이지는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제작시에 책의 하이라이트나 중요 목차 부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사점 등에서 소비자가 책의 앞쪽 페이지의 일부를 열람하고 뒤쪽 페이지를 읽을 수 없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책의 내용물에 대한 궁금증이 더욱 배가되어 책의 판매량 증가의 효과로 이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됨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5 및 도 6은 이러한 절단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절단부(33a)가 일렬의 탭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소정의 탭장치로서 압력을 가하는 가공상의 이점을 있으나 소비자 또는 독서자가 이를 용이하게 절취하는 데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절단부(33b)가 탭으로 이루어지되 일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2열의 라인이 하방을 지향하는 쐐기 형상을 이루어 후면내삽부(31)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이러한 경우 소비자가 상기 절단부(33b)의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절단부(33b)를 뜯어냄으로써 용이하게 절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상기 절단부(33c)가 2열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5와 마찬가지로 상기 절단부(33c)가 책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뜯어질 수 있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절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절단부(33c)의 일부에는 관통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소비자 또는 독서자는 상기 관통구(35)에 손가락 등을 집어넣고 들어올리는 과정을 통하여 간단하게 상기 절단부(33c)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절단부들에 의하여 구분되는 후면내삽부(31)와 접착부(32) 사이의 간격은 선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부(32)는 표지측부(도 1의 13)에서 가깝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부(32)는 광고나 안내 또는 목차의 구분을 위하여 일종의 삽지로서 기능하는 경우 소정의 넓이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렇게 후면내삽부(31)가 접착부(32)로부터 분리되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한 일실시예와 같이 책갈피로서 기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상기 후면내삽부(31)는 복수의 절첩라인(도 1의 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표지측부(36)에는 도 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책의 목차나 페이지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 표지측부(도 1의 13)과 마찬가지로 책의 외형을 형성하고 책표지 또는 포장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상기한 후면표지부(30), 후면표지측부(36) 및 후면내삽부(31)는 반드시 책의 후면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표지부(도 1의 11) 전면 및/또는 후면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은 책의 표지부가 책갈피, 보호 및 표장으로서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독서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하고 출판사 또는 제작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책 11...표지부
12...내삽부 13...표지측부
21...절첩라인 22...표시부
30...후면표지부 31...후면내삽부
32...접착부 33...절단부
34...절단라인 35...관통구
36...후면표지측부

Claims (11)

  1. 책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지부와 상기 표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표지측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이 인쇄되는 복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책으로서,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삽부;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지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로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 및
    상기 내삽부의 전면에 배치되고 목차 또는 페이지가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상기 절첩라인까지의 폭은, 상기 절첩라인에 인접한 표시부의 목차 또는 페이지에 해당되는 내지까지의 두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라인은, 일렬의 탭이 가압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지측부와 동일한 인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는, 상기 표지부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고, 각각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과 후면에 형성되는 내삽부는, 각각 상호간에 절첩되고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내지 사이에 함께 삽입되어 일측에서 상기 내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는, 하나의 절첩라인에서 내측으로 절첩되고 상기 하나의 절첩라인보다 단부측에 인접된 다른 절첩라인에서 외측으로 절첩되어 책을 덮은 상태에서 단부측의 일부가 상기 내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7. 책의 외면을 형성하는 표지부와 상기 표지부의 측면에 형성되는 표지측부에 결합되고 내용물이 인쇄되는 복수의 내지를 포함하는 책으로서,
    상기 표지부의 단부측에서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첩되는 내삽부;
    상기 내삽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표지측부에서 상기 내지와 함께 결합되는 접착부; 및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삽부와 상기 접착부를 분리하도록 절단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는, 상기 표지부의 후면에 형성되고 뒤쪽 내지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두 개의 탭 형상의 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절취시 상기 절단부가 상기 내삽부와 상기 접착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에서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지 사이에 삽입되어 책갈피로서 기능될 수 있도록 좌우로 절첩되는 하나 이상의 절첩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삽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책의 일측의 일부를 덮는 후면표지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면표지측부는, 상기 표지측부와 동일한 인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KR2020120004417U 2012-05-25 2012-05-25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KR2004763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17U KR200476387Y1 (ko) 2012-05-25 2012-05-25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417U KR200476387Y1 (ko) 2012-05-25 2012-05-25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962U true KR20130006962U (ko) 2013-12-04
KR200476387Y1 KR200476387Y1 (ko) 2015-02-25

Family

ID=52434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417U KR200476387Y1 (ko) 2012-05-25 2012-05-25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38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4919A (ko)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비상교육 책갈피가 포함된 책 및 그 제책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3175A (ja) 1999-01-12 2000-07-25 Atsuko Ishida
KR200339972Y1 (ko) 2003-08-11 2004-01-28 한재신 책갈피용 책 표지
JP3122058U (ja) * 2006-03-17 2006-06-01 榮輝 黄 ブックカバー
KR20090025850A (ko) * 2007-09-07 2009-03-11 전도영 책날개를 이용한 책커버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387Y1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4294A1 (en) Scrapbooking supplies system
KR200476387Y1 (ko) 기능성 커버를 구비한 책
CN201116032Y (zh) 多功能折叠式广告名片盒
KR20150144928A (ko) 손베임 방지용 종이
KR20140005488U (ko) 복수의 속지가 구비된 노트
KR20110082668A (ko) 책등인식형 링제본 방식의 책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3151530U (ja) 書籍、ファイルバインダ、しおり及びしおりセット
JP3164506U (ja) クリアフォルダー
JP6203694B2 (ja) 包装容器
KR200484307Y1 (ko) 노트 및 노트의 연결끈 결속방법
JP2009292520A (ja) 衛生用紙入りカートン
JP4863063B2 (ja) カレンダー付きメモパッドと表示体付きメモパッド
JP3106810U (ja) 立ち読み防止機能付本
JP3158574U (ja) 冊子
MXPA06013862A (es) Sistema de recordatorio.
JP2009018815A (ja) 記憶媒体収納体及び無線綴じ冊子体
JP2003312165A (ja) 収納部付きブックカバーと収納部付き本
JP4271042B2 (ja) 卓上カレンダー
JP5622503B2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JP4023537B2 (ja) コンテナ付き冊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M296843U (en) Multiplicate packaging paper
KR20170002303U (ko) 노트
KR20100065960A (ko) 책갈피 일체형 책 표지 제조방법
JP2009018824A (ja) 記憶媒体収納体及び無線綴じ冊子体
JP2009012841A (ja) 記憶媒体収納体及び無線綴じ冊子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