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651A -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6651A KR20130006651A KR1020127026412A KR20127026412A KR20130006651A KR 20130006651 A KR20130006651 A KR 20130006651A KR 1020127026412 A KR1020127026412 A KR 1020127026412A KR 20127026412 A KR20127026412 A KR 20127026412A KR 20130006651 A KR20130006651 A KR 201300066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eam
- trailer
- web
- bottom structure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2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trailer type, i.e. a frame specifically constructed for use in a non-powered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54—Load carrying floors for commer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공정수의 저감 및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트랙터(3)에 견인되는 트레일러(1)의 바닥 구조(2)에 있어서, 트레일러(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빔(10)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닥재(30)를 구비하고 있고, 메인 빔(10)과 바닥재(30)를 트레일러(1)의 폭 방향으로 연접시켜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메인 빔(10) 및 바닥재(30)는 알루미늄 합금제 장척재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는 차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 빔에, 복수의 크로스 멤버를 설치하고, 크로스 멤버 상에 목재나 알루미늄제 압출형재 등의 바닥재를 적재ㆍ고정하여 형성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종래의 바닥 구조에서는, 크로스 멤버 상에 바닥재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차체의 중량이 커져, 적재량이 저하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크로스 멤버는 다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크로스 멤버와 바닥재를 고정하는 데 많은 수고와 시간을 필요로 해, 조립 공정수가 많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이나 굽힘이나 비틀림 등의 각종 응력은 메인 빔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메인 빔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 메인 빔의 치수 증대 및 중량화를 초래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며, 조립 공정수의 저감 및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 빔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닥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메인 빔과 상기 바닥재를 상기 트레일러의 폭 방향으로 연접시켜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메인 빔과 바닥재를 연접시킴으로써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크로스 멤버는 필요없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저감되어 차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공정수도 저감된다. 또한, 바닥재와 메인 빔으로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메인 빔에 가해지는 부담을 종래보다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빔 및 상기 바닥재는 알루미늄 합금제 장척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보다 한층의 차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용접이나 마찰 교반 접합 등으로 각 부재를 고정하면 조립 공정수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재는 트러스 형상으로 배치된 경사재가 배치된 중공부를 갖는 중공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경량이고 또한 효율적으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압출형재로 한 것에 의해 정밀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재는 한 쌍의 상기 메인 빔 사이에 병설되는 내측 바닥재와, 상기 메인 빔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바닥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빔 사이의 거리가 적당한 거리로 유지되어, 가일층의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빔은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와 웨브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웨브부는 높이 치수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웨브부의 높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메인 빔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는 각각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의 상면은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메인 빔이 바닥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효율적인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적하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플랜지부는 중공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메인 빔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 플랜지부의 중량화를 억제하면서 상부 플랜지부와 바닥재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와 바닥재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면 이들의 접합을 행하기 쉬워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빔의 일부분에는 상기 웨브부가 복수 병렬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트랙터와의 연결부에서는, 트랙터와 메인 빔의 간섭을 피할 필요가 있으므로, 트레일러의 전후에서 편평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웨브부를 복수 설치하면, 메인 빔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어, 트랙터와 메인 빔의 간섭을 피하면서, 트레일러의 전후에서 편평한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빔은 빔 높이가 다른 복수의 부위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트랙터와의 연결 핀이 설치되는 저빔 높이의 에이프런부와,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위치하는 고빔 높이의 휠 베이스부와, 상기 에이프런부와 상기 휠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여 빔 높이가 상기 휠 베이스부를 향함에 따라서 커지는 네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웨브부가 복수 병렬되어 이루어지는 중합부가, 상기 메인 빔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에이프런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빔 높이가 낮아지는 트랙터와의 연결부에 의해, 메인 빔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네크부는 빔 높이의 증가 비율이 2단계로 변화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방부에 배치되어 증가 비율이 낮은 완경사부와, 후방부에 배치되어 증가 비율이 높은 급경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웨브부에는 상기 메인 빔의 차폭 방향 양측부에서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 웨브부와, 상기 메인 빔의 차폭 방향 중간부에서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 웨브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측방 웨브부의 후단부는 상기 완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의 경계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웨브부의 전단부는 상기 완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의 경계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빔 높이가 낮은 데다가 킹 핀으로부터의 거리가 비교적 길고 큰 모멘트력이 가해지므로 응력이 집중하는 완경사부와 급경사부의 경계부에 있어서도, 메인 빔의 높이를 억제하면서 필요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공 압출형재의 상판부에, 내측 공간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바닥면에 스폿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국소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웨브부의 측면에,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강 리브는 웨브부의 높이가 변화되는 부분에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응력이 집중하는 부분의 강도가 보강 리브에 의해 효율적으로 높아지므로, 웨브부, 상부 플랜지부 및 하부 플랜지부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닥재의 하면에, 오목 홈 또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바닥재에 각종 부재를 설치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공정수의 저감 및 차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상방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하방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바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두께부를 구비한 바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의 보강 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의 보강 리브의 설치 각도와 보강 리브의 하부의 하부 플랜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측면도, (b)는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도 12의 A-A선 단면도, (b)는 B-B선 단면도, (c)는 C-C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프레임 구조의 한 쌍의 빔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의 (a), (b),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프레임 구조의 빔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상방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하방으로부터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바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두께부를 구비한 바닥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의 보강 리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의 보강 리브의 설치 각도와 보강 리브의 하부의 하부 플랜지부에 가해지는 응력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를 도시한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측면도, (b)는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의 메인 빔을 도시한 도면이며, (a)는 도 12의 A-A선 단면도, (b)는 B-B선 단면도, (c)는 C-C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프레임 구조의 한 쌍의 빔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의 (a), (b), (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의 프레임 구조의 빔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1)의 바닥 구조(2)는 트랙터(3)에 견인되는 트레일러(1)의 바닥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1)(도 2 참조)의 바닥 구조(2)는 트레일러(1)의 길이 방향(차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메인 빔(10, 10)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닥재(30, 3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 빔(10, 10)과 바닥재(30, 30…)를, 트레일러(1)의 폭 방향(차폭 방향)으로 연접시켜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하여 바닥 구조(2)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빔(10)이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어 있지만, 메인 빔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1개여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빔(10)은 알루미늄 합금제 장척재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빔(10)은 트레일러(1)의 차 길이 방향을 따라서, 그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메인 빔(10, 10)은 차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빔(10)은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와 웨브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는 메인 빔(10)의 상하 부분을 구성하는 부재이며, 각각 차폭 방향으로 확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는 동일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웨브부(13)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판재 또는 압출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웨브부(13)는 그 상단부가 상부 플랜지부(11)에 용접 고정되고, 하단부가 하부 플랜지부(12)에 용접 고정되고, 메인 빔(10)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부(11)의 하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조(14)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14)의 하단부에는 오목 홈(15)(도 1의 확대부에 표시)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홈(15)에 웨브부(13)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돌조(14)의 하단부와 웨브부(13)가 용접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부(11)는 바닥재(30)와 동일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은 바닥재(3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되도록 구성되어,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상부 플랜지부(11)는 중공부를 갖고 있고, 이 중공부는 보강 리브(16)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보강 리브(16)는 상부 플랜지부(11)의 상판부(11a)와 하판부(1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판부(11a)는 후기하는 바닥재(30)의 상판부(33)와 동등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하판부(11b)는 하부 플랜지부(12)와 동등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랜지부(11)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압출 중공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부(12)의 상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돌조(17)가 형성되어 있다. 돌조(17)의 상단부에는 오목 홈(18)(도 1의 확대부에 표시)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 홈(18)에 웨브부(13)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있다. 돌조(17)의 상단부와 웨브부(13)가 용접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부(12)는 알루미늄 합금제의 압출형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플랜지부(11)의 돌조(14)와, 하부 플랜지부(12)의 돌조(17)는 도면의 번잡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 1과 도 10의 단면도에만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빔(10)은 전후 위치에 따라서 높이 치수(빔 높이)가 변화된다. 본 실시 형태의 메인 빔(10)에서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에 걸쳐서, 에이프런부(20), 네크부(21), 휠 베이스부(22), 서스펜션 마운팅부(23) 및 리어 오버행부(24)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빔(10)의 상부 플랜지부(11)는 전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서 동일 레벨로 형성되어, 상면이 수평한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부 플랜지부(12)는 메인 빔(10)의 높이의 변화에 따라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에이프런부(20)는 트레일러(1)를 트랙터(3)에 연결하기 위한 킹 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에이프런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킹 핀은 트랙터(3)의 차체 후방부(3a)에 설치된 커플러(5)에 고정된다. 에이프런부(20)는 트랙터(3)의 차체 후방부(3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메인 빔(10) 중에서 가장 빔 높이가 낮은 부분으로 되어 있다. 에이프런부(20)는 빔 높이가 일정하고, 하부 플랜지부(12)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네크부(21)는 에이프런부(20)의 후단부로부터 휠 베이스부(22)의 전단부에 걸쳐서, 빔 높이가 서서히 증가하는 부분이다. 네크부(21)의 하부 플랜지부(12)는 후방을 향해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네크부(21)는 빔 높이의 증가 비율이 2단계로 변화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방부에 배치되어 증가 비율이 낮은 완경사부(21a)와, 후방부에 배치되어 증가 비율이 높은 급경사부(21b)를 구비하고 있다. 완경사부(21a)는 트랙터(3)의 차체 후방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에이프런부(20)와 완경사부(21a)의 경계부 및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에서는, 각각 하부 플랜지부(12)가 굴곡되어 있다.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에는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스티프너)(25)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25)는 웨브부(13)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25)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웨브부(13)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보강 리브(25)는 웨브부(13)의 측면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보강 리브(25)는 하단부가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의 하부 플랜지부(12)가 굴곡된 부분에 용접 고정되고, 상단부가 하단부보다도 급경사부(21b)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보강 리브(25)의 경사 각도 θ(도 8 참조)는, 예를 들어 상부 플랜지부(11)의 하면에 대한 법선 L에 대해, 35도로 한다. 또한, 경사 각도 θ는 35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 각도 θ에 대한 해석은 후술한다. 또한, 보강 리브(25)는 웨브부(13)의 양면이 아니라, 편면에만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는 킹 핀으로부터의 거리가 길고 큰 모멘트력이 가해지는 데다가, 웨브부(13)의 빔 높이가 비교적 작으므로 구조적으로 엄격한 부분으로 되지만, 이 부분에 보강 리브(25)를 설치함으로써,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의 효율적인 보강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웨브부(13), 상부 플랜지부(11) 및 하부 플랜지부(12) 등의 다른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휠 베이스부(22)는 네크부(21)와 서스펜션 마운팅부(2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휠 베이스부(22)는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가장 빔 높이가 높은 고빔부(22a)와, 빔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는 경사부(22b)와, 후방의 서스펜션 마운팅부(23) 및 리어 오버행부(24)와 동일한 빔 높이의 중간 빔부(22c)를 구비하고 있다. 네크부(21)와 휠 베이스부(22)의 경계부에는 트랙터(3)로부터 트레일러(1)를 분리했을 때에, 트레일러(1)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다리부인 랜딩 기어(28)가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랜딩 기어(28)는 트랙터(3)로부터 트레일러(1)를 분리했을 때에, 지면까지 신장하여 트레일러(1)의 전방부를 지지하는 다리부로 된다. 급경사부(21b)와 고빔부(22a)의 경계부, 고빔부(22a)와 경사부(22b)의 경계부 및 경사부(22b)와 중간 빔부(22c)의 경계부에서는, 각각 하부 플랜지부(12)가 굴곡되어 있다.
서스펜션 마운팅부(23)는 트레일러(1)의 차륜(26)을 지지하기 위한 마운드부(27)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서스펜션 마운팅부(23)는 중간 빔부(22c)와 동일한 빔 높이를 갖고 있고, 하부 플랜지부(12)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어 오버행부(24)는 서스펜션 마운팅부(23)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부분이다. 리어 오버행부(24)는 서스펜션 마운팅부(23) 및 중간 빔부(22c)와 동일한 빔 높이를 갖고 있고, 하부 플랜지부(12)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메인 빔(10)의 형상 및 각종 명칭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웨브부(13)는 트레일러(1)의 전후를 향함에 따라서, 에이프런부(20)로부터 리어 오버행부(24)까지의 각각의 높이에 따라서, 복수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웨브부(13)의 높이 치수가 변화됨으로써, 메인 빔(10)의 빔 높이가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30)는 한 쌍의 메인 빔(10, 10) 사이와, 차폭 방향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바닥재(30)는 메인 빔(10, 10) 사이에 병설되는 3매의 내측 바닥재(30a, 30a, 30a)와, 메인 빔(10)의 차폭 방향 외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배치되는 외측 바닥재(30b, 30b)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다. 내측 바닥재(30a)는 그 폭 방향에 인접하는 다른 내측 바닥재(30a) 또는 메인 빔(10)의 상부 플랜지부(11)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외측 바닥재(30b)는 한 쌍의 메인 빔(10)의 외측에 각각 1매씩 설치되어 있고, 상부 플랜지부(11)에 용접 고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30)는 중공부(32)를 갖는 중공 압출형재로 이루어진다. 중공부(32)에는 트러스 형상으로 배치된 경사재(31)가 설치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바닥재(30)는 상판부(33)와 하판부(34)와 측판부(3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그 내측의 중공부(32)에, 상판부(33)와 하판부(34)를 연결하는 경사재(31)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재(30)의 폭 방향 양단부는 인접하는 바닥재(30) 또는 메인 빔(10)의 상부 플랜지부(11)에 대해 맞물리도록, 요철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록측의 바닥재(30)[상부 플랜지부(11)의 측부에 위치하는 바닥재(30)]는 그 폭 방향 양단부에 상판부(33)와 하판부(34)가 서로 근접하는 단차부(36)가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 측판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36)는 상판부(33)와 하판부(34)의 상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바닥재(30)의 폭 방향 양단부에는 볼록조(3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확대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36)보다 외측 부분인 볼록조(37)가, 인접하는 바닥재(30)[3매 중, 중앙의 내측 바닥재(30a)] 또는 메인 빔(10)의 상부 플랜지부(11)의 폭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 홈(38) 내에 삽입되어 맞물리게 된다. 단차부(36) 및 오목 홈(38)의 표면(폭 방향 외측 선단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볼록조(37)로부터 떨어질수록, 서로 이격되도록 경사져 있다. 볼록조(37)가 오목 홈(38)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 표면에 V홈(39)이 형성되게 된다. 이 V홈(39)에 용접 금속(40)을 흘려 넣어 용접함으로써, 바닥 표면이 평활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바닥재(30)와 메인 빔(10), 또는 바닥재(30)끼리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접합 시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들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재(31)와 상판부(33)의 접속부의 내측 코너부[경사재(31)와 상판부(33)가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코너부(R1) 및 경사재(31, 31)끼리가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코너부(R2)]는, R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경사재(31)와 하판부(34)의 접속부의 내측 코너부[경사재(31)와 하판부(34)가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코너부(R3) 및 경사재(31, 31)끼리가 교차하는 부분의 내측 코너부(R4)]도, R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를 곡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접속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하여, 바닥재(30)의 강도 향상을 도모하도록 되어 있다. 경사재(31)의 배치 피치 P는 하중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된다.
상판부(33)는 그 판 두께 t가 5 내지 6㎜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판 두께 t가, 3㎜보다 얇으면 사용 시에 있어서 짐이 낙하했을 때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한 오목 등의 변형이나 손상이 일어나기 쉽고, 한편 9㎜보다 두꺼우면 바닥재(30) 자체의 중량이 과대로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바닥재(30)의 형상은 상기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부(33)에, 내측 공간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부(41)를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사용 시에 있어서 짐이 낙하했을 때의 충격 등의 외력에 의한 오목 등의 변형이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메인 빔(10)의 웨브부(13)의 측면에 설치된 보강 리브(25)의 경사 각도 θ의 최적값의 검토에 대해 설명한다. 본 검토에서는, 경사 각도 θ를 0도, 27도, 35도, 45도로 설정하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가장 응력이 집중하는 부분인,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의 하부 플랜지부(12)의 저면에 가해지는 상당 응력을, 유한 요소법에 의한 응력 해석으로 산출하였다.
상기한 해석에 따르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각도 θ는 클수록, 하부 플랜지부(12)에 가해지는 상당 응력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경사 각도 θ가 커질수록, 보강 리브(25)가 길어지므로 메인 빔(10)의 중량이 증가해 버릴 뿐만 아니라, 보강 리브(25)의 설치 작업이 곤란해지므로, 경사 각도 θ는 35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재(30)의 하면에는 차 길이 방향 전체 길이로 연장되는 오목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홈(45)은 중공 압출형재의 성형 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오목 홈(45)은 개구 부분에 립부(46)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볼트의 헤드부 등을 삽입하여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 홈(45)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30)의 하면에 각종 부품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빔(10)의 웨브부(13)와 바닥재(30)의 하면 사이에, 브레이스재(47)를 가설하여 걸치도록 하면, 메인 빔(10)과 바닥재(30)의 설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브레이스재(47)는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스재(47)는 차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스재(47)는 오목 홈(45)에 삽입한 볼트(48)를 관통시키고, 너트(49)로 체결함으로써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브레이스재(47)는 웨브부(13)에 볼트(48), 너트(49)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닥재(30)의 하면에 형성하는 것은, 오목 홈(45)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록조여도 된다. 이 경우에도 볼록조는 차 길이 방향 전체 길이로 연장되어, 중공 압출형재의 성형 시에 동시에 형성된다. 볼록조를 설치함으로써도, 바닥재(30)의 하면에 각종 부품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트레일러(1)의 바닥 구조(2)에 따르면, 메인 빔(10)과 바닥재(30)를 연접시킴으로써, 바닥면 전체에 걸치는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크로스 멤버는 필요없다. 따라서, 부품 개수가 저감되어 차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공정수도 저감된다.
또한, 바닥재(30)와 메인 빔(10)으로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메인 빔(10)에 가해지는 부담을 종래보다도 저감시킬 수 있어, 메인 빔(10)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또한, 바닥면 전체를 면 형상의 구조체로 한 것에 의해, 굽힘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가 커진다. 특히, 도로가 좁은 일본에서 빈도가 많은 급선회 시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메인 빔에 큰 응력이 가해져 있었지만, 이 응력에 바닥면 전체에서 대항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유리해진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빔(10) 및 바닥재(30)를, 알루미늄 합금제 장척재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보다 한층의 차체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용접 작업을 차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 형상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정수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바닥재(30)를, 트러스 형상으로 배치된 경사재(31)가 배치된 중공부(32)를 갖는 중공 압출형재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경량이고 또한 효율적으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압출형재로 한 것에 의해 정밀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빔(10)을,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와 웨브부(13)를 구비하여 구성하고, 웨브부(13)를 부분마다 복수의 높이로 형성한 것에 의해,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는 각각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를, 용이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웨브부(13)의 높이를 바꾸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메인 빔(10)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부 플랜지부(11)의 상면은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으로, 메인 빔(10)이 바닥의 일부를 구성하므로, 효율적인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빔(10) 위에 바닥재(30)를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바닥면의 높이를 바닥재(30)의 두께만큼 낮게 할 수 있으므로, 적하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랜지부(11)를 중공 형상으로 형성한 것에 의해, 메인 빔(10)의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상부 플랜지부(11)의 중량화를 억제하면서 상부 플랜지부(11)와 바닥재(30)의 두께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상부 플랜지부(11)와 바닥재(30)의 두께를 동일하게 한 것에 의해, 이들의 용접 작업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바닥재(30)의 상판부(33)의 판 두께를 하판부(34)의 판 두께보다도 두껍게 한 것에 의해, 힐 강도가 높아져, 바닥면에 스폿 하중이 가해진 경우라도 국소적인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상판부(33)에, 내측 공간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부(41)를 형성함으로써, 힐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 플랜지부의 형상은 본 실시 형태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실로 하여 바닥재(30)보다도 얇게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바닥재를 차폭 방향을 통해 연접하여 그 하면에 상부 플랜지부를 고정해도 되고, 상부 플랜지부의 상면과 바닥재의 상면을 동일한 높이로 정렬시켜 용접해도 되고, 상부 플랜지부의 하면과 바닥재의 하면을 동일한 높이로 정렬시켜 용접해도 된다. 상부 플랜지부의 하면과 바닥재의 하면을 동일한 높이로 정렬시킨 경우에는, 상부 플랜지부의 상방에, 상면이 바닥재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는 높이 조정판을 설치하면 된다.
다음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1)의 바닥 구조(2)의 메인 빔(50)을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메인 빔(50)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와 웨브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웨브부(13)가 1매의 판재로 구성되고, 메인 빔(1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웨브부(13)가 복수 설치되고, 메인 빔(50)의 일부에서 서로 병렬하여 중합부(55)를 형성하고 있다. 중합부(55)는 메인 빔(50)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적어도 에이프런부(20)와 네크부(21)의 경계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부 플랜지부(11)와 하부 플랜지부(12)에는 돌조는 형성되지 않고, 그 표면에 웨브부(13)가 직접 용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웨브부(13)는 메인 빔(50)의 차폭 방향 양측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방 웨브부(51, 51)와, 메인 빔(50)의 차폭 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는 중간 웨브부(5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측방 웨브부(51)는 메인 빔(50)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51a)는 네크부(21)의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 웨브부(52)는 메인 빔(50)의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중간 웨브부(52)의 전단부(52a)는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웨브부(52)의 전단부(52a)로부터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51a)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웨브부(13)가 3매 병렬되어, 중합부(55)[3매 중합부(55a)]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중간 웨브부(52)의 전단부(52a)보다도 전방에 있어서도, 측방 웨브부(51)가 2매 병렬되어 있으므로, 중합부(55)[2매 중합부(55b)]가 형성되어 있다.
에이프런부(20)에서는,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부(13)는 빔 높이가 낮지만, 웨브부(13)는 한 쌍의 측방 웨브부(51, 51)로 구성되어, 중합부(55)[2매 중합부(55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강되어 있다.
또한, 네크부(21)의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 주변에서는,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부(13)는 한 쌍의 측방 웨브부(51, 51)와 중간 웨브부(52)로 구성되어, 중합부(55)[3매 중합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부분은, 킹 핀으로부터의 거리가 비교적 길고 큰 모멘트력이 가해지므로 응력이 집중하지만, 웨브부(13)가 3매 병렬되어 있으므로, 충분한 보강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휠 베이스부(22)에서는, 도 1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부(13)의 빔 높이가 높으므로, 충분한 강도를 갖고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합부(55)에 있어서의 웨브부(13)의 길이 방향 단부면, 즉 중간 웨브부(52)의 전방 단부면 및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면은 오목 형상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단부면은, 측면에서 볼 때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어, 웨브부(13)의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고 있다. 특히, 웨브부(13)의 매수가 변화되는 부분[중간 웨브부(52)의 전단부(52a) 및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51a)]에서 웨브부(13)의 단면적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커서, 피로 파괴 강도의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트레일러(1)의 바닥 구조(2)의 메인 빔(6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메인 빔(60)도, 상기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부 플랜지부(도시하지 않음)와 하부 플랜지부(12)와 웨브부(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메인 빔(10)은 3매의 웨브부(13)[2매의 측방 웨브부(51, 51)와 1매의 중간 웨브부(52)]를 구비하고 있었던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메인 빔(60)은 2매의 웨브부(13)[1매의 측방 웨브부(51)와 1매의 중간 웨브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웨브부(52)는 메인 빔(6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측방 웨브부(51)는 메인 빔(60)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51a)는 네크부(21)의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측방 웨브부(51)는 병설되는 메인 빔(60)측의 한쪽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 빔(60)의 전단부[측방 웨브부(51)의 전단부]로부터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51a)에 걸쳐서, 폭 방향으로 웨브부(13)가 2매 병렬되어, 2매의 웨브부(13)로 이루어지는 중합부(55)가 형성되게 된다.
측방 웨브부(51)의 후단부면은 오목 형상으로 움푹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 단부면은 측면에서 볼 때 곡면 형상을 이루고 있고, 길이 방향을 따라서 웨브부(13)의 단면적이 서서히 변화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웨브부(13)의 빔 높이가 낮은 부분이어도 중합부(55)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빔(60)의 강도를 효율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크부(21)의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웨브부(13)는 2매이다. 이는 상기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적고 보강 효과가 작지만, 에이프런부(20)의 빔 높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나, 트레일러의 전체 길이가 짧을 경우 등의, 상기 경계부에 가해지는 응력이 상기 실시 형태보다 작은 경우에 실시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방 웨브부(51)가 폭 방향의 한쪽에만 설치되고, 병설되는 메인 빔(60)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중간 웨브부(52)의 외측에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각종 부재의 메인 빔(60)으로의 설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인 빔(50, 60)의 형상은 상기 실시 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메인 빔(61)은 도 12의 메인 빔(50)의 중간 웨브부(52)의 전단부가, 네크부(21)에 위치하고 있는 것에 비해, 중간 웨브부(52)가 메인 빔(61)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2의 메인 빔(50)과 동등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에이프런부(20)로부터 네크부(21)의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의 후방까지, 3매의 웨브부(13)로 이루어지는 중합부(55)가 형성되므로, 도 12의 메인 빔(50)보다도 에이프런부(20)의 빔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짐받이의 바닥면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메인 빔(63)은 중간 웨브부(52)가 메인 빔(63)의 후단부로부터 전단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고, 폭 방향 양측의 측방 웨브부(51, 51)가 네크부(21)의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응력이 집중하는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에서는, 3매의 웨브부(13)로 이루어지는 중합부(55)가 형성되어, 강도가 효율적으로 높아진다. 한편, 에이프런부(20)에서는, 웨브부(13)가 중간 웨브부(52)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이프런부(20)의 빔 높이를 비교적 높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 15의 (b) 중, 부호 64는 덮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5의 (c)에 도시하는 메인 빔(65)은 도 15의 (b)의 메인 빔(63)의 측방 웨브부(51)의 전후 단부가,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동시에, 중간 웨브부(52)측으로 굴곡하여 경사부(66)를 형성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전방의 경사부(66)의 선단(전단부)은 중간 웨브부(52)의 측면에 접촉하여 용접되어 있다. 후방의 경사부(66)의 선단(후단부)은 중간 웨브부(52)의 측면에 접촉하여 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응력이 집중하는 완경사부(21a)와 급경사부(21b)의 경계부에서는, 3매의 웨브부(13)로 이루어지는 중합부(55)가 형성되는 동시에, 웨브부(13)가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강도가 보다 한층 효율적으로 높아진다. 한편, 메인 빔(65)에 있어서도, 에이프런부(20)에서는, 웨브부(13)가 중간 웨브부(52)만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에이프런부(20)의 빔 높이를 비교적 높게 확보할 수 있는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메인 빔(10) 및 바닥재(30)는 그 상면이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동일 레벨로 형성되어 평면 형상을 이루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네크부가 비스듬히 형성되고, 휠 베이스 사이부보다 후방부가, 에이프런부보다도 낮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바닥재(30)는 압출형재를 성형한 후에, 굴곡 가공을 행한다.
1 : 트레일러
2 : 바닥 구조
10 : 메인 빔
11 : 상부 플랜지부
12 : 하부 플랜지부
13 : 웨브부
20 : 에이프런부
21 : 네크부
21a : 완경사부
21b : 급경사부
22 : 휠 베이스부
25 : 보강 리브
30 : 바닥재
30a : 내측 판재
30b : 외측 판재
31 : 경사재
32 : 중공부
33 : 상판부
34 : 하판부
50 : 메인 빔
51 : 측방 웨브부
51a : (측방 웨브부의) 후단부
52 : 중간 웨브부
52a : (중간 웨브부의) 전단부
55 : 중합부
2 : 바닥 구조
10 : 메인 빔
11 : 상부 플랜지부
12 : 하부 플랜지부
13 : 웨브부
20 : 에이프런부
21 : 네크부
21a : 완경사부
21b : 급경사부
22 : 휠 베이스부
25 : 보강 리브
30 : 바닥재
30a : 내측 판재
30b : 외측 판재
31 : 경사재
32 : 중공부
33 : 상판부
34 : 하판부
50 : 메인 빔
51 : 측방 웨브부
51a : (측방 웨브부의) 후단부
52 : 중간 웨브부
52a : (중간 웨브부의) 전단부
55 : 중합부
Claims (13)
- 트랙터에 견인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빔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바닥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메인 빔과 상기 바닥재를 상기 트레일러의 폭 방향으로 연접시켜 면 형상의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 및 상기 바닥재는 알루미늄 합금제 장척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트러스 형상으로 배치된 경사재가 설치된 중공부를 갖는 중공 압출형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은 상기 트레일러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되고,
상기 바닥재는 한 쌍의 상기 메인 빔 사이에 병설되는 내측 바닥재와, 상기 메인 빔의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외측 바닥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은 상부 플랜지부와 하부 플랜지부와 웨이브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웨이브부는 높이 치수가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의 상면은 바닥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랜지부는 중공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의 일부분에는 상기 웨이브부가 복수 병렬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빔은 빔 높이가 다른 복수의 부위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고, 트랙터와의 연결 핀이 설치되는 저빔 높이의 에이프런부와, 상기 트랙터의 후방에 위치하는 고빔 높이의 휠 베이스부와, 상기 에이프런부와 상기 휠 베이스부 사이에 위치하여 빔 높이가 상기 휠 베이스부를 향함에 따라서 커지는 네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브부가 복수 병렬되어 이루어지는 중합부가, 상기 메인 빔의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상기 에이프런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는 빔 높이의 증가 비율이 2단계로 변화되어 형성되어 있고, 전방부에 배치되어 증가 비율이 낮은 완경사부와, 후방부에 배치되어 증가 비율이 높은 급경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웨이브부에는 상기 메인 빔의 차폭 방향 양측부에서 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 웨이브부와, 상기 메인 빔의 차폭 방향 중간부에서 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 웨이브부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측방 웨이브부의 후단부는 상기 완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의 경계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중간 웨이브부의 전단부는 상기 완경사부와 상기 급경사부의 경계부보다도 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압출형재의 상판부에, 내공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브부의 측면에 상기 상부 플랜지부와 상기 하부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하면에 오목 홈 또는 볼록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53610 | 2010-03-10 | ||
JP2010053610A JP5457891B2 (ja) | 2010-03-10 | 2010-03-10 | トレーラの床構造 |
PCT/JP2011/053707 WO2011111510A1 (ja) | 2010-03-10 | 2011-02-21 | トレーラの床構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651A true KR20130006651A (ko) | 2013-01-17 |
Family
ID=44563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6412A KR20130006651A (ko) | 2010-03-10 | 2011-02-21 |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457891B2 (ko) |
KR (1) | KR20130006651A (ko) |
CN (1) | CN102791563B (ko) |
WO (1) | WO201111151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9798B1 (ko) * | 2013-05-21 | 2014-05-27 | 조기남 | 트레일러 프레임 보강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966178B2 (ja) * | 2012-03-06 | 2016-08-10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部材の溶接構造並びに貨物運搬用車両および貨物運搬用コンテナ |
JP5970692B2 (ja) | 2012-03-06 | 2016-08-17 | 日本軽金属株式会社 | 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貨物運搬用車両の製造方法および貨物運搬用コンテナの製造方法 |
CN102941883A (zh) * | 2012-10-25 | 2013-02-27 | 湖南晟通科技集团有限公司 | 全铝半挂车用底板 |
SE1351167A1 (sv) | 2013-10-03 | 2015-04-04 | Ssab Technology Ab | Sidobalk, chassi och trailerchassi försett med sådana sido-balkar |
US20220289306A1 (en) * | 2019-10-24 | 2022-09-15 | Zephyros, Inc. | Pultruded and continuous flooring |
US11548567B2 (en) * | 2019-11-04 | 2023-01-10 | Fontaine Commercial Trailer, Inc. | Reinforced trailer chassis and floor |
JP7452464B2 (ja) | 2021-02-24 | 2024-03-1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のフロア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43122B2 (ja) * | 1986-05-12 | 1997-08-20 | アルスイス―ロンザ・ホールディング・リミテッド | 車両の車台 |
JPH0326674U (ko) * | 1989-07-26 | 1991-03-18 | ||
JPH0739727Y2 (ja) * | 1991-01-17 | 1995-09-13 | 日本フルハーフ株式会社 | 低床式セミトレーラのグースネック部の補強構造 |
US5242185A (en) * | 1992-03-09 | 1993-09-07 | Fruehauf Trailer Corporation | Shallow nose platform trailer |
US5351990A (en) * | 1993-04-02 | 1994-10-04 | Great Dane Trailers | Insulating floor forming trailer main beam upper flange |
JP2000108952A (ja) * | 1998-10-07 | 2000-04-18 | Nippon Light Metal Co Ltd | アルミニウム押出形材を使用したトラック用床構造 |
US6174023B1 (en) * | 1999-08-31 | 2001-01-16 | East Manufacturing | Floor reinforcement system for trailer assembly |
JP3626078B2 (ja) * | 2000-07-19 | 2005-03-02 | 川崎重工業株式会社 | 車両の車体弾性振動防止方法および同車体構造 |
US8057143B2 (en) * | 2004-10-05 | 2011-11-15 | Fontaine Trailer Company, Inc. | Trailer load securement system |
CN2873607Y (zh) * | 2005-11-30 | 2007-02-28 | 中集车辆(集团)有限公司 | 一种可拆卸式集装箱运输半挂车 |
JP4680152B2 (ja) * | 2006-08-28 | 2011-05-11 | 近畿車輌株式会社 | 中空形材の減圧または真空構造付加方法 |
DE102007025041B3 (de) * | 2007-05-29 | 2008-06-26 | Schmitz Cargobull Ag | Aus Kröpfungssegment und Achssegment bestehender Langträger für das Chassis eines Sattelaufliegers |
EP2303670A1 (en) * | 2008-06-20 | 2011-04-06 | Alcoa Inc. | Trailer |
-
2010
- 2010-03-10 JP JP2010053610A patent/JP5457891B2/ja active Active
-
2011
- 2011-02-21 KR KR1020127026412A patent/KR20130006651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 2011-02-21 WO PCT/JP2011/053707 patent/WO201111151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2-21 CN CN201180012604.2A patent/CN102791563B/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9798B1 (ko) * | 2013-05-21 | 2014-05-27 | 조기남 | 트레일러 프레임 보강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457891B2 (ja) | 2014-04-02 |
CN102791563A (zh) | 2012-11-21 |
JP2011183991A (ja) | 2011-09-22 |
WO2011111510A1 (ja) | 2011-09-15 |
CN102791563B (zh) | 2016-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06651A (ko) | 트레일러의 바닥 구조 | |
US7380830B2 (en) |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 |
KR100950126B1 (ko) | 차체 구조 | |
US8657369B2 (en) | Diagonal reinforcement for a motor vehicle floor structure | |
US6866333B2 (en) |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 |
US7204547B2 (en) |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 |
EP2143619B1 (en) | Rear vehicle body structure | |
US7942473B2 (en) | Underframe for motor vehicle | |
CN109808773B (zh) | 汽车及其后扭力盒 | |
KR20090058020A (ko) | 차량 전방 구조 | |
US20120119542A1 (en) | Car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 |
US10689035B2 (en) | Side rai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ide rail | |
US20080258498A1 (en) | Truss structure for pickup bed area | |
JP5233721B2 (ja) | 車両のロッカ構造 | |
RU2677758C2 (ru) | Усиление для настила платформы автомобиля типа пикап и платформа автомобиля типа пикап | |
JP4683061B2 (ja) | ルーフラック取付構造及びルーフラック取付方法 | |
JP2011016404A (ja) | 牽引用フックブラ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 |
CN106275109B (zh) | 一种备胎坑及加强结构 | |
US11001302B2 (en) | Rear portion structure of vehicle | |
JP5503583B2 (ja) | トレーラの床構造 | |
EP2019077B1 (en) | Lift chain anchor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 lift chain anchoring device for a forklift truck | |
CN215475359U (zh) | 接头结构、车架和车辆 | |
CN217515240U (zh) | 一种电动汽车前围横梁 | |
CN115140184B (zh) | 车身后部结构 | |
KR102703585B1 (ko) | 차체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3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121 Effective date: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