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418U -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 Google Patents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418U
KR20130006418U KR2020120003489U KR20120003489U KR20130006418U KR 20130006418 U KR20130006418 U KR 20130006418U KR 2020120003489 U KR2020120003489 U KR 2020120003489U KR 20120003489 U KR20120003489 U KR 20120003489U KR 20130006418 U KR20130006418 U KR 201300064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up
container
detachable
w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연
Original Assignee
동아정밀공업(주)
김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정밀공업(주), 김두연 filed Critical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2020120003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6418U/ko
Publication of KR201300064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41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55Details related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liquid containing part and the suppor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2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 B22F3/225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for producing castings from a slip by injection m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the shaping of preshaped articles, e.g. by bending
    • B28B11/008Blow moulding, e.g. with or without the use of a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술, 음료 등을 담는 용기와 이 용기를 지지하는 분리 가능한 받침대로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받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용기에 결합시키는 컵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및/또는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블로우 성형 및/또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인, 음료 등을 부어 담는 용기와 이 용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단일의 받침대로 구성함으로써 분리 및/또는 조립이 간편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불량 발생율이 적은 동시에 고품질의 컵을 대량생산할 수 있도록 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Cup with a detachable support}
본 고안은 컵과 받침대를 일체형과 같이 사용하면서 사용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술, 음료 등을 담는 용기와 이 용기를 지지하는 분리가능한 받침대로 구성하되, 필요에 따라 받침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거나 용기에 결합시키는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페트로 컵을 형성하여 받침대와 결합시켜 사용함으로 통상적인 와인 글라스 잔과 같이 사용함과 동시에 필요시 컵과 받침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및/또는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블로우 성형 및/또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하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은 포도를 자연적으로 발인시켜 생성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생성된 와인은 각종 미네랄 및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항산화제를 포함하고 있어 심장질환 및 노인의 퇴행성 질환 등에 치료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와 같이 항산화제 효과와 생활 수준의 발달로 인해 와인 소비량이 증가 되고, 그 와인 소비량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와인잔이 개발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지만 와인잔의 크기를 크게 변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여 와인으로부터 발생 되는 고유의 향과 맛을 의미를 하면서 소비자가 와인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와인잔은 와인을 따라 담을 수 있는 수용홈(미도시)이 구비된 수용부(미도시)를 상측은 좁고 하측은 넓은 구 형태로 형성하고, 그 수용부의 하단에는 일체형으로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수용부의 내부에 담겨진 와인을 사람들이 손으로 잡고 마실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받침판(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받침대에 의해 와인잔이 지면으로부터 세워지게 되는 것이다.
즉, 와인잔은 일체형으로 측 단면이 '오' 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와인잔의 손잡이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용부에 담긴 와인은 마실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와인잔의 문제점은 수용부와 손잡이가 받침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서, 상기 와인잔의 크기로 인하여 휴대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와인잔의 수용부(100)는 상단은 두께는 얇고 하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운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와인잔을 휴대하는 도중에 충격에 의해 와인잔의 상단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통상의 와인잔은 글라스로 이루어져 제조시 유리를 녹여 파이프로 불어 잔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를 늘려 일체형의 받침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이 유리재질을 이용하여 잔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사출이나 압출 방식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사람이 유리액을 파이프에 묻혀 불어서 성형하는 방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숙련된 자만이 유리장을 제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394511호(고안의 명칭: 크리스탈 와인잔의 결합구조)를 들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도면이 도 1에 도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인잔(11)은 크게 받침대(13)와, 상기 받침대의 나사봉(13a)의 상부에 안착되는 손잡이(14)와,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고 일단부를 통해 상기 나사봉(13a)에 결합되는 몸체연결수단(15)과, 상기 몸체연결수단의 상부에 착탈되는 와인수납용 몸체(12)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받침대(13)는 스테인레스(stainless) 재질로서 저면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고, 내면 중앙부에 높이의 나사봉(13a)이 고정 설치된다.
그런데, 위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394522호의 경우 와인수납용 몸체(12)와 받침대(13) 간의 분리 및 조립이 복잡한 구조가 되므로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받침대(13)가 스테인레스 재질이므로 자체 무게가 있어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부품 갯수가 세분화되어 있어 이중 어느 부품이라도 손실되면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0394522호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으로서,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한 구조로서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불량 발생율이 적은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휴대하기 용이하게 무게가 적게 나가는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을 위한 부품 갯수를 적게하여 일부 부품의 파손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컵은 페트(PET)를 이용하여 블로우 방식으로 컵을 생산하고, 컵받침대는 통상적인 사출방식으로 성형하여 서로 결합하면 컵과 받침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통상의 유리 와인잔 및 음료 잔과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위에서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시에는 컵과 받침대를 일체형의 컵으로 사용하되, 용기와 받침대가 분리 및/또는 조립 가능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을 제공한다.
이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은, 상단이 개방되어 성형되는 용기(210); 및 상기 용기(210)의 하단부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받침대 상판(221)과;
상기 받침대 상판(221)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손잡이(223)와;
상기 받침대 손잡이(223)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받침대 밑판(225)이 일체로 성형되는 받침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기(21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수지계열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 PET)이고, 상기 받침대(220)의 재질은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210) 및 받침대(220)는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210)의 하단에는 체결을 위한 컵 하단 만곡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상판(221)에는 텐션을 갖도록 상기 컵 하단 만곡부(211)가 삽입되는 만곡부 삽입홈(2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와인, 음료 등을 부어 담는 용기와 이 용기로부터 분리 가능한 단일의 받침대로 구성함으로써 분리 및/또는 조립이 간편하여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불량 발생율이 적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서는 용기 및/또는 받침대를 선택적으로 블로우 성형 및/또는 사출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컵의 전체적인 무게가 감소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단일의 받침대에 용기를 착탈하는 방식이므로 컵 조립을 위한 부품 갯수가 2개에 불과하므로 일부 부품의 파손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컵을 투명 페트로 형성하고 받침대를 별도의 사출 제작함으로서 생산성이 향상되고, 더불어 다양한 컬러를 갖는 글라스 형태의 와인잔 또는 음료 잔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인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해 조립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Y-Y'축으로 절개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기(도 2의 210)를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5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라 프리폼(600)을 성형틀(500)에 넣고 블로윙 작업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라 완성된 용기(210)를 성형틀(5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은, 상단이 개방되어 성형되는 용기(210); 및 상기 용기(210)를 착탈하는 받침대(220)로 구성된다.
용기(210)는 블로우 성형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용기(210)의 재질로는 폴리에틸렌 수지계열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가 이용된다. 블로우 성형 방식으로 이용하여 제조되는 용기(210)의 제조 과정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으면,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는 섬유, 필름, 음료용기로서의 기능이 뛰어나며, 최근 전도성 필름 등 전기전자분야와 청량음료의 용기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을 재질로 하는 다른 플라스틱 용기에 비하여 투명성이 우수하며, 가스 투과도가 매우 낮아서 음료에 첨부되는 가스가 그대로 보존되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의 강도 및 강성은 일반 플라스틱 중에서 가장 크며, 열변형 온도는 일반 페트의 경우 60℃에서 변형이 발생되고, 내열페트의 경우 110℃에서 변형이 발생됨으로 유리 대체용의 와인잔, 음료잔으로는 가장 적합하다 할 것이다.
물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이외에도 합성수지 중 열경화성 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멜라민, 요소, 페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성형은 사출 성형 방식이 이용된다.
용기(210)의 형상은 분리 및 조립이 쉽도록 하단에 체결을 위한 컵 하단 만곡부(211)가 형성된다. 물론, 컵 하단 만곡부(211)가 받침대(220)와 분리 및/또는 조립이 잘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가장자리 돌기처럼 돌출된다. 또한, 용기(210) 밑면은 가장 자리서부터 위쪽으로 경사지게 올라가는 형상이 된다.
받침대(220)는 상기 용기(210)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받침대 상판(221)과 상기 받침대 상판(221)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손잡이(223)와 상기 받침대 손잡이(223)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받침대 밑판(225)이 일체로 성형된다.
특히, 받침대 상판(221)에는 내측으로 컵 하단 만곡부(211)가 삽입되어 끼어지게 하는 만곡부 삽입홈(211-1)이 형성된다.
받침대(220)의 손잡이(223)는 관 형상으로 가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이 손잡이(223)를 잡기 쉬운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컵(200)을 입에 갖다 대고 와인 등을 음용(飮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의 글라스 와인잔은 파손이 쉽고, 관리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 공정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페트(PET)를 이용하여 글라스 와인잔과 동 일한 형상을 갖는 잔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도 2에 의해 조립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의 정면도이다. 용기(210)와 받침대(220)를 조립하면 하나의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이 완성된다.
도 4는 도 3에서 Y-Y'축으로 절개한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20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용기(210)가 받침대(220)의 상판(221)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용기(도 2의 210)를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500)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성형틀(500)의 내측에는 용기(210)를 성형하기 위한 용기 형상 공간(510)이 구성된다.
도 6은 도 5에 따라 프리폼(600)을 성형틀(500)에 넣고 블로어 성형 작업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프리폼(Preform)(600)을 성형틀(500)에 넣고 연신봉(610) 및 공기 주입관(630)을 이용하여 성형한다.
이 프리폼(600)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를 재료로 하여로 얻어진다. 이러한 프리폼(600)을 블로우 성형 기법에 의해 성형하게 되면 용기(도 2의 210)가 만들어진다.
블로우 성형 기법이란 완제품 성형 공간을 갖춘 블로우 성형용 금형에 예비 성형품(다른 용어로 "프리폼" 이라고도 함)을 안착시킨 후, 예비 성형품의 내부에 열기체를 소정압력으로 주입하여, 예비 성형품을 가열하고 팽창시켜 블로우 성형 금형에 구비된 형태로 가공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러한 블로우 성형은 재질의 특성에 따라서 특정한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행하게 되는데,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를 재료로 제작하는 경우에 주입되는 프리폼 성형의 온도는 60∼110℃ 정도로 하고, 블로우 압력은 20 ∼ 40 bar 사이가 된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PET재질이 유동성을 가지며, 상기의 압력 범위에서 재질의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온도와 압력의 범위는 예비성형품의 재질이나 물성에 따라 달라진다. 블로우 성형 기법에 대하여는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따라 완성된 용기(210)를 성형틀(5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블로우 성형 기법에 의해 용기(210)가 제작 완료되면, 성형틀(500)로부터 용기(210)를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유리 와인잔을 페트로 대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어 대량생산할 수 있는 이점과 취급 운반시 파손이 발생되지 않아 매우 편리한 점이 있으며, 특히, 컵은 기존의 유리잔과 받침대를 투명 또는 은은한 색의 컬러로다양하게 형성하여 담겨지는 내용물의 색깔에 따라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소비자는 다양한 색상의 본 고안의 컵을 구입하여 상부에 결합되는 컵과 받침대를 다른 잔의 컵과 받침대가 서로 교차 되도록 바꿔 결합하여 잔을 사용하면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싫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200: 컵
210: 용기
211: 컵 하단 만곡부
213: 컵 밑변부
220: 받침대
221: 받침대 상판
221-1: 만곡부 삽입홈
223: 받침대 손잡이
225: 받침대 하판
500: 성형틀
510: 성형 형성 공간
600: 프리폼(Preform)
610: 연신봉
630: 공기 주입관

Claims (4)

  1. 상단이 개방되어 성형되는 용기(210); 및
    상기 용기(210)가 삽입 또는 분리되는 받침대 상판(221)과;
    상기 받침대 상판(221)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관 형상으로 연장되는 받침대 손잡이(223)와;
    상기 받침대 손잡이(223)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받침대 밑판(225)이 일체로 성형되는 받침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1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 수지계열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이고, 상기 받침대(220)의 재질은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10) 및 받침대(220)는 블로우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방식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10)의 하단에는 체결을 위한 컵 하단 만곡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 상판(221)에는 텐션(tension)을 갖도록 상기 컵 하단 만곡부(211)가 삽입되는 만곡부 삽입홈(22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KR2020120003489U 2012-04-27 2012-04-27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KR2013000641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9U KR20130006418U (ko) 2012-04-27 2012-04-27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489U KR20130006418U (ko) 2012-04-27 2012-04-27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418U true KR20130006418U (ko) 2013-11-06

Family

ID=5243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489U KR20130006418U (ko) 2012-04-27 2012-04-27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6418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8442A1 (fr) * 2019-04-02 2020-10-07 JP Grosfilley Procédé de fabrication de verre à pied en plastique
KR20200002540U (ko) * 2019-05-14 2020-11-24 배창경 컵 받침대
JP2022171359A (ja) * 2021-04-30 2022-11-11 株式会社レーベン 飲食容器の製造方法及び飲食容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18442A1 (fr) * 2019-04-02 2020-10-07 JP Grosfilley Procédé de fabrication de verre à pied en plastique
FR3094661A1 (fr) * 2019-04-02 2020-10-09 Jp Grosfilley Procédé de fabrication de verre à pied en plastique
KR20200002540U (ko) * 2019-05-14 2020-11-24 배창경 컵 받침대
JP2022171359A (ja) * 2021-04-30 2022-11-11 株式会社レーベン 飲食容器の製造方法及び飲食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244B1 (en) Polycarbonate double walled liquid holding vessel
JP2013533174A (ja) 液体容器
CN101583537B (zh) 具有改进形状的饮料容器
CN1302273A (zh) 用于单体饮料容器的塞子
US9144933B2 (en) Receptacle for attaching to a product having a curved wall
US20100000963A1 (en) Plastic bottle
US10196190B2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can or bottle
WO2018061379A1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130006418U (ko) 받침대가 분리 가능한 컵
CN110087518A (zh) 双壁容器的改进
US20110042374A1 (en) Drink cup
JP2017088209A (ja)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ES2883415T3 (es) Envase para bebida alcohólica presurizada
JP2017197258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充填体、及び充填体の製造方法
CN208325976U (zh) 一种竹简型酒类包装盒
CN202879998U (zh) 一种上下定位式酒盒
KR20090008339U (ko) 주름진 플라스틱음료수병
JP2005239203A (ja) ボトル型容器
KR20140002943U (ko)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TW293797B (ko)
CN205998324U (zh) 新型包装盒
JP6944228B1 (ja) 飲食容器の製造方法及び飲食容器
JP2013159352A (ja) ワインボトル
KR100493424B1 (ko) 투명 합성수지 이중 용기 제조 방법 및 그 용기
KR200263944Y1 (ko) 식음료 용기의 수납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