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943U -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943U
KR20140002943U KR2020120010248U KR20120010248U KR20140002943U KR 20140002943 U KR20140002943 U KR 20140002943U KR 2020120010248 U KR2020120010248 U KR 2020120010248U KR 20120010248 U KR20120010248 U KR 20120010248U KR 20140002943 U KR20140002943 U KR 201400029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beverage
container
mix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아이케이
Priority to KR2020120010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943U/ko
Publication of KR201400029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제1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납부의 입구에는 제1조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용기본체; 내부에는 상기 제1수납부와 통하는 제2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조립부와 암,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조립부가 상기 제2수납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용기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은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쪽에 수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에 내부에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색다른 맛의 음료를 간편하게 만들어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음료 제조 회사에서는 이러한 컵 보관용기를 판촉물로 자사 음료를 구입하는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음료제품 광고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Beverage product promotion, and drinks mixed with portable cup containers}
본 고안은 휴대용 컵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면서, 그 외관이 음료수 병 제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시에는 내부에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색다른 맛의 음료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ㅇ여 휴대용 컵에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나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컵은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컵이나 재활용 컵이 있다.
이러한 컵은 휴대 또는 보관시 다수의 컵을 서로 포개어 휴대하고 다니도록 되어 있는데, 특히 컵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재사용을 위해 한번 사용하고 버리지 않고 깨끗히 세척하여 별도의 휴대가 가능한 컵 보관용기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품은 특히 캠핑용품으로 판매되거나 대표적인 판촉물로 애용되어 판매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종래의 컵 보관 용기는 단순히 다수의 플라스틱 컵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기능 외에는 특별한 다른 기능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특히, 최근 들어 음료수를 즐겨 먹는 사용자들은 제품 자체의 음료를 마시기도 하지만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마시는 것을 즐기고 있는 추세인데, 이에 따라 최근에는 예를 들어 소주와 맥주를 즉석에서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일명"소맥잔" (소주와 맥주의 혼합비율이 표시된 유리잔)이 출시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종래의 컵 보관용기는 이와 같이 혼합음료를 만들어 마실 수 있는 혼합비율을 표시하거나 쉐이커 기능을 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즉석 혼합음료를 만들어 마시기 원하는 사용자들은 야외에 놀러 가거나 캠핑을 하는 과정에서는 어쩔 수 없이 종이컵 또는 야외용 컵을 이용하여 자신들만의 혼합하는 기준에 의존하여 혼합음료를 만들어 마셔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내재 되어 있었다.
또한, 음료 제조 회사에서는 컵 보관용기를 자사의 음료 제품 예를 들어 탄산음료, 소주와 맥주, 양부와 같은 알콜 음료 또는 생과일 쥬스 음료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를 홍보하기 위한 판촉물 행사 및 기획상품으로서 컵 보관용기를 제품 광고를 하는데 지속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야외에서 휴대 및 사용이 용이한 종래의 컵 보관용기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컵을 수납하여 보관하고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기능 이외에 별다른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자사의 음료 제품을 제대로 홍보할 만한 색다른 형태의 디자인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즉석 혼합음료를 즐겨 마시는 사용자들은 특히 야외에서 혼합음료를 편리하게 혼합하여 마실 수 있도록 이루어진 컵 보관용기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즉석혼합음료를 즐겨 마시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자사 음료 제품을 확실하게 홍보하고, 오랜 기간 동안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판촉물로서 자사의 음료수 제품을 상징하도록 이루어지면서 그에 따른 컵과 이를 수납하는 컵 보관용기를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446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고 제20-1996-0010146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닐 수 있으면서, 그 외관이 음료수 병 제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용시에는 내부에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색다른 맛의 음료를 간편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보관된 휴대용 컵에 즉석으로 만든 혼합 음료을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은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제1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납부의 입구에는 제1조립부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용기본체; 내부에는 상기 제1수납부와 통하는 제2수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조립부와 암,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조립부가 상기 제2수납부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용기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은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쪽에 수납되도록 이루어진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다.
상기 제1용기본체와 제2용기본체는 서로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에 담겨겨 혼합되는 2가지 이상의 음료의 혼합 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표시부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사이에는 상기 제1조립부와 제2조립부에 안착 고정되어 음료를 서로 혼합하기 위한 쉐이커부재가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쪽 용기본체의 폐쇄된 바닥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는 나사조립식 마감캡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본체와 제2용기본체는 끈 또는 밴드형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분실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용기본체는 그 입구로부터 상기 제1용기본체의 제1수납부 바닥 가까이 이르는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수납부의 음료 혼합 공간이 확장되게 이루어지고, 그 외측면은 제1용기본체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겹쳐지게 끼워져서 기밀 구조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컵이 수납되고, 다른 쪽에는 음료를 음료수병에 옮겨 담기 위한 깔때기가 더 수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쪽에는 그 외관 형상이 입구로부터 폐쇄된 부위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쪽 용기본체의 외면 전체에는 음료 광고표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용기본체는 일측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컵이 수납되고, 그 외면 전체에는 상기 광고인쇄물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용기본체의 하부는 제1용기본체와 동일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음료수 병(甁) 목 부위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용기본체의 폐쇄부에는 음료를 따르기 위한 배출구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음료제품 홍보를 위한 병뚜껑 모양의 장식캡이 더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눈금표시부는 농도가 진한 액상음료의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제1혼합비표시부와, 농도가 진한 과립이나 또는 분말의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제2혼합비표시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혼합비표시부 및 제2혼합비표시부의 연장된 표시 선상에는 농도가 낮은 음료의 혼합량을 제한하는 한계표시선이 각각 표시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쉐이커부재는 외측단부에 상기 제1조립부 및 제2조립부에 장착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복수의 믹싱리브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그 사이에 음료통과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쉐이커부재는 일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안착홈부를 형성하여 그 바닥에 상기 믹싱리브 및 음료통과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는 제1용기본체 또는 제2용기본체 중 어느 한쪽의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상기 컵의 최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지지하여 상기 컵이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에 의하면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수납하여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에 내부에 서로 다른 농도를 갖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들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색다른 맛의 음료를 간편하게 만들어 마실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음료 제조 회사에서는 이러한 컵 보관용기를 판촉물로 자사 음료를 구입하는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음료제품 광고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도 3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쉐이커 기능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로 도시한 도면에서 일부 동일 명칭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쉐이커 기능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100)는 그 기본 구성으로서,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로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 음료를 혼합할 수 있는 비율을 안내하며, 두 가지 이상의 음료를 혼합하기 용이한 쉐이커부재(40)의 특징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 외관 형상은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가 판촉물로 사용될 경우 특정 음료 제조 회사의 병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음료 제조사로부터 생산되는 음료를 혼합하여 즐기는 것은 탄산음료와 알콜음료를 혼합하여 마시는 것이 있으며, 알콜음료 중에서는 대표적으로 소주와 맥주 그리고 맥주와 양주와 같이 알콜 도수가 높은 음료와 낮은 름료를 혼합하여 주로 마시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컵 보관용기(100)는 내부에 컵(C)을 수납하여 보관 또는 휴대하고 있다가 야외나 캠핑장 등에서는 컵(C)을 꺼내어 소주나 맥주 기타 탄산 음료 등을 마시는 용도로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컵 보관용기(100)는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음료제품 홍보를 위해 그 외형이 음료 제조사가 생산하는 음료수 병 예를 들면 소주 병이나 맥주 병을 동일한 크기로 형상화 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컵 보관용기(100)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컵 보관용기(100)가 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 재질의 구성에 따라 음료를 혼합할 때 그 혼합 비율을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혼합 한 음료를 믹싱하기 용이한 쉐이커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부가적인 구성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1용기본체(10)는 음료수 병을 형상화한 구성이므로, 일측면이 폐쇄되고 타측면이 개방되어 입구를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제1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1수납부(11)의 입구에는 제1조립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용기본체(20)는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같이 내부에는 상기 제1수납부(11)와 통하는 제2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조립부(12)와 암,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조립부(22)가 상기 제2수납부(21)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으며,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조립부(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조립부(22)의 외측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제1조립부(12)의 내주면에는 끼움홈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조립부(22)의 외측단부에는 복수으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는 서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끼움돌기와 끼움홈이 서로 조립됨으로서 인위적으로 잡아당겨 분리하기 전에는 스스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참고적으로 후술된 바와 같이 컵 보관 용기가 음료수 병과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1용기본체(10) 및 제2용기본체(20)를 한손으로 함께 파지한 상태에서 음료를 혼합하기 위해 상,하로 흔들거나 수평으로 흔들어 회오리를 일으키도록 혼합할 수 있다.
다른 혼합 방법으로서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에서 병의 목부분을 잡고서 돌리면서 음료를 혼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조립부(12)와 제2조립부(22)는 이와 같이 음료를 혼합하는 과정에서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어 흐르지 않도록 제1조립부(12)와 제2조립부(22)는 기밀구조를 유지하기 위한 끼움공차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패팅등을 제1조립부(12)와 제2조립부(22)의 접촉면에 개재하여 그 기밀구조를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된 바와 같이 음료 광고표시부(80)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불투명재질로 이루질 수 있으며, 판촉물의 단가에 따라 일반 투명 ABS재질 또는 투명PC(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컵(C)은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에 수납되어 보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컵(C)은 유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소주잔 또는 맥주잔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타 양주잔 또는 음료수 병의 디자인에 대응되어 음료 제조사를 상징하는 형상을 갖는 컵(C)이 수납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일회용 플라스틱 컵(C)들도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 보관용기(100)는 내부에 수납되는 컵(C)의 모양 및 포개어지는 수량에 따라 그 외관 형상 및 디자인이 여러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밖에 없으며, 본 고안에서도 컵 보관용기(100)의 모양이나 디자인을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컵(C)은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에 수납되며, 후술된 바와 같이 제1용기본체(20)에 컵(C)이 수납된 상태에서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되게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음료제품 홍보를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는 서로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통상의 음료수 병 모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대부분 하부가 안정적으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는 음료를 따르기 위한 직경이 가늘고 긴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의 외관은 홍보용으로 적용되는 경우를 감안하여 음료수 병과 같이 비대칭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처음처럼"이란 소주병 형상으로 컵 보관용기(100)를 그대로 만들게 되면, 소주잔 형상의 컵(C)을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관용기(100)의 하부에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에 담겨겨 혼합되는 2가지 이상의 음료의 혼합 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표시부(3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눈금표시부(30)는 후술된 바와 같이 음료수 병 모양으로 이루어진 경우 원통형상의 제1용기본체(10)에 형성될 수 있지만 병의 목 부위에 아래 방향으로 혼합비율이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료를 혼합할 때 농도가 짙은 1차 음료를 따를 때 병목을 잡고 따르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2차 음료를 혼합한 후에는 병 목 부위를 잡고 용이하게 돌려 가면서 혼합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 다른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표시부(30)는 용기본체의 표면으로부터 인입되게 형성된 부착홈(34)이 형성되어 이 부착홈에 눈금표시부(30)가 인쇄필름의 형태로 이루어져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의 수단으로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료 제조사 마다 음료의 성분과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음료 제품에 대응되는 혼합비율이 인쇄된 눈금표시부(30)를 제작하여 판촉 수량에 맞게 별도로 부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눈금표시부(30)는 본 고안에 따른 컵 보관용기(100)를 이용하여 두 가지 음료를 용이하게 혼합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눈금표시부(30)는 먼저 제1용기본체(10)에 음료의 량을 나중에 혼합할 음료의 량의 비율을 사용자에게 그 혼합 기준을 제시해 주기 위한 눈금표시부(30)가 더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소맥"을 마시는 경우 알콜 도수가 높은 소주와 맥주의 혼합비율이 컵 보관용기(100)에 표시되어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소주를 먼저 따르든 맥주를 먼저 따르든 그 비율 기준을 감안하여 혼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눈금표시부(30)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눈금표시부(30)는 농도가 진한 액상음료의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제1혼합비표시부(31)와, 농도가 진한 과립이나 또는 분말의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제2혼합비표시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혼합비표시부(31) 및 제2혼합비표시부(32)의 연장된 표시 선상에는 농도가 낮은 음료의 혼합량을 제한하는 한계표시선(33)이 각각 표시되어 이루어진 것이 또 하나의 부가적인 구성요소이다.
즉, 혼합비율의 기준을 제시하는 눈금표시부(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기 기준과 혼합된 음료의 맛이나 농도를 균일하게 맞출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제1혼합비표시부(31)는 알콜이나 탄산음료 또는 과일이나 농작물의 원액 종류의 음료를 혼합할 비율 눈금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제2혼합비표시부(32)는 과립형태 또는 분말형태로 제조된 음료 재료를 적절한 비율로 투입하고 물이나 기타 음료를 혼합하기 위한 기준을 사용자에게 제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한계표시선(33)은 1차로 혼합할 음료를 컵 보관용기(100)에 투입한 후 2차로 혼합할 음료를 투입할 때 혼합비율에 맞는 최대의 투입량을 제한하기 위한 안내표시이다.
따라서, 2차로 투입하는 음료를 한계표시선(33)보다 더 많이 넣거나 모자라게 투입하여 혼합하게 되면 혼합된 음료의 혼합된 정도에 따라 맛이 재각기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혼합비율에 대응하여 제한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맛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사이에는 쉐이커부재(4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쉐이커부재(40)는 주지된 바와 같이 혼합할 음료를 적정 혼합 비율에 맞게 혼합하여 흔들어만 주면 정확한 맛의 혼합음료를 누구나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쉐이커부재(40)는 본 고안에 의하면 원통형의 컵 보관용기(100)의 내주면 형상에 맞게 원형의 플랜지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41)의 내측으로 복수의 믹싱리브(42)가 방사형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41) 일측에는 상기 제1용기본체(10)의 제1조립부(12)와 조립되는 제1연결부(4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제2용기본체(20)와 조립되는 제2연결부(4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쉐이커부재(40)를 제1용기본체(10) 및 제2용기본체(20)의 제1조립부(12)와 제2조립부(22) 사이에 조립하여 고정하여 사용하다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쉐이커부재(40)를 분리하여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가 직접적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쉐이커부재(40)를 빼낸 뒤에 더 많은 수의 컵(C)이나 기타 다른 소품을 컵 보관용기(100)에 수납하기 위한 경우에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가 조립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믹싱리브(42) 사이에는 음료통과홀(43)을 형성하므로서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를 서로 조립한 상태에서 흔들어 주게 되면 쉐이커부재(40)의 믹싱리브(42)에 음료가 걸림과 동시에 음료통과홀(43)을 통고하면서 뒤 썩임 작용을 촉진시켜 주게 된다.
특히, 쉐이커부재(40)는 액상의 혼합음료인 경우 점성이 높아 끈적임이 있는 원액이나 꿀과 같은 혼합음료를 믹싱할 때 탁월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분말이나 과립형태의 혼합음료인 경우에도 그 입자가 2차로 혼합되는 음료와 잘 섞이지 않는 경우에 쉐이커부재(40)에 의하여 잘 혼합될 수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쉐이커부재(40)는 외측의 플랜지부(41)가 상기 제1조립부(12) 및 제2조립부(22)에 장착되어 음료 혼합 기능 즉, 쉐이커 기능을 발휘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며, 특히 야외 또는 캠핑 장소에서는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칵테일과 같은 혼합음료를 간편하게 만들어 마실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쉐이커부재(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다수의 컵(C)의 최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안착홈부(4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내측 바닥에는 상기한 믹싱리브(42) 및 음료통과홀(4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적층된 다수의 컵(C)이 제1용기본체(10)에 수납되고, 그 상단부분이 안착홈부(44)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납되므로써 컵 보관용기(100)의 보관성이 매우 양호해지는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착홈부(44)는 제1용기본체(10) 에 수납되는 적층되어 있는 컵(C)의 최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컵(C)이 제1용기본체(10)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 용기본체의 폐쇄된 바닥에는 개구부(5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51)에는 나사조립식 마감캡(50)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용기본체(10)의 폐쇄된 바닥부위에 개구부(5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51)에 마감캡(50)이 나사 조립식으로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마감캡(50)을 분리하여 혼합음료를 넣거나 쉐이커 부재에 의해 혼합된 음료를 컵(C)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의 제1조립부(12) 및 제2조립부(22) 암,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조립부사이에 일반적인 패킹이나 실링 등을 추가로 장착하여 조립하면 기밀 구조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내부에 혼합된 음료를 장시간 동안 보관하거나 시원하게 냉각시켜 마실 수 있는 일반 음료 보관용기(100)로도 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는 끈 또는 밴드형상의 연결부재(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분실 방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야외에서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를 사용하다보면 컵(C)을 분실할 수 있지만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하나를 분실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쉐이커 기능을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오랜기간 동안 판촉용의 홍보 기능을 하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오랜 기간 컵 보관용기(10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경우 사출 금형상에서 제조 상의 단가가 저렴해지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경제적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를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부재가 분리형인 각각의 단부는 제1용기본체(10) 및 제2용기본체(20)에 일체형의 걸고리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부재의 양단부가 이 걸고리부에 고리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컵 보관용기(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용기본체(20)는 그 입구로부터 상기 제1용기본체(10)의 제1수납부(11) 바닥 가까이에 이르는 연장부(2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수납부(21)의 음료 혼합 공간이 확장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장부(24) 외측면은 제2본체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단차지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연장부(24)는 제1용기본체(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겹쳐지게 끼워지면서 연장되어 서로 겹쳐지는 구간에 의해 내부의 혼합 된 음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기밀 구조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조립부(12)와 제2조립부(22)의 조립 방식을 나사식으로 할 수 있겠지만 컵 보관용기(100)를 판촉용으로서 저렴한 단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초기 에 사출 금형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나사식 구조는 사출 금형에 있어서 사출 불량을 야기할 수 있으며, 사출 생산효율이 낮기 때문에 그 만큼 판축물의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제2용기본체(20)의 입구를 연장시켜 제1용기본체(10)와 서로 겹쳐지게 구성함으로써 제2용기본체(20)의 내부에 혼합음료를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나사 조립식에 의한 기밀 유지 구조가 아닌 직사출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혼합음료가 쉐이커 과정이나 저장하는 동안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컵(C)이 수납되고, 다른 쪽에는 음료를 음료수병에 옮겨 담기 위한 깔때기(70)가 더 수납되어 이루어진다.
즉, 제1용기본체(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컵(C)이 수납되는 것이며, 제2용기본체(20)가 음료수 병의 목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깔때기(70)를 제2용기본체(20) 목 내부의 제2수납부(21)에 수납하여 보관 또는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깔때기(70)는 적정 비율로 혼합된 음료를 입구가 작은 다른 음료 병이나 용기에 담을 때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성품으로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깔때기(70)는 제1용기본체(10)에 컵(C)을 수납한 상태에서 깔대기를 뒤집어서 컵(C)위로 엎어 높은 상태에서 제2용기본체(20)를 조립하여 수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쉐이커 부재가 구비된 구성의 경우에는 제2용기본체(20)에 깔때기(70)를 수납한 후 쉐이커부재(40)를 끼운 후에 제1용기본체(10)와 조립하면 도면과 같이 깔때기(70)는 그 입구가 쉐이커부재(40)의 플랜지부(41)에 안착된 상태로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컵(C)은 쉐이커부재(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수납되어 진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에는 그 외관 형상이 입구로부터 폐쇄된 부위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쪽 용기본체의 외면 전체에는 음료 광고표시부(8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의 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용기본체(10)는 일측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컵(C)이 수납되고, 그 외면 전체에는 상기 광고인쇄물(81)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제2용기본체(20)의 하부는 제1용기본체(10)와 동일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음료수 병(甁) 목 부위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용기본체(20)의 폐쇄부에는 음료를 따르기 위한 배출구(5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2)에는 음료제품 홍보를 위한 병뚜껑 모양 장식캡(53)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를 특정 제조사의 음료수 병 모양으로 만드는 경우 그 병마개와 동일한 형상의 병뚜껑 모양 장식캡(53)을 함께 구성할 수 있으므로 실체 음료 제품과 동일한 형태의 컵 보관 용기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 음료수 병과 같은 디자인을 갖는 컵 보관용기(100)를 이용하여 혼합음료를 만들어 실제 제품과 동일하게 배출구(52)에 나사식으로 조립된 장식캡(53)을 열어 컵(C)에 따라서 마실 수 있도록 하여 실제 음료 제품을 마시는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형태의 컵 보관용기(100)를 구현한 것이다.
결국, 사용자는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음료 제조 회사의 제품 이미지가 각인되어 제품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유용한 광고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컵 보관 용기가 판촉물로 사용되는 경우 음료제조사의 상표마크와 제품 이미지, 유통 기한 성분 표시 등이 기재된 인쇄 형태의 광고표시부(80)가 제1용기본체(10)의 외측면 전체에 부착됨으로써 사용자는 그 제품을 대량으로 구매하면서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를 사은품으로 추가 증정받을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음료제조회사에서는 본 고안의 컵 보관용기(100)를 판촉물로 활용하여 음료수 구매 욕구를 불러 일으켜 판매를 촉진시키는 것이며, 사용자는 음료를 구매함에 따라 혼합 음료를 만들 수 있는 컵 보관용기(100)를 추가 사은품으로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컵 보관용기(100) 내부에 수납된 소주잔이나 맥주잔과 함께 깔때기(70)까지 함께 사은품으로 얻게 됨으로써 야외로 놀러가거나 캠핑을 할 때 혼합음료를 간편하게 만들어 주변 지인들과 맛있게 음용할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따라 컵 보관용기(100)는 다른 형태의 판촉물과 달리 쉽게 버리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휴대하고 다니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음료제조 회사는 지속적인 음료 제품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제1용기본체 11 : 제1수납부
12 : 제1조립부 13 : 끼움홈
20 : 제2용기본체 21 : 제2수납부
22 : 제2조립부 23 : 끼움돌기
30 : 눈금표시부 31 : 제1혼합비표시부
32 : 제2혼합비표시부 33 : 한계표시선
34 : 부착홈
40 : 쉐이커부재 41 : 플랜지부
42 : 믹싱리브 43 : 음료통과홀
44 : 안착홈부 45 : 제1연결부
46 : 제2연결부
50 : 마감캡 51 : 개구부
52 : 배출구 53 : (병뚜껑 모양의) 장식캡
60 : 연결부재 70 : 깔때기
80 : 음료광고표시부 81 : 광고인쇄물
C : (적층된 다수의)컵 100 : 컵 보관용기

Claims (14)

  1. 내부에 적층된 다수의 컵을 보관하도록 이루어진 휴대용 컵 보관용기에 있어서,
    내부에는 제1수납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수납부(11)의 입구에는 제1조립부(12)가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용기본체(10);
    내부에는 상기 제1수납부(11)와 통하는 제2수납부(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조립부(12)와 암,수 끼움식으로 조립되는 제2조립부(22)가 상기 제2수납부(21)의 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 또는 불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용기본체(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C)은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는 서로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 쪽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내부에 담겨겨 혼합되는 2가지 이상의 음료의 혼합 비율을 확인하기 위한 눈금표시부(30)가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사이에는 상기 제1조립부(11)와 제2조립부(22)에 안착 고정되어 음료를 서로 혼합하기 위한 쉐이커부재(40)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 용기본체의 폐쇄된 바닥에는 개구부(51)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51)에는 나사조립식 마감캡(50)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와 제2용기본체(20)는 끈 또는 밴드형상의 연결부재(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분실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본체(20)는 그 입구로부터 상기 제1용기본체(10)의 제1수납부(11) 바닥 가까이 이르는 연장부(24)가 형성되어 상기 제2수납부(21)의 음료 혼합 공간이 확장되게 이루어지고, 그 외측면은 제1용기본체(10)의 내측면과 밀착되면서 겹쳐지게 끼워져서 기밀 구조를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컵(C)이 수납되고, 다른 쪽에는 음료를 음료수병에 옮겨 담기 위한 깔때기(70)가 더 수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에는 그 외관 형상이 입구로부터 폐쇄된 부위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좁아지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쪽 용기본체의 외면 전체에는 음료 광고표시부(8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본체(10)는 일측이 폐쇄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기 컵(C)이 수납되고, 그 외면 전체에는 상기 광고인쇄물(81)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용기본체의 하부는 제1용기본체와 동일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음료수 병(甁) 목 부위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본체(20)의 폐쇄부에는 음료를 따르기 위한 배출구(52)가 더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52)에는 음료제품 홍보를 위한 병뚜껑모양의 장식캡(53)이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표시부(30)는 농도가 진한 액상음료의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제1혼합비표시부(31)와, 농도가 진한 과립이나 또는 분말의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제2혼합비표시부(32)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혼합비표시부(31) 및 제2혼합비표시부(32)의 연장된 표시 선상에는 농도가 낮은 음료의 혼합량을 제한하는 한계표시선(33)이 각각 표시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커부재(40)는 외측단부에 상기 제1조립부 및 제2조립부에 장착되는 플랜지부(41)가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복수의 믹싱리브(42)가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그 사이에 음료통과홀(43)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커부재(40)는 일측으로 인입 형성되어 안착홈(44)부를 형성하여 그 바닥에 상기 믹싱리브(42) 및 음료통과홀(43)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부(44)는 제1용기본체(10) 또는 제2용기본체(20) 중 어느 한쪽의 용기본체에 수납되는 상기 컵(C)의 최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지지하여 상기 컵(C)이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KR2020120010248U 2012-11-09 2012-11-09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KR201400029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48U KR20140002943U (ko) 2012-11-09 2012-11-09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48U KR20140002943U (ko) 2012-11-09 2012-11-09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43U true KR20140002943U (ko) 2014-05-19

Family

ID=5244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48U KR20140002943U (ko) 2012-11-09 2012-11-09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94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162A (zh) * 2014-12-05 2017-12-01 生活燃料有限公司 用于优化水合和用于添加剂的背景分配的系统和设备
US11370580B2 (en) * 2019-10-30 2022-06-28 Brian Sharpe Coffee and liquid container with concealed mini-cup compart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162A (zh) * 2014-12-05 2017-12-01 生活燃料有限公司 用于优化水合和用于添加剂的背景分配的系统和设备
US11370580B2 (en) * 2019-10-30 2022-06-28 Brian Sharpe Coffee and liquid container with concealed mini-cup compar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512B2 (en) Beverage bottle with storage compartment
NL1032359C2 (nl) Drinksysteem.
US9642497B2 (en) Container facilitating mixed beverage preparation
US8746475B2 (en)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16390B2 (en) Triple chamber bott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814990B2 (en) Beverage system
US20080011748A1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20140166680A1 (en) Fluid container
JP4300483B2 (ja) 二室を有する飲料用ボトル
US20080023503A1 (en) Liquid-dispensing compartmented lid
US20100163559A1 (en) Single serving beverage container
US20080308584A1 (en) Article For Moving a Medium to be Eaten and/or Drunk
US20110303561A1 (en) Cap for drinking container
US20100154919A1 (en) Beverage dispenser system and method
US20040007594A1 (en) Bonus flavor dispenser
US20160362225A1 (en) Connectible container
KR20140002943U (ko) 음료제품 홍보 및 음료 혼합 기능을 갖는 휴대용 컵 보관용기
US20180237186A1 (en) Individual beverage bottle accessory
US20140299629A1 (en) Condiment dispener
JP2006321540A (ja) 飲料用ボトル
US20150090712A1 (en) Fractionally proportioned, nesting container bottles, with joining and carrying means
US20240025593A1 (en) Multiple fluid storage and selective dispensing bottle
CN201136609Y (zh) 两腔饮料瓶
CN212980734U (zh) 一种多功能葡萄酒酒瓶
EP4273061A1 (en) Glass container for food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