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311A -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311A
KR20130006311A KR1020120070422A KR20120070422A KR20130006311A KR 20130006311 A KR20130006311 A KR 20130006311A KR 1020120070422 A KR1020120070422 A KR 1020120070422A KR 20120070422 A KR20120070422 A KR 20120070422A KR 20130006311 A KR20130006311 A KR 20130006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viewpoint
transmissive
display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쿠로 노다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6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3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4Solving problems related to the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Abstract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한쪽의 면측부터 다른쪽의 면측에 광을 투과시키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가 실현되고, 개발되어 있다. 투과 디스플레이는, 한 예로서 고분자 분산 액정 등의 액정에 의해 실현된다. 당해 액정은, 인가 전압이 오프 상태라면 광을 산란시키고, 인가 전원이 ON 상태라면 광을 투과시킨다.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투과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 전화 단말에서, 그 유저가 당해 투과 디스플레이를 보는 면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나 기호 방향을 바꾸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개2010-18337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유저의 시점(視點)이 투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물체를 볼 때에, 당해 투과 디스플레이의 화면 내의 문자나 기호는, 유저에 있어서 바람직한 상태로 표시된다고는 한하지 않는다. 한 예로서, 투과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나 기호가, 유저에 의한 물체의 시인을 방해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투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점이 물체를 보는데 적합한,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신규이면서 개량된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컴퓨터에,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여기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제공되어도 좋고, 통신 수단 등을 이용하여 제공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투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점이 물체를 보는데 적합한,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도 1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시스템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2는 투과 디스플레이, 시점 및 물체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xz평면(수평면)에서의 시점의 방향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xz평면(수평면)에서의 시점의 위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yz평면에서의 시점의 방향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간섭영역의 제 1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간섭영역의 제 2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간섭영역의 제 3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0은 간섭영역의 제 4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1은 간섭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서의 표시 오브젝트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간섭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에서의 표시 오브젝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3은 간섭영역을 포함하는 화면 내에서 이동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4는 간섭영역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5는 표시 위치가 변화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6은 표시 속성이 변화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7은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8은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9는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0은 충돌방지 오브젝트의 제 1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1은 충돌방지 오브젝트의 표시의 타이밍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2는 충돌방지 오브젝트의 제 2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3은 물체의 위치에 응한 충돌방지 오브젝트의 표시의 타이밍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4는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5는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의 제 1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26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의 제 2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27은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의 제 3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알맞은 실시의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 것에 의해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1. 표시 제어 시스템의 개요
2.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
2. 1. 표시 제어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
2. 2. 표시 제어부
2. 3. 표시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3. 처리의 흐름
4. 정리
1. 표시 제어 시스템의 개요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시스템의 개략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투과 디스플레이(10), 카메라(20) 및 표시 제어 장치(1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그 밖의 도면에는, 3차원 공간에서 직교하는 3개의 축을 나타내는 x축, y축, z축이 기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x축은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의 수평 방향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고, y축은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의 수직 방향에 평행한 축을 나타내고, z축은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xy평면)에 수직한 축을 나타낸다.
투과 디스플레이(10)
투과 디스플레이(10)는,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90)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200)을 갖는 표시 장치이다. 투과 디스플레이(10)는, 당해 화면(200)에서, 생성된 표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되는 당해 표시 화상에는, 예를 들면, 메뉴, 도형, 텍스트, 아이콘, 윈도우 등의 표시 오브젝트(230)가 포함된다. 투과 디스플레이(10)는, 예를 들면, 고분자 산란 액정(고분자 분산 액정, 폴리머 네트워크 액정)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투과 디스플레이(10)는, 다른 액정, 유기 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을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좋다.
투과 디스플레이(10)는, 터치 검출면을 갖는 터치 패널 장치라도 좋다. 이 경우에, 투과 디스플레이의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는, 당해 화면(200)상에의 터치에 응하여 표시 위치가 변화되어도 좋다. 또한, 터치 검출을 위한 방식으로서,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학 방식, 전자 유도 방식, 초음파 방식 등의 방식이 적용되어도 좋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터치 검출의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투과 디스플레이(10)는, 그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를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장치라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과 디스플레이(10)는, 그 화면(200)에,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표시한다. 당해 우안용 화상에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우안용 오브젝트가 포함되고, 좌안용의 표시 화상에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좌안용 오브젝트가 포함된다. 화면(200) 내에서의 좌안용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와 우안용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와의 사이에는, 좌우 방향(즉, x축방향)의 오프셋이 존재한다. 당해 오프셋에 의해, 화면(200)을 보는 인물의 좌우 망막에서 표시 오브젝트(230)의 상대적인 위치의 어긋남(즉, 양안 시차)이 생긴다. 그리고 이 양안 시차에 의해, 화면(200)으로부터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깊이가 상기 인물에 의해 지각된다. 또한, 오프셋에 의해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에 시선을 교차시키는 좌안 및 우안의 움직임(즉 폭주(輻輳, convergence))이 일어난다. 이 눈의 움직임의 근육 제어에 의해서도, 표시 오브젝트(230)의 깊이가 상기 인물에 의해 지각된다. 입체시를 위한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렌티큘러방식,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등의 나안형(裸眼型) 방식이 이용된다.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및 렌티큘러방식은, 각각 화면(200)을 슬릿 또는 렌티큘러렌즈로 덮는다는 단순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투과 디스플레이(10)에서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및 렌티큘러방식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다른 나안(裸眼) 입체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고, 또는 편광 필터 방식, 액정 셔터 방식 등의 안경형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과 디스플레이(10)에서 입체시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임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투과 디스플레이(10), 시점(80) 및 물체(9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즉 도 2의 A의 방향)에 시점(80)이 위치하고,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2의 면측(즉 도 2의 B의 방향)에 물체(90)가 위치한다. 그리고, 이들 3자의 위치 관계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가 제어된다. 여기에서 시점이란, 전형적으로는, 인물의 양안을 의미한다. 또한, 시점은, 카메라(또는 카메라의 렌즈)를 의미하여도 좋다. 즉, 시점이란, 물체(90) 및 표시 오브젝트(230)를 시인(視認) 또는 인식하는 임의의 주체를 의미한다. 여기서의 물체(90)는, 예를 들면, 정지하고 있는 물체이다. 또한, 물체(90)는, 움직여져도 좋고, 인물, 동물, 기계 등을 포함하는 스스로 이동하는 물체라도 좋다.
카메라(20)
카메라(20)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즉 도 2의 A의 방향)에 위치하는 인물을 촬상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카메라(2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xz평면(즉 수평면)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과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당해 카메라(20)는, 예를 들면 수평 화각(畵角)(2α)과 수직 화각(2β)을 갖는다. 당해 수평 화각과 수직 화각이 이용되어, 시점(80)의 방향이 인식된다. 카메라(20)는, 촬상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화상을 표시 제어 장치(100)에 출력한다. 또한, 시점이 인물의 양안 이외의 주체(예를 들면, 카메라)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카메라(20)는, 당해 주체를 촬상하여도 좋다.
표시 제어 장치(100)
표시 제어 장치(10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제어 장치(100)는, 특히,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 및 물체(9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당해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시점이 물체를 보는데 적합한,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표시 제어 장치(100)는, "2.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기타 구성
또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투과 디스플레이(10), 카메라(20) 및 표시 제어 장치(100) 이외의 다른 요소를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카메라(20)에 더하여, 물체(90)를 촬상하기 위한 추가의 카메라를 가져도 좋다. 물체(90)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추가의 카메라로서, 예를 들면, 스테레오 카메라, TOF(Time off light) 방식의 거리 화상 센서 등의 대상물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카메라가 사용된다. 당해 추가의 카메라에 의해, 물체(90)의 위치가 이동하였다고 하여도, 당해 카메라에 의해 물체(90)의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지다. 또한, 카메라(20)도 상기 거리를 측정 가능한 카메라라도 좋다.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카메라(20) 또는 상기 추가의 카메라 대신에,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장치를 가져도 좋다. 당해 다른 장치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즉 도 2의 A의 방향) 또는 제 2의 면측(즉 도 2의 B의 방향)에 배치된 적외선 센서 또는 압력 센서라도 좋다. 또한, 상기 다른 장치는, 시점(80)의 주변부분 또는 물체(90)에 구비된 발신기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고, 당해 전파로부터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생성하는 수신 장치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시스템(1)에는,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 또는 거리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는 임의의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카메라(20)로부터의 디지털 화상 또는 그 밖의 장치로부터의 정보로부터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를 인식하는 장치를 가져도 좋다. 그 경우에, 표시 제어 장치(100)는,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표시 제어 장치(100)에 의한 제어에 응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에 표시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장치를 가져도 좋다. 그 경우에, 표시 제어 장치(100)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표시 제어 시스템(1)은, 투과 디스플레이(1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를 조작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또한 가져도 좋다. 당해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마우스, 키보드, 터치 패널, 버튼, 스위치, 레버, 리모트 컨트롤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조작에 대응한 휴대 전화, PDA 등 외부 접속 기기라도 좋다.
2.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
다음에, 도 3 내지 2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100)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2. 1. 표시 제어 장치의 논리적인 구성
우선, 도 3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100)의 논리적인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100)의 논리적인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제어 장치(100)는, 인식부(110), 취득부(120), 기억부(130), 화상 생성부(140) 및 표시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인식부(110)
인식부(110)는,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한다. 여기에서 시점(80)의 위치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의 양안의 위치이다. 인식부(110)는, 예를 들면 카메라(20)로부터 취득한 디지털 화상으로부터,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한다. 예를 들면, 인식부(110)는, 상기 인물의 얼굴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한다. 여기서는, 인물의 얼굴의 위치를 인식함에 의해, 시점(80)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된다. 따라서, 위치의 인식에 관해, 시점(80)은 상기 인물의 얼굴과 상당히 일치한다.
인식부(110)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되는 xz평면(즉 수평면)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방향과 거리를 특정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한다.
우선,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방향의 특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xz평면(수평면)에서의 시점(80)의 방향을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의 4-1을 참조하면, 카메라(20)는, 2α의 수평 화각을 갖는다. 또한, 시점(80)은, 카메라(20)의 수평 화각의 중심부터 좌측으로 θ1만큼 벗어난 각도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카메라(2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xz평면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과 같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시점(80)은, xz평면에서, z축에 평행하면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으로부터 θ1만큼 벗어난 각도에 위치한다. 따라서 xz평면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방향은, 당해 θ1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θ1은, 시점(80)이 좌측으로 빗나가 있는 경우에는 정의 값으로 표시되고, 시점(80)이 우측으로 빗나가 있는 경우에는 부의 값으로 표시되어도 좋고, 또는 그 반대라도 좋다.
도 4의 4-2에는, 당해 카메라(20)에 의해 촬상된 디지털 화상(22)이 도시되어 있다. 인식부(110)는, 디지털 화상(22) 내의 인물의 얼굴을 검출하고, 디지털 화상(22)의 중앙으로부터의 그 인물의 얼굴(즉 시점(80))의 거리(d1)를 얻는다. 여기서는, 예를 들면 디지털 화상(22)의 횡폭(橫幅)을 1(즉 횡폭의 반분을 0.5)로 하고, 따라서 상기 거리(d1)는 0.5보다 작은 정수이다. 이 경우에, 이하의 식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01
그리고, 상기 (식 1)을 변형하면, 이하의 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따라서 인식부(110)는, 상기 거리(d1)와 이미 알고 있는 수평 화각(α)을 이용하여 상기 θ1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부(110)는, xz평면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방향(θ1)을 특정할 수 있다.
다음에,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거리의 특정 방법을 설명한다. 인식부(110)는, 디지털 화상(22)으로부터 검출된 상기 인물의 얼굴의 크기로부터, z축방향에서의 카메라(20)로부터의 시점(80)의 거리(D1)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화상에서의 상기 인물의 얼굴의 크기와 카메라(20)로부터의 z축방향에서의 거리(D1)를 대응부여한 정보(예를 들면,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가 미리 기억된다. 그리고, 인식부(110)는, 검출된 상기 인물의 얼굴의 크기로부터, 그것에 대응부여된 거리를 얻는다. 또한, 카메라(20)로부터의 거리(D1)를 얻기 위해, 얼굴의 크기만이 아니라, 상기 인물의 양 눈 간격, 추정되는 상기 인물의 연령 등의 정보도 사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카메라(20)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xz평면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과 같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z축방향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거리는, 카메라(20)로부터의 시점(80)의 거리와 마찬가지로 D1이 된다. 따라서 z축방향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거리는, D1에 의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인식부(11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z축방향의 거리(D1)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xz평면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과 카메라(20)의 위치가 같은 위치가 아니더라도, 양자 사이의 오프셋 거리를 이미 알고 있으면, 당해 오프셋 거리분만큼 보정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과의 사이의 거리를 특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식부(110)는, xz평면에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방향(θ1) 및 거리(D1)를 특정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xz평면에 관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가 설명되었지만, yz평면에 관해서도,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가 인식되어도 좋다.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yz평면에서는, 수평 화각(2α) 대신에, 수직 화각(2β)이 사용되고, 디지털 화상(22)에서 거리(d1) 대신에, 디지털 화상(22)에서의 거리(d2)를 얻을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카메라(20)에 대한 시점(80)의 방향(θ2)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20)(또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거리(D1)(즉 z축방향의 거리)는, yz평면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용된다. 단, yz평면에서는, 카메라(20)의 위치와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의 위치가, y축방향에서 오프셋 거리(Doffset)만큼 상위하다. 따라서, 방향(θ2)및 거리(D1)로부터 얻어진 카메라(2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로부터 오프셋 거리(Doffset)만큼 y축방향에서 보정된 위치가, yz평면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가 된다.
또한, 여기서는,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의 인식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가 인식되어도 좋다. 또한, 디지털 화상을 이용한 투과 디스플레이(10)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의 인식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시점(80)의 주변부분 또는 물체(90)에 구비된 발신기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 등의 카메라 이외의 다른 장치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가 인식되어도 좋다.
또한, 인식부(110)는,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시점(8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하여도 좋다. 인식부(110)는, 예를 들면 카메라(20)와는 다른 추가의 카메라로부터 얻어진 디지털 화상 또는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등의 다른 장치로부터 얻어진 정보로부터,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시점(8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하여도 좋다. 인식부(110)는, 물체(90)의 크기도 인식하여도 좋다.
또한, 인식부(110)는, 카메라(20)로부터 얻어진 디지털 화상 또는 적외선 센서, 압력 센서 등의 다른 장치로부터 얻어진 정보로부터, 투과 디스플레이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 또는 그 인물의 몸의 일부(예를 들면, 손)와 투과 디스플레이(10)와의 사이의 거리(이하, "접촉 거리"라고 부른다)를 인식하여도 좋다.
취득부(120)
취득부(12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와 당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즉 도 2의 A의 방향)에 위치하는 시점(80) 및 당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2의 면측(즉 도 2의 B의 방향)에 위치하는 물체(9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위치 정보는, 투과 디스플레이(10), 시점(80) 및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임의의 정보이다.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 및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이다. 이 경우에,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중심부터의 시점(80)의 얼굴의 방향(θ1) 및 거리(D1)이다. 대신에, 위치 정보는,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 및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라도 좋다. 또한, 위치 정보는, 어떠한 위치에 설정된 원점(原點)에 대한 투과 디스플레이(10), 시점(80) 및 물체(90)의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라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위치,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위치는, 그들의 중심점으로 한하지 않고, 그들 중에 또는 부근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의 점이라도 좋다. 당해 어느 하나의 점은, 2개 이상의 점이라도 좋고, 또는 2개 이상의 점을 포함하는 범위라도 좋다. 또한, 위치 정보는, 물체(90)의 크기를 포함하는 정보라도 좋다. 또한, 위치 정보는, xz평면(즉 수평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만이 아니고, yz평면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을 포함하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취득부(120)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부(11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취득부(120)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억부(130)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인식부(110)가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하는 경우에는, 취득부(12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부(110)로부터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취득부(120)는, 물체(90)의 크기도 취득하여도 좋다.
또한, 취득부(120)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 또는 그 인물의 몸의 일부와 투과 디스플레이(10)와의 사이의 제 1의 거리인 접촉 거리를 또한 취득하여도 좋다. 취득부(120)는, 예를 들면, 당해 접촉 거리를 인식부(110)로부터 취득하여도 좋다.
기억부(130)
기억부(130)는, 표시 제어 장치(100)에서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恒久的)으로 보존하여야 할 정보를 기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억부(130)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를 기억한다.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는, 예를 들면, 표시 제어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고, 기억부(130)에 기억된다. 또한,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는, 인식부(110)에 의해 인식되고, 기억부(130)에 기억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 인식부(110)는, 물체(90)가 빈번하게 이동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인식의 빈도를 적게 하여도 좋다. 또한, 기억부(130)는, 물체(90)의 크기도 기억하여도 좋다. 당해 물체(90)의 크기도, 표시 제어 장치(100)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어도 좋고, 또는 인식부(110)에 의해 인식되어도 좋다.
또한, 기억부(13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에 표시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억한다. 예를 들면, 기억부(130)는, 표시 화상에 포함되는 표시 오브젝트(230)를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속성을 기억한다. 당해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속성은, 표시 제어부(150)에 의한 표시 제어에서, 결정되고 또는 변경될 수 있다.
화상 생성부(140)
화상 생성부(140)는, 표시 제어부(150)에 의한 제어에 응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생성부(140)는, 예를 들면, 메뉴, 도형, 텍스트, 아이콘, 윈도우 등의 표시 오브젝트(230)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생성부(14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당해 표시 화상을 출력한다.
투과 디스플레이(10)가, 그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를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 장치인 경우에, 화상 생성부(140)는,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을 생성하여도 좋다.
표시 제어부(150)
표시 제어부(15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제어부(150)는, 특히,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 및 물체(9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50)에 의한 구체적인 표시 제어의 예를 이하의 "2. 2. 표시 제어부"에서 설명한다.
2. 2. 표시 제어부
다음에, 도 7 내지 2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100)의 구체적인 표시 제어의 제 1의 예 내지 제 3의 예를 설명한다.
표시 제어의 제 1의 예
표시 제어의 제 1의 예로서, 표시 제어부(150)는, 시점(80)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을 통하여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50)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서의 영역(이하, "간섭영역"이라고 부른다)을 결정하고, 시점(80)이 당해 간섭영역을 통하여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결정된 간섭영역은,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서의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과의 교점을 포함하고, 또는 당해 교점의 주위에 존재한다. 도 7 내지 10은, 간섭영역의 제 1부터 제 4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간섭영역(220)은, 예를 들면,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투과 디스플레이의 화면(200)이 교차하는 교점(210)을 중심으로 하고, 폭(W1)을 갖는다. 당연한 일이지만, 간섭영역(220)은 교점(210)을 중심으로 하지 않아도 좋다. 당해 폭(W1)은, 물체(90)의 크기에 응하여 변화되어도 좋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보다 큰 물체(90)가 위치하는 경우에, 간섭영역(220)은 폭(W1)보다도 넓은 폭(W2)을 갖아도 좋다. 또한, 상기 폭(W1)은,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과의 거리 또는 투과 디스플레이(10)와 물체(90)와의 거리에 응하여 변화되어도 좋다.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도 9의 9-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과의 거리가 보다 작은 경우에, 간섭영역(220)은 폭(W1)보다도 좁은 폭(W3)을 갖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의 9-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과 디스플레이(10)와 물체(90)와의 거리가 보다 작은 경우에, 간섭영역(220)은 폭(W1)보다도 넓은 폭(W4)을 갖아도 좋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간섭영역(220)은, 예를 들면,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2개의 위치를 통과하는 2개의 직선과 투과 디스플레이의 화면(200)이 교차하는 2개의 교점(210a 및 210b)을 포함하여도 좋다. 여기서는, 물체(90)의 2개의 위치는, 예를 들면 물체(90)의 x축방향에서의 양단의 위치이다. 그리고, 간섭영역(220)은, 교점(210a 및 210b)의 사이의 폭과 여분에 추가된 2개의 폭(W5)을 서로 더한 폭을 갖는다. 또한, 간섭영역(220)이, 교점(210)을 포함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간섭영역(220)은, 당해 교점(210)을 제외한 영역이라도 좋다. 즉, 간섭영역(220)은, 당해 교점의 주위에 존재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간섭영역을 결정함으로써, 시점(80)에 의한 물체(90)의 시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어되어야 할 영역과 제어되지 않아도 좋은 영역이, 명확하게 절단 분리된다. 그 결과, 제어되어야 할 영역에서는, 상기 시인을 방해하지 않도록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를 제어하면서 도, 제어되지 않아도 좋은 영역에서는, 표시 오브젝트(230)를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과의 교점을 포함하는(또는 교점의 주변에 존재하는) 영역이 간섭영역으로서 결정됨으로써, 시점(80)에 의한 물체(90)의 시인을 방해하기 쉬운 영역을 포함하는 간섭영역을 얻을 수 있다.
표시 제어부(150)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시점(80)이 간섭영역(220)을 통하여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결정된 간섭영역(220) 내에 표시 오브젝트(230)를 표시시키지 않음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하여도 좋다. 도 11은, 간섭영역(220)을 포함하는 화면(200)에서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텍스트인 표시 오브젝트(230a)는, 간섭영역(220)에 포함되지 않도록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간섭영역(220) 내에서 표시 오브젝트(230)를 표시시키지 않음으로써, 물체(90)는, 당해 표시 오브젝트(230)에 의해 숨겨지지 않는다. 즉,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 오브젝트(230)가 표시되었다고 하여도, 시점(80)에서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은 유지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결정된 간섭영역(220) 내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속성을, 시점(80)이 물체(90)를 시인 가능한 표시 속성으로 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하여도 좋다. 여기에서의 표시 속성은, 표시 오브젝트(230)의 투명도, 색, 표시의 온/오프 상태, 크기, 형상, 종횡비, 회전각도 등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에 관한 임의의 속성이다. 도 12는, 간섭영역(220)을 포함하는 화면(200)에서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텍스트인 표시 오브젝트(230a)는, 간섭영역(220)에서 투명도를 올려서 표시되어 있다. 대신에, 표시 오브젝트(230a)는, 크기를 대폭적으로 작게 하여 표시되어도 좋고, 또는 눈에 띄지 않는 색으로 표시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간섭영역(220) 내에서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속성을 바꿈으로써, 물체(90)는, 당해 표시 오브젝트(230)에 의해 거의 숨겨지지 않는다. 즉,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 오브젝트(230)가 표시되었다고 하여도, 시점(80)에서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은 유지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에 표시 화면 전체를 표시하지 않음에 의해(즉 표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하여도 좋다.
또한, 표시 오브젝트(230)는, 유저 조작에 의해 표시 위치가 변화되는 표시 오브젝트라도 좋다. 도 13은, 간섭영역(220)을 포함하는 화면(200) 내에서 이동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의 13-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텍스트인 표시 오브젝트(230a)가, 터치 조작 등의 유저 조작에 의해, 간섭영역(220)이 존재하는 C의 방향으로 표시 위치가 변화된다. 그러면, 도 13의 13-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 오브젝트(230a)는, 예를 들면, 간섭영역(220)에는 표시되지 않고, 다른 영역에 표시된다. 또는, 도 13의 13-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 오브젝트(230a)는, 예를 들면, 간섭영역(220)에서 투명도를 올려서 표시된다. 이와 같은 유저 조작에 의해 표시 위치가 변화되는 표시 오브젝트에 의해, 물체(90)의 보기 쉬움은 유지되면서, 시점(80)에 의한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시점(80)은, 2개 이상의 시점이고, 표시 제어부(150)는, 2개 이상의 시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하여도 좋다. 도 14는, 간섭영역(220)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의 14-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시점(80a)에 대한 간섭영역(220a)과 시점(80b)에 대한 간섭영역(220b)을 결정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150)는, 시점(80a) 및 시점(80b)의 양쪽이 각각 간섭영역(220a) 또는 간섭영역(220b)을 통하여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2개 이상의 시점에서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이 유지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0)는, 시점(80a) 및 시점(80b) 중의 어느 한쪽의 간섭영역(즉 간섭영역(220a) 또는 간섭영역(220b))만을 결정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이 유지되면서, 표시 오브젝트(230)에 의한 정보가 당해 시점에 전해진다.
또한, 여기까지 화면(200)의 수평 방향(즉 x축방향)으로 폭이 제한된 간섭영역(200)에 관해 설명되었지만, 표시 제어부(150)는, 또한 화면(200)의 수직 방향(즉 y축방향)으로도 폭이 제한된 간섭영역(200)을 결정하여도 좋다. 위치 정보중에 수평 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도 포함되어 있으면, 수직 방향의 폭은 수평 방향의 폭과 같은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간섭영역(200)은, 예를 들면 도 14의 14-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수평 방향의 폭 및 수직 방향의 폭이 제한된 영역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수평 방향의 폭 및 수직 방향의 폭이 제한된 간섭영역(200)에 의해, 시점(80)에서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이 유지하면서, 보다 넓은 영역에 표시 오브젝트(230)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표시 제어부(150)에 의한 표시 제어의 제 1의 예가 설명됐지만, 당해 표시 제어에 의하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 오브젝트(230)가 표시되었다고 하여도, 시점(80)에서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은 유지된다.
표시 제어의 제 2의 예
표시 제어의 제 2의 예로서, 표시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서의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과의 교점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킨다. 도 15는, 표시 위치가 변화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5의 15-1 및 15-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230b)는, 교점(21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L)만큼 떨어진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그 후, 시점(80)의 위치의 변화에 수반하여 교점(210)의 위치도 이동하면, 도 15의 15-3 및 15-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체(90)의 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230b)의 위치는, 교점(210)으로부터 소정의 거리(L)만큼 떨어진 위치를 유지하도록 변화한다. 여기에서의 소정의 거리(L)는, 고정의 거리라도 좋고, 또는 교점(210)의 위치에 응하여 변화하는 거리라도 좋다. 이와 같은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의 변화에 응한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의 변화에 의해, 시점(80)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시점(80)에 보이고 싶은 위치에 표시 오브젝트(230)를 표시할 수 있다. 특히, 교점(210)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표시 오브젝트(230)를 물체(90)에 추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점(80)이 어디에서 물체(90)를 보고 있는지에 의하지 않고, 표시 오브젝트(230)를 물체(90)의 부근에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점(80)은, 표시 오브젝트(230)와 물체(90)와의 양쪽을 보다 용이하게 합쳐서 볼 수 있고, 또한 표시 오브젝트(230)와 물체(90)와의 관련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물체(90)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속성을 변화시킨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 속성은, 표시 오브젝트(230)의 투명도, 색, 표시의 온/오프 상태, 크기, 형상, 종횡비, 회전각도 등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에 관한 임의의 속성이다. 도 16은, 표시 속성이 변화하는 표시 오브젝트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의 16-1 및 16-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인 표시 오브젝트(230c)가, 물체(90)를 둘러싸도록 표시되어 있다. 그 후, 시점(80)의 위치가 투과 디스플레이(10)에 보다 가까운 위치로 변화하면, 도 16의 16-3 및 16-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점(80)이 물체(90)를 보기 위한 화면(200) 내의 범위가 좁아짐에 따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인 표시 오브젝트(230c)의 크기는, 보다 작아진다. 이와 같이,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속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시점(80)이 어느 위치에 있다고 하여도, 시점(80)에 보이고 싶은 속성으로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 표시 제어부(150)에 의한 표시 제어의 제 2의 예가 설명되었는데, 당해 제어에 의하면, 시점(80)이 어느 위치에서 물체(90)를 본다고 하여도, 표시 오브젝트(230)에 대해 보다 바람직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표시 제어의 제 3의 예
표시 제어의 제 3의 예에서는, 투과 디스플레이(10)는, 표시 오브젝트(230)를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하고, 표시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는, 예를 들면, 입체시에 의해 시점(80)에 의해 지각시키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3차원 공간 내의 위치이다. 이 경우에,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는, 화면(200)의 좌표(예를 들면(x, y))와, 당해 화면(200)으로부터 당해 화면(200)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깊이(예를 들면 z)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 내의 좌표(예를 들면(x, y, z))라도 좋다. 이와 같은 3차원 공간 내의 위치로부터, 화상 생성부(140)는, 화면(200)(또는 좌안용 화상) 내에서의 좌안용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및 화면(200)(또는 우안용 화상) 내에서의 우안용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는, 화상 생성부(140)는, 상기 3차원 공간 내의 위치에 의거하여, 입체시용의 렌더링을 행함에 의해, 좌안용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좌안용 화상과, 우안용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우안용 화상을 직접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는, 화면(200)(또는 좌안용 화상) 내에서의 좌안용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및 화면(200)(또는 우안용 화상) 내에서의 우안용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그 자체라도 좋다.
도 17은,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좌안(82)을 위한 좌안용 오브젝트(230e) 및 우안(84)을 위한 우안용 오브젝트(230f)가, 오프셋(O)을 수반하여 화면(200)상에 표시된다. 그 결과, 당해 오프셋(O)에 의한 양안 시차가 생기고, 시점(80)은, 표시 오브젝트(230d)의 깊이(D2)(즉 z축방향에서의 D2)를 지각한다. 여기서,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는, 예를 들면, 입체시에 의해 시점(80)에 의해 지각시키는, 표시 오브젝트(230d)의 3차원 공간 내의 위치(예를 들면, 좌표(x, y, z))이다. 또는,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는, 화면(200)(또는 좌안용 화상) 내에서의 좌안용 오브젝트(230e)의 표시 위치 및 화면(200)(또는 우안용 화상) 내에서의 우안용 오브젝트(230f)의 표시 위치라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속성은, 표시 오브젝트(230)의 투명도, 색, 표시의 온/오프 상태, 크기, 형상, 종횡비, 회전각도 등의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에 관한 임의의 속성이다. 예를 들면, 상기 형상은, 공간에서의 3차원의 형상이라도 좋고, 상기 회전각도는, 공간에서 3차원의 회전각도라도 좋다.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부터 제 2의 면측을 향하는 방향(즉, 도 2의 B의 방향, 또는 z축의 정의 방향)으로의 깊이로 표시 오브젝트(230)가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를 결정한다. 도 18은,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표시 제어부(150)는, 표시 오브젝트(230g)가 B의 방향(즉 z축의 정의 방향)에의 깊이에서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 오브젝트(230g)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를 결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위치의 결정에 의해, 시점(80)에 의해 지각된 표시 오브젝트(230)의 깊이는, 물체(90)가 존재하는 위치의 화면(200)으로부터의 실제의 깊이에 보다 가까워진다. 그 결과, 시점(80)은, 초점을 크게 바꾸는 일 없고, 물체(90)와 표시 오브젝트(230)를 볼 수 있다. 그 결과, 물체(90) 및 표시 오브젝트(230)를 합쳐서 보는 것이 시점(80)에서 보다 용이해지고, 또한 시점(80)의 안정(眼精) 피로를 적게 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50)는, 예를 들면, 위치 정보에서의 시점(80)의 위치 또는 물체(90)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변화시킨다. 도 19를 참조하면, 시점(80)의 위치가, 도 18에서의 시점(80)의 위치로부터 변화하고 있다. 이 경우에, 표시 오브젝트(230d)가 물체(90)를 가리키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표시 오브젝트(230d)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속성(회전각도)도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의 변화에 응한 표시 오브젝트(230)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의 변화에 의해, 시점(80)의 위치에 의하지 않고, 시점(80)에 보이고 싶은 공간 내의 위치 또는 속성으로, 표시 오브젝트(23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차원 공간에서의 표시 오브젝트(230)를 물체(90)에 추종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점(80)이 어디에서 물체(90)를 보고 있는지에 의하지 않고, 표시 오브젝트(230)를 물체(90)의 부근에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시점(80)은, 표시 오브젝트(230)와 물체(90)와의 양쪽을 합쳐서 볼 수 있고, 또한 표시 오브젝트(230)와 물체(90)와의 관련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한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 제어부(15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에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표시 오브젝트(이하, "충돌방지 오브젝트"라고 부른다)를 표시시켜도 좋다. 도 20은, 충돌방지 오브젝트의 제 1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정지하고 있는 4개의 환형(丸型)의 충돌방지 오브젝트(250a)가,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0)는, 상기 인물 또는 그 인물의 몸의 일부(예를 들면 손)와 투과 디스플레이(10)와의 사이의 거리인 접촉 거리에 응하여, 충돌방지 오브젝트(250)를 표시시켜도 좋다. 도 21은, 충돌방지 오브젝트(250)의 표시의 타이밍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접촉 거리(D3)가 소정의 임계치(Dt)를 하회한 경우에, 충돌방지 오브젝트(250)가 표시된다. 또한, 도 22는, 충돌방지 오브젝트의 제 2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접촉 거리(D3)가 소정의 임계치(Dt)을 하회한 경우에, 상기 인물에 의해 동적으로 튀어나오도록 지각되는 충돌방지 오브젝트(250b)가,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충돌방지 오브젝트(250)의 표시에 의해, 상기 인물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물체(90)에 접촉하려고 한 결과, 투과 디스플레이(10)에 충돌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접촉 거리에 응하여 충돌방지 오브젝트(250)를 표시시킴에 의해, 충돌의 위험성이 없는 경우에는, 충돌방지 오브젝트를 비표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표시 오브젝트(230)를 보다 넓은 범위에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시점(80)에 의한 물체(90)의 보기 쉬웁이 담보된다.
또한, 표시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에서의 투과 디스플레이(10)의 위치와 물체(90)의 위치 사이의 거리(이하, "물체 설치 거리"라고 부른다)가 보다 짧은 정도, 접촉 거리가 보다 길어도, 상기 인물에게 충돌방지 오브젝트(250)를 표시시켜도 좋다. 도 23은, 물체(90)의 위치에 응한 충돌방지 오브젝트(250)의 표시의 타이밍의 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도 23의 23-1과 같이 물체 설치 거리(D4)가 보다 큰 경우보다도, 도 23의 23-2와 같이 물체 설치 거리(D4)가 보다 작은 경우의 쪽이, 접촉 거리(D3)의 소정의 임계치(Dt)가 보다 커진다. 일반적으로, 물체(90)가 보다 근처에 있는 경우, 상기 인물은 물체(90)를 보다 만지기 쉽다고 느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충돌방지 오브젝트(250)의 표시의 타이밍을 설정함으로써, 상기 인물이 물체(90)를 만지려고 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충돌방지 오브젝트(250)를 보다 빨리 표시시켜서, 보다 높은 확률로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표시 제어부(150)에 의한 표시 제어의 제 3의 예가 설명되었지만, 당해 표시 제어에 의하면, 시점(80)이 어느 위치에서 물체(90)를 본다고 하여도, 표시 오브젝트(230)에 관해 보다 바람직한 입체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2. 3. 표시 제어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
다음에, 도 24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4는,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다. 도 24를 참조하면, 표시 제어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81), ROM(Read Only Memory)(183), RAM(Random Access Memory)(185), GPU(Graphics Processing Unit)(187), 버스(189), 기억 장치(191),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93)를 포함한다.
CPU(181)는, 연산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로서 기능하고, ROM(183), RAM(185), 또는 기억 장치(191)에 기록된 각종 프로그램에 따라, 표시 제어 장치(100) 내의 동작 전반 또는 그 일부를 제어한다. ROM(183)은, CPU(18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을 기억한다. RAM(185)은, CPU(181)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적절히 변화하는 파라미터 등을 1차 기억한다. GPU(187)는, 표시 화면의 생성을 비롯한, 표시 장치(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에 관한 다양한 처리를 행한다. 버스(189)는, CPU(181), ROM(183), RAM(185) 및 GPU(187)를 상호 접속한다. 버스(189)에는, 또한, 기억 장치(191)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193)가 접속된다.
기록 매체(191)는, 예를 들면, OS(Operating System) 등의 기본 소프트웨나, 어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91)로서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FeRAM(Ferroelectric Random Access Memory), PRAM(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들 수 있지만,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93)는, 예를 들면, 투과 디스플레이(10), 카메라(20) 등을 접속한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93)로서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등을 들 수 있지만,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3. 처리의 흐름
이하에서는, 도 25 내지 27을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 내지 제 3의 예에 관해 설명한다.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의 예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의 제 1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의 예에서는,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 및 물체(9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이 결정됨으로써,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가 제어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우선 스텝 S310에서, 인식부(110)는, 투과 디스플레이(10) 또는 물체(90)에 대한 시점(8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한다.
다음에, 스텝 S320에서, 취득부(12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 및 물체(9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에, 스텝 330에서, 표시 제어부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한다.
그리고, 스텝 340에서, 화상 생성부(140)는, 결정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오브젝트(230)를 포함하는 표시 화상을 생성한다.
표시 제어 처리의 제 2의 예
도 2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의 제 2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표시 제어 처리의 제 2의 예에서는,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의 예의 스텝 S330에서, 시점(80)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을 통하여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는, 표시 제어 처리의 제 2의 예와 도 25에 도시된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의 예와의 차분인 스텝 S332, S334 및 S336만을 설명한다.
스텝 S332에서는, 표시 제어부(150)는, 투과 디스플레이(10)와 시점(80) 및 물체(90)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간섭영역(220)을 결정한다.
다음에, 스텝 S334에서는, 표시 제어부(150)는, 표시 화상 내에 포함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중 간섭영역(220)과 겹쳐지는 표시 오브젝트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간섭영역(220)과 겹쳐지는 표시 오브젝트(230)가 있으면, 처리는 스텝 S336으로 진행한다. 한쪽으로, 간섭영역(220)과 겹쳐지는 표시 오브젝트(230)가 없으면, 처리는 스텝 S340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 S336에서는, 표시 제어부(150)는, 간섭영역(220)과 겹쳐지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를, 간섭영역(220)과 당해 표시 오브젝트(230)가 겹쳐지지 않도록 변경한다.
표시 제어 처리의 제 3의 예
도 2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처리의 개략적인 처리의 흐름의 제 3의 예를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표시 제어 처리의 제 3의 예에서는,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의 예의 스텝 S330에서, 시점(80) 또는 물체(90)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킨다. 여기서는, 표시 제어 처리의 제 3의 예와 도 25에 도시된 표시 제어 처리의 제 1의 예와의 차분인 스텝 S338 및 S339만을 설명한다.
스텝 S338에서는, 표시 제어부(150)는, 위치 정보에서의 시점(80)의 위치 및 물체(90)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과의 교점을 특정한다.
다음에, 스텝 S339에서는, 표시 제어부(150)는, 상기 교점의 위치에 응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위치를 결정한다.
4. 정리
여기까지, 도 1 내지 27을 이용하여, 본 개시된 한 실시 형태에 관한 표시 제어 시스템(1) 및 표시 제어 장치(100)에 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투과 디스플레이(10)를 통하여 시점(80)이 물체(90)를 보는데 적합한,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제 1의 표시 제어에 의하면, 시점(80)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을 통하여 물체(90)를 시인 가능하게,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 오브젝트(230)가 표시되었다고 하여도, 시점(80)에서의 물체(90)의 보기 쉬움은 유지된다.
또한, 제 2의 표시 제어에 의하면,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화면(200)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230)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시점(80)이 어느 위치에서 물체(90)를 본다고 하여도, 표시 오브젝트(230)에 관해 보다 바람직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3의 표시 제어에 의하면,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표시 오브젝트(230)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함에 의해, 투과 디스플레이(10)의 표시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시점(80)이 어느 위치에서 물체(90)를 본다고 하여도, 표시 오브젝트(230)에 관해 보다 바람직한 입체시 표시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된 알맞은 실시 형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된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례 또는 수정례로 상도할 수 있음은 분명하고, 이들에 대해 서도, 당연히 본 개시된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식부 및 화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가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 장치는, 취득부 및 화상 생성부를 구비하지 않고, 표시 제어 장치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된 다른 장치가, 인식부 및 화상 생성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된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함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1)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3)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점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을 통하여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4)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에서의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시점이 상기 영역을 통하여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3)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5) 결정된 상기 영역은,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시점의 위치 및 상기 물체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과의 교점을 포함하고, 또는 당해 교점의 주위에 존재하는, 상기 (4)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6) 상기 표시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영역 내에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지 않음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7) 상기 표시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영역 내의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속성을, 상기 시점이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한 표시 속성으로 함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4) 또는 (5)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8) 상기 표시 오브젝트는, 유저 조작에 의해 표시 위치가 변화되는 표시 오브젝트인, 상기 (6) 또는 (7)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9) 상기 시점은, 2개 이상의 시점이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시점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상기 (3)부터 (8)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0)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시점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기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변화시키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1)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시점의 위치 및 상기 물체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과의 교점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는, 상기 (10)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2)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하는, 상기 (2)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3)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의 면측부터 상기 제 2의 면측을 향한 방향으로의 깊이로 표시 오브젝트가 입체시 되도록,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12)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4)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시점의 위치 또는 상기 물체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변화시키는,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5)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에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상기 (12)부터 (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6)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인물 또는 그 인물의 몸의 일부와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의 사이의 제 1의 거리를 또한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의 거리에 응하여, 상기 인물에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상기 (15)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7)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사이의 제 2의 거리가 보다 짧을수록, 상기 제 1의 거리가 보다 길어도, 상기 인물에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상기 (16)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8) 상기 시점은,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의 양안이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인물의 얼굴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함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시점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하는, (1)부터 (1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제어 장치.
(19)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표시 제어 방법.
(20)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컴퓨터에,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본 발명은 공개된 일본 특허청에 2011년 7월 6일에 출원되어 우선권 주장된 일본 특허 출원 JP2011-150485과 관계된 주제를 포함하며, 이는 참조로서 전체 내용에 포함된다.
1 : 표시 제어 시스템
10 : 투과 디스플레이
20 : 카메라
80 : 시점
90 : 물체
100 : 표시 제어 장치
110 : 인식부
120 : 취득부
130 : 기억부
140 : 화상 생성부
150 : 표시 제어부
200 : 화면
220 : 간섭영역
230 : 표시 오브젝트
250 : 충돌방지 오브젝트

Claims (20)

  1.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장치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함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점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을 통하여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에서의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시점이 상기 영역을 통하여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결정된 상기 영역은,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시점의 위치 및 상기 물체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과의 교점을 포함하고, 또는 당해 교점의 주위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영역 내에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지 않음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영역 내의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속성을, 상기 시점이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한 표시 속성으로 함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오브젝트는, 유저 조작에 의해 표시 위치가 변화되는 표시 오브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2개 이상의 시점이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2개 이상의 시점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기 시점의 상대적인 위치 또는 상기 물체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시점의 위치 및 상기 물체의 위치를 통과하는 직선과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화면과의 교점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입체시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상기 제 1의 면측부터 상기 제 2의 면측을 향한 방향으로의 깊이로 표시 오브젝트가 입체시되도록,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시점의 위치 또는 상기 물체의 위치의 변화에 응하여, 상기 표시 오브젝트의 입체시를 위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속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에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상기 인물 또는 그 인물의 몸의 일부와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의 사이의 제 1의 거리를 또한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 1의 거리에 응하여, 상기 인물에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위치와 상기 물체의 위치와의 사이의 제 2의 거리가 보다 짧을수록, 상기 제 1의 거리가 보다 길어도, 상기 인물에게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존재를 알아차리게 하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제 1의 면측에 위치하는 인물의 양안이고,
    상기 표시 제어 장치는,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인물의 얼굴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함에 의해,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 또는 상기 물체에 대한 상기 시점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장치.
  19.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20. 제 2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도달하는 광을 투과함에 의해, 상기 제 2의 면과 반대의 면인 제 1의 면의 측에 위치하는 시점에서 상기 물체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화면을 갖는 투과 디스플레이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하는 컴퓨터에,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와 상기 시점 및 상기 물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상기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투과 디스플레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20070422A 2011-07-06 2012-06-29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300063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50485 2011-07-06
JP2011150485A JP5830987B2 (ja) 2011-07-06 2011-07-06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311A true KR20130006311A (ko) 2013-01-16

Family

ID=4667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422A KR20130006311A (ko) 2011-07-06 2012-06-29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360929B2 (ko)
EP (1) EP2544071A3 (ko)
JP (1) JP5830987B2 (ko)
KR (1) KR20130006311A (ko)
CN (1) CN1028688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9755B2 (en) 2017-05-31 2022-08-23 Amolifescience Co., Ltd. Heating patch, and warming device for skin car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628B1 (ko) * 2012-04-08 2017-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736773B1 (en) * 2012-08-13 2014-05-27 Nongqiang Fan Interacting with television screen with remote control having viewing screen
TWI637312B (zh) * 2012-09-19 2018-10-0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用於在透明顯示裝置顯示資訊的方法、顯示裝置及電腦可讀記錄媒體
KR101979017B1 (ko) * 2012-11-02 2019-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근접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51656B1 (ko) * 2013-01-22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N104246864B (zh) * 2013-02-22 2016-06-29 索尼公司 头戴式显示器和图像显示装置
US9741315B2 (en) * 2013-07-03 2017-08-2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djusting a transparent display with an image capturing device
US9256072B2 (en) * 2013-10-02 2016-02-09 Philip Scott Lyren Wearable electronic glasses that detect movement of a real object copies movement of a virtual object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453371B2 (en)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KR102185710B1 (ko) * 2014-06-19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그룹 플레이 시스템 및 그 수행 방법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CN107077195B (zh) * 2014-09-30 2020-09-29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显示对象指示符
US9454235B2 (en) * 2014-12-26 2016-09-27 Seungman KIM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sensing unit to input a user command and a method thereof
US9970631B2 (en) * 2015-01-20 2018-05-15 Benq Materials Corporation One-way vision window system
KR20160123622A (ko) * 2015-04-16 2016-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746902B2 (ja) * 2015-12-01 2020-08-26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作業者用頭部装着型ディスプレイの情報表示システム
US10712566B2 (en) 2015-11-26 2020-07-14 Denso Wave Incorporated Information displaying system provided with head-mounted type display
CN107452288B (zh) * 2016-05-31 2020-04-10 建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和电子广告的播放及互动方法
CN108227914B (zh) 2016-12-12 2021-03-05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使用其的控制方法及其控制器
US10887564B2 (en) 2016-12-22 2021-01-05 Maxell, Ltd. Projectio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therefor
KR102012343B1 (ko) * 2017-07-14 2019-08-20 선전 구딕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소 회로 및 이미지 감지 시스템
CN109388233B (zh) * 2017-08-14 2022-07-29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透明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307186B (zh) * 2018-02-07 2020-02-1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裸眼3d图像的显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11462194B1 (en) * 2018-07-30 2022-10-04 Apple Inc. Position sensors for system with overlapped displays
TWI669703B (zh) 2018-08-28 2019-08-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適於多人觀看的資訊顯示方法及資訊顯示裝置
TWI718410B (zh) 2018-09-14 2021-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目標物資訊的預載顯示方法及裝置
CN112753050A (zh) 2018-09-28 2021-05-04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102143083B1 (ko) 2019-04-26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93371A1 (en) * 2020-03-20 2021-09-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TWI767232B (zh) * 2020-05-20 2022-06-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透明顯示系統、視差校正方法與圖像輸出方法
US11393434B2 (en) * 2020-07-09 2022-07-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system for information display
EP3968259A1 (en) * 2020-09-15 2022-03-16 Hyosung Tns Inc. Digital desk and image control method using same
TWI818665B (zh) * 2021-11-10 2023-10-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資訊顯示方法及其資訊顯示系統與處理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0640A (ja) * 1995-01-12 1996-07-23 Hitachi Ltd 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0276613A (ja) * 1999-03-29 2000-10-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4226928A (ja) * 2003-01-27 2004-08-12 Sony Corp 立体画像表示装置
US20040233192A1 (en) * 2003-05-22 2004-11-25 Hopper Stephen A. Focally-controlled imaging system and method
ITTO20030662A1 (it) * 2003-08-29 2005-02-28 Fiat Ricerche Disposizione di visualizzazione virtuale per un quadro
JP4686176B2 (ja) * 2004-11-22 2011-05-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
JP4882285B2 (ja) * 2005-06-15 2012-02-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走行支援装置
US20080049020A1 (en) * 2006-08-22 2008-02-28 Carl Phillip Gusler Display Optimization For Viewer Position
US20100053151A1 (en) * 2008-09-02 2010-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line mediation for manipulating three-dimensional content on a display device
US8884734B2 (en) * 2008-11-17 2014-11-11 Roger Li-Chung Wu Vision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JP4781440B2 (ja) 2009-02-05 2011-09-28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画像撮影装置、画像撮影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8395529B2 (en) * 2009-04-02 2013-03-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Traffic infrastructure indicator on head-up display
KR101695809B1 (ko) * 2009-10-09 2017-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4924721B2 (ja) 2010-01-20 2012-04-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素材バンク管理システム
JP5211120B2 (ja) * 2010-07-30 2013-06-12 株式会社東芝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US20120102438A1 (en) * 2010-10-22 2012-04-26 Robinson Ian 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ased on device interactions
WO2012054063A1 (en) * 2010-10-22 2012-04-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n augmented reality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isplay
EP2500816B1 (en) * 2011-03-13 2018-05-16 LG Electronics Inc.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120438B2 (en) * 2011-05-25 2018-11-0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Eye gaze to alter device behavi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9755B2 (en) 2017-05-31 2022-08-23 Amolifescience Co., Ltd. Heating patch, and warming device for skin car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15796A (ja) 2013-01-24
US10074346B2 (en) 2018-09-11
JP5830987B2 (ja) 2015-12-09
US9360929B2 (en) 2016-06-07
CN102868897A (zh) 2013-01-09
US20160267887A1 (en) 2016-09-15
US20130009863A1 (en) 2013-01-10
EP2544071A2 (en) 2013-01-09
EP2544071A3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6311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9244526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displaying virtual objects in 3D with varying depth
JP6508280B2 (ja) 制御装置、検出装置、表示システム、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US8589822B2 (en)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views of selected portions of content
US201201130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US20100171697A1 (en) Method of controlling view of stereoscopic imag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using the same
US9703400B2 (en) Virtual plane in a stylus based stereoscopic display system
US9563275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533143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TWI657431B (zh) 動態顯示系統
US20150378159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progra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2108723A (ja) 指示受付装置
US94326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tereoscopic display method, and program
CN110073660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20160343174A1 (en) Three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US20150381970A1 (en) Input/output device, input/output program, and input/output method
JP20122561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252386A (ja) 表示装置
CN105867597A (zh) 3d交互方法及3d显示设备
JP2023531302A (ja) 動的な形状スケッチング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18069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13344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JP2024051341A (ja) 入力表示装置
JP201414256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1684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