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6063U - 박스해체장치 - Google Patents

박스해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6063U
KR20130006063U KR2020120002938U KR20120002938U KR20130006063U KR 20130006063 U KR20130006063 U KR 20130006063U KR 2020120002938 U KR2020120002938 U KR 2020120002938U KR 20120002938 U KR20120002938 U KR 20120002938U KR 20130006063 U KR20130006063 U KR 201300060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ox
extender
rota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9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235Y1 (ko
Inventor
주지훈
곽태옥
함경덕
김성엽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29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3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3Movements of forks relative to each other - 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5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박스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게차의 전방에 구비된 마스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쉬프터와; 상기 사이드 쉬프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신축되는 익스텐더와; 상기 익스텐더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유닛;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를 갖는 박스의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박스해체장치{A Box Dismantling Equipment}
본 고안은 박스해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를 갖는 박스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박스해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부품 등을 어느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특정 장소에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대형 목재 박스에 수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대형 목재 박스에 담겨있는 각종 부품 등을 다시 꺼내기 위해서는 여러 작업자가 각각 장도리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박스를 해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사람의 인력이 투입되어 박스를 해체하는 방법은 박스의 해체작업 진행이 매우 더디고, 작업진행 과정 중에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98년 12월 23일에 '박스 해체 장치'(출원번호:20-1998-0026152)라는 고안 명칭으로 박스해체를 위한 장치가 출원되었는데, 이것은 그 활용폭이 매우 좁을 뿐만 아니라 해체할 박스의 사이즈가 달라지면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높이조정을 하는 캐리지와, 좌우위치를 조정하는 사이드 쉬프터와, 회전각도를 조정하는 로테이터와, 박스와 지게차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익스텐더를 지게차에 설치하여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를 갖는 박스의 해체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박스해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는 지게차의 전방에 구비된 마스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쉬프터와; 상기 사이드 쉬프터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터와;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신축되는 익스텐더와; 상기 익스텐더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유닛;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익스텐더는 상기 로테이터에 설치되는 후방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와;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중앙부분이 상기 제1링크의 중앙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중앙부분이 상기 제3링크의 중앙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와; 상기 제3링크의 타단과 상기 제4링크의 타단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링크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유닛은 상기 익스텐더의 전방프레임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프레임과;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구비된 각각의 로드가 반대방향으로 진출입되도록 설치되는 상하부실린더와; 상기 상부실린더와 하부실린더의 로드에 연결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박스해체장치는 캐리지에 의하여 높이조정을 함과 아울러 사이드 쉬프터에 의하여 좌우조정을 하고, 로테이터에 의하여 회전각도를 조정함과 아울러 익스텐더에 길이조정을 하며, 블레이드유닛의 블레이드가 박스의 각 면을 이루는 각 판 사이를 벌림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와 형태를 갖는 박스의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익스텐더에 의하여 길이조정을 할 수 있으므로 지게차를 특정 지점에 정차시킨 이후에는 지게차와 박스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다시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좀 더 안전한 상태에서 박스해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게차만으로 박스의 해체작업 대부분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람의 인력투입을 최소화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를 보인 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캐리지가 상하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사이드 쉬프터가 좌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로테이터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블레이드유닛의 작동 모습을 보인 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블레이드유닛의 작동 모습을 위에서 본 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를 이용하여 박스의 상면판과 측면판을 해체하는 모습을 보인 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를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캐리지가 상하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사이드 쉬프터가 좌우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로테이터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블레이드유닛의 작동 모습을 보인 도이고,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블레이드유닛의 작동 모습을 위에서 본 도이며,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를 이용하여 박스의 상면판과 측면판을 해체하는 모습을 보인 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는 각종 부품 등을 수용하고 있는 대형 목재 박스를 해체하여 대형 목재 박스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각종 부품 등을 용이하게 꺼내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게차(C)의 전방에 구비된 마스트(Mast,M)에 설치되는 캐리지(Carriage,100)와, 상기 캐리지(100)에 설치되는 사이드 쉬프터(Side Shifter,200)와, 상기 사이드 쉬프터(200)에 설치되는 로테이터(Ratator,300)와, 상기 로테이터(300)에 설치되는 익스텐더(Extender,400)와, 상기 익스텐더(400)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유닛(Clamp Unit,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100)는 상기 마스트(M)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를 사용하여 높이가 높은 박스를 해체하고자 할 때는 캐리지(100)를 마스트(M)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사이드 쉬프터(200)는 상기 캐리지(10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를 이용하여 박스를 해체하기 위해 지게차(C)를 박스 앞의 특정 지점에 정차시켰는데 블레이드유닛(500)의 위치가 박스를 해체하기에 부적절한 곳에 위치되면 사이드 쉬프터(20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유닛(500)이 적절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테이터(300)는 상기 사이드 쉬프터(200)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박스(B)는 전/후면판과 좌/우측면판 상/하면판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인데, 로테이터(300)와 같은 장치가 없을 경우에는 블레이드유닛(500)으로 상면판만을 분리할 수 있거나 아니면 좌우측면판만을 분리할 수 있는 등 그 사용이 상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테이터(300)를 설치하는 것이다. 즉, 박스(B)의 상면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유닛(500)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540)가 전면판과 상면판의 연결부분을 분리하게 하고, 좌측면판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로테이터(300)를 회전시켜 블레이드(540)가 전면판과 좌측면판 사이에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전면판과 좌측면판 사이를 갈라서 좌측면판이 해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익스텐더(400)는 상기 로테이터(3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신축된다. 익스텐더(400)는 박스(B)와 지게차(C)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거나 너무 좁을 때 신장시키거나 축소시켜 실질적으로 박스(B)의 각 면을 해체하는 블레이드유닛(500)이 적절한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익스텐더(400)는 후방프레임(410)과,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와, 제3링크(440)와, 제4링크(450)와, 전방프레임(460) 및 유압실린더(470)로 구성된다.
상기 후방프레임(410)은 상기 로테이터(30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로테이터(300)가 회전할 때 로테이터(3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상기 제1링크(420)는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10)의 상부 일측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2링크(430)는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10)의 하부, 즉 상기 제1링크(420)가 설치된 곳에서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곳의 후방프레임(410)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링크(430)는 중앙부분이 상기 제1링크(420)의 중앙부분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링크(440)는 일단이 상기 제1링크(420)의 타단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4링크(450)는 일단이 상기 제2링크(4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제4링크(450)는 중앙부분이 상기 제3링크(440)의 중앙부분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방프레임(460)은 상기 제3링크(440)의 타단과 상기 제4링크(450)의 타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3링크(440)의 타단은 상기 전방프레임(460)의 상부 일측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4링크(450)의 타단은 상기 제3링크(440)가 설치된 곳에서 하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곳의 전방프레임(460) 하부에 핀결합 등과 같은 방식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70)는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링크(450)에 연결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압실린더(470)는 유압본체(471)가 상기 후방프레임(4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압본체(471)의 유압에 의하여 유압본체(471) 내부를 출입하는 유압로드(472)의 끝단이 상기 제4링크(45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470)에 유압이 공급되어 유압로드(472)가 유압본체(471)로부터 나오면 제4링크(450)가 상기 제2링크(430)의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제4링크(450)와 서로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 및 제3링크(440)도 회동하게 되어 익스텐더(400)의 길이가 신장된다.
여기서 좀 더 부연하면, 상기 유압실린더(470)의 유압로드(472) 끝단이 설치되는 위치가 반드시 상기 제4링크(450)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제1링크(420)나 제2링크(430)와 같은 곳이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유압로드(472)의 끝단이 연결되는 위치가 반드시 제4링크(45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블레이드유닛(500)은 상기 익스텐더(400)에 설치되어 박스(B)를 실질적으로 해체하는 것으로서, 블레이드 프레임(510)과, 상부실린더(520)와, 하부실린더(530) 및 블레이드(540)로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510)은 상기 익스텐더(400)의 전방프레임(46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상부실린더(520)는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5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유압을 제공하는 몸체(521)와, 상기 몸체(521)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하여 몸체(521) 내외부로 진출입되는 로드(52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실린더(530)는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5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실린더(520)와 마찬가지로 유압을 제공하는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하여 몸체(531) 내외부로 진출입되는 로드(53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실린더(520)와 하부실린더(530)는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510)에 상하방향으로 적층되게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실린더(520)에 구비된 로드(522)와 하부실린더(530)에 구비된 로드(53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출입되도록 설치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블레이드유닛(500)의 앞쪽에서 봤을 때 상기 상부실린더(520)는 로드(522)가 몸체(521)의 우측방향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상기 하부실린더(530)는 로드(532)가 몸체(531)의 좌측방향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블레이드(540)는 상기 상부실린더(520)와 하부실린더(530)의 로드(522,532)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좌측에 위치된 것과 우측에 위치된 것, 즉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블레이드유닛(500)의 앞쪽에서 봤을 때 좌측에 위치된 블레이드(540)는 상기 하부실린더(530)의 로드(532)에 연결되고, 우측에 위치된 블레이드(540)는 상기 상부실린더(520)의 로드(5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실린더(520)에 구비된 로드(522)와 하부실린더(530)에 구비된 로드(532)가 유압에 의하여 각각의 몸체로부터 인출됨으로써 노출되는 로드(522,532)의 길이가 길어지면 한 쌍의 블레이드(540)는 그 간격이 커지고, 각각의 몸체로부터 인입되어 노출되는 로드(522,532)의 길이가 짧아지면 한 쌍의 블레이드(540)는 그 간격이 작아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박스해체장치의 사용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게차(C)에 앉아있는 작업자가 지게차(C)를 운전하여 해체작업을 할 박스(B) 근처로 이동한 후 지게차(C)를 정차시킨다.
그런 다음, 캐리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사이드 쉬프터(200)를 좌우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로테이터(300)를 회전시켜 블레이드유닛(500)의 블레이드(540) 끝단이 박스(B)의 상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후 익스텐더(400)의 유압실린더(470)에 유압을 공급하여 유압로드(472)가 유압본체(471)로부터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익스텐더(400) 유압실린더(470)의 유압로드(472)가 유압본체(471)로부터 인출되면 유압로드(472)의 끝단에 연결되어 있던 익스텐더(400)의 제4링크(450)가 제2링크(430)의 타단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와 제3링크(440) 및 제4링크(450)의 상호작용으로 익스텐더(400)가 신장되어 박스(B)의 상면판과 전면판 사이에 침투하게 되는데, 이 상황에서 블레이드유닛(500)의 상부실린더(520)와 하부실린더(530)에 유압을 공급하면 상부실린더(520)의 로드(522)와 하부실린더(530)의 로드(532)가 운동하면서 한 쌍으로 되어 있는 블레이드(540)가 벌어지고, 이로 인하여 박스(B)의 상면판과 전면판 분리된다.
이후에 박스(B)의 측면판을 해체하고자 할 때는 로테이터(300)를 회전시켜 블레이드유닛(500)의 블레이드(540)가 박스(B)의 전면판과 측면판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와 같은 동일한 작용을 통해 전면판과 측면판을 분리시킨다.
100: 캐리지 200: 사이드 쉬프터
300: 로테이터 400: 익스텐더
410: 후방프레임 420: 제1링크
430: 제2링크 440: 제3링크
450: 제4링크 460: 전방프레임
470: 유압실린더 471: 유압본체
472: 유압로드 500: 블레이드유닛
510: 블레이드 프레임 520: 상부실린더
521: 몸체 522: 로드
530: 하부실린더 531: 몸체
532: 로드 540: 블레이드
B: 박스 C: 지게차
M: 마스트

Claims (3)

  1. 지게차(C)의 전방에 구비된 마스트(M)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캐리지(100)와;
    상기 캐리지(100)에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사이드 쉬프터(200)와;
    상기 사이드 쉬프터(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로테이터(300)와;
    상기 로테이터(300)에 설치되어 전후방으로 신축되는 익스텐더(400)와;
    상기 익스텐더(400)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유닛(5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해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더(400)는 상기 로테이터(300)에 설치되는 후방프레임(410)과;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10)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420)와;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10)의 하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중앙부분이 상기 제1링크(420)의 중앙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430)와;
    일단이 상기 제1링크(42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440)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4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중앙부분이 상기 제3링크(440)의 중앙부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450)와;
    상기 제3링크(440)의 타단과 상기 제4링크(450)의 타단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전방프레임(460)과;
    일단이 상기 후방프레임(4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4링크(450)에 연결되는 유압실린더(4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해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유닛(500)은 상기 익스텐더(400)의 전방프레임(460)에 설치되는 블레이드 프레임(510)과;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510)에 상하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구비된 각각의 로드(522,532)가 반대방향으로 진출입되도록 설치되는 상하부실린더(520,530)와;상기 상부실린더(520)와 하부실린더(530)의 로드(522,532)에 연결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5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해체장치.
KR2020120002938U 2012-04-10 2012-04-10 박스해체장치 KR2004712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38U KR200471235Y1 (ko) 2012-04-10 2012-04-10 박스해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938U KR200471235Y1 (ko) 2012-04-10 2012-04-10 박스해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063U true KR20130006063U (ko) 2013-10-21
KR200471235Y1 KR200471235Y1 (ko) 2014-02-12

Family

ID=5141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938U KR200471235Y1 (ko) 2012-04-10 2012-04-10 박스해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994A (zh) * 2018-12-13 2019-03-19 张亮 一种探入式叉车叉臂
CN111825027A (zh) * 2020-07-20 2020-10-27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一种剪叉机构
KR20210022326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레시스 리프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1881A (ko) * 1998-04-04 1998-10-26 양대근 지게차용 포크장치
KR20000013026U (ko) * 1998-12-23 2000-07-15 추호석 박스 해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84994A (zh) * 2018-12-13 2019-03-19 张亮 一种探入式叉车叉臂
CN109484994B (zh) * 2018-12-13 2020-07-31 台州市华普电机有限公司 一种探入式叉车叉臂
KR20210022326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엘레시스 리프트 장치
CN111825027A (zh) * 2020-07-20 2020-10-27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一种剪叉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35Y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35Y1 (ko) 박스해체장치
WO2015043740A1 (de) Handhabungsvorrichtung für bohrrohre einer tiefbohrvorrichtung
EP1020395A2 (de) Klemmgreifer für von oben zu greifende Lasten
CN104477663A (zh) 周转箱夹紧翻转机构
CN104444757B (zh) 一种前地板总成吊具
CN205926932U (zh) 一种定长钢丝钳
KR200474265Y1 (ko) 이동식 맨홀커버 인양장치
EP3494259A1 (de) Brückenstützeinrichtung zum abstützen eines brückensegments und verfahren zum betrieb von brückenstützeinrichtungen
CN104150397A (zh) 一种升降架
DE2946750A1 (de) Vorrichtung zum anheben und absenken von schaltafeln
KR101817338B1 (ko) 고소작업차량의 전복방지장치
CN103938632A (zh) 打桩定向机构
EP257037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eilen von grossen Tafeln
DE102012002313B4 (de) Bandschneider
CN103949840B (zh) 车架翻转装置
CN208375176U (zh) 一种拆分治具
EP2101016B1 (de) Verfahren zum Abnehmen der Außenschalung von Rundbehälterschalungen
DE102008024114A1 (de) Mobiler hydraulischer Holzspalter
DE511174C (de) Klemme fuer Maschinen zum Aufschneiden von Esswaren
CN203768908U (zh) 打桩定向机构
CN204081530U (zh) 一种集成架提升过程中的角度调整装置
EP2620235B1 (de) Vorrichtung zum ersetzen von pinnen in vier-pinnen-schmiedevorrichtungen
CN107866440A (zh) 多功能半自动电力设备拆解吊装装置
CN204590564U (zh) 一种伸缩式跳板
CN206912158U (zh) 一种锻压机的燕尾槽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