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871A - 전기 자동차 차체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871A
KR20130005871A KR1020110067526A KR20110067526A KR20130005871A KR 20130005871 A KR20130005871 A KR 20130005871A KR 1020110067526 A KR1020110067526 A KR 1020110067526A KR 20110067526 A KR20110067526 A KR 20110067526A KR 20130005871 A KR20130005871 A KR 20130005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electric vehicle
seat mounting
integrated
cr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2537B1 (ko
Inventor
김재현
이홍우
강연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7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53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Abstract

전기 자동차 차체 특히, 하부 차체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 차체는, 사이드 실; 및, 상기 사이드 실 사이에 연결되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에 부재의 변형 저항력을 높이도록 제공되는, 부재 내부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보강부재와, 부재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요홈부 또는 요철부 및, 부재의 일부분이 확장되는 확장부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패키지가 장착되는 플로워 판넬을 가로질러 사이드 실 사이에 장착되는 크로싱 부재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면서, 크로싱 부재 구조와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구조 개선을 통하여, 측면 충돌 또는 정면 충돌시 고가 부품인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최대한 억제 가능하게 함은 물론, 사이드 실과 시트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 구조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차체 특히, 하부 차체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키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차체{Body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차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패키지가 장착되는 플로워 판넬을 가로질러 사이드 실 사이에 장착되는 크로싱 부재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면서, 크로싱 부재 구조와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구조 개선을 통하여, 측면 충돌 또는 정면 충돌시 고가 부품인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최대한 억제 가능하게 함은 물론, 사이드 실과 시트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 구조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차체 특히, 하부 차체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킨 전기 자동차 차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래 환경을 위한 친환경적인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물론, 그 연구 개발이 집중적으로 자동차 제조사는 물론, 차체의 재료를 생산하는 제철공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와 같은 전기 자동차는 내부에 배터리를 포함하여 필요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여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동력으로 차량의 주행을 구현하는 것으로서, 배터리 관련 설계와 연구 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배터리 패키지(패키지)는 통상 하부 차체의 사이드 실 사이에 제공되는 플로워 부재의 하부에 장착되게 된다(다음의 도 2 참조)
그런데,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의 경우 상기 플로워 부재상으로 사이드 실 사이에 횡으로 연결되는 횡부재가 차체 플로워 부재의 구조 또는 가솔린 자동차의 경우 배기계통이 통과하는 터널 채널로 인하여, 분리 장착되는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의 횡부재의 경우 분리 장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특히 자동차의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충돌 하중을 저항하는 저항력이 미비한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어, 북미와 유럽의 경우 차량의 측면과 폴(예컨대, 전봇대 등)의 충돌을 모사하는 충돌 테스트 즉, 폴 충돌 테스트가 있는데, 도 12a와 같이 북미의 경우에는 차량의 측면에 경사지게 폴(PL)이 충돌되며, 도 12bB와 같이, 유럽의 경우 차량의 측면에 수직으로 폴(PL)이 충돌되는 환경에서 테스트가 실시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하고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터널 판넬(CM)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제공된 종래의 분리형 횡부재(Crossing Member)인 CM1,CM2 중 전봇대와 같은 폴(PL)이 측면에서 충돌하면 충격하중이 사이드 실(미부호)과 그 사이의 분리된 횡부재를 쉽게 찌그러트리고, 결과적으로 플러워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배터리 패키지(도 13에는 개략적으로 나타냄)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었다.
즉, 종래의 경우 분리된 횡부재로 인하여, 폴이 충돌하여 침입하면 배터리 패키지의 내장된 고가의 배터리 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사이드 실 사이의 횡부재 즉, 크로싱 부재의 구조 개선과 시트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 구조 개선 등을 통하여 전기 자동차의 측면으로 폴 등이 침투되어도 배터리 패키지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배터리 패키지가 장착되는 플로워 판넬을 가로질러 사이드 실 사이에 장착되는 크로싱 부재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면서, 크로싱 부재 구조와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구조 개선을 통하여, 측면 충돌 또는 정면 충돌시 고가 부품인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최대한 억제 가능하게 함은 물론, 사이드 실과 시트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 구조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차체 특히, 하부 차체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킨 전기 자동차 차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사이드 실; 및,
상기 사이드 실 사이에 연결되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 자동차 차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이드 실과 일체형 크로싱 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로어 판넬을 더 포함하여 하부 차체로 구성되면서 하부에는 배터리 패키지가 장착되어 적어도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를 매개로 차체의 충격 인가시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억제토록 구성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에 부재의 변형 저항력을 높이도록 제공되는,
부재 내부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보강부재;
부재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요홈부 또는 요철부; 및,
부재의 일부분이 확장되는 확장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직각방향으로 차체 전방측에 결합되어 전방 충돌에 의한 배터리 패키지로의 충격 인가를 차단토록 제공되는 보강 터널판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강 터널판넬은 곡율을 갖는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 터널판넬의 곡율 면은 상면에 제공되면서 판넬 길이방향으로 곡면에서 평면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제공되어 충격 인가시 좌굴을 억제토록 구성되되, 상기 곡율 면의 곡율 R은 1200 - 1700 mm 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시트 마운팅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와 시트 마운팅 부재가 접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가 관통 접합되는 제1 접합부;와,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측면이 접합되는 제2 접합부; 및,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플랜지가 접합되는 제3 접합부 중 적어도 제1 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에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에 구비된 길이방향 요홈부에 밀착되면서 부재의 변형 저항력을 더 높이도록 제공된 제2 요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의 제2 요홈부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용접을 통하여 크로싱 부재와 마운팅 부재의 면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 패키지가 장착되는 플로워 판넬을 가로질러 사이드 실 사이에 장착되는 크로싱 부재를 일체형으로 제공하면서, 크로싱 부재 구조와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구조 개선을 통하여, 측면 충돌 또는 정면 충돌시 고가 부품인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최대한 억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가의 배터리 셀과 같은 주요 부품의 안정성을 더 확실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 실과 시트 마운팅 부재와의 접합 구조 개선으로, 궁극적으로 전기 자동차의 차체 특히, 하부 차체의 구조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패키지(패키지)가 조립되는 전기 자동차의 차체(하부 차체)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 전기 자동차 차체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에 장착되는 시트 마운팅 부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일체형 크로싱 부재와 사이드 실 및 시트 마운팅 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일체형 크로싱 부재와 시트 마운팅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조도
도 9는 도 8을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차체 구조시 도 12의 북미와 유럽의 폴 충돌 테스트의 환경하에서의 배터리 패키지 파손 억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2는 종래 북미와 유럽의 폴 충돌 테스트를 나타낸 개략도
도 13은 종래 분리된 횡부재에 의한 배터리 장착부위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 차체(1) 즉, 하부 차체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 및 도 3에서는 조립 상태도 및 분해 사시도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도 2의 'A-A'선 및 'B-B'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는, 기본적으로 사이드 실(10) 및, 상기 사이드 실 사이에 연결되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로 구성된 것에 그 구성적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는 사이드 실 사이에 크로싱 부재(30)를 도 13의 종래와 같이 중앙의 터널채널에 의한 분리형 대신에, 통자의 일체형으로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는, 1200 MPa 의 고강도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고강도를 갖는 소재이므로 실제 제조시에는 강판 소재를 성형하는 롤 포밍(roll forming) 공정을 통하여 제작하는 것이다.
물론, 반드시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가 상기의 강도 조건에 만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부재(30)가 기본적으로 다음의 도 11에서 시뮬레이션으로 설명하듯이, 차체의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 예컨대, 전봇대 등의 폴(PL)이 충돌하는 경우의 측면 충돌 하중을 견디도록 제공되면서, 차체 하부에 장착되는 배터리 패키지(패키지)(100)에서 특히 고가 소재인 배터리 셀(도 4의 15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는 근대 각광받는 하이드로 포밍 공정을 통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물론, 롤 포밍이나 하이드로 포밍이나 소재의 강도 조건 즉, 성형성과 관련하여 적정하게 선택하면 될 것이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1)에서, 상기 사이드 실(10)과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로워 판넬(50)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자동차 차체는 플러워 판넬(50)이 구비되는 하부 차체로 구성되면서, 하부에는 배터리 패키지(100)가 장착되어 사실상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를 매개로 차체의 측방 충돌 하중 인가시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억제토록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배터리 패키지(100)는 상부 케이스(110)의 하부에 하부 프레임(130)이 장착되고, 이들 하부 프레임(130)과 상부 케이스 사이에는 하부 케이스(미부호)가 조립되고, 그 내부에 고가 부품인 배터리 셀(150)이 내장되게 된다.
상기 배터리 패키지의 하부 프레임(13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사이드 실(10)에 견고하게 용접 접합되거나 별도의 체결 구조로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실에 가해지는 충격은 바로 배터리 패키지에 영향을 주고, 결국 본 발명은 일체형 크로싱 부재(30)가 사이드 실이 안쪽으로 과도하게 찌그러지는 것을 억제하여 배터리 패키지(100)의 파손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의 내부에는 플로워 부재(50)상에 접합되어 크로싱 부재의 변형 저항력을 높이도록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32) 즉, 보강 브라켓트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보강부재(32)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에 충격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휨 변형은 물론, 좌굴 등의 과도한 변형을 억제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는 단면상 U자형 형태로서 그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요홈부(34) 또는 요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요홈부(34)는, 길이방향으로 크로싱부재를 따라 아래방향으로 오목한 홈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부분에서의 부재의 비틀림, 휨 변형에 더 자항하는 저향력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요홈부(34)는 크로싱 부재의 양측부에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1)의 하단부 양측에는 플렌지부(30a)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플랜지부(30a)는 사이드 실(10)의 플랜지부분(미부호)와 플로워 판넬(50)에 각각 접합되는 접합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의 경우에는, 양단을 롤 포밍을 통하여 확장시키는 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확장되도록 한 확장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확장부(36)는 부재의 비틀림이나 휨 저항을 높여서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 하중에 더 견고하게 버티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확장부(36)는 롤 포밍 예컨대, 알려진 가변 롤 포밍(flexible roll forming) 공법을 통하여 충분히 확장 제조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요홈부(34)와 확장부(36)를 통하여 자체 강도를 높이는 한편, 별도의 브라켓트 부재인 보강부재(32)를 내재시키어 더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부재(1)는 위의 여러 구성적 특징들을 포함하여 자체 강도를 극대화하면서 사이드 실(10)사이에 접합 제공되므로, 매우 양호한 전기 자동차 차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30)의 중앙부분으로 그 직각방향으로 보강 터널판넬(90)을 더 부착 시킬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터널 판넬(90)은 그 플랜지 부분에 플로워 판넬(50)이 접합될 수 있고, 무엇 보다도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의 전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면서 전방 충돌에 의한 충격 하중이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고, 먼저 찌그러지면서 충격 하중을 흡수하여 크로싱 부재의 파손 등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보강 터널판넬(90)은 접합부재(92)를 통하여 본 발명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의 플랜지(30a)에 접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터널판넬(90)의 반대측으로 보강 판넬(94)이 플로워 판넬 상에 접합 제공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터널판넬(90)은 곡율을 갖는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보강 터널판넬의 곡율면은 기존의 평탄한 면(상면)을 형성하는 것에 비하여 충돌시 판넬의 끝부분(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접면)에서 좌굴되는 형상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보강 터널판넬의 상기 곡율면은 도 3 및 도 5에서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 않았지만, 판넬의 상면에 제공되면서 판넬의 길이방향으로 전방측에서 파넬이 들어 올려진 형태로 곡면이 시작되다가 판넬의 반대측에서 평면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제공되는 것이, 좌굴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데에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곡율면이 판넬의 끝까지 형성되는 경우 보다는 곡면에서 평면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판넬 몸체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더 좌굴 억제에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보강 터널판넬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곡율면(미부호)의 곡율은 R은 1200 - 1700 mm이 바람직한데, 상기 곡율 R이 1200mm 보다 작으면, 곡율면의 형태가 너무 작아 좌굴 억제의 효과가 적고, 반대로 상기 곡율 R이 1700mm 보다 크면 거의 평면과 같게 되면서 판넬 끝(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접면부분)에서 좌굴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플로워 판넬(50)의 하부로 사이드 실(10)에는 연결부재(98)를 매개로 사이드 실(10)에 접합되어 플로워판넬의 강도를 유지시키고, 비틀림 등의 변형 요인을 억제시키는 보강빔(96)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는 하나 이상의 시트 마운팅 부재(70)들이 장착되면서, 시트 장착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70)에는 시트가 나사 체결되는 나사홈이 구비된 시트 장착 브라켓트(80)이 양측 단부에 각각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는 사이드 실(10)사이에 접합 고정되기 전에, 상기 사트 마운팅 부재(80)들이 일체형의 크로싱 부재에 접합되고, 그 다음 상기 시트 마운팅부재(80)들을 도 2와 같이, 사이드 실(10)에 접합한다.
즉,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를 먼저 사이드 실(10)사이로 사이드 실의 플랜지와 플로워 판넬(50)에 접합하는 경우, 시트 마운팅 부재(80)의 장착이 어렵고, 특히 강도면서도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견고하게 시트 마운팅 부재(80)를 일체형 크로싱부재(30)에 접합하여 긴밀하고 견고한 강도를 갖게 하고, 그 상태에서 사이드 실과 플로워 판넬 등에 접합하는 것이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마운팅 부재(70)는 그 장착 위치에 따라 구조적으로 다소의 차이가 있는데, 예를 들어 양측의 사이드 실측의 마운팅 부재와 중앙의 시트 마운팅 부재와는 구조상 다소의 차이가 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시트 마운팅 부재(70)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와의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접합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마운팅 부재(70)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가 관통 접합되는 제1 접합부(72)(즉, 상부 접합면)과,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측면이 접합되는 부재에서 수직하게 절곡된 제2 접합부(74) 및,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플랜지(30a)가 접합되는 제3 접합부(76) (즉, 시트 마운팅 부재(70)의 일부 절개부분)중 적어도 상기 제1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시트 마운팅 부재(70)의 제1 내지 제3 접합부(72) (74)(76)들이 다단의 위치에서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와 접합되기 때문에, 그 견고함을 안정적으로 유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7에서는 사이드 실(100)에 조립되는 시트 마운팅 부재(70)에만 제1 내지 제3 접합부(72)(74)(76)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도 6에서 다른 위치의 시트 마운팅 부재에도 제1 내지 제3 접합부를 구비하도록 함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체형 크로싱부재(30)가 기본적으로 관통하는 개구 부분과 그 개구부분의 절곡된 제2 접합부(74)와 개구부분의 마운팅 부재의 상면과 그 하부에 밀착되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강도 유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체형 크로싱 부재(30)가 통과하여 접합되는 시트 마운팅 부재(70)의 상부면에서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30)에 구비된 길이방향 요홈부(34)에 대응하는 제2 요홈부(78)를 형성시키면 이들 요홈부들이 밀착되면서 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휨 억제를 더 효과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에 구비된 길이방향 요홈부(32)와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70)에 제공되는 제2 요홈부(78)는 서로 밀착되면서 서로를 지지하는 구조로서, 결과적으로 부재들의 변형 저항력을 더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도 9에서는 도 7 및 도 8을 평면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요홈부(34)에 밀착되는 시트 마운팅 부재의 제2 요홈부(78)에 하나 이상의 구멍(79)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점용접 예컨대, 알려진 플러그 용접을 실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9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의 요홈부(78)에 접합되는 시트 마운팅 부재(70)의 제2 요홈부(78)에 하나 또는 그 이상 슬릿형태로 형성된 구멍(79)을 통하여 용접시 크로싱부재와 시트 마운팅 부재가 접합되는 용접층(w)이 형성되고, 따라서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와 시트 마운팅 부재간 접합력을 극대화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와 시트 마운팅부재(70)들을 먼저 접합하고, 그 다음 사이드 실에 일체형 크로싱 부재와 시트 마운팅 부재를 접합하는 것이 접합 단계이므로, 이와 같은 시트 마운팅 부재와 일체형 크로싱부재간 점용접은 어렵지 않고, 미리 자동화 용접도 가능할 것이다.
이때, 도 7과 같이,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70)중 사이드 실(10)에 접합되는 양측 부재에는 사이드 실(10)과의 접합면을 형성하는 접합단(82)이 일체로 제공되는 한편, 사이드 실 플랜지와 플로워 판넬에 접합되는 플랜지부(86a)(86b)(86c)들이 일체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 6에서 사이드 실과 접촉하지 않는 중앙측 시트 마운팅 부재(70)들은 사이드 실과의 접합과는 무관하지만 앞에서 설명한 보강 터널판넬(90) 등의 접합을 위한 플랜지 부분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11a 및 도 11b에서는 도 12a 및 도 12b에서와 같이, 북미와 유렵에서의 폴 충돌 테스트를 적용한 경우, 본 발명 사이드 실 사이에 접합 제공되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를 사용하는 경우, 부재의 변형이 회소화 되면서 도 13과 같이, 종래의 배터리 패키지(100)의 완전한 파손일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 전기 자동차 차체(하부 차체) 10.... 사이드 실
30.... 일체형 크로싱 부재 32.... 보강부재
34.... 길이방향 요홈부 또는 요철부 36.... 확장부
70.... 시트 마운팅 부재 72.... 제1 접합부
74.... 제2 접합부 76.... 제3 접합부
78.... 제2 요홈부 80.... 구멍
90.... 보강 터널판넬 100.... 배터리 패키지
110.... 상부 케이스 130.... 하부 프레임
150.... 배터리 셀

Claims (11)

  1. 사이드 실(10); 및,
    상기 사이드 실 사이에 연결되는 일체형 크로싱 부재(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 자동차 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실(10)과 일체형 크로싱 부재(30)를 매개로 결합되는 플로어 판넬(50)을 더 포함하여 하부 차체로 구성되면서 하부에는 배터리 패키지(100)가 장착되어 적어도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를 매개로 차체의 충격 인가시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억제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에 부재의 변형 저항력을 높이도록 제공되는,
    부재 내부에 하나 이상 제공되는 보강부재(32);
    부재 길이방향으로 제공되는 요홈부(34) 또는 요철부; 및,
    부재의 일부분이 확장되는 확장부(36);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직각방향으로 차체 전방측에 결합되어 전방 충돌에 의한 배터리 패키지로의 충격을 흡수하여 배터리 패키지의 파손을 억제토록 제공되는 보강 터널판넬(9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터널판넬(90)은 곡율을 갖는 면;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터널판넬(90)의 곡율 면은 상면에 제공되면서 판넬 길이방향으로 곡면에서 평면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제공되어 충격 인가시 좌굴을 억제토록 구성되되, 상기 곡율 면의 곡율 R은 1200 - 1700 mm 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시트 마운팅 부재(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와 시트 마운팅 부재가 접합된 상태에서 사이드 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70)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가 관통 접합되는 제1 접합부(72);
    상기 일체형 크로싱부재의 측면이 접합되는 제2 접합부(74); 및,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의 플랜지가 접합되는 제3 접합부(76);
    중 적어도 제1 접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70)에는, 상기 일체형 크로싱 부재(30)에 구비된 길이방향 요홈부(32)에 밀착되면서 부재의 변형 저항력을 더 높이도록 제공된 제2 요홈부(7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마운팅 부재의 제2 요홈부(78)에는 구멍(80)이 형성되고 용접을 통하여 크로싱 부재와 마운팅 부재의 면 접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차체.
KR1020110067526A 2011-07-07 2011-07-07 전기 자동차 차체 KR10126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526A KR101262537B1 (ko) 2011-07-07 2011-07-07 전기 자동차 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526A KR101262537B1 (ko) 2011-07-07 2011-07-07 전기 자동차 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871A true KR20130005871A (ko) 2013-01-16
KR101262537B1 KR101262537B1 (ko) 2013-05-08

Family

ID=4783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526A KR101262537B1 (ko) 2011-07-07 2011-07-07 전기 자동차 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9939A1 (zh) * 2017-12-08 2019-06-13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辆地板的横梁、车辆地板、铝合金挤出成型件和车辆
KR20210011646A (ko) 2019-07-23 2021-02-0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엘이디 섬유원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326A (ko) * 2020-09-04 2022-03-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4082B2 (ja) * 2009-01-15 2014-03-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床部構造
JP5391771B2 (ja) * 2009-03-26 2014-01-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車体下部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9939A1 (zh) * 2017-12-08 2019-06-13 蔚来汽车有限公司 车辆地板的横梁、车辆地板、铝合金挤出成型件和车辆
KR20210011646A (ko) 2019-07-23 2021-02-0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유연성을 갖는 엘이디 섬유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2537B1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68602B (zh) 车身的电池支撑结构
US7270369B2 (en)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EP3305628B1 (en) Automobile engine compartment assembly
US7204547B2 (en)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KR101505012B1 (ko) 펜더 패널 부착 구조
US20190275874A1 (en) Lower vehicle body structure
US8651564B2 (en) Polygonal cross-sectional frame, and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20060105030A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CN110304151B (zh) 车辆的前部车身结构
CN108100043B (zh) 后车身结构
KR101262537B1 (ko) 전기 자동차 차체
CN107709144B (zh) 车身前部构造
KR101325380B1 (ko) 전기 자동차의 언더 바디
JP2011194945A (ja) 車両側部結合部構造
CN101704385A (zh) 一种汽车前纵梁与前地板纵梁的连接结构
KR101583840B1 (ko) 대쉬로워멤버 구조
CN110155182A (zh) 车身结构
CN109305229A (zh) 车身构造
JP4938717B2 (ja) 車体前部構造
KR101427957B1 (ko) 차량의 필러구조
JP6734334B2 (ja) 車両の下部構造
CN202272055U (zh) 加强装置及车辆
KR20110042855A (ko) 센터 플로어 구조
CN115140184B (zh) 车身后部结构
KR101125320B1 (ko) 차량의 천정 강도 향상을 위한 차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