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012B1 - 펜더 패널 부착 구조 - Google Patents

펜더 패널 부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012B1
KR101505012B1 KR1020147002653A KR20147002653A KR101505012B1 KR 101505012 B1 KR101505012 B1 KR 101505012B1 KR 1020147002653 A KR1020147002653 A KR 1020147002653A KR 20147002653 A KR20147002653 A KR 20147002653A KR 101505012 B1 KR101505012 B1 KR 10150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panel
support leg
vehicle
pai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2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5609A (ko
Inventor
텟페이 츠네야마
가츠야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02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프론트 펜더 패널(10)과 에이프런 어퍼 멤버(14)는, 충격 흡수 브래킷(20)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충격 흡수 브래킷(20)은,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서로 각도를 이루는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를 가지고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는, 연결부(33)를 개재하여, 펜더 패널 부착부(24)보다 차량 하방 측에서 연접되어 있다.

Description

펜더 패널 부착 구조{FENDER PANEL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의 펜더 패널의 상부 내측 단부(端部)를, 충격 흡수 브래킷을 개재하여, 차체 측 구성 부재에 부착하는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8-137540호 공보의 도 15에는, 펜더 패널의 상단(上端) 내측부를, 펜더 브래킷을 개재하여 에이프런 어퍼(upper) 멤버의 상단 수평부에 부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펜더 브래킷은, 차량 측방에서 보아 대략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절곡부(능선)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펜더 브래킷에 의하면, 펜더 패널과 후드의 단면부에 충돌체가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충돌한 경우, 펜더 브래킷이 절곡부에서 구부림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높은 보행자 보호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펜더 브래킷은, 충돌 하중의 입력 시에, 지지 다리부의 절곡부를 변형 기점으로 하기 위해, 절곡부에 취약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특히, 당해 절곡부의 변형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剛性)이 낮아져서, 펜더 패널의 상부 내측 단부의 맞음새(fitting) 강성을 높게 하는 것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 형성된 절곡부를 구부림 변형시켜 충돌 하중의 흡수를 행함으로써 보행자 보호 성능을 확보함과 함께, 펜더 패널의 맞음새 강성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차체 전부(前部)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의 상부 내측 단부와, 상기 펜더 패널의 상부 내측 단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펜더 패널의 부착 상대가 되는 차체 측 구성 부재와, 상기 상부 내측 단부가 부착되는 펜더 패널 부착부, 상기 차체 측 구성 부재에 부착되는 차체 부착 기부(基部), 판 형상으로 되고,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와 상기 차체 부착 기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 연결하며, 각각에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 일단(一端)으로부터 타단(他端)에 걸쳐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서로의 판면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의 입력에 의해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 흡수 브래킷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충격 흡수 브래킷은, 펜더 패널의 상단측 부착부가 펜더 패널 부착부에 부착되고, 차체 측 구성 부재에 차체 부착 기부가 부착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지지 다리부는, 펜더 패널 부착부와 차체 부착 기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 연결한다. 또한, 여기서의 연결은, 직접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을 개재한 간접적인 연결이더라도 된다. 한 쌍의 지지 다리부에는, 각각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절곡된 절곡부(능선)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 다리부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서로의 판면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지지 다리부는, 펜더 패널 부착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서 연결부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펜더 패널의 상단측 부착부는 충격 흡수 브래킷을 개재하여 차체 측 구성 부재에 부착되어 있다. 충격 흡수 브래킷은,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의 입력에 의해 절곡부를 기점으로 하여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한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판면끼리가 각도를 가짐으로써, 판면끼리가 각도를 가지지 않는 경우, 즉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서로의 판면이 면일(面一, 단차가 없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면 계수가 크게 되어 있다. 따라서, 면 바깥 방향으로의 변형이 억제되어, 펜더 패널의 맞음새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펜더 패널 부착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 연결부를 가짐으로써, 당해 연결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펜더 패널의 맞음새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청구항 1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사이에, 상기 절곡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 걸치는 개구부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지지 다리부는, 개구부에 인접하는 부분끼리가 이간되어 있으므로, 개구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당해 개구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변형 하중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충돌 하중의 입력이 있던 경우에, 각각의 절곡부의 변형을 원활하게 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제 2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착 기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와 반대측 단부가 굴곡되면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굴곡된 굴곡부를 걸치도록 연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의하면, 한 쌍의 지지 다리부는, 개구부의 상단으로부터 차체 부착 기부와의 경계에 배치되는 굴곡부를 걸친 위치까지 서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충돌 하중의 입력이 있던 경우에, 각각의 절곡부 및 굴곡부를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다. 즉, 절곡부 및 굴곡부를 기점으로 하는 각각의 지지 다리부의 변형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진행된다. 이에 따라, 차종에 의해 펜더 패널의 형상 디자인이 다른 것에 수반하여 충격 흡수 브래킷의 형상 사양을 변경해도, 맞음새 강성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흡수 성능(보행자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제 3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착 기부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일방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제 1 차체 부착 기부와, 타방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제 2 차체 부착 기부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의하면,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일방 및 제 1 차체 부착 기부와,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타방 및 제 2 차체 부착 기부가 이간되어 있으므로, 각각을 독립적으로 차체 측 구성 부재에 부착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5 태양의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펜더 패널 부착부는 육각 판 형상으로 되고, 이웃하는 두 변에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태양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 의하면, 육각 판 형상의 펜더 패널 부착부의 두 변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한 쌍의 지지 다리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의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절곡부끼리가 각도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펜더 패널의 맞음새 강성을 높게 할 수 있고, 펜더 패널 부착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 연결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펜더 패널의 부착 강성을 높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2 태양의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변형 하중을 낮출 수 있어, 각각의 절곡부의 변형을 원활하게 개시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3 태양의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각각의 절곡부 및 굴곡부를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절곡부 및 굴곡부를 기점으로 하는 각각의 지지 다리부의 변형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진행되고, 차종에 의해 펜더 패널의 형상이 다른 것에 수반하여 충격 흡수 브래킷의 형상을 변화시켜도, 맞음새 강성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흡수 성능(보행자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도 가진다.
제 4 태양의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일방 및 제 1 차체 부착 기부와,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타방 및 제 2 차체 부착 기부를, 각각을 독립적으로 차체 측 구성 부재에 부착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5 태양의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는, 펜더 패널 부착부는 육각 판 형상으로 되고, 이웃하는 두 변에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를 엔진 룸 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를 차량 전방 측에서 보아 나타내는 도 1의 2-2선을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변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엔진 룸 측에서 본 것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변형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엔진 룸 측에서 본 것이다.
도 17은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격 흡수 브래킷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에, 도 1∼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에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 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은 차량 상방 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OUT은 차량 폭 방향 외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60)를 엔진 룸의 내측에서 본 측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 도 2에는, 당해 펜더 패널 부착 구조(60)를 차폭 방향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차량 전방 측에서 본 종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체 전부의 측면에는, 프론트 펜더 패널(10)이 배치되어 있다. 프론트 펜더 패널(10)은, 전륜(前輪)의 상방 측을 덮어 디자인면을 구성하는 외측 세로 벽부(10A)와, 이 외측 세로 벽부(10A)의 상단부로부터 수하되어 엔진 룸(12) 측으로 굴곡(연장 돌출)된 상부 내측 단부로서의 내측 세로 벽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의 하방에는, 차체 측 구성 부재로서의 에이프런 어퍼 멤버(14)가 배치되어 있다. 에이프런 어퍼 멤버(14)는 하향으로 개방된 대략 "コ"자 형상 단면의 긴 형상의 차체 골격 부재이고,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의 상단부 사이에는, 차체 전부 상면을 구성함과 함께 엔진 룸(12)을 개폐하는 후드(16)(도 2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후드(16)의 폭 방향 바깥 단부(16A)의 하부 가장자리 측에는 탄성 재료(예를 들면 고무)에 의해서 구성된 도시하지 않는 시일(seal)재가 배치되어 있고,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의 상단부(10B’)와 후드(16)의 폭 방향 바깥 단부(16A)의 단면부(22)를 시일하고 있다.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는, 차량 전후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충격 흡수 브래킷(20)을 개재하여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상면의 정상 벽부(14A)에 부착되어 있다. 충격 흡수 브래킷(20)은, 차량 측면에서 보아 대략 모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펜더 패널 부착부(24), 차체 부착 기부(26),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로 차체 부착 기부(26)가 구성되어 있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로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가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는, 펜더 패널 부착부(24)를 사이에 두고 차량의 전측(前側)과 후측(後側)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를 2세트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충격 흡수 브래킷(20)의 펜더 패널 부착부(24)는 육각형 판 형상으로 되고, 중앙부에는 볼트 삽입 통과 구멍(24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펜더 패널 부착부(24)는 육각형 판 형상 이외의 다각 형상이더라도 된다. 펜더 패널 부착부(24)는,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의 수평부(10B2)가 재치된 상태에서,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가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의 부착은, 볼트(BL)가 수평부(10B2)의 상방 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하면(下面) 측의 너트(NT)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웰드 너트(weld nut)를 미리 너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해 두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펜더 패널 부착부(24)가 이웃하는 2개의 단변(端邊)(24D, 24E)으로부터는,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는,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32)는, 판 형상으로 되고, 일방의 단변(24D)으로부터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 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32)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절곡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2A)는, 제 1 지지 다리부(32)의 중간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 1 지지 다리부(3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펜더 패널 부착부(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34)는, 판 형상으로 되고, 타방의 단변(24E)으로부터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 측을 향해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34)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절곡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34A)는, 절곡부(32A)와 동일하게,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중간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펜더 패널 부착부(2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는, 펜더 패널 부착부(24)로부터 차량 하측에 있어서, 연결부(33)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다. 연결부(33)는,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사이에 형성되는 세로 방향(차량 상하 방향)의 접힘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33)는, 절곡부(32A, 34A)보다 차량 상측에 설정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가 이루는 각도 α는, 90°≤α < 180°의 범위 내로 설정된다.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사이에서, 연결부(33)로부터 차량 하측에는,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8)는, 후술하는 차체 부착 기부(26)와의 경계 부분인 굴곡부(32B) 및 굴곡부(34B)에 대응하는 부분에까지 도달하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측을 분리하고 있다. 개구부(38)의 차량 폭 방향의 길이는, 0보다 크면 되고, 요구되는 강성이나, 에너지 흡수 성능(보행자 보호 성능)에 따라 설계된다.
제 1 지지 다리부(32)의 차량 하측 선단(先端)에는, 제 1 차체 부착 기부(27)가 연접되어 있다. 제 1 차체 부착 기부(27)는, 제 1 지지 다리부(32)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와 면 접촉 상태가 되도록 굴곡되고(이하, 이 굴곡된 부분을 「굴곡부(32B)」라고 한다), 스폿 용접 등에 의해서 정상 벽부(14A)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차량 하측 선단에는, 제 2 차체 부착 기부(28)가 연접되어 있다.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는, 제 2 지지 다리부(34)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와 면 접촉 상태가 되도록 굴곡되고(이하, 이 굴곡된 부분을 「굴곡부(34B)」라고 한다), 스폿 용접 등에 의해서 정상 벽부(14A)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차체 부착 기부(27)와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는, 서로 독립하도록 분리되고,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펜더 패널 부착부(24)의 2개의 단변(24D, 24E)과 대향하는 단변(24F, 24G)에도, 상기와 동일 구성의 제 1 지지 다리부(32)로부터,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지지 다리부(34), 제 2 차체 부착 기부(28), 및 연결부(33)까지의 부재가 연접되어 있다. 단변(24D, 24E)에 연접된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와, 단변(24F, 24G)에 연접된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는, 펜더 패널 부착부(24)를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고, 차량 측면에서 보아 대략 "ハ"자 형상으로(차량 하방 측을 향해 서로 이반(離反)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 브래킷(20)은, 금속제로 되고, 펜더 패널 부착부(24),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 연결부(33),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및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는, 한 장 판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브래킷(20)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그 밖의 방법, 예를 들면, 구멍을 뚫은 판을 구부려서, 용접 등에 의해 연결시켜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충격 흡수 브래킷(20)은,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에 의해,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를,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상에 지지하고 있다. 충돌체(90)가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프론트 펜더 패널(10)과 후드(16)의 단면부(22)에 충돌하면, 충돌 하중 F는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를 개재하여 충격 흡수 브래킷(20)에 입력된 후,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에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충격 흡수 브래킷(20)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소성 변형됨(찌그러짐)으로써, 충돌 시의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진다.
상기의 소성 변형은, 도 4의 일점쇄선 D1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32A, 34A)가 기점이 되어 개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곡부(32A, 34A)를 걸치도록 개구부(38)가 형성되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는 개구부(38)에 인접하는 부분끼리가 이간되어 있으므로, 절곡부(32A, 34A)의 변형 하중이 작아져서, 각각의 절곡부(32A, 34A)의 변형을 원활하게 개시시킬 수 있다.
상기의 소성 변형은, 펜더 패널 부착부(24)가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에 접근하도록 절곡부(32A, 34A), 및 굴곡부(32B, 34B)가 접혀 구부러져 진행되고, 충격 흡수 브래킷(20)이, 이점쇄선 D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평탄 형상으로 찌그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38)가 굴곡부(32B)와 굴곡부(34B)에 대응하는 부분에까지 도달하도록 형성되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측이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절곡부(32A, 34A), 및 굴곡부(32B, 34B)를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고, 각각의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의 변형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진행된다. 이에 따라, 차종에 의해 프론트 펜더 패널의 형상 디자인이 다른 것에 수반하여 충격 흡수 브래킷의 형상 사양을 변경해도, 맞음새 강성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흡수 성능(보행자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부착 기부(26)는, 각각 독립된 제 1 차체 부착 기부(27)와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각을 독립적으로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에 부착할 수 있어,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체 부착 기부(26)가, 각각 독립된 제 1 차체 부착 기부(27)와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로 분할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도 5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70)과 같이, 차체 부착 기부(2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33)가,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 사이의 세로 방향(차량 상하 방향)의 접힘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연결부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72)과 같이,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사이에 연결판(33A)을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연결부를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펜더 패널 부착부(24)는 연결판(33A)을 연접시키기 위한 단변(24M, 24N)이 증가되어 팔각형이 되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연결판(33A)의 사이, 및 제 2 지지 다리부(34)와 연결판(33A)의 사이에 세로 방향의 접힘선(L)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사이에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각도가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구부(38)를 굴곡부(32B)와 굴곡부(34B)에 대응하는 부분에까지 도달하도록 형성했지만, 도 7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74)과 같이, 개구부(38)는,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까지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개구부(38)보다 하측에,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를 연결하는 판 형상의 연결부(33B)가 형성되게 된다.
나아가서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76)과 같이, 개구부(38)가 형성되지 않고,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가 높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접힘선으로 구성되는 연결부(33)로 연접되어 있어도 된다.
또,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본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 사이의 각도는, 일정할 필요는 없고, 높이 방향으로 변화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78)과 같이, 차량 상하 방향의 단부에서는,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가 면일하고, 절곡부(32A, 34A)를 향해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가 이루는 각도(내측에 형성되는 180°보다 작은 쪽의 각도)가 서서히 예각이 되도록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변(24D)과 단변(24E), 및 단변(24G)과 단변(24F)이 일직선이 되어, 펜더 패널 부착부(24)는 사각 형상이 된다.
또,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34)는,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80)과 같이, 부착 위치에 따라 각각의 길이를 바꿀 수도 있다(도 10에서는, 앞의 제 2 지지 다리부(34)만 짧다). 또한, 단변(24D, 24E)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와, 단변(24F, 24G)으로부터 연장 돌출된 제 1 지지 다리부(32), 제 2 지지 다리부(34)에 대해서도, 각각의 길이를 바꾸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방의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와 타방의 한 쌍의 지지 다리부(30)를, 펜더 패널 부착부(24)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했지만, 반드시 대칭이 되도록 배치할 필요는 없고,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82)과 같이, 프론트 펜더 패널(10)이나 차체 측의 부착 부분(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형상에 따라, 비대칭의 배치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지지 다리부(32)로부터,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지지 다리부(34), 제 2 차체 부착 기부(28), 및 연결부(33)까지의 부재를 2세트 설치했지만,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84)과 같이, 3세트 설치해도 되고, 또한 4세트 이상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적절히, 펜더 패널 부착부(24)의 형상을 변화시켜, 단변을 확보한다. 도 12에서는, 펜더 패널 부착부(24)는 팔각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86)과 같이, 제 1 지지 다리부(32)로부터,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지지 다리부(34), 제 2 차체 부착 기부(28), 및 연결부(33)까지의 부재를 1세트만 이용하여, 캔틸레버 상태에서 펜더 패널 부착부(24)에 연접시킬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세트의, 제 1 지지 다리부(32)로부터,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지지 다리부(34), 제 2 차체 부착 기부(28), 및 연결부(33)까지의 부재를, 펜더 패널 부착부(24)를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설치했지만,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88)과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 1 지지 다리부(32)로부터,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지지 다리부(34), 제 2 차체 부착 기부(28), 및 연결부(33)까지의 부재를 1세트만 설치하고, 펜더 패널 부착부(24)를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는, 제 1 지지 다리부(32)와 제 2 지지 다리부가 면일하고 절곡부(35A), 굴곡부(35B)가 형성된 지지 다리부(35)를 설치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펜더 패널 부착 구조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펜더 패널 부착 구조에서는, 충격 흡수 브래킷(40)의 펜더 패널 부착부(44)로부터 차량 하측으로 굴곡된 수하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충격 흡수 브래킷(40)의 펜더 패널 부착부(44)는, 사각형 판 형상으로 되고, 중앙부에 볼트 삽입 통과 구멍(44H)이 형성되어 있다. 펜더 패널 부착부(44)는,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면에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가 부착된다.
펜더 패널 부착부(44)가 대향하는 두 변으로부터는, 수하부(42)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수하부(42)는, 각각 펜더 패널 부착부(44)로부터 하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수하부(42)의 하단(下端)으로부터는, 연결부로서의 연결 판부(46)가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결 판부(46)는, 펜더 패널 부착부(44)와 수하부(42) 사이의 절곡 부분의 구부림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도록 절곡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연결 판부(46)는, 상방에서 보아 면일의 삼각 형상으로 되고, 한 변이 수하부(42)에 연접되어 있다. 연결 판부(46)의 다른 두 변으로부터는, 제 1 지지 다리부(52), 제 2 지지 다리부(54)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2 지지 다리부(54)로 한 쌍의 지지 다리부(50)가 구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52)는, 연결 판부(46)의 다른 두 변의 내(內)의 한 변으로부터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 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52)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절곡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52A)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 1 지지 다리부(52)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펜더 패널 부착부(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다리부 중의 타방의 지지 다리부로서의 제 2 지지 다리부(54)는, 연결 판부(46)의 다른 두 변의 내의 타변으로부터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의 정상 벽부(14A) 측을 향해 일체적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54)의 높이 방향의 중간부에는, 절곡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절곡부(54A)는,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제 2 지지 다리부(54)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펜더 패널 부착부(4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2 지지 다리부(54)는, 연결 판부(46)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다. 또,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2 지지 다리부(54)가 이루는 각도 β는, 90°≤β < 180°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2 지지 다리부(54)의 사이에서, 연결 판부(46)로부터 차량 하측에는,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지지 다리부(52)의 차량 하측 선단에는, 제 1 차체 부착 기부(27)가 연접되고, 제 2 지지 다리부(54)의 차량 하측 선단에는, 제 2 차체 부착 기부(28)가 연접되어 있다. 개구부(38),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및 제 2 차체 부착 기부(28)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1 차체 부착 기부(27)의 사이에는 굴곡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 다리부(54)와 제 2 차체 부착 기부(28)의 사이에는 굴곡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수하부(42)로부터 연장 돌출된, 연결 판부(46)로부터, 제 1 지지 다리부(52),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제 2 지지 다리부(54), 및 제 2 차체 부착 기부(28)에 이르는 부재와, 타방의 수하부(42)에 연접된 상기 부재는, 펜더 패널 부착부(44)를 사이에 두고 전후로 대칭이 되고, 차량 측면에서 보아 대략 "ハ"자 형상으로(차량 하방 측을 향해 서로 이반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충격 흡수 브래킷(40)은, 금속제로 되고, 펜더 패널 부착부(44), 제 1 지지 다리부(52), 제 2 지지 다리부(54), 연결 판부(46), 제 1 차체 부착 기부(27), 및 제 2 차체 부착 기부(28)는, 한 장 판으로부터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충격 흡수 브래킷(40)에 대해서도, 프레스 가공 이외의 방법, 예를 들면, 구멍을 뚫은 판을 구부려서, 용접 등에 의해 연결시켜 구성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충돌체(90)가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 프론트 펜더 패널(10)과 후드(16)의 단면부(22)에 충돌하면, 충돌 하중 F는 프론트 펜더 패널(10)의 내측 세로 벽부(10B)를 개재하여 충격 흡수 브래킷(40)에 입력된 후, 에이프런 어퍼 멤버(14)에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충격 흡수 브래킷(40)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소성 변형됨(찌그러짐)으로써, 충돌 시의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절곡부(52A, 54A)를 걸치도록 개구부(38)가 형성되고,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2 지지 다리부(54)가 개구부(38)에 인접하는 부분끼리로 이간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절곡부(52A, 54A)의 변형 하중이 작아져서, 변형을 원활하게 개시시킬 수 있다(도 16의 일점쇄선 D3 참조).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개구부(38)가 굴곡부(52B)와 굴곡부(54B)에 대응하는 부분에까지 도달하고, 제 1 지지 다리부(52)와 제 2 지지 다리부(54)의 에이프런 어퍼 멤버(14) 측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절곡부(52A, 54A), 및 굴곡부(52B, 54B)를 독립하여 변형시킬 수 있고, 각각의 제 1 지지 다리부(52), 제 2 지지 다리부(54)의 변형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진행된다. 이에 따라, 차종에 의해 프론트 펜더 패널의 형상 디자인이 다른 것에 수반하여 충격 흡수 브래킷의 형상 사양을 변경해도, 맞음새 강성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흡수 성능(보행자 보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결 판부(46)의 상면이 면일의 구성의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충격 흡수 브래킷(56)과 같이, 연결 판부를 삼각형 이외의 다각형(도 17에서는 사각형)의 연결 판부(47)로 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충격 흡수 브래킷(40)에 대해서도, 펜더 패널 부착부(44)에 대한 연결 판부(46)의 부착 위치, 개구부(38), 차체 부착 기부(26), 제 1 지지 다리부(52), 제 2 지지 다리부(54)의 구성 등,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다양한 변형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 2011-152927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재된 경우와 동일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Claims (5)

  1. 차체 전부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의 상부 내측 단부와,
    상기 펜더 패널의 상부 내측 단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펜더 패널의 부착 상대가 되는 차체 측 구성 부재와,
    상기 상부 내측 단부가 부착되는 펜더 패널 부착부, 상기 차체 측 구성 부재에 부착되는 차체 부착 기부, 판 형상으로 되고,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와 상기 차체 부착 기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 연결하며, 각각에 높이 방향 중간부에서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걸쳐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고, 차량 상하 방향에서 보아 서로의 판면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 다리부, 및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보다 차량 하방 측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차량 상방 측으로부터의 충돌 하중의 입력에 의해 변형되어 에너지를 흡수하는 충격 흡수 브래킷
    을 구비한 펜더 패널 부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사이에, 상기 절곡부를 차량 상하 방향에 걸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더 패널 부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착 기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와 반대측 단부가 굴곡되면서 연장 돌출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굴곡된 굴곡부를 걸치도록 연장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더 패널 부착 구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부착 기부는, 상기 개구부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의 일방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부분과, 타방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더 패널 부착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 패널 부착부는 육각 판 형상으로 되고, 이웃하는 두 변에 상기 한 쌍의 지지 다리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펜더 패널 부착 구조.
KR1020147002653A 2011-07-11 2012-06-05 펜더 패널 부착 구조 KR101505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52927A JP5472223B2 (ja) 2011-07-11 2011-07-11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JP-P-2011-152927 2011-07-11
PCT/JP2012/064479 WO2013008560A1 (ja) 2011-07-11 2012-06-05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09A KR20140025609A (ko) 2014-03-04
KR101505012B1 true KR101505012B1 (ko) 2015-03-23

Family

ID=4750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2653A KR101505012B1 (ko) 2011-07-11 2012-06-05 펜더 패널 부착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44495B2 (ko)
EP (1) EP2733053B1 (ko)
JP (1) JP5472223B2 (ko)
KR (1) KR101505012B1 (ko)
CN (1) CN103648893B (ko)
WO (1) WO2013008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3275B2 (ja) * 2012-10-31 2015-04-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アシストグリップの取付構造
KR101488369B1 (ko) * 2013-12-17 2015-01-3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펜더사이드커버 장착구조
WO2016074101A1 (en) * 2014-11-16 2016-05-19 Salflex Polymers Limited Wheel flare with energy absorbing component
US9409463B2 (en) * 2014-12-10 2016-08-09 Honda Motor Co., Ltd. Vehicle structural member and bracket
JP6455316B2 (ja) * 2015-05-28 2019-01-2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9527531B2 (en) * 2015-05-29 2016-12-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ergy absorbing bracket
US9902434B2 (en) 2015-07-30 2018-02-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Offset deforming fender attachment bracket
US9630581B2 (en) 2015-08-17 2017-04-2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Vehicles with fender structure assemblies and deforming fender attachment brackets
US10676194B2 (en) * 2016-04-04 2020-06-09 B/E Aerospace, Inc. Contoured class divider
US11066171B2 (en) * 2016-04-04 2021-07-20 B/E Aerospace, Inc. Contoured class divider
US10843799B2 (en) * 2016-04-04 2020-11-24 B/E Aerospace, Inc. Contoured class divider
EP3439957B1 (en) 2016-04-04 2020-05-20 B/E Aerospace, Inc. Contoured class divider
FR3050155B1 (fr) * 2016-04-19 2019-05-0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d’aile avant de vehicule automobile
CN105946983B (zh) * 2016-06-17 2018-05-0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翼子板安装结构
US9855914B1 (en) * 2016-07-08 2018-01-0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Deformable energy absorber structures for front hood assemblies of vehicles
JP2018134936A (ja) * 2017-02-21 2018-08-3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レーダー取付構造
US10919631B2 (en) * 2018-10-29 2021-02-16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multiple doors and multiple zones
US11034452B2 (en) * 2018-10-29 2021-06-15 Safran Cabin Inc. Aircraft with staggered seating arrangement
US11400885B2 (en) * 2019-03-29 2022-08-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mpact, lightweight and reusable local energy absorbers
JP7347255B2 (ja) 2020-02-20 2023-09-2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CN115027554B (zh) * 2022-05-27 2023-06-0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前车架总成结构及混合动力汽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763A (ja) 2003-06-26 2005-01-20 Toyota Motor Corp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2007326454A (ja) 2006-06-07 2007-12-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2010195193A (ja)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278B1 (ko) * 2000-11-30 200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자 보호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펜더패널 충격 흡수구조
KR100412838B1 (ko) * 2001-07-21 2003-12-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휀더부 구조
JP4736609B2 (ja) * 2005-08-05 2011-07-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ェンダーパネル取付構造
JP2007283941A (ja) * 2006-04-18 2007-11-01 Toyota Auto Body Co Ltd 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支持構造
JP4208005B2 (ja) * 2006-10-25 2009-01-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5109350B2 (ja) * 2006-12-04 2012-12-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ェンダ支持部構造
JP4270519B2 (ja) 2007-04-04 2009-06-03 日本輸送機株式会社 搬送台車の停止方法
US8182027B2 (en) * 2009-06-15 2012-05-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ender structure assemblies for vehicles
DE102009058127A1 (de) * 2009-12-12 2011-06-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n. d. Ges. d. Staates Delaware ), Detroit Radeinbaustrebe für eine Fahrzeugkarosserie
JP5547503B2 (ja) 2010-01-26 2014-07-16 レンゴー株式会社 ワンタッチ底組式段ボール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4763A (ja) 2003-06-26 2005-01-20 Toyota Motor Corp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2007326454A (ja) 2006-06-07 2007-12-2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JP2010195193A (ja)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5609A (ko) 2014-03-04
EP2733053B1 (en) 2016-05-18
WO2013008560A1 (ja) 2013-01-17
US8944495B2 (en) 2015-02-03
JP5472223B2 (ja) 2014-04-16
EP2733053A1 (en) 2014-05-21
CN103648893A (zh) 2014-03-19
US20140138986A1 (en) 2014-05-22
EP2733053A4 (en) 2015-03-25
CN103648893B (zh) 2016-09-21
JP2013018352A (ja)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012B1 (ko) 펜더 패널 부착 구조
JP5776885B2 (ja) 車両の車体前部構造
JP4329469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6187771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6160464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WO2013179759A1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4743009B2 (ja) 車両用カウル構造
US20110260503A1 (en) Polygonal cross-sectional frame, and rear vehicle body structure
KR20150016609A (ko) 펜더 지지부 구조
JP4781171B2 (ja) 車両用フェンダパネル取付構造
CN102951205A (zh) 车辆的车身前部结构
US20190233016A1 (en) Vehicle body front part structure
KR20170068326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조립 구조
JP4811327B2 (ja) 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支持構造
JP4276633B2 (ja) 車両のカウル構造
US9573559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CN112918573A (zh) 车辆的车体
JP4207021B2 (ja) 車両のフェンダパネル支持構造
KR20200117277A (ko) 차량용 프론트필러구조
US9580029B2 (en) Bumper assemblies including a bumper cover reinforcement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2018199430A (ja) 車体前部構造
JP5692187B2 (ja) 車体前部構造
JP5320005B2 (ja) フェンダパネル取付用ブラケット
JP2021130402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6558929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バ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