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668U - 전동식 콩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콩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668U
KR20130005668U KR2020120002208U KR20120002208U KR20130005668U KR 20130005668 U KR20130005668 U KR 20130005668U KR 2020120002208 U KR2020120002208 U KR 2020120002208U KR 20120002208 U KR20120002208 U KR 20120002208U KR 20130005668 U KR20130005668 U KR 201300056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
power source
power
driving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22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610Y1 (ko
Inventor
홍석봉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20201200022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1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5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5/00Harvesting of standing crops
    • A01D45/22Harvesting of standing crops of b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2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8Clut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Specific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 가정용 상용전원을 이용하여 콩 예취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콩 예취 장치는 가정용 상용전원(AC)을 직류 전원(DC)으로 충전한 후, 충전된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바퀴 및 절삭 톱날을 구동 제어하는 전동식 구동장치가 포함하며, 이는 가정용 교류 전원인 AC 220V의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DC)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DC)을 충전하는 배터리; 상기 속도조절 레버의 스위칭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DC)을 공급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DC)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컨트롤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DC)에 의해 상기 절삭톱날을 회전 동작시키는 커팅모터; 및 상기 클러치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전자 클러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가정용 상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으로 콩 예취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무소음을 실현하고 중량을 격감시켜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콩 예취장치{ELECTRIC SOYBEAN REAPER}
본 고안은 콩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용 상용전기로 충전하고, 충전 전력으로 모터를 동작시켜 콩 수확이 가능하도록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전동식 콩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은 대두(大豆)라고도 하는데, 식용작물로서 널리 재배하고 있다.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고 곧게 서며 덩굴성인 품종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근류(뿌리혹)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 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콩의 수확은 일반적으로 재배 농가에서 수작업으로 예취하기 때문에 작업량이 많고, 작업 시간이 길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은 문제가 상존한다. 본 출원인은 콩 수확을 위한 자동화된 장치로써 콩 예취장치를 출원 등록하였으며, 이로부터 콩 예취 작업이 자동화 및 기계화되어 예취 작업 시간을 줄여 재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이를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콩 예취장치의 측면 투사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콩 예취 장치(100)는 프레임(4)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전방에 안내판(1)과 높이 조절 바퀴(2)가, 중앙부에 엔진(31)과 구동부(30,33)가, 후방에 각종 레버(40,50,36)와 수집판(28) 등이 위치된다.
프레임(4)은 수직 프레임(27)과 함께 예취 장치(100)의 기본 골격을 구성한다. 안내판(1)은 콩 줄기가 일렬로 벨트(5) 쪽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안내판(1)의 입구는 넓고 출구는 좁게 형성하여 콩 줄기가 용이하게 벨트(5) 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한다.
절삭 톱날(10)은 안내판(1)을 통해 일렬로 이동되는 콩 줄기를 절단한다. 절삭톱날은 원형의 회전 톱날로 구성된다. 벨트(5)는 절삭 톱날(10)에 의해 절단된 콩 줄기를 벨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6)를 사용하여 수집판(28)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벨트(5)를 구동시키는 롤러는 전방롤러(7)와 상부롤러(16)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전방롤러(7)와 하부롤러(17)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
또한 전방롤러(7)에 대해,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는 90도 회전되어 설치되는데, 이에 의해, 전방롤러(7)에 수직으로 인입된 콩줄기는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의 회전위치에 의해 수평으로 수집판(28)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예취 장치(100)는 수집판(28)에 콩줄기를 차곡차곡 적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집판(28)은 벨트(5)에 의해 이동된 콩 줄기를 수집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프레임(4)의 전방에 위치된다. 높이 조절 바퀴(2)는 바퀴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콩 줄기의 절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레버(40)에 의해 지지대(3)의 각도를 변경시켜 높이가 조절된다.
엔진(31)은 구동부를 구성하는 미션(30)을 통해 구동 바퀴(33)에 동력을 전달하여 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절삭 톱날(10)을 동작시키는 동력을 공급한다. 이때 손잡이(35)에 형성된 클러치 레버(36)에 의해 구동 바퀴(33)의 동작 여부가 결정된다.
수집 배출판(29)은 힌지를 통해 소정 각도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집판(28)을 통해 수집된 콩줄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수집 배출판(29)의 동작은 배출 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배출 조작부(51,52)의 동작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별도의 배출 레버(50) 없이도, 소정량의 콩줄기가 수집되면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콩 예취장치는 엔진의 진동과 소음으로 인해 운전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연료사용으로 인해 동절기에 기기의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엔진의 고장 시 사용자가 쉽게 수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콩 예취장치의 사용과 운행이 매우 제한적이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엔진 구동으로 인해 콩 예취장치의 무게가 매우 크기 때문에, 농어민의 노령화 환경에 맞지않는다는 지적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01392, 등록일자 2005년 11월 09일, 출원번호 20-2005-002408, 출원일자 2005년 08월 26일.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용 상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으로 콩 예취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무소음을 실현하고 중량을 격감시켜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전동식 콩 예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엔진을 사용하고 전기 모터에 의한 메카니즘을 이용함으로써, 동절기 또는 휴지기 동안에 기기의 훼손이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기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전동식 콩 예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콩 예취장치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전방에 안내판과 콩 줄기를 예취하기 위한 절삭 톱날이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가 마련되어 예취된 콩 줄기를 수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구동바퀴에 의해 이송이 유도되는 콩 예취 장치에 있어서, 가정용 상용전원(AC)을 직류 전원(DC)으로 충전한 후, 충전된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바퀴 및 절삭 톱날을 구동 제어하는 전동식 구동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동력을 차단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와,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 레버와 연동하며;
상기 전동식 구동장치는 가정용 교류 전원인 AC 220V의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DC)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DC)을 충전하는 배터리; 상기 속도조절 레버의 스위칭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DC)을 공급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DC)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컨트롤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DC)에 의해 상기 절삭톱날을 회전 동작시키는 커팅모터; 및 상기 클러치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전자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절삭톱날에 의해 콩 줄기가 예취 되어 상기 벨트를 통해 이송될 때, 예취된 콩 줄기를 적재 안내하기 위한 수집판과, 배출조작 레버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콩 줄기를 일정 량 적재하기 위한 수집 배출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 배출판의 종단부에 콩 줄기를 수확하기 위한 수확 마대가 장착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시되는 콩 예취장치는 가정용 상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고, 충전된 전력으로 콩 예취장치를 구동함으로써, 무소음을 실현하고 중량을 격감시켜 사용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절기 또는 휴지기 동안에 기기의 훼손이나 고장이 발생하지 않아 기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콩 예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콩 예취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전기 배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콩 예취 장치의 부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콩 예취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로 나타낸 전동식 콩 예취 장치(200)이며,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적용할 것이다. 즉, 도시된 본 고안의 전동식 콩 예취 장치는 프레임(4)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전방에 안내판(1)과 높이 조절 바퀴(2)가 위치하며, 프레임(4)의 일단에는 상부롤러(16) 및 하부롤러(17)가 마련된다. 따라서, 안내판(1)은 콩 줄기가 일렬로 벨트(5)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프레임(4)의 하부에 장착된 절삭 톱날(10)은 안내판(1)을 통해 일렬로 이동되는 콩 줄기를 절단한다.
절삭톱날은 원형의 회전 톱날로 구성되고, 벨트(5)는 절삭 톱날(10)에 의해 절단된 콩 줄기를 벨트의 회전 방향을 향하여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파지 돌기를 사용하여 수집판(28)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벨트(5)를 구동시키는 롤러는 상부롤러(16) 및 하부롤러(17)로 구성되며, 상부롤러(16)와 하부롤러(17)의 회전위치에 의해 콩 줄기는 수평으로 이송되어 수집판(28)으로 이동된다.
수집판(28)은 벨트(5)에 의해 이동된 콩 줄기를 수집하며, 수집된 콩 줄기는 수집판(28)의 하부에 마련된 수집배출판(29)을 통해 정리 배출된다. 수집배출판(29)은 배출조작 레버(51)에 의해 회동 제어되며, 적정량 적재된 콩 줄기를 배출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콩 예취장치(200)는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바퀴(201)가 회전 운행되는데, 상기 절삭톱날(10)을 지지하는 프레임(401)의 후방 하단에 마련된 구동기어(221)와 결합된 전자 클러치(203)에 의해 구동바퀴(201)가 구동된다. 상기 전자 클러치(203)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유도하는 구동모터(205)의 회전기어(225)와 연동하며, 구동모터(205)의 회전력은 구동바퀴(201)의 구동기어(221)를 기동함에 있어, 상기 전자 클러치(203)에 의해 회전력의 전달 여부가 결정된다.
상기 전자 클러치(203)는 구동모터(205)의 회전력 전달 여부를 결정하는 클러치 레버(231)에 의해 제어되며, 클러치 레버(231)의 동작은 구동바퀴(201)로의 전달력을 해제함과 동시에 구동바퀴(201)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동모터(205)는 컨버터(207)와 연동하며, 컨버터(207)는 가정용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배터리(209)로 충전하고, 배터리(209)의 충전 전원은 컨트롤러(211)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205) 및 상기 절삭톱날(10)을 기동하기 위한 커팅모터(251)로 제공된다.
상기 컨트롤러(211)는 상기 클러치 레버(231)에 근접 설치된 속도조절 레버(223)에 의해 제어되며, 속도조절 레버(223)의 스위칭 동작에 반응하는 컨트롤러(211)는 구동모터(205)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즉, 속도조절 레버(223)는 구동모터(25)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며, 이를 위한 구동모터(205)의 공급 전류량을 가변시킨다.
상기 속도조절 레버(223)는 다수 단계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레버를 구성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로서 '느리게', '보통', '빠르게' 와 같이 3단계의 속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속도조절 레버(223)의 속도 조절은 구동모터(205)와 더불어 상기 커팅 모터(251)를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콩 예취 장치(200)의 진행 속도에 따라 커팅 모터(251)의 회전속도가 달리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벨트(5)의 동작은 구동모터(205)의 회전축과 연동하여 동작되는데, 상기 상부롤러(16), 하부롤러(17)는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구동모터(205)의 회전축과 연계됨에 따라, 구동모터(205)의 동작은 상부롤러(16) 및 하부롤러(17)를 동작시켜 벨트(5)를 기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동식 콩 예취 장치(200)는 상기 컨버터(207)를 통해 가정용 상용전기가 배터리(209)로 충분히 충전된 후, 현장에 투입된다. 사용자는 상기 클러치 레버(231)를 권취하고, 상기 속도조절 레버(223)를 최하위 단계 즉, 최저 속도로 운행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205)의 동작이 개시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11)는 구동모터(205) 및 커팅모터(251)로 적정량의 전력을 공급하여 각 모터의 기동이 개시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 레버(231)는 권취된 상태로서 구동모터(205)의 회전력이 구동바퀴(201)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급발진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현장에서 구동모터(205)의 시동과 더불어, 상기 클러치 레버(231)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05)의 회전력이 전자 클러치(203)를 통해 구동바퀴(201)로 전달되며, 콩 예취 장치(200)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05)의 회전력은 상부롤러(16) 및 하부롤러(17)를 거쳐 상기 벨트(5)로 전달되어 벨트(5)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211)는 속도조절 레버(223)의 스위칭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커팅 모터(251) 및 구동모터(205)로 적정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콩 예취 장치(200)의 이동과 더불어, 절삭톱날(10)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콩 예취장치(200)의 전기 배선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 교류 전원인 AC 220V의 상용전원은 컨버터(207)를 통해 적정 직류 전원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적정 직류 전원(DC)은 상기 구동모터(205) 및 커팅 모터(251)를 충분히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으로 직류 12V 또는 직류 24V가 될 것이다.
상기 컨버터(207)는 이와 같이 사용전원(AC)을 직류 전원(DC)으로 변환한 후, 상기 배터리(209)로 공급한다. 배터리(209)는 직류 전원(DC)을 충전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배터리(209)의 병렬 접속 갯 수에 따라 충전 용량이 가변됨은 당연할 것이다. 즉, 배터리(209)의 충전 용량은 배터리의 병렬 접속 갯 수에 따라 다르며, 사용자에 의해 필요한 만큼 증감시켜 접속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배터리(209)로 직류 전원이 충분히 충전되면, 상기 컨버터(207)에 접속되는 상용전원의 접속을 차단하고, 상기 콩 예취 장치(200)를 현장으로 투입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클러치 레버(231)를 이용하여 구동모터(205)와 구동바퀴(201)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 후, 무동력으로 이송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클러치 레버(231)는 구동바퀴(201)에 대한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콩 예취 장치의 무동력 이송 시 클러치 레버(231)의 조절이 가미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현장에 투입된 콩 예취 장치(200)의 사용 시, 사용자는 클러치 레버(231)를 동작시켜 구동바퀴(201)로의 동력 전달을 차단한 후, 상기 속도조절 레버(223)를 최하위 단계인 최저 속도로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211)는 구동모터(205)를 최소 전력으로 최저 속도로 운행한다. 또한, 클러치 레버(231)는 권취된 상태로서 구동모터(205)의 동력은 상기 구동바퀴(201)로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콩 예취 장치(200)는 이송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커팅모터(251) 또한 상기 컨트롤러(211)로부터 적정용량의 전력을 공급받기 때문에, 속도조절 레버(223)에 상응하는 커팅모터(251)의 동작은 최저 속도를 유지한다.
이후, 사용자가 콩 예취를 위해 클러치 레버(231)를 서서히 해제하는데, 상기 전자 클러치(203)는 현재 구동되고 있는 구동모터(205)의 구동력을 서서히 구동바퀴(201)로 전달한다. 구동바퀴(201)의 동작은 콩 예취 장치(200)를 기동하는 것으로, 콩 예취가 수행된다. 사용자는 콩 예취 장치(200)의 동작과정에서 상기 속도조절 레버(223)를 가변시켜 콩 예취 장치(200)의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205)의 동작은 벨트(5)를 기동함에 따라, 콩 예취가 이루어지는데, 절삭톱날(10)에 의해 콩 줄기가 예취 되면, 상기 벨트(5)를 통해 이송된 후, 수집판(28)에 의해 수집 배출판(29)으로 안내된다. 따라서, 수집 배출판(29)에 적정량의 콩 줄기가 적재될 때, 사용자는 배출조작 레버(51)를 이용하여 수집 배출판(29)을 상향으로 회동시켜 낙하시킨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콩 예취 장치는 수집 배출판(29)으로부터 낙하된 콩 줄기를 특정 공간 예컨대, 바구니, 마대 등으로 자동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수집 배출판(29)의 종단부에 콩 줄기를 수확하기 위한 수확용 마대를 장착토록 하는데,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배출판(29)과 수확 마대(401)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즉, 수확 마대(401)를 개구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패널(403)이 수집 배출판(29)의 하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수집 배출판(29)의 하부에 가이드 패널(411)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패널(403)은 수집 배출판(29)과 가이드 패널(411) 사이로 끼움 결합 됨으로써, 배출조작 레버(51)의 동작과 더불어 수집 배출판(29)으로 적재된 콩 줄기가 수확 마대(401)에 적재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패널(403)은 수집 배출판(29)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별도의 클립이 마련되거나, 고정패널(403)과 가이드 패널(411)을 고정하기 위한 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확 마대(401)에 적재되는 콩 줄기의 중량이 크지 않음을 감안하여, 상기 클립은 자석 또는 벨크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0 : 콩 예취 장치 201 : 구동바퀴
203 : 전자 클러치 205 : 구동모터
207 : 컨버터 209 : 배터리
211 : 컨트롤러 221 : 구동기어
223 : 속도조절 레버 225 : 회전기어
231 : 클러치 레버 251 : 커팅 모터

Claims (9)

  1. 프레임을 기준으로 프레임의 전방에 안내판과 콩 줄기를 예취하기 위한 절삭 톱날이 위치하며, 상기 프레임의 일단에는 상부롤러 및 하부롤러가 마련되어 예취된 콩 줄기를 수거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구동바퀴에 의해 이송이 유도되는 콩 예취 장치에 있어서,
    가정용 상용전원(AC)을 직류 전원(DC)으로 충전한 후, 충전된 직류 전원을 사용하여 상기 구동바퀴 및 절삭 톱날을 구동 제어하는 전동식 구동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동력을 차단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레버와,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속도조절 레버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구동장치는 가정용 교류 전원인 AC 220V의 상용전원을 직류 전원(DC)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원(DC)을 충전하는 배터리;
    상기 속도조절 레버의 스위칭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직류 전원(DC)을 공급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DC)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컨트롤러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DC)에 의해 상기 절삭톱날을 회전 동작시키는 커팅모터; 및
    상기 클러치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로 전달하는 전자 클러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레버는 구동모터의 동력이 구동바퀴로 전달되지 않는 레버의 동작 위치에서, 상기 구동바퀴에 대한 브레이크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조절 레버는 상기 구동모터의 단계별 속도 제어를 위한 레버 형태의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톱날에 의해 콩 줄기가 예취 되어 상기 벨트를 통해 이송될 때, 예취된 콩 줄기를 적재 안내하기 위한 수집판과, 배출조작 레버에 의해 회동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콩 줄기를 일정 량 적재하기 위한 수집 배출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집 배출판의 종단부에 콩 줄기를 수확하기 위한 수확 마대가 장착되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수확 마대를 개구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패널과, 상기 수집 배출판의 하부에 상기 고정패널을 끼움 결합하기 위한 가이드 패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널은 상기 수집 배출판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클립을 더 포함하거나, 상기 고정패널과 가이드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자석 또는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콩 예취 장치.

KR2020120002208U 2012-03-20 2012-03-20 전동식 콩 예취장치 KR200472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08U KR200472610Y1 (ko) 2012-03-20 2012-03-20 전동식 콩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2208U KR200472610Y1 (ko) 2012-03-20 2012-03-20 전동식 콩 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668U true KR20130005668U (ko) 2013-09-30
KR200472610Y1 KR200472610Y1 (ko) 2014-05-12

Family

ID=5148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2208U KR200472610Y1 (ko) 2012-03-20 2012-03-20 전동식 콩 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128A (ko) 2014-07-15 2016-01-26 (주)한서정공 2조식 콩 수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884B1 (ko) * 1994-06-30 1997-11-20 이병찬 충전식 예초기
JP2000324929A (ja) * 1999-05-18 2000-11-28 Wadou Sangyo Kk 刈取機
KR200401392Y1 (ko) * 2005-08-26 2005-11-1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콩 예취 장치
JP4781250B2 (ja) * 2006-12-14 2011-09-28 マメトラ農機株式会社 豆刈り装置の刈取り刃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128A (ko) 2014-07-15 2016-01-26 (주)한서정공 2조식 콩 수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610Y1 (ko)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11055B (zh) 翻滚式菠萝收割机
CN105123147B (zh) 纵轴流联合收割机脱粒清选装置
CN103283373B (zh) 花生捡拾摘果机
CN109874496B (zh) 一种智能蔬菜收割机
CN202283524U (zh) 一种手电两用粮食风选机
CN107155514A (zh) 一种牧草自动收割散料设备
CN101779545B (zh) 玉米青贮茎穗兼收秸杆还田自走收获机的设计方法
CN2927647Y (zh) 一种后悬挂割草搂草一体机
CN111066472A (zh) 一种韭菜自动化割捆一体机
KR200472610Y1 (ko) 전동식 콩 예취장치
CN205755544U (zh) 刹车结构及其割草机
CN203457543U (zh) 葵花收割机
CN201617022U (zh) 一种多用途玉米自走收获机
CN201207817Y (zh) 微型半喂式联合收割机
CN105830623B (zh) 割草机
CN208836537U (zh) 一种割草机器人的切割机构
CN2469677Y (zh) 便携式水稻收割机
KR200474636Y1 (ko) 채밀용 탈봉장치
CN202019558U (zh) 便携式棉花采摘机
CN201563384U (zh) 植被修割机
CN201263307Y (zh) 一种剪草机
CN105325119A (zh) 一种电动采茶机
CN209861624U (zh) 整杆式甘蔗打捆收获机
CN108142053A (zh) 小型化的电动移栽机以及使电动移栽机小型化的方法
CN205124358U (zh) 搂草机自动起耙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