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477U - 후라이팬 뚜껑 - Google Patents

후라이팬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477U
KR20130005477U KR2020120001872U KR20120001872U KR20130005477U KR 20130005477 U KR20130005477 U KR 20130005477U KR 2020120001872 U KR2020120001872 U KR 2020120001872U KR 20120001872 U KR20120001872 U KR 20120001872U KR 20130005477 U KR20130005477 U KR 201300054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ying pan
pan lid
body portion
main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미
Original Assignee
김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미 filed Critical 김철미
Priority to KR2020120001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5477U/ko
Publication of KR20130005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주름이 연속 형성된 주름커버부를 포함하는 후라이팬 뚜껑을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은, 주름커버부를 구비하여 후라이팬의 규격에 따라 크기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시 조리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며 후라이팬 뚜껑의 중앙에 개구된 통기구를 통하여 후라이팬 내부의 열기를 상기 개구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조리되는 음식물을 고르게 익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조리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로부터 주변 오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냄새의 차단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창호지등의 종이재로 제작이 가능하여 경제적이며,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후라이팬 뚜껑{Frying pan lid}
본 고안은 후라이팬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라이팬의 규격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조리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조리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와 열기의 차단 또는 방출이 가능하여 조리음식물을 골고루 익힐 수 있는 후라이팬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정이나, 식당 등에는 음식물을 튀기거나 볶는데 사용하는 조리기구로서 후라이팬을 주로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후라이팬에 기름을 붓고 튀김요리를 하거나, 또는 생선 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기름이 외부로 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주방의 싱크대나, 가스렌지 등 주변에는 항상 기름때가 발생되고 일일이 휴지로 닦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가 발생된다. 게다가 후라이팬의 기름 열기가 상부로 배출되면서 생선이 고르게 익혀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때 발생하는 수증기가 천정 등의 주변에 묻게 되어 오염이 발생되고, 더욱이 조리시 발생하는 기름 냄새가 온 집안에 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후라이팬의 상부에 신문지를 덮거나 또는 폐지 등을 이용하여 후라이팬의 윗부분을 덮개 형태로 덮어서 수증기의 방출을 차단하고, 기름이 튀는 것을 해소하며 냄새의 차단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러한 신문지나 폐지는 미리 준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후라이팬에 덮어서 사용할 때에는 덮어지는 위치 상태를 확보하기 어렵고, 후라이팬을 덮을시 후라이팬의 가장자리보다 옆으로 노출 되어 지는 부분이 많아서 노출된 부위가 가스렌지의 불꽃으로 인해 화재발생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문헌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1570호' 에는 종이재로 형성되어 접철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에 요철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후라이팬의 안착부에 용이하게 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종이후라이팬뚜껑"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일회용 종이후라이팬뚜껑"은 별도의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 음식의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기 또는 수증기를 방출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일일이 열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요철 테두리부는 일정 규격의 후라이팬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후라이팬의 규격에 따라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후라이팬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와 조리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시 발생하는 열기의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후라이팬의 규격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후라이팬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주름이 연속 형성된 주름커버부를 포함하는 후라이팬 뚜껑이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위에는 개구(開口)된 통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어 올릴 수 있는 손잡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중앙 부위의 일부분에 절취선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절곡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절취선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됨으로써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부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주름커버부는, 상기 각 주름이 확장되거나 수축하여 후라이팬의 크기에 대응 가능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에 의하면, 주름커버부를 구비하여 주름살의 간격에 따라 자유로이 조정이 가능하여 후라이팬 뚜껑의 크기를 정할 수 있어 후라이팬의 규격이 달라도, 이에 대응하여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시, 조리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며 후라이팬 뚜껑의 중앙에 개구된 통기구를 통하여 후라이팬 내부의 열기를 상기 통기구로 배출시킴에 따라 조리되는 음식물을 고르게 익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리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로부터 주변 오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냄새의 차단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창호지등의 종이재로 제작하고 이를 주름으로 형성함으로써, 일회용 종이 후라이팬의 구조체로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후라이팬 뚜껑이 후라이팬의 상부에 내측에 덮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후라이팬 뚜껑이 후라이팬의 규격에 따라 크기 조절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후라이팬 뚜껑이 후라이팬의 상부에 내측에 덮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후라이팬 뚜껑이 후라이팬의 규격에 따라 크기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100)은, 본체부(110)와, 주름커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후라이팬(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은 상기 후라이팬(1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본체부(11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중앙부위에 손잡이(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12)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조리시 내부의 열기를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부연하면, 상기 손잡이(112)는, 상기 본체부(110)의 중앙 부위에서 일 측 및 대향하는 타 측에서 각각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2)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손잡이(112)의 각 외측에는 절취선(113)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절취선(113)은, 통상의 가위나 칼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상기 절취선(113)을 따라 절개가 가능한 선을 말한다. 이러한 절취선(113)을, 제외하는 부분은 사용자가 절곡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절곡부위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절취선(113)을 따라 상기 손잡이(112)를 일부 절개한 후, 상기 절곡부위를 따라 절곡하게 되어 파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게다가,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절취선(113)을 일부 절개한 후 상기 절곡부위를 따라 상기 손잡이(112)를 절곡시킴으로서, 상기 손잡이(112)에 대응하는 내측 부분에는 통기공(1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공(114)은, 상기 후라이팬(10)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손잡이(112)의 개방 여부에 따라 배출되는 열기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주름커버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주름커버부(120)는, 복수개의 주름(121)이 연속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커버부(120)는, 상기 각 주름(121)의 하방이 상기 후라이팬(10)의 내측 상부에 세워질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주름커버부(120)는, 상기 각 주름(121)이 상기 후라이팬(10)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각 주름(121)이 확장되거나 수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주름커버부(120)의 각 주름(121)이 상기 후라이팬(10)의 크기에 따라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를 나타낸다.
특히,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후라이팬(10)의 규격이 클 경우, 상기 주름커버부(120)의 각 주름(121)을 외측으로 확장시킨다. 또한,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후라이팬(10)의 규격이 작을 경우, 상기 주름커버부(120)의 각 주름(121)을 상기 후라이팬(10)의 내측으로 축소시킨다.
한편, 상기 주름커버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와 결합시 압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주름커버부(120)의 상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가장자리와 이음시, 본드나 아교 등의 접착 없이 압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드나, 아교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및 환경오염으로부터 방지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라이팬 뚜껑(100)은, 주름커버부(120)를 구비하여 주름(121)의 간격에 따라 자유로이 조정이 가능하여 후라이팬 뚜껑의 크기를 정할 수 있어 후라이팬의 규격이 달라도, 이에 대응하여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을 조리시, 조리 기름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이며 후라이팬 뚜껑의 중앙에 개구된 통기구를 통하여 후라이팬 내부의 열기를 상기 통기구로 배출시킴에 따라 조리되는 음식물을 고르게 익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리 과정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로부터 주변 오염의 발생을 억제하며 냄새의 차단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창호지등의 종이재로 제작하고 이를 주름으로 형성함으로써, 일회용 종이 후라이팬의 구조체로 형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용을 저감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2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200)은, 본체부(210)와, 주름커버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210)는, 중앙부위에 개구(開口)된 통기구(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기구(211)는 원형의 통기구(211)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통기구(211)는, 상기 후라이팬(10)으로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되는 열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후라이팬 뚜껑(30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후라이팬 뚜껑(300)은, 손잡이부(112)와, 주름커버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라이팬 뚜껑(300)은, 상기 주름커버부(320)가 원뿔 형상로 형성되며 상기 후라이팬(10)의 상부 내측에 덮어진다. 특히, 상기 후라이팬 뚜껑(300)의 상부 중앙부위에는 손잡이(11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11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112)와 동일 형성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주름커버부(320)는 상기 손잡이(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주름커버부(320)는, 복수개의 주름(321)이 연속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름커버부(320)는, 상기 각 주름(321)의 하방이 상기 후라이팬(10)의 상부 내측에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후라이팬(10)의 규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주름커버부(32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커버부(32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 다른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후라이팬 뚜껑(100)(200)(300)은, 전체적인 강도가 향상된 창호지 등의 종이재로 형성되어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후라이팬 뚜껑(100)(200)(300)이 음식물을 조리시 발생하는 수증기와 냄새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면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200,300: 후라이팬 뚜껑 110,210: 본체부
112: 손잡이 113: 절취선
114: 통기공 120,320: 주름커버부
121,321: 주름 211: 통기구
10: 후라이팬

Claims (7)

  1.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가장자리에 결합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주름이 연속 형성된 주름커버부를 포함하는 후라이팬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위에는 개구(開口)된 통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사용자가 손으로 들어올릴 수 있는 손잡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그 중앙 부위의 일부분에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뚜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절취선을 따라 상기 본체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절곡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뚜껑.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절취선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됨으로써 통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뚜껑.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뚜껑.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커버부는, 상기 각 주름이 확장되거나 수축하여 후라이팬의 크기에 대응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팬 뚜껑.
KR2020120001872U 2012-03-09 2012-03-09 후라이팬 뚜껑 KR201300054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872U KR20130005477U (ko) 2012-03-09 2012-03-09 후라이팬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872U KR20130005477U (ko) 2012-03-09 2012-03-09 후라이팬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77U true KR20130005477U (ko) 2013-09-23

Family

ID=5243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872U KR20130005477U (ko) 2012-03-09 2012-03-09 후라이팬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547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24A (ko) * 2018-05-15 2019-11-25 이승구 후라이팬 구이요리용 일회용 종이뚜껑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0724A (ko) * 2018-05-15 2019-11-25 이승구 후라이팬 구이요리용 일회용 종이뚜껑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234B1 (en) Microwave dish cover
US9504355B2 (en) Foldable splatter screen
KR101576765B1 (ko) 기름 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덮개
US20180042426A1 (en) Collapsible splatter guard
KR20130005477U (ko) 후라이팬 뚜껑
US10368678B2 (en) Cooking vessel with or without retainable cov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1402638B1 (ko) 기름튀김방지덮개
KR101251398B1 (ko) 프라이팬 뚜껑
ITMI20131645A1 (it) Dispositivo antispruzzo flessibile e sue applicazioni in qualsiasi tipo di copertura
CN213605790U (zh) 油汤分离器具及炖盅
ITMI20110737A1 (it) Pentola da cucina a svuotamento comandato.
JP3650768B2 (ja) 調理容器
KR200401570Y1 (ko) 일회용 종이후라이팬뚜껑
KR200207257Y1 (ko) 프라이팬 뚜껑
KR101287978B1 (ko) 일회용 조리용기
JP2020199211A (ja) 炊飯用補助容器及び炊飯方法
KR101424993B1 (ko) 원뿔형 키친타올
JP2012024321A (ja) フライパン
CN213850049U (zh) 一种带蒸盘的锅
CN214804084U (zh) 锅具配件及锅具
KR102461004B1 (ko) 가변형 뚜껑
JP5388254B1 (ja) 水切り容器加工器具
JP3207255U (ja) 紙鍋
KR101781128B1 (ko) 후라이팬용 일회용 종이 뚜껑
JP2009148323A (ja) 使い捨て鍋蓋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