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090U - 차량용 룸 미러 - Google Patents
차량용 룸 미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3090U KR20130003090U KR2020110010168U KR20110010168U KR20130003090U KR 20130003090 U KR20130003090 U KR 20130003090U KR 2020110010168 U KR2020110010168 U KR 2020110010168U KR 20110010168 U KR20110010168 U KR 20110010168U KR 20130003090 U KR20130003090 U KR 2013000309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m mirror
- hook
- vehicle room
- fragrance
- elastic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량용 룸 미러가 제공된다. 상기 차량용 룸 미러는 방향제 수납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 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차량용 룸 미러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납 공간을 갖는 차량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룸 미러의 수납 공간에 수납될 방향제 등의 물체를 투입 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차량용 룸 미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차량용 룸 미러는 운전자가 차량 뒤쪽의 움직임을 잘 볼수 있도록 차량 안쪽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중간 지점 바로 위쪽에 설치된 것으로서 인사이드(Inside) 미러라고도 한다.
이렇듯 차량용 룸 미러의 본래 기능은 차량 후방 시야의 확보지만, 그러한 기능 이외에 다른 기능들이 룸 미러에 더 부가됨으로써 차량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룸 미러는 단순히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운전자를 충족시켜주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 방향(芳香)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경우에, 차량 내부의 별도의 위치에 창작하는 것 보다 차량용 룸 미러에 장착하는 것이 공간적 효율성 활용의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방향제는 단순히 차량용 룸 미러의 후면에 부착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에 존재하는 빈 공간에 장착되도록 하고, 차량용 룸 미러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방향의 세기 정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장치를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은 이러한 방향제 장착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룸 미러의 일 실시예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렇게 방향제가 장착되는 차량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룸 미러에 방향제가 장착되는 구조 및 장착에 필요한 상기 룸 미러의 개폐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방향제가 장착되는 차량용 룸 미러에 있어서, 상기 룸 미러에 방향제가 장착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용 룸 미러에 방향제를 투입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개폐 구조를 갖는 차량용 룸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룸 미러의 일 태양은 방향제 수납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 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룸 미러의 다른 태양은 방향제 수납부재;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고, 일 측면이 개방된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된 일 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걸개; 및 상기 걸개로부터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방향제 수납 부재 상에 구비되는 걸개 수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에 따르면, 방향제가 장착되는 수납 공간에 방향제를 투입하거나 또는 제거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정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A구간에 해당하는 룸 미러 케이스를 절단했을 경우 볼 수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4의 과정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의 A구간에 해당하는 룸 미러 케이스를 절단했을 경우 볼 수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4의 과정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정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2의 A구간에 해당하는 룸 미러 케이스를 절단했을 경우 볼 수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 구조도이며, 도 5 내지 도 8은 도 3 내지 도 4의 과정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1)는 룸 미러 케이스(100), 개구부(110), 탄성 부재(120) 및 스토퍼(130)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1은 차량 내부 공기 정화 시스템을 구비한 차량용 룸 미러(1)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상기 룸 미러(1)의 하단에 버튼(105)들을 구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들 버튼들은 각각 공기 청정 기능에 대한 온/오프 버튼, 방향 기능에 대한 온/오프 버튼, 또는 상기 기능들에 대한 세기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 기능들 중에서 방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1)는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갖는 룸 미러 케이스(100)를 포함하는데, 이 룸 미러 케이스(100)에는 방향제 또는 공기 청정 입구(101)가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A 구역에 해당하는 룸 미러 케이스(100)를 절단하였을 경우 그 내부 구조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이해할 수 있다.
도 3 또는 도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룸 미러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납 공간에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가 투입될 수 있다. 도 3과 도 4에서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가 투입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납 부재(14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사이즈의 방향제가 존재한다면, 방향제 그 자체가 투입되는 경우도 본 고안의 실시예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수납 공간에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가 투입되도록 상기 차량용 룸 미러(1)의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존재한다.
도 3 또는 도 5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수납 부재(140)가 투입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는데, 즉 상기 개구부를 통해 투입된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는 차량용 룸 미러(1) 내부의 상기 수납 공간으로 유도된다.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100)의 상기 수납 공간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외 대응되는 위치에 일단이 고정된 탄성 부재(120)이 존재하는데, 이 탄성 부재(120)의 역할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투입된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 부재(120)은 상기 개구부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방향제를 차량용 룸 미러(1)에 투입하고자 할 경우 도 3과 같이 탄성 부재(1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탄성 부재가 제공하는 탄성력을 거슬러 힘을 가하다가,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가 스토퍼(130)를 모두 통과하였을 경우 스토퍼(1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스토퍼(130)는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가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에서는 스토퍼(13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켜 수납 부재(140)를 고정하는 모습을 예시하고 있으나,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회전하는 스토퍼를 이동시켜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1)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8은 커버(110)가 상기 개구부를 닫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또한 도 3 내지 도 7에서는 커버(110)가 존재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커버(110)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수납 부재(140) 일측의 외형이 룸 미러 케이스(100)의 외형에 부합되도록 설계함으로써 미관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수납 부재(140)를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그 반대로 방향제를 교체하기 위해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커버(110)를 개방하고, 스토퍼(13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회전시킴으로써 방향제 또는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140)가 탄성 부재(120)의 탄성력에 의해 개구부를 거켜 외부로 밀려나오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와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2)는 룸 미러 케이스(200), 탄성 부재(220), 걸개(250), 방향제 수납 부재(240), 및 걸개 수용체(260)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방향제 수납 부재(240)를 눌러 투입하고, 다시 한번 누르게 되면 도 10과 같이 방향제 수납 부재(240)가 탈거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2)에서는 방향제(241)가 방향제 수납 수납 부재(240)에 수납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듯,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룸 미러 케이스(200)는 내부에 수납 공간을 갖고, 일측이 개방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도 11에서 볼 수 있듯, 룸 미러 케이스(200)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220)은 상기 개방된 일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방향제 수납 부재(240)는 상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수납 공간으로 투입된다.
방향제 수납 부재(240)가 투입되는 일측에는 걸개 수용체(260)가 존재하는데, 이 걸개 수용체(260)는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걸개(250)와 서로 결합하거나 또는 분리된다.
걸개(250)는 룸 미러 케이스(200)의 개방된 일측을 향해 연장되다가, 차량용 룸 미러(2)의 전방 또는 후방쪽을 향해 꺾인 구조를 취함으로써 걸개 수용체(26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한편, 걸개(250)는 별도로 구성된 것일 수도 있고, 탄성 부재(220)의 일단이 연장된 것일 수도 있다.
걸개(250)와 걸개 수용체(260)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게 되면 방향제 수납 부재(240)는 상기 수납 공간 안에 배치되게 되며, 서로 분리되게 되면 방향제 수납 부재(240)는 상기 수납 공간으로부터 탈거된다. 이에 대해 도 12 내지 15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룸 미러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도이다.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방향제 수납 부재(240)를 일측이 개방된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200)에 투입한다. 투입 도중에 투입 반대 방향으로 탄성 부재(220)의 탄성력이 작용하지만, 탄성력을 거슬러 계속 방향제 수납 부재(240)를 밀어 넣는다.
도 12는 걸개(250)가 걸개 수용체(260)에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와 같은 상황에서 탄성력을 거슬러 계속 방향제 수납 부재(240)를 밀어 넣으면 도 13에서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걸개(250)가 이동한다.
걸개 수용체(260)는 도 12에서 볼 수 있듯, 걸개(250)가 체결되는 위치인 걸개 수용홈(261)과 걸개(250)가 상기 걸개 수용체(260)와의 체결 또는 분리를 위해 이동하는 통로인 걸개 이동홈(263, 265)을 포함한다.
걸개(250)가 걸개 수용체(260)와 체결되는 과정에서, 도 13은 걸개(250)가 걸게 이동홈(265)을 통하여 이동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방향의 걸게 이동홈(263)을 통해 이동하여 채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4는 걸개(250)가 걸개 수용홈(261)에 위치함으로써 걸개 수용체(260)와 체결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11 내지 도 15에서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걸개 수용체(250)의 중앙부에 '<'자 형태의 돌기가 형성됨으로 인해 그 주변부에 걸개 이동홈(263, 265) 및 걸개 수용홈(261)이 형성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반드시 '<'자 형태의 모양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 와 같은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더라도, 도 11 내지 도 15에서처럼 사용자가 왼쪽 방향으로 방향제 수납 부재(240)를 누르는 상황에서 탄성력이 있는 걸개(250)가 측면의 걸게 이동홈을 거쳐 이동하여 걸개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걸개 수용체(260)은 걸개(250)가 걸개 수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에서, 걸개(250)가 걸개 이동홈(263)을 통해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이동 유도부(2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서 걸개(250)는 걸개 이동홈(263)을 통해 이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걸개 이동홈을 제1 걸개 이동홈(263)과 제2 걸개 이동홈(265)로 칭한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걸개 이동홈(263)이 존재하는 쪽에 이동 유도부(267)가 존재하는데, 이동 유도부(267)는 걸개(250)가 제1 걸개 이동홈(263)을 통해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5에서 이동 유도부(267)는 제1 걸개 이동홈(263)이 존재하는 쪽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 걸개 이동홈(265)이 존재하는 쪽에도 존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2: 차량용 룸 미러
100, 200: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101, 201: 방향제 또는 공기 청정 입구
110: 커버
120, 220; 탄성 부재
130: 스토퍼
140, 240: 방향제 수납 부재
241: 방향제
250: 걸개
260: 걸개 수용체
261: 걸개 수용홈
263: 제1 걸개 이동홈
265: 제2 걸개 이동홈
267: 이동 유도부
100, 200: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101, 201: 방향제 또는 공기 청정 입구
110: 커버
120, 220; 탄성 부재
130: 스토퍼
140, 240: 방향제 수납 부재
241: 방향제
250: 걸개
260: 걸개 수용체
261: 걸개 수용홈
263: 제1 걸개 이동홈
265: 제2 걸개 이동홈
267: 이동 유도부
Claims (10)
-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는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개구부;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일 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방향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방향제가 상기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를 수납하는 수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수납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고정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스토퍼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방향제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오는 차량용 룸 미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회전이동하며,
상기 스토퍼를 회전시키면 상기 방향제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나오는 차량용 룸 미러. - 방향제 수납부재;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갖고, 일 측면이 개방된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방된 일 측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방향제 수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상기 차량용 룸 미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걸개; 및
상기 걸개로부터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방향제 수납 부재 상에 구비되는 걸개 수용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개는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개 수용체는,
상기 걸개가 체결되는 위치인 걸개 수용홈; 및
상기 걸개가 상기 걸개 수용장치와의 체결 또는 분리를 위해 이동하는 통로인 걸개 이동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개 이동홈은,
제1 걸개 이동홈과 제2 걸개 이동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룸 미러.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개 수용체는,
상기 걸개가 상기 걸개 수용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개가 상기 걸개 이동홈을 통해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이동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룸 미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168U KR20130003090U (ko) | 2011-11-16 | 2011-11-16 | 차량용 룸 미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10168U KR20130003090U (ko) | 2011-11-16 | 2011-11-16 | 차량용 룸 미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3090U true KR20130003090U (ko) | 2013-05-24 |
Family
ID=52429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10168U KR20130003090U (ko) | 2011-11-16 | 2011-11-16 | 차량용 룸 미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3090U (ko) |
-
2011
- 2011-11-16 KR KR2020110010168U patent/KR2013000309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10483B2 (ja) | コンソールボックス | |
JP5929593B2 (ja) | 自動車のドアトリム構造 | |
JP5040137B2 (ja) | 車両用フック構造 | |
JP5945200B2 (ja) | フック装置 | |
KR20130003090U (ko) | 차량용 룸 미러 | |
KR101601784B1 (ko) | 도어트림의 풀핸들부를 통한 쓰레기 수거 구조 | |
KR101048547B1 (ko) | 자동차용 우산 홀더 | |
CN104290570B (zh) | 遮阳板的构造 | |
US9598020B2 (en) | Rear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nd associated motor vehicle | |
KR20130058826A (ko) | 차량용 센터 콘솔 | |
KR20150039617A (ko) | 차량 도어 보관부 | |
KR101567776B1 (ko) |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 |
JP6191880B2 (ja) | 車両用ドアトリム | |
JP5432663B2 (ja) | 車両用収納ポケット | |
JP2011148351A (ja) |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 |
KR20100005888U (ko) | 가변식 물병 보관함을 구비하는 차량용 맵포켓 | |
KR100338463B1 (ko) | 자동차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수납박스 | |
JP6642265B2 (ja) | 車両用ドアトリム | |
KR101944304B1 (ko) |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 |
KR20080096041A (ko) | 차량용 선 바이저 | |
KR102110074B1 (ko) | 방향제가 구비되는 차량용 카드홀더 | |
JP2006290079A (ja) | 物品吊下げ支持装置 | |
KR100427214B1 (ko) | 차량의 센터콘솔 | |
KR20180130726A (ko) | 자동차용 글로브박스의 스톱퍼장치 | |
KR100552067B1 (ko) | 차량의 착탈식 콘솔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