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592A -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592A
KR20130002592A KR1020110063633A KR20110063633A KR20130002592A KR 20130002592 A KR20130002592 A KR 20130002592A KR 1020110063633 A KR1020110063633 A KR 1020110063633A KR 20110063633 A KR20110063633 A KR 20110063633A KR 20130002592 A KR20130002592 A KR 2013000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oxy
weight
powder coating
coating composition
cur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635B1 (ko
Inventor
우기석
신수환
최재영
Original Assignee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건설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6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9D163/04Epoxynovola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3Powdery paints
    • C09D5/033Powdery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09D5/035Coloring agents, e.g.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광선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자동차 부품용 분체 도료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도료에 비해 저온 경화가 가능하며 경화된 도막의 내식성 및 브레이크 오일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킨 에폭시 분체 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는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에폭시 경화제 15~30중량%, 경화 촉진제 0.1~1.5중량%, 첨가제 0.5~2.5 중량%, 무기 충진제 10~40중량%, 안료 0.1~0.5중량%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The epoxy-powder coating composition having low temperature hardening for an automobile parts}
본 발명은 태양 광선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자동차 부품용 분체 도료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도료에 비해 저온 경화가 가능하며 경화된 도막의 내식성 및 브레이크 오일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킨 에폭시 분체 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내식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한 노볼락 에폭시와 에폭시 경화제, 경화 촉진제, 첨가제, 무기 충진제, 안료 등으로 이뤄진 전 분산물을 용융 분산시킨 후 냉각, 분쇄 및 분급 공정을 거쳐 제조되어지는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에폭시 분체 도료의 경우 가열 경화 온도가 180~200℃의 온도로 비교적 경화 온도가 높아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고 그에 따른 비용이 부담되며 특히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일의 오염 시 도막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기존의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은 도막의 경화 온도(180~200℃)도 높아 에너지 비용이 높으면서도 자동차용 브레이크 오일에 노출 시에는 도막이 연화되어 도막이 박리되거나 소광 및 외관 불량 현상이 발생된다.
더욱이 낮은 경화 온도(140~150℃)에서는 도막 외관 및 기계적 물성, 내식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노볼락 에폭시 수지에 에폭시 경화제와 경화 촉진제을 첨가 사용하고 기타의 첨가제를 적절히 배합 사용함으로써 저온 경화(140~150℃)시에도 기존의 고온(180~200℃)에서 경화한 것과 동일한 우수한 외관과 기계적 물성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내식성 및 내브레이크 오일성을 개선시켜 자동차 부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키며 경화 온도의 저온화에 따른 에너지 비용의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조성의 자동차 부품용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은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에폭시 경화제 15~30중량%, 경화 촉진제 0.1~1.5중량%, 첨가제 0.5~2.5 중량%, 무기 충진제 10~40중량%, 안료 0.1~0.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300~700g/eq 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800~1200 g/eq 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조성비가 1:5 내지 5: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폭시 경화제는 디시안 디아마이드계 에폭시 경화제, 이미다졸계 에폭시 경화제, 산무수물계 에폭시 경화제, 페놀릭계 에폭시 경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에폭시 당량이 200~700 g/eq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화 촉진제는 이미다졸류, 이미다졸 변성에폭시, 디비유 및 비비유염, 트리 페닐 포스핀, 금속 킬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광택 조절제, 핀홀 방지제, 크레터링 방지제, 흐름성 개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기 충진제는 바륨 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티타늄 디옥 사이드, 크레이, 알루미나, 운모, 월라스토나이트, 탈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색 안료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시아닌 그린, 카본 블랙, 산화철적, 산화철황, 네이비 블루, 시아닌 블루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얻어지는 분체 도료 조성물은 기존의 180~200℃의 온도 경화 타입의 도료에 비해 저온화된 140~150℃의 온도에서도 도막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이 기존 타입과 동등하면서도, 브레이크 오일성이 우수하며 특히 내식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인 Coil Spring, Stabilizer, Torsion bar에 도장하는 경우에 종래의 분체도료보다 우수한 성능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은 기존의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과 동등한 우수한 외관 및 광택을 가지면서도 내식성 및 내브레이크 오일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시키며 경화 온도의 저온화에 따른 에너지 비용의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사용되는 구성 성분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태양 광선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자동차 부품 도장용 분체 도료에 관한 것으로. 저온 경화가 가능하며 내식성 및 내브레이크 오일성이 우수한 에폭시 분체 도료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노볼락 변성 에폭시를 에폭시 경화제, 경화 촉진제, 첨가제, 무기 충진제, 안료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되 저온 경화가 가능한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경화제를 선별하고 경화 촉진제를 첨가하여 경화 속도를 조정하며 낮은 용융 온도를 갖는 첨가제를 사용함으로써 저온 경화 시에도 외관 및 광택이 우수하며 특히 내브레이크 오일성과 내식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내부 부품인 Coil Spring, Stabilizer, Torsion bar등에 적합한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두 개의 에폭사이드 링을 갖는 일반적인 비스페놀 에이형의 에폭시 수지보다 많은 에폭사이드 링을 갖고 있으므로, 이러한 많은 반응기들은 도막 형성시 가교 밀도를 증진 시켜 일반 분체 도료에 비하여 내식성 및 내화학적 물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2종의 노볼락 에폭시 수지로 에폭시 당량이 300~7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800~12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사용한다.
에폭시 수지 당량이 300g/eq 이하이면 내화학성(Chemical Resistance)은 좋으나, 용융 점도가( Melt Viscosity )가 낮아지며 도막이 hard하여 기계적 물성(유연성)이 저하되고 에폭시 당량이 1200g/eq 이상인 경우 반대로 기계적 물성은 우수하나 도막의 가교도가 떨어져 내화학성이 저하되고, 용융 점도가 높아 도막의 외관이 저하된다.
이에 에폭시 수지 당량이 300~7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800~12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도막의 외관 저하를 방지하고 요구되는 도막의 물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에폭시 당량이 300~7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높은 경우 급격하게 낮아지는 점도에 의해 작업성 및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에폭시 당량이 800~12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높은 경우 내브레이크 오일성 및 내식성등의 화학적 물성이 저하된다 .
경화제로는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하며 대표적인 에폭시 경화제인 디시안디아마이드계 에폭시 경화제, 이미다졸계 에폭시 경화제, 산무수물계 에폭시 경화제, 페놀릭계 에폭시 경화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한 에폭시 경화제로 에폭시 당량이 200~700g/eq인 에폭시 경화제를 사용한다. 만약 에폭시 경화제의 당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분산성이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경화성이 저하된다.
상기 에폭시 경화제는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기준으로 15∼3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약 경화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경화성이 저하되어 미경화의 문제가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도막 물성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촉진제는 에폭시 수지의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저온에서 쉽게 활성화되고 반응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이미다졸류, 이미다졸변성에폭시, 디비유 및 비비유염, 트리 페닐 포스페이트 및 금속 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촉진제는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기준으로 0.1~1.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약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경화 시간 및 경화 온도가 높아져 경화성이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효과상으로 큰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레벨링이 떨어지거나 핀홀이 발생되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고 저장 안정성을 저하시킨다.
첨가제는 용융 온도가 대부분 100~120℃의 제품 또는 그 이하 온도의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경화형 분체 도료의 경화 온도 140~150℃의 온도에서 그 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광택 조절제, 핀홀 방지제, 크레터링 방지제, 흐름성 개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첨가제는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기준으로 0.5~2.5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약 첨가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첨가제 사용에 따른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효과가 없어 비경제적이며 경우에 따라는 오히려 외관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다.
무기 충진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륨 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티타늄 디옥사이드, 크레이, 알루미나, 운모, 월라스토나이트, 탈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무기 충진제는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기준으로 10∼40중량%의 무기 충진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만약 무기 충진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도막의 흐름(sagging) 현상 및 은폐력 저하의 문제가 발생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용융 점도가 높아져 도막의 외관 및 광택을 저하시키며 상대적으로 수지 함량이 낮아져서 도막의 물성이 저하된다.
착색 안료는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착색 안료는 대표적으로 티타늄 디옥사이드,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시아닌 그린, 카본 블랙, 산화철적,산화 철황, 네이비 블루, 시아닌 블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상기 착색 안료는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기준으로 0.1∼0.5중량%를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거나 초과하게 되면 형성된 도막의 색상이 충분치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로는 각 조성을 평량하는 단계로 상기에서 서술한 바의 조성비를 갖도록 노볼락 에폭시 수지, 에폭시 경화제, 경화 촉진제, 첨가제, 무기 충진제, 착색 안료를 전자 저울 등의 측량기를 이용하여 개량한 다음, 예비 혼합기( Pre-mixer )에 투입 한다
제2단계로는 평량된 조성물을 예비 혼합(Pre-mixing)하는 단계로서 예비 혼합기(Prism Pilot 15)에 투입 된 조성물을 1,000~2,000rpm으로 1~2분의 고속에서 혼합한다.
제3단계로는 분산단계로서, 상기 예비 혼합한 조성물들을 용융 분산기(Twin Screw, ZSK-25)를 이용하여 90~120℃의 온도에서 용융 분산시키고, 적당한 두께의 칩(Chip)형태의 분산물을 얻는다
제4단계로는 분쇄단계로서, 상기 제조된 칩(Chip)을 냉각하여 조분쇄화 하고 조분쇄된 칩을 ACM분쇄기 또는 터보밀 등의 분쇄기를 사용하여 미분쇄하며 이때 분쇄되는 분체 도료의 입자 크기를 분쇄기를 이용, 조절하여 30~70㎛의 평균 입자를 갖도록 한다.
제5단계로는 여과단계로서, 상기 분쇄된 분체 도료 입자를 60~200mesh의 진동 분급기(Seive)로 분급을 하여 오버 사이즈 입자를 제거하면 분체 도료의 제조가 완료된다.
도료의 제조 시 용융 분산기의 온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의 도료는 저온 경화형 분체 도료인 관계로 분산기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분산기 내에서 경화 반응이 진행되어 분산기 내부에서 겔화(Gell化)가 발생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을 저하시키므로 용융 분산기의 온도는 90~120℃로 유지 관리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예비 혼합 단계에서 제시된 함량비를 유지하여야 만이 가능하다
이렇게 제조된 분체 도료 조성물은 정전 스프레이 또는 유동 침적 도장방법에 의해 건조 도막 두께 기준으로 약 100~120㎛이 되도록 도장한다. 상기의 방법은 기존의 분체 도료의 도장 방법과 동일하며 도장된 피도물을 간접 열풍식 건조로에서 가열 경화시킨다.
이때, 기존의 분체 도료는 열풍 건조로의 온도가 180~200℃로 비교적 높은 온도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분체 도료는 열풍 건조로의 온도가 140~150℃ 온도로 저온의 경화 조건에서도 요구되는 도막의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
하기 표 1의 조성을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우선 표 1에 기재된 배합비가 되도록 정량한 분체 도료 조성물을 예비 혼합기(Prism Pilot 15)에 투입 한 후 1,000~2,000rpm으로 1분~2분 동안 프리믹싱 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용융 분산기(twin screw, ZSK-25)에 투입 시켜 90~120℃ 온도로 용융 분산하였다.
상기 용융 분산기를 거쳐 얻어진 용융 분산물을 ACM분쇄기 또는 터보밀을 이용하여 평균 입자경이 30~70㎛인 분체 도료 조성물을 제조한다.
시료는 Shot Blast처리한 후 인산 아연 화성 피막 처리된 2.0T 냉간 압연 강판에 건조 도막 두께를 100~120㎛으로 도장하여 소재 온도 기준으로 140℃×15분, 150℃×15분, 180℃×15분, 200℃×15분 조건으로 경화 시켜 작성하였다.
[표 1] 원료조성 및 함량
Figure pat00001
① 노볼락 에폭시 수지 : 300~700g/eq (Huntsman)
② 노볼락 에폭시 수지 : 800~1200g/eq (Huntsman)
③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 600~1,000g/eq (Huntsman )
④ 에폭시 경화제 : 200~700g/eq (Huntsman)
⑤ 이미다졸계 경화촉진제(四國化成)
⑥ PV-5 (Estron chemical)
⑦ 벤조인 (Estron chemical)
⑧ 실리카 : (고려실리카)
⑨ 카본블랙 (Degussa)
상기 표 1에 실시예 1~3은 자동차 부품용 분체 도료 조성물로 2종의 노볼락변성 에폭시 수지 30~60 중량%에 대하여 에폭시 경화제 15~30중량%, 경화 촉진제 0.1~1.5중량%, 첨가제 0.5~2.5중량%, 무기 충진제 10~40 중량%, 안료 0.1~0.5중량%로 구성되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 1~3은 에폭시 당량이 300~7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 800 ~12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조성비가 1:5 내지 1:5의 중량%로 구성하였다.
에폭시 당량이 300~7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가교도가 너무 높아 화학적 물성은 우수하나 기계적 강도와 유연성 및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에폭시 당량이 800~1200g/eq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단독으로 사용 할 경우 도막의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나 용융 점도가 높아 도막의 외관과 화학적 물성이 저하되어 브레이크 오일에 대하여 도막이 연화되고 내식성이 저하된다.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3에서 에폭시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의 당량과 경화제의 당량비에 따라 조정하였으며 2종의 노볼락변성 에폭시 수지 30~60 중량%에 대하여 15~3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3에서 경화 촉진제는 저온에서 쉽게 활성화되고 반응성이 우수한 이미다졸계를 사용하였으며 2종의 노볼락변성 에폭시 수지 30~60중량%에 대하여 0.1~1.5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표1에서 실시예 1~3에서 첨가제는 핀홀 방지제와 흐름성 개선제를 혼합하였으며 용융 온도가 100~120℃ 수준인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저온 경화 시에도 그 성능이 발휘되도록 하였으며 2종의 노볼락변성 에폭시 수지 30~60중량%에 대하여 0.5~2.5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표 1에서 실시예 1~3에서 무기 충진제 및 안료는 2종의 노볼락변성 에폭시 수지 30~60 중량%에 대하여 각각 10~40중량% 및 0.1~0.5중량%를 사용하여 적당한 은폐와 도막의 흐름성을 확보하였다.
[표 2] 도막 물성의 시험 항목 및 조건
Figure pat00002

상기 표1에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한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의 도막 물성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3] 도막 물성의 시험 결과
Figure pat00003
상기 표3의 도막 물성 시험 결과에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는 경화 조건 140℃×15분, 비교예 3~4는 180×15분에서 도막 물성을 평가하였다.
[표 4] 도막 물성 시험 결과
Figure pat00004

상기 표3의 도막 물성 시험 결과에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는 경화 조건 150℃×10분, 비교예 3~4는 200℃×15분에서 도막 물성을 평가하였다.
상기 표3 및 표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경화 조건 140℃×15분, 150℃×10분(소지 표면 온도 기준)에서 실시예1~3의 경우에는 도막 물성 평가 항목이 양호하며 특히 내브레이크 오일성과 내식성이 우수하나 비교예 1~4는 기계적 물성과 내브레이크 오일성과 내식성이 불량하다.
특히 비교예 3~4는 180℃×15분, 200℃×15분(표면소지온도 기준)으로 비교적 경화 온도가 높으나 내브레이크 오일성은 불량한 상태를 보였으며 내식성도 다소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 1~3의 경우에는 저온 경화 시에도 우수한 외관 및 기계적 물성을 보이며 특히 내브레이 크 오일성과 내식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의 에폭시 분체 도료의 상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성으로 제조된 분체 도료의 경우 140~150℃의 저온에서 경화되어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면서도 도막의 외관과 기계적 물성 등이 기존 도료와 동등 이상의 수준이며, 자동차 부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개선하기 요구되는 내브레이크 오일성 및 내식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으로 제조된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는 기존도료에 비해 경화 온도가 낮아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는 등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내식성과 내브레이크 오일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부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등의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Claims (7)

  1. 2종의 에폭시 수지 30~60중량%, 에폭시 경화제 15~30중량%, 경화 촉진제 0.1~1.5중량%, 첨가제 0.5~2.5 중량%, 무기 충진제 10~40중량%, 안료 0.1~0.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300~700g/eq 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800~1200 g/eq 인 노볼락 에폭시 수지의 조성비가 1:5 내지 5:1의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경화제는 디시안 디아마이드계 에폭시 경화제, 이미다졸계 에폭시 경화제, 산무수물계 에폭시 경화제, 페놀릭계 에폭시 경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에폭시 당량이 200~700 g/eq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진제는 이미다졸류, 이미다졸 변성에폭시, 디비유 및 비비유염, 트리 페닐 포스핀, 금속 킬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습윤제, 광택 조절제, 핀홀 방지제, 크레터링 방지제, 흐름성 개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충진제는 바륨 설페이트,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나, 티타늄 디옥 사이드, 크레이, 알루미나, 운모, 월라스토나이트, 탈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안료는 티타늄 디옥사이드,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시아닌 그린, 카본 블랙, 산화철적, 산화철황, 네이비 블루, 시아닌 블루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KR1020110063633A 2011-06-29 2011-06-29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KR101313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633A KR101313635B1 (ko) 2011-06-29 2011-06-29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633A KR101313635B1 (ko) 2011-06-29 2011-06-29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92A true KR20130002592A (ko) 2013-01-08
KR101313635B1 KR101313635B1 (ko) 2013-10-02

Family

ID=4783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633A KR101313635B1 (ko) 2011-06-29 2011-06-29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6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7233A (zh) * 2016-04-28 2016-08-31 佛山市恒学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低温固化粉末涂料
WO2017099469A3 (ko) * 2015-12-08 2017-08-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열성능이 우수한 진공증착 하도용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RU2633905C1 (ru) * 2016-06-03 2017-10-1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Коми Научного Центра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Эпокс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N115667421A (zh) * 2020-06-03 2023-01-31 阿克佐诺贝尔国际涂料股份有限公司 粉末涂料组合物及经此粉末涂料组合物涂覆的基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613B1 (ko) * 2015-01-06 2015-04-16 엘이디라이팅 주식회사 자외선에 의한 변색방지 도료가 코팅된 반사갓 및 과전압 보호 기능을 갖는 형광등 기구
CN106205837B (zh) * 2016-09-28 2017-08-22 上海新益电力线路器材有限公司 一种复合氧化镁耐火电缆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359B1 (ko) 2003-02-06 2005-12-06 주식회사 케이씨씨 분말 융착식 다층 강관 피복용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다층 강관 피복방법
KR101163787B1 (ko) 2005-12-29 2012-07-09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식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분체도료 조성물
KR100904279B1 (ko) * 2007-06-15 2009-06-25 조광페인트주식회사 열경화형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469A3 (ko) * 2015-12-08 2017-08-03 주식회사 케이씨씨 내열성능이 우수한 진공증착 하도용 분체도료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경화코팅층을 포함하는 성형품
CN105907233A (zh) * 2016-04-28 2016-08-31 佛山市恒学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低温固化粉末涂料
RU2633905C1 (ru) * 2016-06-03 2017-10-1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Коми Научного Центра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Эпокс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CN115667421A (zh) * 2020-06-03 2023-01-31 阿克佐诺贝尔国际涂料股份有限公司 粉末涂料组合物及经此粉末涂料组合物涂覆的基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635B1 (ko)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635B1 (ko) 자동차 부품용 저온 경화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CN100560633C (zh) 脲衍生物作为环氧树脂用促进剂的用途
US11447644B2 (en) Antistatic powder coating composition
WO2020180979A1 (en) Thermosetting epoxy composition for powder coating
CN104962042A (zh) 一种耐磨颗粒胶及其制备方法
KR102042203B1 (ko) 분체도료 조성물
JPS58164658A (ja) 金属表面用コ−テイング液組成物およびその組成物による金属表面のコ−テイング方法
KR100904279B1 (ko) 열경화형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분체도료 조성물
KR101818348B1 (ko) 고광택 고레벨링 분체도료 조성물
KR20170038557A (ko) 저온 경화형 에폭시-폴리에스테르 분체도료 조성물
CN114316755A (zh) 一种低温固化低光平面粉末涂料组合物及其涂层
KR101297779B1 (ko) 자동차 부품용 발포형 분체도료 조성물
CN101348682A (zh) 稀土有机陶瓷涂料及其制造方法
CN112680070A (zh) 一种耐腐蚀高附着力环氧树脂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
KR100813098B1 (ko) 닥타일 주철관용 bpf형 에폭시 분체 도료 조성물 및이를 내면에 도포한 닥타일 주철관 및 이형관
KR20130082191A (ko) 자동차 루프랙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92354B1 (ko) 엔진블록용 에폭시 반광 분체도료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도장방법
CN112143274A (zh) 一种超薄涂层用粉末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7258384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
JP2020169314A (ja) エポキシ樹脂粉体塗料
JP2000109728A (ja) 広範囲な焼き付け温度領域で硬化可能な粉体塗料組成物及びその塗装方法
KR20220101926A (ko) 내알칼리성과 내용제성이 강화된 분체도료 조성물
WO2016080503A1 (ja) 粉体塗料
EP3628671A1 (en) High heat epoxy coating powders, processes of making, and uses thereof
KR102548145B1 (ko) 고광택, 고레벨링 메탈릭 분체 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