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568U -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568U
KR20130002568U KR2020110009330U KR20110009330U KR20130002568U KR 20130002568 U KR20130002568 U KR 20130002568U KR 2020110009330 U KR2020110009330 U KR 2020110009330U KR 20110009330 U KR20110009330 U KR 20110009330U KR 20130002568 U KR20130002568 U KR 201300025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hose
crimping portion
press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245Y1 (ko
Inventor
유이기
Original Assignee
유이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이기 filed Critical 유이기
Priority to KR2020110009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245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5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5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2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2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연결니플의 양단을 호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장치로서, 연결니플이 삽입된 호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호스를 감싸도록 형성된 압착부와, 이 압착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압착부를 호스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의 외부에 압착부와 고정부를 설치하여 양쪽 호스의 외부를 압착함으로써,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 사이의 연결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연결해제를 방지할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hose using compress ring}
본 고안은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연결니플의 양단을 호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호스는 가정이나 산업체에서 각종 작동기구에 유압이나 공압을 공급하여 작동시켜 주는 연결배관으로서, 이러한 고무호스의 연결부위에는 양측 단부에 연결용 커플링이나 연결니플을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시켜 주고, 커플링이나 연결니플의 타측에는 연결관체를 연결시켜 유체나 기체가 고무호스를 통해 유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호스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연결장치는 호스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연결니플의 양단을 호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호스를 연결하게 된다.
특히, 공장에서 유압용이나 공압용으로 사용되는 호스에서, 호스를 더 길게 연장하여 사용하기 위해 연결하거나, 호스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 절단 후 다시 연결하는 경우에 호스의 끝단 내부로 삽입하는 연결니플을 이용하여 호스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호스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니플은 호스의 연결부위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끼워맞춤되도록 연결니플의 외주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나, 호스의 연결부위에 중량의 운반기구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 호스의 연결부위가 연결해제되어 누수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사용자들은 양쪽 호스의 내부에 연결니플을 삽입한 후 호스의 외면에 철사를 감아서 고정시켜 가압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지지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그러나, 연결부위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 할 뿐만 아니라, 철사가 작업자의 옷이나 신체에 걸려 다치기도 하고 나무나 돌 등에 걸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폐단이 있었고 철사를 감는 것 자체가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작업이며, 철사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빈번하게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철사를 대신하여 우선 호스의 외면에 먼저 압착링을 삽입하고 호스내부에 연결니플을 삽입한 후 압착링을 프레스 등과 같은 압착기구를 이용하여 압착링을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압착장치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므로, 호스의 연결 작업시간이나 작업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압착링의 지지력이 미약하여 호스의 연결부위가 분리되는 경우에 수리비용이나 재 연결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호스 연결의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호스 연결부위의 지지력에 대한 신뢰도도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 사이의 연결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연결해제를 방지할 있고, 압착링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결부에 의해 이들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압착링과 연결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압착부와 고정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의 설치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압착부의 압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연결니플의 양단을 호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니플이 삽입된 호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호스를 감싸도록 형성된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를 호스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압착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 1 압착부와, 타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상기 연결부를 각각 결합한다.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는, 내면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만곡형성된 바아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도록 복수의 결합홀이 상기 바아의 양단에 각각 이격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압착부는,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쪽 호스의 외부 일부위에 압착되는 제 1 분할압착부와, 양쪽 호스의 외부 타부위에 압착되는 제2 분할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분할압착부 및 상기 제2 분할압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분할압착부 및 상기 제2 분할압착부를 가압한다.
본 고안의 상기 압착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 1 압착부와, 타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를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는, 일방의 호스에 상기 제1 압착부를 압착하도록 압착설비의 압착에 의해 상기 제1 압착부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제1 고정홈과, 타방의 호스에 상기 제2 압착부를 압착하도록 압착설비의 압착에 의해 상기 제2 압착부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제2 고정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의 외부에 압착부와 고정부를 설치하여 양쪽 호스의 외부를 압착함으로써,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 사이의 연결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연결해제를 방지할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의 외부에 압착링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연결부로 연결하고 고정부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압착링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결부에 의해 이들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연결부를 내면이 만곡된 바아로 형성하여 압착부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착링과 연결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압착부를 길이방향으로 절취된 원통형상의 분할압착부로 형성하여 그 외부에 고정부로 압착함으로써, 압착부와 고정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의 설치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압착부의 내부면에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압착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는 압착부(10, 20, 30)와 고정부(40, 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며 양단에 끼움돌기(3a, 3b)가 각각 형성된 연결니플(3)의 양단을 양쪽 호스(1, 2)의 내부에 삽입하여 양쪽 호스(1, 2)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장치이다.
압착부(10, 20, 30)는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설치되며 양쪽 호스(1, 2)의 외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압착부(10), 제2 압착부(20) 및 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
제1 압착부(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의 호스(1)에 압착되는 압착링(11)으로서, 압착링(11)의 내부면에는 일방의 호스(1)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접촉돌기(13)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압착링(11)의 외부면에는 연결부(3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홀(12)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압착부(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방의 호스(2)에 압착되는 압착링(21)으로서, 압착링(21)의 내부면에는 타방의 호스(2)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접촉돌기(23)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압착링(21)의 외부면에는 연결부(3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홀(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압착부(10) 및 제2 압착부(20)는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C"자 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압착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부(30)는 제1 압착부(10)와 제2 압착부(20)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로서, 내면이 제1 압착부(10) 및 제2 압착부(2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만곡형성된 바아(31)로 형성되어 제1 압착부(10)와 제2 압착부(20) 사이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연결부(30)는, 제1 압착부(10)와 제2 압착부(20) 사이의 이격거리, 즉 양쪽 호스(1, 2)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결합홀(32, 33)이 바아(31)의 양단에 각각 이격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40, 50)는 제1 압착부(10) 및 제2 압착부(20)의 외부에 결합되어 제1 압착부(10) 및 제2 압착부(20)를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제1 고정부(40)와 제2 고정부(50)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고정부(40)는 제1 압착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홀(12)과 연결부(30)의 결합홀(32)에 설치되어 제1 압착부(10)와 연결부(30)를 결합하게 되고, 제2 고정부(50)는, 제2 압착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홀(22)과 연결부(30)의 결합홀(33)에 설치되어 제2 압착부(20)와 연결부(30)를 결합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는 제1 압착부(10) 및 제2 압착부(20)의 외부에 연결부(30)를 용접 등과 같은 접합작업에 의해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압착부(10, 20, 30)와 고정부(40, 50)를 설치하여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를 압착함으로써,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 사이의 연결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연결해제를 방지할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는 압착부(110, 120)와 고정부(130, 140)로 이루어져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며 양단에 끼움돌기(3a, 3b)가 각각 형성된 연결니플(3)의 양단을 양쪽 호스(1, 2)의 내부에 삽입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장치이다.
압착부(110, 120)는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설치되며 양쪽 호스(1, 2)의 외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분할압착부(110) 및 제2 분할압착부(120)로 이루어진다.
제1 분할압착부(110)는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 일부위에 압착되는 분할압착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분할압착부(110)의 압착부위의 내부면에는 양쪽 호스(1, 2)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접촉돌기(112, 114)가 각각 형성되며, 호스와의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호스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분할압착부(110)의 압착부위의 외부면에는 고정부(130, 140)를 각각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홈(113, 11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호스(1, 2)에 압착되는 제1 분할압착부(110)의 압착부위 사이에는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연결지지대(111)가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분할압착부(120)의 압착부위의 내부면에는 양쪽 호스(1, 2)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접촉돌기(122, 124)가 각각 형성되며, 호스와의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호스의 외주면을 따라 만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분할압착부(120)의 압착부위의 외부면에는 고정부(130, 140)를 각각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홈(123, 1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쪽 호스(1, 2)에 압착되는 제2 분할압착부(120)의 압착부위 사이에는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연결지지대(121)가 형성되어, 이들 사이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130, 140)는 제1 분할압착부(110) 및 제2 분할압착부(120)의 외부에 각각 결합되어 제1 분할압착부(110) 및 제2 분할압착부(120)를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제1 분할고정부(130)와 제2 분할고정부(140)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분할고정부(130)는 제1 분할압착부(110)의 일방 압착부위의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홈(113)과 제2 분할압착부(120)의 일방 압착부위의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홈(123)에 끼워맞춤되는 고정링(131)과, 이 고정링(131)의 일방이 절취되어 이격된 결합편(132)과, 이러한 양쪽의 결합편(132)을 체결고정하는 볼트(133) 및 너트(134)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분할고정부(140)는 제1 분할압착부(110)의 타방 압착부위의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홈(115)과 제2 분할압착부(120)의 타방 압착부위의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홈(125)에 끼워맞춤되는 고정링(141)과, 이 고정링(141)의 일방이 절취되어 이격된 결합편(142)과, 이러한 양쪽의 결합편(142)을 체결고정하는 볼트(143) 및 너트(14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제1 분할고정부(130)와 제2 분할고정부(140)는 절취되지 않은 원형상의 고정링으로 이루어져 고정링의 외부에서 가압기기에 의해 가압성형함으로써, 제1 분할압착부(110) 및 제2 분할압착부(120)를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한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는 압착부(210, 220, 230)와 고정부(240, 250)로 이루어져 내부에 관로가 형성되며 양단에 끼움돌기(3a, 3b)가 각각 형성된 연결니플(3)의 양단을 양쪽 호스(1, 2)의 내부에 삽입하여 양쪽 호스(1, 2)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장치이다.
압착부(210, 220, 230)는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설치되며 양쪽 호스(1, 2)의 외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압착부(210), 제2 압착부(220) 및 연결부(230)로 이루어진다.
제1 압착부(2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방의 호스(1)에 압착되는 압착링으로서, 압착링의 내부면에는 일방의 호스(1)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2 압착부(20)는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타방의 호스(2)에 압착되는 압착링으로서, 압착링의 내부면에는 타방의 호스(2)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도록 복수의 접촉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는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키도록 "C"자 형상으로 만곡형성된 압착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부(230)는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를 서로 연결하여 이들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로서, 내면이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만곡형성된 바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230)는, 제1 압착부(210)의 외주면에 용접작업에 의해 제1 용접부위(231)를 형성하여 연결부(230)의 일단과 제1 압착부(210)가 결합되고, 제2 압착부(220)의 외주면에 용접작업에 의해 제2 용접부위(232)를 형성하여 연결부(230)의 타단과 제2 압착부(220)가 결합되어, 제1 압착부(210)와 제2 압착부(220)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게 된다.
고정부(240, 250)는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의 외부에 형성되어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를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압착설비에 의한 압착에 의해 각각 고정시키며, 제1 고정홈(240)와 제2 고정홈(2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고정홈(240)은 일방의 호스(1)의 외부에 제1 압착부(210)를 압착하도록 압착설비의 압착에 의해 제1 압착부(210)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되고, 제2 고정홈(250)은 타방의 호스(2)의 외부에 제2 압착부(220)를 압착하도록 압착설비의 압착에 의해 제2 압착부(220)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에 압착부(210, 220, 230)와 고정부(240, 250)를 설치하여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의 외부를 압착함으로써, 연결니플(3)이 삽입된 양쪽 호스(1, 2) 사이의 연결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연결해제를 방지할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의 외부에 압착부와 고정부를 설치하여 양쪽 호스의 외부를 압착함으로써,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 사이의 연결지지력을 향상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연결해제를 방지할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연결니플이 삽입된 양쪽 호스의 외부에 압착링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연결부로 연결하고 고정부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압착링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결부에 의해 이들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연결부를 내면이 만곡된 바아로 형성하여 압착부와의 접촉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압착링과 연결부 사이의 고정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착부를 길이방향으로 절취된 원통형상의 분할압착부로 형성하여 그 외부에 고정부로 압착함으로써, 압착부와 고정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이들의 설치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압착부의 내부면에 접촉돌기를 형성하여 압착부의 압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제1 압착부 20: 제2 압착부
30: 연결부 40: 제1 고정부
50: 제2 고정부 110: 제1 분할압착부
120: 제2 분할압착부 130: 제1 분할고정부
140: 제2 분할고정부

Claims (6)

  1. 내부에 관로가 형성된 연결니플의 양단을 호스의 내부에 삽입하여 호스를 연결하는 호스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니플이 삽입된 호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호스를 감싸도록 형성된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외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착부를 호스의 외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 1 압착부와, 타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상기 연결부를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내면이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의 외주면에 밀착하도록 만곡형성된 바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정하도록 복수의 결합홀이 상기 바아의 양단에 각각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원통의 길이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쪽 호스의 외부 일부위에 압착되는 제 1 분할압착부와, 양쪽 호스의 외부 타부위에 압착되는 제2 분할압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분할압착부 및 상기 제2 분할압착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분할압착부 및 상기 제2 분할압착부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 1 압착부와, 타방의 호스에 압착되는 제2 압착부와, 상기 제1 압착부와 상기 제2 압착부를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는, 일방의 호스에 상기 제1 압착부를 압착하도록 압착설비의 압착에 의해 상기 제1 압착부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제1 고정홈과, 타방의 호스에 상기 제2 압착부를 압착하도록 압착설비의 압착에 의해 상기 제2 압착부의 외주면에 함몰형성된 제2 고정홈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KR2020110009330U 2011-10-20 2011-10-20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KR2004692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30U KR200469245Y1 (ko) 2011-10-20 2011-10-20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330U KR200469245Y1 (ko) 2011-10-20 2011-10-20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568U true KR20130002568U (ko) 2013-04-30
KR200469245Y1 KR200469245Y1 (ko) 2013-10-01

Family

ID=5073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330U KR200469245Y1 (ko) 2011-10-20 2011-10-20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2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58A (ko) 2020-12-04 2022-06-13 윤경윤 귀와 코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안경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1869A (ja) 1999-04-05 2000-10-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低圧配管接続構造
KR200398123Y1 (ko) * 2005-07-20 2005-10-12 권경숙 호스에 연결된 파이프 이음연결용 체결장치
JP2008002326A (ja) * 2006-06-21 2008-01-10 Works Bell:Kk ジョイントホース外れ防止具
KR101033075B1 (ko) 2010-11-17 2011-05-06 구성옥 동파이프 이음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8958A (ko) 2020-12-04 2022-06-13 윤경윤 귀와 코에서 흘러내리지 않는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9245Y1 (ko) 201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6718B2 (en) Unwelded explosion-proof drain cable gland assembly
US20130154257A1 (en) Hose coupling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CN103459909A (zh) 具有保持弹簧的软管联接器
CN201359152Y (zh) 一种管道连接结构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CN103635734B (zh) 软管耦接装置,尤其用于分离系统的液压高压管道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US8888138B2 (en) Hose coupling
KR200469245Y1 (ko) 압착링을 이용한 호스연결장치
KR20160119559A (ko)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JP6010831B2 (ja) 管継手構造
KR20090010124U (ko) 관 연결구
CN211693868U (zh) 一种用于商用车液压系统的快插式油管
KR200198059Y1 (ko) 고압호스 연결용 피팅
US6837524B2 (en) Hose clamping structure
KR20120105740A (ko) 에어컨 호스와 피팅 결합구조
RU2535420C1 (ru) Ко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гибкой полимерно-арм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и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штуцера к ней
KR20130003511U (ko) 고압호스용 투-링 클램프
CN211667318U (zh) 一种可双向卡压连接的管件
KR20140068406A (ko) 관 연결구
CN212776069U (zh) 一种新型密封管件
KR10154010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1672071B1 (ko) 호스의 이탈 및 피로 파괴를 방지하기 위한 접속 피팅
KR101198331B1 (ko) 플렉시블 튜브의 무용접 커플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