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124U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124U
KR20090010124U KR2020080004313U KR20080004313U KR20090010124U KR 20090010124 U KR20090010124 U KR 20090010124U KR 2020080004313 U KR2020080004313 U KR 2020080004313U KR 20080004313 U KR20080004313 U KR 20080004313U KR 20090010124 U KR20090010124 U KR 200900101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ressing ring
ring
pip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3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1357Y1 (ko
Inventor
임헌록
Original Assignee
임헌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헌록 filed Critical 임헌록
Priority to KR20200800043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5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1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1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끼워지는 압착링과, 상기 압착링을 압착하면서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의 양단에는 평탄면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이 끼워지는 소켓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평탄면부중 일측이 삽입되는 압착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너트의 내면에는 상기 평탄면부중 타측이 삽입되는 압착링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배관의 관 연결작업시 압착링의 센터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관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센터링 불량에 따른 압착링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기밀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관, 금속배관, 연결구, 금속제, 압착링, 센터링, 기밀

Description

관 연결구{PIPE CONNECTOR}
본 고안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난방용 배관으로 사용되는 금속관의 연결시 긴밀하고 완벽한 씰링을 유지하면서 조립의 용이성을 확보하도록 개선된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은 액체 또는 기체 등을 운반하는 수송수단으로 사용되며, 보통 용도에 따라 냉ㆍ난방용 배수관, 상수도용 배수관, 하수도용 배수관 등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관 중에서 특히, 냉ㆍ난방용으로 사용되는 배관은 동관이나 스테인리스스틸관으로 된 금속관이 주로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 배관의 연결은 배관의 양단 체결부위에 나사선을 형성하고, 연결구 내측으로는 이에 대응하는 나사선을 형성한 후 이를 서로 나사결합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예컨대, 종래 관 연결구는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소켓(10), 압착링(20) 및 조임너트(30)로 구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금속관의 타단에 소켓(10)이 나사고정된 상태에서 연결 대상 금속관(40)의 일단이 조임너트(30)와 압착링(20)을 관통하여 소켓(10) 내부로 삽입된 후 그 단부가 소켓(10) 내부의 금속관걸림턱(12)에 걸림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압착링(20)의 개재하에 조임너트(30)가 소켓(10)에 나사체결되면서 압착링(20)을 조여 씰링과 동시에 연결 대상 금속관(40)을 소켓(10)에 접속 고정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관 연결구를 구성하는 압착링(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의 요홈(22)을 중심으로 그 양단이 단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관 연결작업을 위해 소켓(10)의 압착면(14) 혹은 조임너트(30)의 압착면(34)에 배치했을 때 정위치(센터링)되지 못하고 유동되게 되어 관 연결작업이 쉽지 않고, 일일이 센터링시킨 다음 관 연결작업을 수행해야 하였으므로 작업시간과 작업부하가 가중되는 단점이 파생되었다.
뿐만 아니라, 압착링(20)은 보통 황동 등과 같은 경질의 금속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 압착링(20)이 정위치되지 못한 상태에서 과도하게 조임너트(30)를 조이게 되면 압착링(20)의 일부가 심하게 변형되면서 그 본래의 기능인 씰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관 연결구를 통한 누수의 문제도 발생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금속제의 압착링을 사용하여 금속배관의 관 연결작업시 자동센터링이 가능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그로 인해 조임너트 조임시 압착링의 변형을 막아 기밀성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관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주된 해 결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끼워지는 압착링과, 상기 압착링을 압착하면서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의 양단에는 평탄면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이 끼워지는 소켓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평탄면부중 일측이 삽입되는 압착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너트의 내면에는 상기 평탄면부중 타측이 삽입되는 압착링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착링삽입홈의 내벽면은 압착링이 압축될 때 중심을 향해 오무려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배관의 관 연결작업시 압착링의 센터링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관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센터링 불량에 따른 압착링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기밀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외면에 나사산(S)이 형성된 소켓(100)과, 상기 소켓(100)의 일측에 끼워지는 압착링(200)과, 상기 압착링(200)이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소켓(100)의 일측 나사산(S)에 체결되도록 대응되는 나사산(S')을 갖는 조임너트(30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켓(100)의 타단, 즉 상기 조임너트(300)가 체결되는 단부와 대향되는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금속관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소켓(100)의 내부 중앙부에는 상기 압착링(200)이 끼워지는 쪽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연결 대상 금속관(400)의 단부가 걸림되는 금속관걸림턱(110)이 기존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100)의 일단, 즉 상기 조임너트(300)가 체결되는 단부 내면에는 기존과 달리 일정폭의 압착링삽입홈(120)이 형성되고, 또 상기 압착링삽입홈(120)의 내부에는 압착링걸림면(130)이 경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100)의 일단면에는 내측으로 경사진 압착면(140)이 기존과 같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압착링(220)의 경사면부(220)와 접촉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기존과 달라진 점은 압착링삽입홈(120)이 더 형성된다는 것이고, 또 압착링걸림면(130)이 이 압착링삽입홈(120) 내부에 형성된다는 것이다.
한편, 압착링(200)은 폭 중앙부 외면에 형성된 요홈(21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상기 요홈(210)으로부터 경사면부(220), 평탄면부(230)가 순차 형성된다.
다시 말해, 기존에 없던 평탄면부(230)가 상기 경사면부(220)의 단부로부터 중심축선(C)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더 연장형성된 것이 기존 압착링과 다른 구조이다.
이때, 상기 평탄면부(230)는 앞서 설명하였던 압착링삽입홈(12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평탄면부(230)가 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압착링(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경질의 황동, 연질의 동 또는 테프론 등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조임너트(300)도 상기 압착링(200)의 구조 변화에 맞추어 개량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조임너트(300)의 내부는 상기 소켓(100)에 형성된 압착링삽입홈(120)과 대응되는 압착링삽입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삽입홈(320)의 내부에는 압착링걸림면(330)이 경사형성되며, 상기 압착링삽입홈(320)과 단차를 두고 상기 소켓(100)에 구비된 압착면(140)과 대응되는 압착면(34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압착링(200)은 상기 소켓(100) 혹은 조임너트(300)중 어느 한쪽에 끼우더라도 그 평탄면부(230)가 자연스럽게 압착링삽입홈(120,320)에 삽입되면서 센터링되게 되어 관 연결시 항상 정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관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소켓(100), 압착링(200), 조임너트(300)에 형성되는 다수의 경 사면들은 압착링(200)이 조여질 때 가해지는 힘에 의해 압착링(200)이 최대한 금속관(400)의 외표면으로 유동되어 보다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을 최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압착링(200)에 가해지는 힘이 압착링(200)의 원중심을 향하도록 작용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 연결작업을 위해 연결 대상 금속관(400)의 일단에 조임너트(300), 압착링(200)을 순차로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압착링(200)은 반드시 조임너트(300)와 함께 연결 대상 금속관(400)에 먼저 끼워야 하는 것은 아니고, 조임너트(300)만 먼저 금속관(400)에 끼우고 압착링(200)은 소켓(100)에 끼운 상태에서 금속관(400)의 일단을 압착링(200)에 통과시켜 소켓(100) 내부로 끼워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인 바, 이는 작업자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압착링(200)은 항상 센터링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소켓(100), 압착링(200) 및 조임너트(300)를 가조립한 상태에서 단지 금속관(400)을 삽입하기만 하면 간단히 1차 조립이 이루어지고, 이어 상기 조임너트(300)를 완전히 조이기만 하면 최종적인 관 연결작업이 완료되게 되므로 관 연결작업이 기존에 비해 훨씬 수월해진다.
이렇게 하여, 금속관(400)을 소켓(100) 내부에 배치시키게 되면 도 5와 같은 형태가 된다.
즉, 금속관(400)의 단부는 소켓(100) 내면의 금속관걸림턱(110)에 걸린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또한, 압착링(200)중 일단측 평탄면부(230)는 상기 소켓(100)의 압착링삽입홈(120)에 삽입된 상태이고, 타단측 평탄면부(230)는 상기 조임너트(300)의 압착링삽입홈(320)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조임너트(300)를 조이게 되면 상기 조임너트(300)는 상기 소켓(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S)을 타고 나사결합되면서 압착링(200)을 소켓(100) 쪽으로 압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조임너트(300)의 압착작업이 계속되게 되면 상기 압착링(200)은 그 양단인 평탄면부(230)가 압착링(200)의 축 중심을 향해 꺽이면서 금속관(400)의 외주면에 최대로 접촉 밀착되면서 소켓(100)과 조임너트(300)와 금속관(400) 사이를 압착하여 이들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밀봉하게 된다.
특히, 상기 압착링(200)은 경질의 황동, 연질의 동 또는 테프론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에 의한 기밀유지 능력은 더욱 배가되게 되는데, 과도한 압착력에 의해 압착링(200)의 요홈(210)이 쪼그려들면서 양단은 압착링걸림면(130,330)의 경사면을 타고 하향이동되게 되며, 이로 인해 소켓(100)과 금속관(400) 사이의 틈새 및 조임너트(300)와 금속관(400) 사이의 틈새를 파고드는 형국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하여, 압착링(200)이 탄성한계를 넘어 더 조여지게 되면 소켓(100), 금속관(400), 조임너트(300)와 거의 일체가 된 형태로 고착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씰링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착링(200)은 압착면(140,340)의 경사면에서 1차 압착되고, 압착링걸림면(130,330)에서 평탄면부(230)가 2차 압착으로 최종압착되는 이중 압착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보다 월등히 향상된 완벽한 밀봉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관 연결구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관 연결구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소켓 120,320....압착링삽입홈
200....압착링 220....경사면부
230....평탄면부 300....조임너트
400....금속관

Claims (2)

  1.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끼워지는 압착링과, 상기 압착링을 압착하면서 상기 소켓에 체결되는 조임너트를 포함하는 관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의 양단에는 평탄면부가 연장형성되고,
    상기 압착링이 끼워지는 소켓의 일측 내면에는 상기 평탄면부중 일측이 삽입되는 압착링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너트의 내면에는 상기 평탄면부중 타측이 삽입되는 압착링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링삽입홈의 내벽면은 압착링이 압축될 때 중심을 향해 오무려들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KR2020080004313U 2008-04-02 2008-04-02 관 연결구 KR200451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313U KR200451357Y1 (ko) 2008-04-02 2008-04-02 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313U KR200451357Y1 (ko) 2008-04-02 2008-04-02 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124U true KR20090010124U (ko) 2009-10-07
KR200451357Y1 KR200451357Y1 (ko) 2010-12-10

Family

ID=4153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313U KR200451357Y1 (ko) 2008-04-02 2008-04-02 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5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0564B2 (en) 2016-12-28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connector
KR20200127341A (ko) * 2019-05-02 2020-11-11 (주)에트마 배관 연결 장치
KR102181354B1 (ko) * 2019-12-13 2020-11-20 주식회사 정상산업 조립형 파이프장치
WO2023096018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에트마 배관 연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38Y1 (ko) * 1998-04-11 2000-04-15 권윤노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KR100308564B1 (ko) 1999-08-17 2001-09-24 조홍구 관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0564B2 (en) 2016-12-28 2020-09-01 Lg Electronics Inc.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a connector
KR20200127341A (ko) * 2019-05-02 2020-11-11 (주)에트마 배관 연결 장치
KR102181354B1 (ko) * 2019-12-13 2020-11-20 주식회사 정상산업 조립형 파이프장치
WO2023096018A1 (ko) * 2021-11-24 2023-06-01 주식회사 에트마 배관 연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357Y1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308B2 (en) Spiral-type flexible pipe connector
US8789852B2 (en) Hose repair clamp
US6986533B2 (en) Pipe coupling
CN112752919B (zh) 管道连接用装配装置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JP4781164B2 (ja) 継手体の接続方法
KR100242821B1 (ko)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KR101918082B1 (ko) 약압 압착식 관 이음쇠 및 그 압착 방법
KR20100124916A (ko)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FR2465941A1 (fr) Joint evase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CN208381562U (zh) 一种燃气管道非开挖内衬修复用接头
KR200357228Y1 (ko) 금속관 압착 체결구조
KR10154010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JP2005325933A (ja) フレキシブルメタルホースの端末構造
KR101047105B1 (ko) 나사 압착식 배관 연결 방법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181270Y1 (ko) 주름관이음쇠
RU211687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секций би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радиатора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200321875Y1 (ko) 압입 결합식 관이음장치
KR101539407B1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RU2535420C1 (ru) Ко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гибкой полимерно-армированной трубы и способ присоединения штуцера к н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