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257A -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257A
KR20130002257A KR1020120056906A KR20120056906A KR20130002257A KR 20130002257 A KR20130002257 A KR 20130002257A KR 1020120056906 A KR1020120056906 A KR 1020120056906A KR 20120056906 A KR20120056906 A KR 20120056906A KR 20130002257 A KR20130002257 A KR 2013000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slurry composition
group
carbon atoms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0698B1 (ko
Inventor
명혜진
송호석
유현정
윤영서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280032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635855B/zh
Priority to PCT/KR2012/004954 priority patent/WO2013002519A2/en
Priority to US14/116,906 priority patent/US9389481B2/en
Priority to TW101123044A priority patent/TWI457410B/zh
Publication of KR2013000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0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0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08K3/11Compounds containing metals of Groups 4 to 10 or of Groups 14 to 16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Magnesia, i.e.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5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전 입자;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비드; 및 유동 유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구동 전압에 대한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면서 구동 전압 소거시에도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또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ELECTROPHORESIS SLURRY COMPOSTION AND 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전압에 대한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면서 구동 전압 소거시에도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또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Digital Paper)는 E-paper라고도 불리는데, 종이책, 종이신문, 종이잡지처럼 편리하게 휴대하고 필요할 때마다 쉽게 꺼내 볼 수 있고 메모도 할 수 있어 종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전자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종이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띌 수 있는데, 이러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는 유연하여 구부릴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질 뿐 아니라, 기존의 평면 디스플레이 등에 비해 생산단가가 훨씬 저렴하며 별도의 배경조명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에너지 효율도 월등히 앞선다. 이러한 전자종이는 매우 선명하고 시야각이 넓으며 전원이 없더라도 글씨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메모리 기능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큰 장점으로 인하여, 전자종이는 종이와 같은 면과 움직이는 일러스트레이션을 갖는 전자서적, 자체 갱신성 신문, 이동 전화를 위한 재사용 가능한 종이 디스플레이, 폐기 가능한 TV 스크린 및 전자 벽지 등 실로 광대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거대한 잠재 시장을 가지고 있다. 전자종이를 구현 방법에 따라 나누어 보면, 대표적으로 전기 영동(Electrophoresis) 방식, 액정(Liquid crystal) 방식, 토너 방식(QR-LPD), MEMS방식 등이 있다. 이들 중 전기 영동 방식은 유전성 용매 내에서 부유하는 대전 안료 입자들의 전기 영동 현상에 기초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전압차가 가해지면 인력에 의해서 대전 안료 입자가 반대되는 극을 지니는 전극으로 이동함으로서 색 또는 명암을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들 중, 가장 상용화에 근접한 기술은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형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와 마이크로컵(Micro-cup)형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로서, 이들은 색채의 표시소자로 입자(Particle)를 사용한다. 마이크로캡슐형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는 대전 입자와 유동 유체 등을 포함하는 분산액을 마이크로캡슐화하여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배치하는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이고, 마이크로컵형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는 대향하는 전극 사이에 격벽으로 정의되는 오목부 유닛이 형성되고 여기에 대전 입자 또는 대전 입자 슬러리가 봉입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전에 알려진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실제 적용될 수 있을 정도의 색상 구현력 또는 대조비 등을 갖지 못하였으며, 구동 전압에 대한 반응성 또는 구동 전압 소거시에 잔상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구동 전압에 대한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면서 구동 전압 소거시에도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또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전 입자;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비드; 및 유동 유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기판; 상기 2개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전기 영동부; 및 상기 전기 영동부 내에 위치하는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대전 입자;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비드; 및 유동 유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 상기 특정한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가 구동 전압에 대한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구동 전압 소거시에는 슬러리 내 입자 들의 침강 현상이나 슬러리의 불안정화 현상을 방지하여 구동 전압에 의하여 형성된 텍스트 또는 형상을 일정 시간 동안 유지, 즉 보다 효율적으로 각각의 안정 상태(stable phase)를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및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 영동 슬러리'는 유동 유체 내에 일정한 성분(예를 들어, 대전입자 및 고분자 비드 등)을 포함하고, 특정의 구동 전압 하에서 상기 성분들이 일정한 반응 또는 구동을 할 수 있는 분산상의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쌍안정성(bistability)'는 전기적으로 서로 다른 두 안정상태가 존재하고, 일정한 전기 자극(트리거)에 의해 한 안정상태에서 다른 안정상태로 전이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일정한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기 영동부에서 일정한 명암 특성이나 색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때 전압이 가해진 상태가 하나의 안정상태이며, 이와 반대의 전압이 가해졌을 때가 또 다른 하나의 안정상태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는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1 및 화학식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1]
Figure pat00001
[화학식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은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7내지 30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기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다.
특히,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반복 단위에서, R1이 일정 이상의 부피를 갖는 경우, 예를 들어, R1이 각각 탄소수 2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7내지 30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기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인 경우, 상기 고분자 비드는 상기 반복 단위에 도입되는 작용기의 사슬로 인하여 분자 구조적으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전에 알려진 다른 고분자 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복 단위의 구조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상기 고분자 비드의 비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R1은 각각 탄소수 3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탄소수 5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비드는 2.00 g/cm3 이하의 진비중,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8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g/㎤ 의 진비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진비중은 겉보기 비중이 아닌 물질 자체의 비중값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입자간 공극 또는 입자내 pore도 반영된 물질 자체의 비중 값으로서, 밀폐된 챔버에 비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압력 변화를 환산한 값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다. 비중계(micromeritics 사의 Accupyc 1340 등)를 이용하여 Powder 상태의 물질의 비중을 측정하여 얻을 수도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가 상술한 특정의 진비중 값을 갖음에 따라, 전기 영동부 내에서 대전 입자 및 유동 유체 사이에 적절히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 전압의 적용시 또는 소거시에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내 입자 들의 침강 현상이나 슬러리의 불안정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의 진비중이 너무 작거나 크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의 전기 영동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분자 비드가 몰리게 되어 슬러리 내에서 층분리가 일어나고 슬러리의 안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분자 비드는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에 의하여 구현되는 이미지, 텍스트 등의 대조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고분자 비드는 1.2 내지 1.6 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빛의 산란 효과에 의하여 백색의 대조비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한 고분자 비드의 굴절율은 합성시 사용되는 단량체의 종류를 조절하거나 액상의 모노머의 굴절율을 조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의 크기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10㎛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의 평균 입경이 10nm 미만이면,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절한 쌍안정성을 갖도록 첨가하여야 하는 고분자 비드의 양이 크게 늘어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의 점도가 크게 상승할 수 있고, 공정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비드의 평균 입경이 30㎛초과이면, 일반적인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 영동부(200㎛이하의 높이)에서 유동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전기 영동부의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의 고분자 비드를 포함함에 따라서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는 구동 전압 적용시 보다 향상된 반응 속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구동 전압의 소거시에도 형성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을 일정 시간 유지할 수 있어서 우수한 구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특정의 고분자 비드의 함량은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중량부로 포함되면,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의 구동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비드는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비닐계 단량체를 통상적인 고분자 중합 방법에 적용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비닐계 단량체, 다관능성 단량체(탄소-탄소간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 중합 개시제 등을 분산매에 혼합한 후, 중합 반응을 진행하여 고분자 비드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대전 입자'라 함은 일정한 대전 특성을 가질 수 있고, 특정의 전압이 가해지는 전극 사이에서 인력에 의해서 반대로 대전된 전극으로 이동하여 색 또는 명암을 표현할 수 있는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에 포함되는 '대전 입자'는 자체적으로 전하를 띄거나 전하 제어제에 의하여 대전된 것일 수 있으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대전 입자를 구성에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전 입자의 크기에는 별 다른 제한이 없으나, 이의 평균 입경이 수백 나노미터에서 서브마이크론(submicron)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입자는 전기 영동 슬러리 또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한 범위의 평균 전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0mV내지 +200mV의 평균 전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대전 입자는 상기 유동 유체에 의하여 팽윤되거나 연화되지 않아야 하며, 화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상적인 작동 조건 하에서 침강, 엉김, 또는 응집에 대해 안정해야 한다.
상기 대전 입자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색상 또는 명암 특성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의 대전 입자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TiO2, MgO, ZnO, CaO, ZrO2등의 금속 무기 입자 또는 이들의 유기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색 대전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화철, CrCu, Carbon Balck 등의 유기 또는 무기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입자는 아크릴레이트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이러한 코어부 표면에 결합된 백색 또는 유색의 무기물 입자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 단위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코어부 표면에 결합된 백색 무기물 입자는 티타늄 산화물, 마그네슘 산화물, 아연 산화물, 칼슘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부 표면에 결합된 유색 무기물 입자는, 산화철, CrCu 또는 Carbon Balck 의 금속 화합물이나, 프탈로시아닌 (phthalocyanine)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디아릴리드 (diarylide) 옐로우, 디아릴리드 AAOT 옐로우, 및 퀸아크리돈 (quinacridone), 아조(azo), 로다민 (rhodamine), 페릴렌 (perylene) 안료 시리즈 또는 Hansa yellow G 입자의 유색 안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 입자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대전 입자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성이 용이하지 않거나 구동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입자에 의한 반사 효과로 감소로 대조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전 입자의 함량이 너무 크면 전기 영동 슬러리의 점도가 크게 상승하거나 대전 입자의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전 입자는 유색 안료로 착색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유색 안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프탈로시아닌 (phthalocyanine)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디아릴리드 (diarylide) 옐로우, 디아릴리드 AAOT 옐로우, 및 퀸아크리돈 (quinacridone), 아조(azo), 로다민 (rhodamine), 페릴렌 (perylene) 안료 시리즈, Hansa yellow G 입자 등이 있다. 다만, 대전 입자의 착색에 사용되는 유색 안료의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동 유체에 불용성이며 대전 입자의 착색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유체로는 20cP이하의 점도를 갖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cP이하의 점도를 갖는 탄화수소계 용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유동 유체로는 2 내지 30의 유전 상수를 갖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유체의 예로는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DECALIN),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지방유, 파라핀유(Isopar G, Isopar L, Isopar M 등) 등의 하이드로카본; 톨루엔, 크실렌, 페닐크실릴에탄, 도데실벤젠 및 알킬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하이드로카본; 퍼플루오르데칼린, 퍼플루오르톨루엔, 퍼플루오르크실렌, 디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3,4,5-트리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클로로펜타플루오르-벤젠, 디클로로노네인, 펜타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용매; 퍼플루오르 용매; 퍼플루오르폴리알킬에테르와 같은 폴리머들을 함유하는 저분자량 할로겐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동 유체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유색일 수 있으며, 반투명 또는 유색의 유동 유체의 경우 염료에 의해 착색될 수 있다. 유동 유체의 착색에 사용되는 염료로는 대전 입자 슬러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비이온성 아조(non-ionic azo) 염료,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염료 또는 플루오로화(fluorinated) 염료 등이나, 프탈로시아닌 (phthalocyanine) 블루, 프탈로시아닌 그린, 디아릴리드 (diarylide) 옐로우, 디아릴리드 AAOT 옐로우, 및 퀸아크리돈 (quinacridone), 아조(azo), 로다민 (rhodamine), 페릴렌 (perylene) 안료 시리즈, Hansa yellow G 입자, 카본 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동 유체는 상술한 고분자 비드 및 대전 입자의 양을 고려하여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첨가제의 사용에 따라서도 함량 범위가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별 다른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인 대전 입자의 슬러리를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방법을 별 다른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기 영동 입자, 유동 유체 및 고분자 비드를 그라인딩, 밀링(milling), 마멸(attriting), 마이크로플루다이징(micorfludizing) 또는 초음파 처리 등의 통상적은 방법으로 혼합하여 균일하게 분산된 전기 영동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을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기판; 상기 2개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전기 영동부; 및 상기 전기 영동부 내에 위치하는 상술한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특정한 고분자 비드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의 높은 안정성 및 반응성으로 인하여, 구동 전압 적용시 우수한 반응성 및 쌍안정성(bistability) 또는 쌍안정상태(bistable phase) 구현 능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 전압의 소거시에는 슬러리 내 입자 들의 침강 현상이나 슬러리의 불안정화 현상을 방지하여 구동 전압에 의하여 형성된 텍스트 또는 형상을 일정 시간 동안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및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영동부의 높은 안정성으로 인하여 장기 사용시에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전압 적용시 또는 소거시에 상술한 고분자 비드가 전기 영동부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쌍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전압 소거시에도 대전 입자에 의하여 형성된 이미지, 텍스트 또는 잔상을 일정 시간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1에는 기판 쪽에 위치한 백색 또는 흑색의 대전입자와 이러한 대전 입자들 사이에 위치한 고분자 비드가 나타나 있다. 다만, 도1은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일 뿐, 구체적인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장치를 설계 변경할 수 있으며, 대전 입자의 색상 또는 명암도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기 영동부 내에 위치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고분자 비드는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단위를 포함할 수 있으며, 2.00 g/cm3 이하의 진비중,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8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 g/㎤ 의 진비중을 가질 수 있으며, 1.2 내지 1.6 의 굴절율을 가질 수 있고, 10nm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10㎛ 의 평균 입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전기 영동부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양면, 예를 들어 상/하부면을 구성하는 기재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판은 다양한 종류의 층 또는 구조물 또는 전기 영동을 위한 전극 등이 기판의 일면에 형성되거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은 기재층, 전도성 기재층 또는 전극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으로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기재 또는 기판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거나, PET, PAN, PI 또는 Glas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기재층은 디스플레이 소자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지는 전도성 소재를 별 다른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T, 전도성 고분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극층에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극 물질을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양 기판에 포함된 전극 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전극 물질, 예를 들어, ITO, SnO2, ZnO 또는 IZO(Indi㎛ Zinc Oxide)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 영동부는 서로 대향하는 기판 사이에 전압차가 가해지면 인력에 의해서 대전 입자들이 전극으로 이동하여 색 또는 명암을 구현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전기 영동부는 상술한 전기 영동 슬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영동부의 형태 또는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캡슐 또는 마이크로컵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컵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형성된 컵 형상의 오목부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전극과 상기 전극 사이에 형성된 격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형성되고 직경이 마이크로미터(㎛)단위인 구형 또는 타원 구형의 밀폐 용기를 의미한다.
상기 마이크로컵은 전기 영동부에 형성되는 격벽에 의하여 크기 및 형태가 정의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 및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은 10 내지 100㎛의 높이 및 5 내지 50㎛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직사각형, 정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다양한 모양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컵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또는 다양한 다각형 등의 평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의 크기 및 재질은 제조되는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마이크로캡슐은 10내지 200 ㎛의 최장 입경을 갖는 구형 또는 타원 구형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캡슐은 결합제 또는 유기 용매와 더불어 일정한 기재에 결합되어 전기 영동부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이크로캡슐형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사용가능 한 것으로 알려진 형태의 전기 영동부는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전기 영동부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즉 일정한 유동 유체에서 유동하는 대전 입자 및 상기 고분자 비드가 전기 영동부에 포함될 수 있다. 대전 입자, 유동 유체 및 고분자 비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전기 영동 슬러리 내에서 유동 유체의 부피비는 40% 내지 95%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 전압에 대한 우수한 반응성을 나타내면서 구동 전압 소거시에도 이미지 또는 텍스트 등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또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2는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기 영동 슬러리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은 실시예1에서 전기 영동 슬러리를 제조한 직후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구동 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4는 비교예에서 전기 영동 슬러리를 제조한 직후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구동 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도5는 실시예1에서 제조된 전기 영동 슬러리를 7일간 보관한 후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에 적용하여 구동 특성을 관찰한 결과이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A: 고분자 비드의 제조>
제조예1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LMA) 80 g와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 20 g를 혼합하고, 여기에 중합 개시제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ADVN) 1 g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이온수를 분산매로 하여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5 g를 용해하고, 이러한 용액에 상기 혼합물을 투여하여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해 8000 rpm에서 5분 동안 균질화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상기 유화액을 반응관에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5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온도를 75 ℃로 올려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한 후,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백색 무취의 구형 폴리머 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2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60 g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 g를 사용하고, 다관능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유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백색 무취의 구형 폴리머 복합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3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40 g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40 g를 사용하고, 다관능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 20 g를 혼합하여 유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백색 무취의 구형 폴리머 복합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4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0 g과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60 g를 사용하고, 다관능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 20 g를 혼합하여 유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백색 무취의 구형 폴리머 복합비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5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80 g을 사용하고, 다관능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EGDMA) 20 g을 혼합하여 유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백색 무취의 구형 폴리머 복합비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B: 대전 입자의 제조>
제조예6
분산안정제인 폴리비닐알코올(PVA) 5 g및 백색 대전 입자(TiO2, Dupont社, 200~400nm) 또는 흑색 입자(Copper Chromate, Shephed社) 20 g을 에탄올 분산매에 혼합하고, 고속교반기(Homomixer)를 사용하여 상기 혼합액을 6000 rpm에서 30분 동안 균질화하여 1차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60 g,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lauryl methacrylate) 10 g,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10 g,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metacrylate) 20 g 및 중합 개시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g을 혼합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1차 분산용액을 2차 분산용액에 투입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고속 교반기(Homogeneizer)를 이용해 4000 rpm에서 10분 동안 균질화하여 유화시켰다. 생성된 유화액을 반응관에 넣고 질소분위기하에서 5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온도를 75 ℃로 올려 4시간 동안 재차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에 의하여 합성된 중합체를 여과한 후, 물과 에탄올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진공 오븐에 넣어 하루 동안 건조시켜 대전 입자를 얻었다.
< 실시예 비교예 : 전기 영동 슬러리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실시예1
(1)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6에서 얻어진 백색 대전 입자와 흑색 대전 입자를 5:1의 비율로 하이드로카본계 용매(Isopar G:Halocarbon = 1:1 solution)에 분산시키고, 상기 제조예3에서 얻어진 고분자 비드를 전체조성물 중 3중량% 함량으로 첨가시켜 전기 영동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대전 입자는 전체조성물 중 60 중량%로 포함되었다.
(2)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상기 전기영동 입자 슬러리를 제조 직후 또는 제조 후 7일간 보관한 이후에, 상/하판에 전류가 통할 수 있는 ITO 셀 (40mm X 45mm X 80㎛ : 가로 * 세로*높이)에 주입하여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이러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기 영동부는 마이크로컵 타입으로, 각각의 마이크로컵에 의하여 정의되는 셀의 크기는 250㎛ X 250㎛_ X 50㎛(가로 * 세로*높이)이였다.
실시예2
상기 제조예5에서 얻어진 고분자 비드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영동 슬러리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기 영동 슬러리의 제조
상기 제조예6에서 얻어진 백색 대전 입자와 흑색 대전 입자를 5:1의 비율로 하이드로카본계 용매(Isopar G:Halocarbon = 1:1 solution)에 분산시켜(조성물 중 대전 입자 50중량%), 전기 영동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2)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얻어진 전기 영동 슬러리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 1. 고분자 비드의 물성 측정 (밀도, 평균 입경 등)
상기 제조예1 내지 5에서 얻어진 구형의 폴리머 비드 각각에 대하여, SEM관찰, 제품 수율 측정, 평균 입도 측정, 진비중 측정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측정 장비 또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SEM 측정: Hitachi S-4300 장비를 이용하여 10,000배의 배율에서 관찰하여, 모양이 찌그러지거나 균일한 표면이 생성되지 못한 고분자 비드를 제외한 정상 모양의 구형 고분자 비드수가 95%이상이면 '양호'로 판단하였고, 95%미만이면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2) 제품 수율 측정: 제조시 사용한 반응물(단량체, 다관능성 단량체, 개시제, 기타 무기물 등)의 무게와 제조된 폴리머 비드의 수득량으로부터 제품 수율을 계산
(3) 평균 입도 : ELSZ ( 오츠카 전자 )
(4) C.V.% : (입경의 표준편차/입자의 평균입경) × 100
(5) 진비중 측정 : Pycnometer(Micromeritics instr㎛ent)
(6) 내용제성 측정:
상기 제조예6에서 얻어진 백색 대전 입자와 흑색 대전 입자를 5:1의 비율로 하이드로카본계 용매(Isopar G:Halocarbon = 1:1 solution)에 분산시키고,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고분자 비드 각각을 전체조성물 중 3중량% 함량으로 첨가시켜 전기 영동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때 대전 입자는 전체조성물 중 60 중량%로 포함되었다.
전기 영동 슬러리의 제조 8시간에 후에 점을 측정하여, 100cp이하의 점도를 갖는 경우 '◎'으로 평가하고, 100초과 200cp이하의 점도를 갖는 경우를 '○'으로 평가하고, 200cp 초과의 점도를 갖는 경우를 '△'로 평가하였다. 점도의 측정은 Brookfield사의 DVⅡ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1의 결과
SEM 평균입도(㎛) 진비중 내용제성 C.V. 제품수율(%)
제조예 1 양호 4.3 1.15 15.5 94.5
제조예 2 양호 4.5 1.18 18.2 95.0
제조예 3 양호 4.8 1.20 15.9 95.0
제조예 4 양호 4.6 1.23 19.8 95.6
제조예 5 양호 4.2 1.25 34.3 95.0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고분자 비드는 SEM측정 결과 95% 이상의 고분자 비드가 정상 모양의 구형 입자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제조 수율도 90% 이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조예 1 내지 5에서 얻어진 고분자 비드는 4.2 내지 4.8 ㎛의 평균 입도를 가지면서, 1.15 내지 1.25 g/㎤의 진비중을 나타내었다. 특히, 라우릴기가 도입된 단량체를 사용한 제조예 1내지 4의 고분자 비드의 경우 보다 낮은 진비중을 나타내며, 상대적으로 균일한 입경 분포를 나타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제조예에서 얻어지는 고분자 비드는 전기 영동 슬러리에 사용되는 용매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전기 영동 슬러리가 200cp이하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고분자 비드의 제조 단계에서 단위 분자의 크기가 큰 단량체, 예를 들어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반응물 중 50 중량% 이하로 사용되는 경우, 보다 향상된 내용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2 . 전기 영동 슬러리의 안정성 관찰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전기 영동 슬러리를 각각 투명한 유리병에 7일간 보관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슬러리의 제조 후 7일 후에 고분자 비드를 넣지 않은 경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자와 유체의 확연한 층분리가 생기는 것을 확인하였다(비교예). 이에 반하여, 제조예5과 제조예3에서 제조된 폴리머 비드를 포함한 전기 영동 슬러리는 우수한 분산성이 갖는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제조예3의 고분자 비드를 첨가한 슬러리의 경우, 제조예6에서 얻어진 흑색 및 백색 대전 입자와의 유사한 밀도를 가져서 각 성분들이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실시예의 전기 영동 슬러리를 적용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전압의 소거 시에도 유동 유체 내에서 대전 입자와 고분자 비드가 안정한 상태로 분산되고 입자들의 침강 현상이 방지되어, 하나의 안정 상태(stable phase), 즉 구동 전압에 의하여 형성된 텍스트 또는 형상을 일정 시간 이상 유지할 수 있다.
실험예3 .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관찰
상기 실시예1 에서 제조된 전기 영동 슬러리를 바로 적용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슬러리의 제조후 7일후에 적용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특성을 각각 도3 및 도5에 나타내었다(15V의 구동 전압 인가).
실시예1에서 얻어진 슬러리는 적정한 고분자 비드가 적용되어 슬러리의 안정성이 확보되었기 때문에, 바로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한 경우뿐만 아니라 7일간 보관 이후 적용한 경우에도 높은 대조비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도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교예의 전기 영동 슬러리를 7일간 보관 후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적용시에는 슬러리의 분산성이 악화되고 각 입자의 층간 분리 현상이 발생하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의 대조비가 크게 저하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4 .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성능 실험 -대조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하는 대조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5V 및 -15V의 전압을 인가한 후, 백색 반사율의 최대값의 절대값과 흑색 반사율의 최소값의 절대값을 측정한 뒤, 상기의 2개의 값을 나누어 비율로 환산하여 대조비를 측정하였다.
1. 구체적으로, 상기 ITO셀에 의하여 구현되는 명암을 Konica Minolta 사의 Chroma Meter CS-100A 휘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휘도값(L)을 얻었으며, Standard white palte인 Barii㎛ Sulfate 에 조사되는 빛의 양을 100cd/m2으로 고정하여 L *값(휘도)을 산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대조비 측정 결과
흑색 대조비 백색 대조비
비교예 13.4:1 10.2:1
실시예1 18.7:1 16.1:1
실시예 2 18.4:1 15.8:1
상기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18:1이상의 흑색 대조비 및 15:1 이상의 백색 대조비를 나타내어,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또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흑색 대조비 및 백색 대조비를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또는 영상을 구현하는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2. 그리고,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한 직후에 측정한 휘도값(A)와 상기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압을 제거하고 7일 이후에 측정한 휘도값(B)을 측정하여, 대조비 변화율(A-B)/A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하기 표3에 기재하였다.
대조비 변화율 측정 결과
흑색 대조비 변화율 백색 대조비 변화율
비교예 4.83 0.61
실시예1 0.625 0.135
실시예 2 1.385 0.251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흑색 대조 및 백색 대조비의 변화율이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압을 소거하고 7일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안정성이 저하되며, 이에 따라 흑색 휘도값이 급격히 상승하였다는 점이 확인되었으며, 백색 대조비의 변화율도 실시예 1 및 2의 장치보다 2배 이상인 것을 확인되었다.
즉, 상기 실시예의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높은 대조비 및 향상된 시인성을 나타내어 고화질의 텍스트 및 영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영동부의 높은 안정성으로 인하여 장기 사용시에도 성능 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A: 비교예의 전기 영동 슬러리
B: 실시예2의 전기 영동 슬러리
C: 실시예1의 전기 영동 슬러리

Claims (14)

  1. 대전 입자;
    아크릴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비드; 및
    유동 유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2. 제1항이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는 0.8 내지 1.8 g/㎤의 진비중을 갖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의 굴절율이 1.2 내지 1.6 인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가 50nm 내지 1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비드는 하기 화학식1 및 화학식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화학식1]
    Figure pat00003

    [화학식2]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또는 2에서,
    R1은 각각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탄소수 7내지 30의 알킬아릴기, 탄소수 7 내지 30의 아릴알킬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마이드기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R2는 각각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고분자 비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입자는,
    TiO2, MgO, ZnO, CaO 또는 ZrO2을 포함한 금속 무기 입자 또는 이들의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백색 입자;
    산화철, CrCu 및 Carbon Balck을 포함하는 유색 입자; 및
    백색 또는 유색의 무기물 입자가 표면에 결합되고, 아크릴레이트계 반복 단위 또는 비닐계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 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입자는 100nm내지 100㎛ 의 평균 입경을 갖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입자는 -200mV내지 +200mV의 평균 전위를 갖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유체는 20cP이하의 점도를 갖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유체는 2 내지 30의 유전 상수를 갖는 용매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유체는 데카하이드로나프탈렌 (DECALIN),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지방유, 파라핀유(Isopar G, Isopar L, Isopar M 등), 톨루엔, 크실렌, 페닐크실릴에탄, 도데실벤젠, 알킬나프탈렌, 퍼플루오르데칼린, 퍼플루오르톨루엔, 퍼플루오르크실렌, 디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3,4,5-트리클로로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클로로펜타플루오르-벤젠, 디클로로노네인, 펜타클로로벤젠, 퍼플루오르 용매 및 퍼플루오르폴리알킬에테르와 같은 폴리머들을 함유하는 저분자량 할로겐 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13.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기판;
    상기 2개의 기판 사이에 형성된 전기 영동부; 및
    상기 전기 영동부 내에 위치하는 제1항의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영동부가 마이크로셀 또는 마이크로컵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56906A 2011-06-28 2012-05-29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30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80032666.4A CN103635855B (zh) 2011-06-28 2012-06-22 电泳悬浮液组合物和包括该电泳悬浮液组合物的电泳显示装置
PCT/KR2012/004954 WO2013002519A2 (en) 2011-06-28 2012-06-22 Electrophoretic slurry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4/116,906 US9389481B2 (en) 2011-06-28 2012-06-22 Electrophoretic slurry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101123044A TWI457410B (zh) 2011-06-28 2012-06-27 電泳漿料組成物及含有該電泳漿料組成物的電泳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2970 2011-06-28
KR20110062970 201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257A true KR20130002257A (ko) 2013-01-07
KR101430698B1 KR101430698B1 (ko) 2014-08-18

Family

ID=47834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906A KR101430698B1 (ko) 2011-06-28 2012-05-29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89481B2 (ko)
KR (1) KR101430698B1 (ko)
CN (1) CN103635855B (ko)
TW (1) TWI4574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656A1 (ko) * 2019-09-18 2021-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965A (ko) * 2013-10-31 2016-07-05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축방향으로 불소화된―프탈로시아닌들의 제조방법 및 광전지 기기들에서 그 용도
CN108603063B (zh) * 2016-03-04 2022-01-04 惠普印迪戈股份公司 金属颜料粒子
US10921676B2 (en) * 2017-08-30 2021-02-16 E Ink Corporation Electrophoretic medium
US10967478B2 (en) * 2017-09-29 2021-04-06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29115B (en) * 2002-02-11 2005-03-11 Sipix Imaging Inc Core-shell particles for electrophoretic display
JP2004325632A (ja) * 2003-04-23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16849B1 (ko) 2004-02-27 2005-09-27 고경완 습식에칭장치
KR100526376B1 (ko) * 2004-02-27 2005-1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높은 제타 전위를 갖는 분말상 고분자 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37404B1 (ko) 2004-02-27 2006-10-23 학교법인 호서학원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전기영동 매체 및 이를 이용한디스플레이
KR20060078643A (ko) 2004-12-30 2006-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사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95379A (ja) 2005-01-17 2006-07-27 Canon Inc 帯電泳動粒子、電気泳動分散液および電気泳動表示装置。
JP2006292897A (ja) * 2005-04-07 2006-10-26 Canon Inc 電気泳動表示装置
JP5194355B2 (ja) 2005-11-25 2013-05-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媒体及び表示方法
CA2656717A1 (en) 2006-07-06 2008-01-10 Ciba Holding Inc. Encapsulated dispersions comprising electrophoretically mobile organic colorants
JP2008145713A (ja) * 2006-12-08 2008-06-26 Ricoh Co Ltd ポリマーグラフト微粒子、その製造方法、電気泳動分散液及びこれを利用した画像表示装置
KR100872135B1 (ko) 2007-04-18 2008-12-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동성 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충돌 대전형 전자 종이 표시장치
JP5218959B2 (ja) * 2007-06-01 2013-06-26 株式会社リコー 電気泳動表示装置、表示方法、電気泳動表示素子の製造方法、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656A1 (ko) * 2019-09-18 2021-03-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경로 제어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0698B1 (ko) 2014-08-18
CN103635855A (zh) 2014-03-12
US20140063590A1 (en) 2014-03-06
TW201302946A (zh) 2013-01-16
CN103635855B (zh) 2016-08-10
TWI457410B (zh) 2014-10-21
US9389481B2 (en)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18995B (zh) 提高电泳显示器的光学性能的添加剂
EP2240518A2 (en) Fluid compositions for colour electrophoretic displays
KR101430698B1 (ko)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JP4328309B2 (ja) 表示媒体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用パネル
KR100932401B1 (ko) 전기영동성 컬러 유기/무기 복합입자를 함유한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5808A (ko) 전기영동 매질용 분지형 폴리올 첨가제
KR101430697B1 (ko) 전기 영동 입자, 전기 영동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EP2096491A2 (en) Particles for display medium
JP2010270088A (ja) 電気泳動粒子分散液、画像表示媒体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430695B1 (ko) 저비중의 전기 영동 입자, 전기 영동 입자의 제조 방법,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WO2015145965A1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6313334A (ja) 表示媒体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用パネル
WO2013002519A2 (en) Electrophoretic slurry composition an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50123530A (ko)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5151409A1 (en) Display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6313340A (ja) 表示媒体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用パネル
KR20140035732A (ko) 전기 영동 입자, 전기 영동 입자의 제조 방법,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WO2007080960A1 (ja) 情報表示用パネル
WO2006109648A1 (ja) 情報表示用パネル
KR20150123529A (ko) 전기 영동 마이크로 캡슐,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기 영동 마이크로 캡슐의 제조 방법
JP2006313336A (ja) 表示媒体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6309212A (ja) 表示媒体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6309213A (ja) 表示媒体用粒子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6313333A (ja) 情報表示用パネル
KR20130110470A (ko) 전기 영동 입자, 전기 영동 입자의 제조 방법, 전기 영동 슬러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