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841U -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 - Google Patents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841U
KR20130000841U KR2020120006685U KR20120006685U KR20130000841U KR 20130000841 U KR20130000841 U KR 20130000841U KR 2020120006685 U KR2020120006685 U KR 2020120006685U KR 20120006685 U KR20120006685 U KR 20120006685U KR 20130000841 U KR20130000841 U KR 201300008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chamfering
cutter
thick plate
boundar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봉
Original Assignee
서광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기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000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10Shank-type cutters, i.e. with an integra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23C3/12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of pipe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4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43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bevelled or chamf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40Flutes, i.e. chip conveying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20/00Details of milling processes
    • B23C2220/16Chamfer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육관 제작을 위해 용접이 이루어질 후판의 측면을 상하 비대칭적으로 면취하기 위한 면취용 커터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부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상하 비대칭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되, 상기 외주면에는 센터라인 보다 하측에 수직면을 이루는 경계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와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하부 슬로프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와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상부 슬로프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 상기 하부 슬로프면, 상기 상부 슬로프면 각각에 다수의 절삭팁들이 결합되고, 상기 절삭팁이 결합되는 곳에는 함몰된 칩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로프면은 일정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슬로프면은 상기 경계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라인에 대한 기울기가 다른 제1경사면, 제2경사면, 제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가 작고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3경사면의 기울기가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판의 측면을 상하 비대칭적으로 면취하되, 상기 후판의 측면 상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면취되고, 상기 후판의 측면 하부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면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이다.

Description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CHAMFERING CUTTER}
본 고안은 판상체, 예를 들어 후육관 성형을 위해 두꺼운 후판과 같은 것의 측면 면취를 위한 면취용 커터에 관한 기술이다.
금속성 판상체는 다양한 가공방법에 의해 여러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금속성 판상체는 각 끝단부가 날카롭기 때문에 면취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금속성 판상체의 사용처는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판상체를 벤딩하여 길다란 관을 만들기도 한다. 두께가 얇은 금속성 판상체를 이용하여 관을 만드는 경우에는 벤딩 후 양단부를 용접하면 쉽게 관을 성형할 수 있다.
하지만 후육관이라 불리우는 두께가 두꺼운 판상체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관은 둥글게 벤딩하기 전에 후판의 좌우 양측면에 대해 적절한 면취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후판의 좌우 양측면에 적당한 형태로 면취가 되어야만 용접비드가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관의 진원도를 확보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이하 본 고안과 관련되는 종래기술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대표적으로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08426호(2009.07.13 등록)의 "후판 자동 육면 면취기"(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가 있으며, 또 다른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81391호(2010.07.15 공개)의 "양면 면취용 회전커터"(이하 종래기술2라 한다)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1에 있어서 후판 자동 육면 면취기의 구성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의 측면을 면취 가공하는 커터(102)를 구비하는 측면 면취부(90)와, 측면 면취부(90)를 통과한 소재의 측면상단을 면취하는 커터(124)를 갖는 측면상단 면취부(110)와, 소재의 측면 하단을 면취하는 커터(164)를 구비하는 측면하단 면취부(150)를 포함한다.
즉, 종래기술1의 후판 자동 육면 면취기는 소재의 측면 상단과 하단에 대한 면취를 별도의 커터(124,164)로 단계적으로 실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면취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게 때문에 버어가 발생될 가능성이 많다는 문제점도 있다.
도 2는 종래기술2에 따른 양면 면취용 회전커터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종래기술2에서는 소재의 상하면 단부를 동시에 면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부회전커터(2)와, 상부회전커터(2)와 대칭을 이루어 키에 의해 상부회전커터와 연결되는 하부회전커터(5)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2에서는 소재의 단부 상하면을 동시에 면취할 수 있으나 오로지 대칭적인 형태로만 면취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소재의 두께가 달라지면 상하부회전커터를 분리한 후 그 사이에 별도의 링 형상 스페이서를 끼운 후 다시 조립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커터의 형상 및 소재에 대한 면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0)의 단부에 대한 비대칭적 면취를 위해 상부커터(20)와 하부커터(30)가 서로 조립 결합되어 하나의 커터를 이루게 되며, 하부커터(30)에 비해 상부커터(20)의 경사면이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기존의 조립형 커터의 경우 상부커터(20)의 경사면이 단일 기울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재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급격하게 절삭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부커터(20)의 경사면이 단일 기울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만큼 절삭면적이 증대됨으로써 절삭팁의 마모가 빨라 절삭팁의 교체주기가 짧아지고 잦은 절삭팁의 교체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독립적인 상부커터(20)와 하부커터(30)를 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인 상부커터(20)와 하부커터(30)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절삭팁의 잦은 교체로 인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부커터(20)와 하부커터(30)간 정확한 조립이 되지 않는 경우 불량품을 양산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부커터(20)에 의해 절삭된 절삭면적이 급격히 증가되는 관계로 후육관의 제작을 위해 면취된 소재를 벤딩한 후 용접할 시에 용접봉의 소모가 많게되고 용접시간도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908426호(2009.07.13 등록) 2.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0-0081391호(2010.07.15 공개)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후판의 측면 상하부를 동시에 비대칭적으로 면취할 수 있으며, 후판의 두께 변화시에도 커터의 교체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대응할 수 있는 면취용 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면취된 후판을 벤딩하여 용접할 때 불필요하게 용접면적이 증가되어 용접봉의 소모가 많아지고 용접시간도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면취용 커터의 상부 슬로프면이 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감소되는 형태가 되는 면취용 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제1경사면에 의해 가공되는 부위는 용접량이 증대되게 하여 용접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면취용 커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는, 후육관 제작을 위해 용접이 이루어질 후판의 측면을 상하 비대칭적으로 면취하기 위한 면취용 커터에 있어서, 중심부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상하 비대칭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되, 상기 외주면에는 센터라인 보다 하측에 수직면을 이루는 경계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와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하부 슬로프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와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상부 슬로프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 상기 하부 슬로프면, 상기 상부 슬로프면 각각에 다수의 절삭팁들이 결합되고, 상기 절삭팁이 결합되는 곳에는 함몰된 칩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로프면은 일정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슬로프면은 상기 경계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라인에 대한 기울기가 다른 제1경사면, 제2경사면, 제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가 작고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3경사면의 기울기가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판의 측면을 상하 비대칭적으로 면취하되, 상기 후판의 측면 상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면취되고, 상기 후판의 측면 하부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면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는 일체형의 하나의 커터로 후판의 측면 상하부를 동시에 비대칭적으로 면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후판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번거로운 작업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두께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하부에 대한 면취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치수로 면취가 가능하고 면취면도 보다 깨끗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면취용 커터의 상부 슬로프면을 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감소되게 하여 용접면적이 급격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용접봉의 소모와 작업시간의 증가로 인한 생산성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1에 있어서 후판 자동 육면 면취기의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2에 따른 양면 면취용 회전커터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또 다른 종래기술에 대한 개략적인 커터의 형상 및 소재에 대한 면취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면취용 커터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면취용 커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외주면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8은 후판에 대한 면취 작업의 작업 공정도.
도 9는 후판의 두께변화에 따른 면취용 커터의 위치변화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와 종래기술에 의한 커터를 이용한 후판의 면취 형상을 비교한 비교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면취용 커터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면취용 커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외주면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면취용 커터(100)는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절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커터이며, 따라서 중심부에는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홀(110)이 형성된다.
면취용 커터(100)의 외주면(120)에는 상하 비대칭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게 되며, 외주면(120)은 경계부(120a), 하부 슬로프면(120b) 및 상부 슬로프면(120c)으로 구분된다.
외주면(120)에 형성되는 경계부(120a)는 소정 거리에 걸쳐 형성되는 수직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센터라인(C)의 하측에 경계부(120a)가 위치하게 된다.
경계부(120a)를 기준으로 경계부(120a)의 하측은 하부 슬로프면(120b)이 되며, 상측은 상부 슬로프면(120c)이 된다.
하부 슬로프면(120b)은 경계부(120a)와 연결되되 외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부 슬로프면(120c) 역시 경계부(120a)와 연결되면서 외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부 슬로프면(120b)과 상부 슬로프면(120c)은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이 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하부 슬로프면(120b)과 상부 슬로프면(120c)은 곡면 형태가 될 수도 있다. 즉, 하부 슬로프면(120b)과 상부 슬로프면(120c)은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특히 상부 슬로프면(120c)의 경우는 곡률이 변화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하부 슬로프면(120b), 경계부(120a), 상부 슬로프면(120c)에 의해 외주면(120)은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하부 슬로프면(120b)은 상부 슬로프면(120c)에 비해 그 길이가 짧아 센터라인(C)에 대해 비대칭적인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외주면(120)을 이루는 하부 슬로프면(120b), 경계부(120a) 및 상부 슬로프면(120c)에는 반복적으로 규정된 위치에 절삭팁(T)들이 결합된다.
구체적인 절삭팁(T)들의 위치와 갯수는 다양한 절삭조건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외주면(120)에 형성되는 절삭팁(T)에 인접하여 함몰되는 칩배출홈(G)이 형성되도록 한다. 칩배출홈(G)은 절삭시 발생되는 칩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저항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 경계부(120a)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슬로프면(120b)의 경우는 기울기가 일정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슬로프면(120c)의 경우는 상측으로 갈수록 그 기울기가 감소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구간(121)을 갖는 것으로 한다.
도 7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슬로프면(120c)은 기울기가 다른 3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제1경사면(S1), 제2경사면(S2), 제3경사면(S3)이라 호칭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부(120a)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라인에 대해 제1경사면(S1), 제2경사면(S2), 제3경사면(S3)은 상이한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제1경사면(S1)의 기울기는 제2경사면(S2)보다 크며, 제3경사면(S3)은 제2경사면(S2)보다 기울기가 작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 슬로프면(120c)은 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감소되고, 본 실시예의 경우 제2경사면(S2)과 제3경사면(S3)이 가변구간(121)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면취용 커터(100)를 이용하면 외주면(120)의 형상과 같이 후판(90)의 측면에 상하 비대칭적인 두 부분에 대한 면취작업을 한번에 끝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100)는 후육관의 제작을 위해 후판(90)에 대한 면취 작업시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후판(90)의 두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100)를 이용한 후육관 제작을 위한 후판(90)의 면취 처리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후육관이라 함은 통상 두께가 10mm ~ 50mm 정도인 후판(90)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관을 의미한다. 후판(90)을 벤딩시켜서 원형의 후육관을 제작하게 되는데 후판(90)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운 후판으로는 벤딩이 용이치 않기 때문에 후육관 제작에 사용되는 후판의 두께는 대체로 언급한 정도의 범위에 있다.
도 8은 후판에 대한 면취 작업의 작업 공정도이다.
후육관 제작을 위한 첫단계로 준비된 후판(90)의 좌우 측면에 대한 트리밍 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후판의 상태에 따라서는 트리밍 작업을 생략하고 곧바로 면취 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트리밍 작업에서는 기본적으로 후판(90)의 좌우 측면을 매끄럽게 절삭하여 규정된 폭이 형성되도록 하며, 이때에도 소정의 커터(80)를 이용하면 된다. 특히, 후판(9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트리밍시 후판(90)의 측면 하부에 대한 1차적인 면취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후판(90)에 대한 트리밍 작업이 완료되면 뒤이어 면취 작업이 이어지며, 이때에는 본 고안의 면취용 커터(100)가 사용된다.
전진 이동하는 후판(90)의 좌우 양측면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면취용 커터(100)에 의해 후판(90)의 측면부는 면취용 커터(100)의 외주면 형상에 맞게 절삭된다.
도 9는 후판의 두께변화에 따른 면취용 커터의 위치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후판은 그 두께 변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높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최초 두께가 얇은 후판(90)에 대한 면취 작업을 하다가 보다 두께가 두꺼운 후판(90)에 대한 면취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후판(90)은 그대로 둔 채 면취용 커터(100)를 소정 높이만큼 상승시킴으로써 후판(90)의 두께 변화에 따른 면취용 커터(100)의 위치조정이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슬로프면(120c)은 상부로 갈수록 그 경사면의 기울기가 감소되는데, 이것은 후판(9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비례적으로 절삭량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부 슬로프면(120c)의 기울기가 전체적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후판(90)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절삭량이 지나치게 많아지기 때문에 용접시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과 용접봉의 소모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의 면취용 커터(100)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부 슬로프면(120c)을 상부로 갈수록 기울기가 감소되는 하나 이상의 가변구간(121)을 두어서 지나친 절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부 슬로프면(120c)의 제1경사면(S1)의 기울기 각도는 27도이며, 제2경사면(S2)의 기울기 각도는 23도이고, 제3경사면(S3)의 기울기 각도는 20도로 하는 것과 같다.
첨부되는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와 종래기술에 의한 커터를 이용한 후판의 면취 형상을 비교한 비교도이며, 도 10의 에이(a)는 종래기술에 의해 면취된 상태를 보여주고, 비(b)는 본 고안의 기술에 의해 면취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커터를 이용하여 후판(10)의 측면을 면취하게 되면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를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거되는 절삭량이 훨씬 많게 된다.
이것은 종래기술의 커터는 해당 경사면이 단일의 기울기로 이루어지나, 본 고안의 면취용 커터(100)는 상부 슬로프면(120c)이 기울기가 다른 다수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상부로 갈수록 상부 슬로프면의 기울기가 감소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면취용 커터(100)로 후판(90)의 측면을 가공하게 되면, 후판의 측면 상부측은 오목한 형상으로 면취되고, 후판의 측면 하부측은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면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의 면취용 커터(100)에 있어 상부 슬로프면(120c)을 이루는 제1경사면(S1)의 기울기 각도를 가장 크게 하고 제2경사면(S2), 제3경사면(S3)으로 갈수록 기울기 각도를 작게 함으로써 제1경사면(S1)에 의해 가공되는 후판(90)의 가공부위는 기존 방식에 의한 가공시보다 면취량이 많아지나, 제2경사면(S2) 및 제3경사면(S3)에 의해 가공되는 후판의 가공부위는 면취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기존 방식에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면취량이 감소되어 과도한 용접봉의 사용이 억제되고, 동시에 용접부의 뿌리가 되는 제1경사면(S1)에 의해 가공되는 후판의 가공부위는 용접량이 증대되어 보다 확고한 용접이 이루어져 용접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면취용 커터는 후판과 같은 판상체의 측면 상부 및 하부에 대해 동시에 비대칭적인 형태로 면취작업이 가능하고, 후판의 두께 변화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고, 후판의 두께 증가시 절삭량의 비례적 증가를 방지함으로써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이후 후육관 성형을 위한 용접시의 과도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면취용 커터는 후육관 성형을 위한 전단계로 후판에 대한 면취작업을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면취용 커터 110 : 축결합홀
120 : 외주면 120a: 경계부
120b: 하부 슬로프면 120c: 상부 슬로프면
121 : 가변구간 90 : 후판
C : 센터라인 T : 절삭팁
G : 칩배출홈 S1 : 제1경사면
S2 : 제2경사면 S3 : 제3경사면

Claims (1)

  1. 후육관 제작을 위해 용접이 이루어질 후판의 측면을 상하 비대칭적으로 면취하기 위한 면취용 커터에 있어서,
    중심부에 회전축이 결합되는 축결합홀이 형성되며, 외주면은 상하 비대칭적으로 오목한 형태를 이루되,
    상기 외주면에는 센터라인 보다 하측에 수직면을 이루는 경계부가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와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하부 슬로프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계부와 연결되어 외측을 향해 경사지는 상부 슬로프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계부, 상기 하부 슬로프면, 상기 상부 슬로프면 각각에 다수의 절삭팁들이 결합되고, 상기 절삭팁이 결합되는 곳에는 함몰된 칩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슬로프면은 일정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슬로프면은 상기 경계부로부터 연장되는 가상의 수직라인에 대한 기울기가 다른 제1경사면, 제2경사면, 제3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가 작고 상기 제2경사면의 기울기보다 상기 제3경사면의 기울기가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후판의 측면을 상하 비대칭적으로 면취하되,
    상기 후판의 측면 상부는 오목한 형상으로 면취되고, 상기 후판의 측면 하부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형상으로 면취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
KR2020120006685U 2011-07-26 2012-07-26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 KR2013000084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73955 2011-07-26
KR1020110073955 2011-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41U true KR20130000841U (ko) 2013-02-05

Family

ID=5242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685U KR20130000841U (ko) 2011-07-26 2012-07-26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8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3111A (zh) * 2020-05-06 2020-07-28 哈尔滨科友半导体产业装备与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边缘便于识别的无损单晶片及其标记方法和专用砂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3111A (zh) * 2020-05-06 2020-07-28 哈尔滨科友半导体产业装备与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边缘便于识别的无损单晶片及其标记方法和专用砂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6343B2 (en) Ground set saw blade
JP5310547B2 (ja) 切削インサートによる切削方法及び切削インサート
JP2005119320A (ja) 鋸刃
JP6351937B2 (ja) ミーリング工具及び切削インサート
US20160001382A1 (en) Rotary milling tool
JP2009189818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とその製造方法
CN105636729A (zh) 粗加工立铣刀
US10507533B2 (en) Drill
WO2016042646A1 (ja) 総形回転切削工具
JP2018199198A (ja) ボールエンドミル
KR102113349B1 (ko) 드릴 헤드용 지지 패드 및 지지 패드 설계 및 제조 방법
KR20130000841U (ko) 후육관 제작을 위한 면취용 커터
ITUB20159298A1 (it) Scambiatore di calore a fascio tubiero e mantello, tubi alettati per tale scambiatore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JP6683299B2 (ja) エンドミルおよび加工方法
JP2015074085A (ja) 両面型の九角形切削インサート
JP5459598B2 (ja) 切削インサート
CN108889836A (zh) 冲压件的制造方法以及冲压件的半成品
JP2015071222A (ja) リブを有するレシプブレ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00245B2 (ja) エンドミル
JPWO2008053854A1 (ja) ハニカム構造体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方法
JP4881190B2 (ja) ダブ溝加工方法
JP6927545B2 (ja) 中子用バリ取り工具
JP7303464B2 (ja) エンドミル
US12011766B2 (en) Cutting part and lathe
KR102144582B1 (ko) 톱날 팁 및 이를 구비한 원형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