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150A - 연속형 디버터장치 - Google Patents

연속형 디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150A
KR20130000150A KR1020110060673A KR20110060673A KR20130000150A KR 20130000150 A KR20130000150 A KR 20130000150A KR 1020110060673 A KR1020110060673 A KR 1020110060673A KR 20110060673 A KR20110060673 A KR 20110060673A KR 20130000150 A KR20130000150 A KR 20130000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diverter
unit
guide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원
Original Assignee
(주)맥스파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스파인 filed Critical (주)맥스파인
Priority to KR102011006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150A/ko
Publication of KR20130000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Abstract

디버터 본체와, 디버터 본체에 설치되어 제1방향으로 진입되는 기판을 가이드 하는 내측 가이드유닛과, 디버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내측 가이드유닛을 경유하여 이동된 기판을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벨트와, 디버터 본체에 설치되어 내측 가이드유닛으로 이송된 기판을 이송벨트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 및 한 쌍의 이송벨트에 설치되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이동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디버터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속형 디버터장치{A CONTINUOUS DIVERTER APPARATUS}
본 발명은 디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유리기판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부품을 이송시 진입각 또는 진입방향의 변경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연속형 디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함)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도록 광빔의 투과량을 조절함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대표적인 평판 표시장치이다. 특히, LCD는 경량화, 박형화,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LCD는 사무자동화 장치 및 노트북 컴퓨터의 표시장치로 적용되고 있으며, 또한 LCD는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대면화면 및 저소비전력화의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한편,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은 구동신호를 입력받는 박막트랜지스터기판(TFT 기판)(이하, 간단히 'TFT 기판'이라 함), 칼라필터층을 포함한 칼라필터기판(C/F 기판)(이하, 간단히 'C/F 기판'이라 함) 및 TFT 기판과 C/F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은 크게 기판 제조공정, 셀 제조공정 및 모듈 공정의 세 가지 공정으로 구분된다.
먼저, 기판 제조공정은 세정된 유리기판을 사용하여 TFT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 및 C/F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으로 각각 구분되는데, TFT 기판 제조공정은 하부 유리기판 상에 신호라인과,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을 말하며, C/F 기판 제조공정은 상부 유리기판 상에 블랙매트릭스(Blackmatirx)와, 칼라필터층과, 공통전극(ITO)을 순차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다음으로, 셀 공정은 TFT 기판과 C/F 기판을 합착하고 그 사이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모듈공정은 액정패널과 신호처리 회로부를 연결시키는 공정을 말한다.
한편, 상기 유리기판 제조공정은 다시 PECVD와 스퍼터링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기판에 박막을 입히는 박막공정, 상기 박막을 원하는 패턴으로 구성하기 위한 사진공정 및 상기 패턴에 따라 상기 박막을 식각하기 위한 식각공정 등으로 세분화될 수 있으며, 상기 공정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및 칼라필터 기판이 제작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베이어들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을 각 공정장비로 이송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로더(Loader)에 적재되어 있는 유리기판을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공정장비에 투입하기 위하여, 종래의 컨베이어들을 통해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는 매엽 In-line 형태로 공정장비들이 구성되어 있는 작업환경을 나타낸 것이다. 즉, 매엽 In-line 구성이란 모든 공정장비(17)들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컨베이어들(13 내지 16)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각 공정장비에서 해당 공정을 마친 유리기판은 별도의 이송장비(예를 들어, 무인 반송차(AGV) 또는 로봇암 등)에 적재되어 또 다른 공정장비로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컨베이어를 통해 또 다른 공정장비로 이송되어 진다.
이때 이용되는 컨베이어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정렬 컨베이어(13)는 로봇암(12)에 의해 운반된 유리기판을 컨베이어상에 정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렬 컨베이어의 특정 롤러들에 의해 유리기판은 일정한 각도로 놓이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표준 컨베이어(14)는 유리기판을 단순히 이동시키는 기본적인 컨베이어를 말한다.
다음으로, 턴 컨베이어(Turn Conveyor)(15)는, 유리기판을 소정의 각도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턴 컨베이어(15)는 이송되어온 유리기판의 진입각을 소정의 각도(예를들어, 180°)로 회전시킨 후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디버터 컨베이어(Diverter Conveyor)(16)는 유리기판이 이송되어온 진행방향을 소정 각도90°로 변경시켜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들을 이용한 유리기판의 이송 방법의 일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도 1은 컨베이어들 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정장비들의 배치 및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은 로더(Loader)(11)에 실장되어 있는 유리기판을 로봇암(12)이 정렬 컨베이어(13)로 옮기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로더(11)와 정렬 컨베이어(13)는 일대일의 관계로서, 상기 정렬 컨베이어(13)는 유리기판을 정렬시킨 후 표준 컨베이어(14)로 이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표준 컨베이어(14)는 유리기판을 턴 컨베이어(15)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턴 컨베이어(15)는 유리기판의 진입각을 180°로 회전시킨 후 디버터 컨베이어(16)로 이송하게 된다. 즉, 하나의 유리기판이, 유리기판의 진입각을 달리하는 두 개의 공정장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턴 컨베이어(15)는 유리기판을 180°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디버터 컨버터(16)는 유리기판의 진행방향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로 변경하여 이송시킬 수도 있으며, 이송된 유리기판은 최종적으로 정렬 컨베이어에서 정렬된 후 로봇암(12)에 의해 공정장비(17)로 투입된다. 이때, 유리기판의 진입각은 변하지 않으며, 다만 그 진행방향이 변경되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두 개의 로더(Loader)(11)에 실장되어 있는 유리기판을 두 개의 로봇암(12) 각각이 하나의 디버터 컨베이어(16)로 옮기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유리기판은 상기 디버터 컨베이어(16)에 의해 진행방향이 90°바뀐 상태로 턴 컨베이어(15)로 이송되며, 상기 턴 컨베이어(15)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에 의해 유리기판의 진입각을 180°회전시키게 된다. 진입각이 회전된 유리기판은 이후 정렬 컨베이어(13)에서 정렬된 후 표준 컨베이어(14)에 의해 디버터 컨베이어(16)로 이송된다.
이후, 디버터 컨베이어(16)는 유리기판의 진행 방향을 90°회전시켜 이송하게 되며, 정렬 컨베이어(13)는 유리기판을 정렬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로봇암(12)은 정렬된 유리기판을 각각의 공정장비(17)에 투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들의 기능에 있어서, 턴 컨베이어(15) 및 디버터 컨베이어(16)는 유리기판의 진입각 또는 진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컨베이어들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을 각 공정장비로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있어서, 디버터 컨베이어의 경우, 하나의 유리기판이 진입되어 방향을 전환시켜서 다음의 단계( 정렬 컨베이어(13) 등)로 이송시키는 동안 다른 유리기판은 디버터 컨베이어로 진입하지 못하고 대기하였다가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유리기판을 이송시키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지연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유리기판을 연속적인 방식으로 방향을 바꿔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연속형 디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속형 디버터장치는, 디버터 본체와; 상기 디버터 본체에 설치되어 제1방향으로 진입되는 기판을 가이드 하는 내측 가이드유닛과; 상기 디버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내측 가이드유닛을 경유하여 이동된 기판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벨트와; 상기 디버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 가이드유닛으로 이송된 기판을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이동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디버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이송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및 하부 주행부 사이의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주행부 사이로 진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디버터 본체의 하부의 복수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가이드유닛에 지지된 기판의 하부를 접촉지지하여 밀어 올리는 기판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판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되는 기판에 밀려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기판이 상부위치에 위치되도록 허용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기판 지지부는, 상기 이송벨트에 주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되는 기판에 의해 밀려서 상부로 회동되며, 상기 기판과 이격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회동 지지편과; 상기 회동 지지편 위에 상기 기판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 지지편이 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정편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연속형 디버터장치는, 기판이 디버터장치로 진입하여 완전히 빠져나간 후에 다음의 기판이 디버터장치로 진입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2개의 기판이 동시에 디버터장치에 진입 및 진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판의 연속적인 이송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의 속도로 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기판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디버터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속형 디버터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연속형 디버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판 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기판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 각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속형 디버터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디버터장치(100)는 기판(200,200')을 연속적으로 방향전환하겨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디버터 본체(110)와, 내측 가이드유닛(120)과, 한 쌍의 이송벨트(130, 140)와, 승강유닛(160) 및 이송벨트(130,140)에 설치되는 기판 지지부(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200,200')은 LCD용 유리기판을 포함하며, 그 이외에도 회로기판 등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버터 본체(110)는 베이스 프레임(111)과, 베이스 프레임(111)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상부 프레임(112)과, 베이스 프레임(111)과 상부 프레임(112)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13)을 구비한다. 베이스 프레임(111)은 외각의 4각 틀 형상을 가지며,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2)은 대략 4각 틀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가이드유닛(120)이 그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디버터 본체(1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형상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내측 가이드유닛(120)은 제1방향(A)으로 진입되는 기판(200)의 이송을 가이드하고 이송된 기판(2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내측 가이드유닛(120)은 상기 이송벨트(130,140)의 주행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121)를 구비한다. 복수의 가이드부재(121)는 상기 상부 프레임(112) 상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지지바(121a)와, 지지바(121a)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평 가이드바(121b)를 구비한다. 지지바(121a)는 상부 프레임(112)의 상부에서 상하 수직으로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송벨트(130,140)의 상부 및 하부 주행부(131,141)(132,142) 사이의 높이(길이)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바(121a)는 한 쌍의 이송벨트(130,140)에 대응되게 상부 프레임(112)의 상부 양측에 각각 대칭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바(121a)의 상부에 가이드부재(121b)가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21b)는 이송벨트(130,140)의 상부 및 하부 주행부(131,141)(132,142)의 대략 중간 높이에 배치되어, 상부 및 하부주행부(131,141)(132,142) 사이로 진입하는 기판(2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이동된 기판(200)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200)이 이송벨트(130,140)에 간섭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및 하부 주행부(131,141)(132,142) 사이를 통과하여 가이드부재(121b) 위로 이동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130,140)는 상기 가이드부재(121b) 위에 위치된 기판(200)이 상기 승강유닛(15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며, 상부로 이동된 기판(200)을 A 방향에 수평으로 직교하는 B방향으로 기판(200)을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벨트(130,140)는 디버터 본체(110)의 상부에 복수의 벨트 지지롤러(151,152)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 궤도를 주행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벨트 지지롤러(151,152) 중에서 어느 하나는 구동모터(15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면서 이송벨트(130,140)를 주행시킨다. 상기 벨트 지지롤러(151,152)는 상기 디버터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벨트 지지롤러(151,152)와 디버터 본체(110)와의 구체적인 연결구조는 생략하였으며, 예를 들어 디버터 본체(110)의 상부 프레임(112)에서 상부로 롤러 지지브라켓이 연장 설치된 뒤, 그 롤러 지지브라켓에 지지롤러(151,152)가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한 쌍의 이송벨트(130,140)는 서로 동일한 속도로 주행 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유닛(16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1)에 복수 위치에 설치되며, 각각은 구동부(161)와, 가동부(162) 및 가동부(152)의 상단에 설치되는 기판 접촉부(153)을 구비한다. 즉, 승강유닛(15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벨트 주행부(131,141)(132,142) 사이를 통해 가이드부재(121b) 위로 놓인 기판(200)의 하부의 복수 위치, 바람직하게는 4 지점에서 밀어 올려서 상승시킬 수 있도록 복수가 복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동부(151)는 베이스 프레임(111)에 위치고정되어 설치되며, 구동시 상기 가동부(152)를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되게 구동시킨다. 이러한 구동부(151)는 유압실린더, 리니어모터 등 다양한 실시예에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동부(152)는 상기 구동부(151)에 연결되어, 구동부(151)의 구동시 상하로 선택적으로 승강 운동하면서 상기 기판(200)을 이송벨트(130)(140) 위에 놓여지도록 이동시키고 복귀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152)의 상단에는 상기 기판 접촉부(153)가 설치된다. 이 기판 접촉부(153)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도록 확장 형성된 구성을 가지며, 기판(200)과의 접촉시 충격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완충부재, 예를 들어 고무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 지지부(170)는 상기 승강유닛(160)에 의해 상부로 이동된 기판(200)이 승강유닛(160)의 하강운동시 이송벨트(130,140) 상부에 그대로 지지된 상태로, 이송벨트(130,140)의 주행방향(B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기판 지지부(170)는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그 일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기판 지지부(170)는 이송벨트(130,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이송벨트(130,140)의 테두리 쪽으로 돌출되며, 기판(200)의 상승동작시 기판(200)의 테두리를 간섭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탄성편(171)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편(171)은 이송벨트(130,140)의 외측면에 주행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이송벨트(130,140)의 테두리 쪽(이송벨트 간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탄성편(171)은 이송벨트(130,140)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외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변형되었다가, 다시 복귀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되는 기판(200)의 상면에 밀려서 강제로 변형되면서 기판(200)이 상승이동을 허용하고, 기판(200)이 탄성편(171)을 통과하여 완전히 상승한 뒤에는, 탄성편(171)은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상승된 위치의 기판(20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기판(200)을 상승 시켜던 승강유닛(160)을 다시 하강시켜 복귀시키면, 기판(200)은 하강되다가 탄성편(171) 위에 놓이고, 승강유닛(160)만 하강된다. 이때, 탄성편(171)은 기판(200)의 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두께 및 탄성력을 갖도록 적절히 설계되어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방향으로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고, 하방향으로는 쉽게 변형되지 못하도록, 탄성편(171)은 하면이 탄성편(171)의 자유단부 쪽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은 평편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유닛(160)에 의해 상승되는 기판(200)이 탄성편(171)을 밀어서 변형시킨 후, 그 탄성편(171) 위에 놓인 상태로 이송벨트(130,140)의 주행동작시 B 방향으로 이송되어 다음의 공정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송벨트(130,140) 위에 놓여진 기판(200)이 이송되는 동안, 이송벨트(130,140)의 상부 및 하부 벨트 주행부(131,141)(132,142) 사이로 다음의 기판(200')이 이송되어 승강 준비를 마침으로써, 기판의 연속 이송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 지지부(17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판 지지부(170')는 참조하면 기판 지지부(170')는 이송벨트(130,14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편(173)과, 고정편(17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 지지편(174) 및 회동 지지편(174)의 회동방향을 제한하는 스토퍼(175)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편(173)은 이송벨트(130,140)에 주행방향을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정편(173)에 회동 지지편(17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고정편(173)과 수평 상태에서 상방향으로만 회동 및 복귀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평상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73)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일단부가 상승되는 기판(200)에 밀려서 상방향으로 회동된 뒤, 기판(200)이 회동 지지편(174)을 벗어나면 회동 지지편(174)은 다시 자중에 의해서 원위치로 회동되어 복귀된다. 이때, 회동 지지편(174)의 타단부는 상기 스토퍼(175)에 걸려서 반대 방향으로 더 회동되지 못하고, 고정편(173)과 수평을 유지하는 초기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상기 스토퍼(175)는 고정편(173)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지지편(175)이 수평상태에서 그 일단부가 하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기판 지지부(170')의 경우, 기판(200)이 상승하면서 회동 지지편(175)의 일단부의 하부를 밀어서 회동시키면서 상승하고, 어느 정도 상승하여 회동 지지편(175)으로부터 이격되면 회동 지지편(165)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승강유닛(160)을 다시 하강시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면, 기판(200)은 내려오다가 회동 지지편(175) 위에 걸려서 지지된다. 따라서 회동 지지편(175)에 지지된 기판(200)은 이송벨트(130)(140)의 주행구동 동작에 의해 B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다음이 기판이 A 방향으로 이송되어 상기 승강유닛(160)의 상부로 위치됨으로써, 기판을 연속적으로 방향 전환시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기판 지지부(160.160')의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에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송벨트(130,140) 상에 설치되어, 이송벨트(130,140)의 상부로 이동된 기판(200)을 선택적으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동되는 클램퍼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속형 디버터장치(100)의 경우에는, 이송벨트(130,140) 사이로 진입된 기판(200)을 승강유닛(160)을 이용하여 이송벨트(130,140) 위에 거치되도록 상승시킨 후, 이송벨트(130,140)를 구동시켜 이송벨트(130,140) 상의 기판(200)을 방향전환시켜 B 방향으로 이송키는 동안, 다음의 기판(200')을 다시 이송벨트(130,140) 사이로 진입시킨다. 따라서 먼저 공급된 기판(200)이 이송벨트(130,140) 상에서 완전히 벗어난 시점에, 다음의 기판(200')이 다시 승강유닛(160)에 의해 상승되어 이송벨트(130,140) 위에 거치되고, 또 다음의 기판이 이송벨트(130,140) 사이로 진입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기판(200)이 디버터장치(100)로 진입하여 완전히 빠져나간 후에 다음의 기판(200')이 디버터장치(100)로 진입되는 것이 아니고, 2개의 기판(200,200')이 동시에 디버터장치(100)에 진입 및 진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판의 연속적인 이송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적어도 2배 이상의 속도로 운송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제품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이송벨트에 설치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클램핑유닛을 나타내 보인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연속형 디버터장치 110..디버터 본체
120..내측 가이드유닛 130,140..이송벨트
151,152..벨트 지지롤러 155..구동모터
160..승강유닛 170,170'..기판 지지부

Claims (5)

  1. 디버터 본체와;
    상기 디버터 본체에 설치되어 제1방향으로 진입되는 기판을 가이드 하는 내측 가이드유닛과;
    상기 디버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상기 내측 가이드유닛을 경유하여 이동된 기판을 상기 제2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한 쌍의 이송벨트와;
    상기 디버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 가이드유닛으로 이송된 기판을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쪽으로 이동시키는 승강유닛;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에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이동된 기판을 지지하는 기판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디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디버터 본체의 상부에 상기 이송벨트의 주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이송벨트의 상부 및 하부 주행부 사이의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기판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주행부 사이로 진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디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디버터 본체의 하부의 복수 지점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상하로 승강 이동되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승시 상기 가이드유닛에 지지된 기판의 하부를 접촉지지하여 밀어 올리는 기판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디버터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이송벨트 각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서로 마주하는 테두리 쪽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되는 기판에 밀려서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기판이 상부위치에 위치되도록 허용하는 복수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디버터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지지부는,
    상기 이송벨트에 주행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승강유닛에 의해 상승되는 기판에 의해 밀려서 상부로 회동되며, 상기 기판과 이격시 원위치로 복귀되는 회동 지지편과;
    상기 회동 지지편 위에 상기 기판이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회동 지지편이 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고정편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형 디버터장치.
KR1020110060673A 2011-06-22 2011-06-22 연속형 디버터장치 KR20130000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73A KR20130000150A (ko) 2011-06-22 2011-06-22 연속형 디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673A KR20130000150A (ko) 2011-06-22 2011-06-22 연속형 디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150A true KR20130000150A (ko) 2013-01-02

Family

ID=4783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673A KR20130000150A (ko) 2011-06-22 2011-06-22 연속형 디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87B1 (ko) * 2020-09-07 2021-05-10 허미숙 용기손잡이 자동조립시스템의 손잡이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287B1 (ko) * 2020-09-07 2021-05-10 허미숙 용기손잡이 자동조립시스템의 손잡이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7865B2 (en) Substrate transferring system and substrate transferring method
US7497317B2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raising objects
KR20070067996A (ko) 턴-디버터 컨베이어
KR101854044B1 (ko) 텐션 롤러를 갖는 타워 리프트
KR101427595B1 (ko) 기판이송장치
KR20110067713A (ko) 스크라이빙 조립체 및 스크라이빙 방법
CN101512748B (zh) 基板运送装置以及基板运送方法
KR20050001482A (ko) 기판의 수평 및 상하 이송장치
CN101512747B (zh) 基板运送装置以及基板运送方法
KR101215591B1 (ko) 기판 반송 시스템
KR100729958B1 (ko) 패널 이송리프터
KR20130000150A (ko) 연속형 디버터장치
KR100832472B1 (ko) 기판이송장치
KR102222263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204332B1 (ko) 평판 표시 장치 제조용 글라스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US8777541B2 (en) Conveyor control apparatus of liquid crystal panel substrat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000494B1 (ko) 이송장치
KR100743031B1 (ko) 유체 디스펜싱 시스템
KR101003580B1 (ko) 기판공급장치
KR100444251B1 (ko) 오토 프로브 유닛용 패널 캐리어의 액정패널 자동파지장치
KR20120079982A (ko) 기판 수직 이송장치
KR102206258B1 (ko) 도포 장치 및 그 개량 방법
WO2019184891A1 (zh) 一种显示模组绑定循环系统、显示模组及显示装置
KR20080058914A (ko) 기판이송용 컨베이어장치
CN208898097U (zh) 一种基板传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