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40687A -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40687A
KR20120140687A KR1020120060348A KR20120060348A KR20120140687A KR 20120140687 A KR20120140687 A KR 20120140687A KR 1020120060348 A KR1020120060348 A KR 1020120060348A KR 20120060348 A KR20120060348 A KR 20120060348A KR 20120140687 A KR20120140687 A KR 20120140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server
unit
inform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0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시마카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14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6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1Location-sensitive, e.g. geographical location, G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Abstract

제어부는,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해서,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기술은 다른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와 통신 가능한 서버 장치,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 서비스(즉, 클라우드 컴퓨팅)를 통해서 다른 기기와의 연계(linkage)를 행할 때, 유저는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연계 대상의 모든 대상 기기(target device)에 입력해왔다. 유저ID 및 패스워드는 서비스의 액세스 관리에 이용된다.
일례로서,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304849호 공보(단락 0108 등 참조)(이하, 특허 문서 1로 언급)는 인증(authentication) 이후의 그룹 등록의 절차를 기술한다. 구체적으로, 정보 처리 장치(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로부터 관리 서버에 어카운트 생성 요구(account creation request)가 송신되면, 관리 서버 액세스용 유저ID 및 패스워드가 발행된다.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다른 정보 처리 장치 B로부터 관리 서버에 그룹 등록 요구가 송신된다. 이에 응답하여, 인증 후에 그룹 등록 처리가 행해진다.
이러한 접근은, 이미 임의의 대상 서비스상에 유저 어카운트로서 유저ID 및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고, 이용하는 임의의 기기가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기기 또는 서비스에의 액세스가 유저 조작(user operation)을 통해 행해질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보인다.
그러나, 최근의 네트워크 서비스/클라우드 컴퓨팅의 보급 및 PC는 물론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상술한 접근은 더 이상 적절한 방법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기 간 연계가 가능한 네트워크 기능을 구비한 기기는 종종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예를 들면 디지털 포토프레임이나 건강관리 기기 등)을 구비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기기를 가지고 유저는 극히 제한된 수의 버튼이나 가상 키보드를 이용해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고, 이는 사용 편의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유저가 많은 수의 기기를 그들 사이의 연계를 통해 이용하고 싶을 경우, 모든 기기에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해서, 유저의 부담이 크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유저가 빈번하게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든 기기에 대해서 한 번만 유저ID 및 패스워드를 유저가 입력하게 하도록 하고, 관련된 모든 기기상에 이를 기록해 두는 방식도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유저ID 및 패스워드가 복수의 기기상에 평문(plain text)으로 변환가능한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는 시스템 전체의 보안 레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본 기술은 보안을 높게 유지하면서, 다른 기기와의 연계 기능을 용이하게 설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갖는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해당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해서,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association settings)을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로, 다른 기기와의 연계 기능은 보안을 확보하면서 용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연동 설정이 완료된 후에 정보 처리 장치는 서버 장치를 통해 안전한 통신로 상에서 제약 없이 기기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정보 처리 장치는, 표시부와 유저의 조작을 허가(accept)하는 조작 허가부(operation accepting section)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제어부는 검색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표시된 정보로부터 설정 요구 정보의 송신 대상이 되는 기기를 선택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응답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기기에 대한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에게 연동 설정을 위한 임의의 기기를 표시부 상에서 선택하게 하는 간단한 접근으로, 서버 장치를 통해서 선택된 기기에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는, 응답 정보가 수신된 경우, 선택된 기기를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여 연동 설정이 완료된 것을 유저에게 용이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기기와의 연동 타입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타입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표시된 복수의 타입 정보들로부터 하나의 타입 정보를 선택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선택된 타입 정보와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구성된 정보 처리 장치는, 연동 타입과 함께 기기와의 연동설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 타입이란, 예를 들면 액세스 권한의 레벨을 나타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어부는, 검색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object)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연동 타입 각각에 구비된 제2 영역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제2 영역에 드래그 앤 드롭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연동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와 함께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영역으로부터 제2 영역으로의 드래그 앤 드롭이라고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연동 타입을 유저에게 지정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연동 설정이 이루어진 기기가 제1 및 제2 네트워크 이외의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기기에게,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를 검색해서 발견된 경우 그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회신하라고 요구하는, 검색 요구 정보(search request information)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검색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기기로부터 송신된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다른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는, 자신이 속하는 네트워크와는 다른 임의의 네트워크에, 연동 설정이 완료된 임의의 기기가 존재할 경우에는, 해당 기기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내의 임의의 다른 기기와의 연동을 행할 수 있다.
서버 장치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 이외의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다른 기기의 위치 정보 및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해서 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의해 표시되는 위치 근방의 기기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 요구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검색 요구 정보에 응답해서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 근방의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정보 처리 장치와 위치 근방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위치 근방의 해당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처리 장치는 위치 정보를 지정함으로써 동일한 네트워크 내에서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외부의 다른 카테고리 전체에 연동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 따라서, 제1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부 및 제어부를 갖는 서버 장치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여,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들에 대한 검색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 제2 기기 식별 정보는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획득됨 -, 정보 처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설정 요구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수신된 응답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검색을 통해 발견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정보 처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가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을 하기 위하여 송신하고,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본 기술에 따르면, 보안 레벨을 높게 유지하면서 다른 기기와의 연계 기능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점 등은 첨부된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그 실시 형태의 최적의 모드에 대한 후술할 상세한 설명에 비추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기 간 연동 설정 시스템(device-to-device association-establishing system)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 유저측 기기(user-side device) 및 설정 대상 기기(setting-target device)의 각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유저와 유저측 기기와의 연동이 설정된 경우에 생성되는 엔트리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등록된 기기(유저측 기기)를 이용한 연동 설정 메카니즘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연동 설정에 대한 유저측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6은 연동 설정에 대한 서버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7은 연동 설정에 대한 설정 대상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8은 유저측 기기와 설정 대상 기기 간의 연동이 설정된 경우에 생성되는 엔트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 각각은 복수의 연동 타입이 이용될 경우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 각각은 복수의 연동 타입이 이용될 경우의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유저측 기기와 설정 대상 기기 간의 타입별 연동이 설정된 경우에 생성되는 엔트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모트 검색 요청 메카니즘(remote search request mechanism)을 이용한 연동 설정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측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정 대상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1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정 대상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20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서버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21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측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6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3은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측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24는 제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정 대상 기기의 처리 흐름도이다.
이하, 본 기술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우선,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네트워크의 개요]
도 1은, 본 기술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기 간 연동 설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시스템은, 서버(100), 유저측 기기(200), 설정 대상 기기(300)를 포함한다.
서버(100)는,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광역 네트워크(5) 상에 설치되어 있고,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상세한 사항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100)는 유저측 기기(200)와 안전한 통신로를 확보한 다음에, 해당 유저측 기기(200)와 그 유저 사이의 연동을 등록한다. 그 후에,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는 안전한 통신로 상에서 서버(100)를 통해 연동 설정을 하도록 서로 통신한다.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로는,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렛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AV플레이어, 전자책, 디지털 포토프레임, 텔레비전 장치(TV), PVR(Personal video recorder), 노트북형 PC, 데스크탑형 PC, HDD 장치,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게임 기기, 프로젝터, 건강관리 기기, 가정용 전기 제품 등의 정보 처리의 장치의 모든 카테고리를 예로 들 수 있다.
유저측 기기(200)는, 유저 조작을 위한 대상 기기이다. 도 1에는, 일례로서 스마트폰을 도시하였다. 설정 대상 기기(300)는, 유저가 유저측 기기(200)와 연계 기능(연동)을 갖기를 희망하는 기기이다. 도 1에는, 일례로서 디지털 포토프레임을 도시하였다. 도 1에는, 하나의 설정 대상 기기(300)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시스템 내에서 설정 대상 기기(300)는 복수 존재할 수 있다.
유저측 기기(200)는, 안전한 통신로 상에서, 서버(100)를 통해 설정 대상 기기(300)에 연동 설정 요구를 송신하고, 설정 대상 기기(300)는 해당 설정 요구에 대하여 허가/거부로 응답한다.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는, 집 안의 홈 네트워크(LAN)(10)에 접속되어 있어, 예를 들면 WiFi나 DHCP-I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over Internet Protocol) 등의 표준에 기초한 서로간의 통신이 가능하다.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는 DHCP-IP에 의해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적으로 발견하고, 서버(100)와 상술한 광역 네트워크(5)를 통해서 접속된다.
이하에서는,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를 구별하지 않고 총칭하여 "기기"라고 칭할 경우도 있다.
[각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2는, 서버(100),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제어부(CPU; 11), 기기 정보 관리부(12), 유저 정보 관리부(13), 유저/기기 연동 관리부(14), 통신부(15), 메시지 수신부(16), 메시지 송신부(17) 및 보안 관리부(18)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 외에, 서버(100)는, OS 이외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를 구비한다.
제어부(11)는, 서버(100) 내의 각 블록을 제어하고,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로/부터 메시지를 송신/수신한다. 서버(100)에 보내진 메시지에 대해서 제어부(11)는 각각의 적당한 블록에 이를 송신하고,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등의 처리를 행한다.
기기 정보 관리부(12)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유저측 기기(200) 및 그것에 대한 연동이 설정된 설정 대상 기기(300)의 명칭 등의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13)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유저ID 및 패스워드 등의 유저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유저/기기 연동 관리부(14)는, 유저와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와의 연동 설정 정보를 관리한다. 유저와 기기들 사이의 연동 설정은 Owner/Family/Friend/Guest로 연동 타입이 분류된다. 유저/기기 연동 관리부(14)는, 연동 설정 정보에 대한 엔트리로서 유저/기기/연동 타입의 집합을 저장한다.
통신부(15)는,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로부터의 접속을 허가한다. 통신부(15)는, 유저측 기기(200)와의 접속 개시 시에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즉 통신부(15)는, 유저측 기기(200)가 인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유저측 기기(200)에 의해 제공되는 기기 증명서를 확인한다. 통신부(15)는, 서버(100)가 인증된 기기라는 사실을 유저측 기기(200)에 알리기 위해, 유저측 기기(200)에 서버 증명서를 송부한다. 인증 처리가 행해진 후에, 통신부(15)는, 이후의 암호화된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 키교환(key exchange) 처리를 행하고, 기기ID를 취득한다. 이에 의해 통신부(15)는, 이후 기기ID를 기초로 접속을 선택해서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시지 수신부(16)는, 통신부(15)를 통해서 수신한 메시지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이 메시지를 제어부(11)에 제공한다.
메시지 송신부(17)는, 제어부(11)에 의해 제공된 메시지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통신부(15)를 통해 이 메시지를 각 대상 기기에 송부한다.
보안 관리부(18)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보안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보안 관리부(18)는, 서버 증명서를 저장한다.
[유저측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는, 제어부(21), 통신부(22), 메시지 수신부(23), 메시지 송신부(24), 유저ID/패스워드 입력부(25), 기기 검색부(26), 기기 리스트(list) 표시/선택부(27), 보안 관리부(28), 유저 정보 관리부(29) 및 기기ID 생성부(3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 외에, 유저측 기기(200)는, OS 이외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동 설정 처리를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하 "연동 설정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칭한다.
제어부(21)는, 유저측 기기(200) 내의 각 블록을 제어함으로써 기기 간의 연동 설정을 위한 유저측 기기(200)로서의 기능을 실행한다.
통신부(22)는, 서버(100)와의 접속을 설정한다. 통신부(22)는 접속 개시 시에 인증 처리를 행한다. 즉, 통신부(22)는, 유저측 기기(200)가 인증된 기기라는 사실을 서버(100)에 알리도록 기기 증명서를 송부하고, 서버(100)가 인증된 기기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서버(100)로부터의 서버 증명서를 수취한다. 인증 처리가 완료된 후에, 통신부(22)는 이후의 암호화된 통신에서 사용하기 위해 키교환 처리를 행하고 기기ID를 송부한다. 이에 의해 통신부(22)는, 이후 기기ID를 기초로 서버와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시지 수신부(23)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이 메시지를 제어부(21)에 제공한다.
메시지 송신부(24)는, 제어부(21)에 의해 제공된 메시지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통신부(22)를 통해서 이 메시지를 서버(100)에 송부한다.
유저ID/패스워드 입력부(25)는, 기기 간의 연동 설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등록된 기기로서 나열된 유저측 기기(200)를 갖도록, 유저ID/패스워드 입력 기능을 제공한다. 즉, 유저ID/패스워드 입력부(25)는, 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 스크린 등의 조작 허가부이다.
기기 검색부(26)는, 기기 간의 연동 설정에 대한 대상에 해당하는 기기의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해서, 기기를 검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검색부(26)는, 기기 검색의 수단으로서, UPnPDA(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 Architecture)의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기능을 이용한다. SSDP에서는, 각 기기는 UPnP를 이용하여, 기기의 기능을 포함한 Device Description을 네트워크상에 광고한다. 나머지 다른 기기는 Device Description을 수신함으로써, 기기가 어떤 기능을 제공할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기기는 SSDP를 이용해서 기기ID를 광고한다. 이 광고된 기기 ID에 기초하여 기기 리스트를 획득한다.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는, 기기 검색부(26)에 의해 획득된 기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연동 설정이 가능한 기기의 리스트을 나타내고, 또한, 리스트에서 대상 기기를 유저가 지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EL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등이며, 터치 스크린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보안 관리부(28)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스템의 보안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보안 관리부(28)는, 상술한 기기 증명서를 저장한다.
유저 정보 관리부(29)는, 기기 간의 연동 설정에 의해 얻어지는 유저 정보를 관리한다. 연동 설정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 기기는 어느 유저와도 연동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이 블록은 유저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기기ID 생성부(30)는, 기기를 일의적(uniquely)으로 식별하는 기기ID를 생성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ID 생성부(30)는 통신부(22)상의 MAC 어드레스를 기초로 기기ID를 생성함으로써 일의성(uniqueness)을 보증한다.
[설정 대상 기기의 하드웨어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대상 기기(300)는, 제어부(31), 통신부(32), 메시지 수신부(33), 메시지 송신부(34), 기기 검색 서버부(35),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 보안 관리부(37), 유저 정보 관리부(38) 및 기기ID 생성부(39)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 외에, 설정 대상 기기(300)는, OS 이외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HDD, 불휘발성 메모리 등)를 구비한다.
제어부(31)는, 설정 대상 기기(300) 내의 각 블록을 제어함으로써 기기 간 연동 설정을 위한 대상 기기로서의 기능을 구현한다.
기기 검색 서버부(35)는, 기기 검색을 위한 서버 기능을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검색 서버부(35)는 SSDP 서버의 기능을 이용하여 기기ID를 광고한다.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는, 서버(100)를 통하여 유저측 기기(200)로부터 전송된 연동 설정 요구에 대해 허가해도 좋은지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유저의 확인을 얻는, 메시지 표시 및 유저 확인 기능을 제공한다. 메시지는, 예를 들면, 「00씨에게서 연동 설정 요구가 왔습니다. 허가하시겠습니까?」 등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 정보 관리부(38)는 연동 설정에 의해 얻어지는 유저 정보를 관리한다. 연동 설정이 진행되지 않은 경우, 기기는 어느 유저와도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본 블록은 유저 정보를 저장하지 않는다.
나머지 구성요소, 즉 통신부(32), 메시지 수신부(33), 메시지 송신부(34), 보안 관리부(37), 기기ID 생성부(39)는 상술한 유저측 기기(200)의 대응 구성요소와 유사한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각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시스템 동작]
다음으로,이상과 같이 구성된 서버(100),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후술할 동작은 주로, 각 기기의 제어부에 관한 것이고, 이들 동작은 각 대응 기기의 다른 블록 및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와 협력해서 실행된다.
[동작의 개요]
상기 도 1의 예에서, 유저는, 유저측 기기(200)로서 스마트폰 및 설정 대상 기기(300)로서 새롭게 구입한 네트워크 접속 가능 포토 프레임을 갖고 있고, 기기는 모두 ON상태이다.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는 WiFi 네트워크 접속 기능 및 DHCP-IP에 의해 자동적으로 획득된 네트워크 설정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100)에 접속되도록 가정된다.
[보안 메카니즘]
유저측 기기(200)는, 네트워크 기능이 활성화되면, 우선 서버(100)와의 접속 처리를 행하고, 다음으로 보안을 확보하기 위해 서버(100)와의 안전한 통신로를 설정한다.
우선 서버(100)는, 미리 내장되어 있는 서버 증명서를 유저측 기기(200)에 송신하고, 유저측 기기(200)는 그 서명을 검증하여 서버(100)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해당 인증에 있어서 문제가 없으면, 유저측 기기(200)는, 기기 증명서를 서버(100)에 송신하고, 서버(100)는 그 서명을 검증하여 유저측 기기(200)의 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이 인증에서 문제가 없으면, 서버(100)와 유저측 기기(200)는, 양자간 키교환 처리를 행하고, 이후의 통신의 암호화에 이용가능한 공통 키를 만든다. 그 이후는, 이 공통 키를 이용해서 안전한 통신을 행한다(안전한 통신로의 확립).
이렇게, 서버(100) 및 유저측 기기(200)에 미리 각각 내장되어 있는 증명서를 이용함으로써, 유저ID/패스워드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고,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베이스(device base)로 보안 메카니즘이 구축된다.
상술한 인증/키교환 알고리즘에는, 다양한 접근이 제안되고 있고, 어떤 접근을 이용해도 좋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클라이언트 증명서를 가진 SSL/TLS(Secure Socket Layer/Transport Layer Security)가 이용된다.
이후의 모든 통신은, 이 안전한 통신로 상에서 행해진다. 서버(100)가 메시지를 기기로/기기로부터 송신/수신하므로, 기기는 기기ID를 수신처로서 이용함으로써 각 기기 간에서 안전하고 동시에 자유롭게 메시지의 교환을 행한다.
[유저측 기기에서의 유저-기기 연동 등록]
기기 간의 연동 설정 메카니즘을 이용하기 전에, 유저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해서 유저/기기의 연동 설정(등록)을 행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00)의 유저 정보 관리부(13)에 미리 유저ID 및 패스워드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된다. 유저는, 유저측 기기(200)(예를 들면, 스마트폰) 상에서, 유저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유저 인증을 행하고, 이로써 유저와 유저측 기기(200)와의 연동를 확립한다. 이렇게 설정된 연동으로, 서버(100)의 유저/기기 연동 관리부(14)에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엔트리가 생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트리에는 유저ID, 기기ID 및 연동 타입의 각 항목이 기록된다. 유저와 유저측 기기(200)와의 연동에서는, 연동 타입은 "Owner"가 된다. 마찬가지로 유저측 기기(200)의 유저 정보 관리부(29)에는 유저ID가 기록된다.
[등록된 기기를 이용한 연동 설정 메카니즘]
도 4는, 상술한 등록된 기기(즉, 유저측 기기(200))를 이용한 연동 설정 메카니즘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 도 6, 도 7은, 연동 설정에 대한 유저측 기기(200), 서버(100), 설정 대상 기기(300) 각각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즉, 스마트폰) 상에서 유저가 연동 설정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면, 유저측 기기(200)의 제어부(21)는 기기 검색을 행해서 근방(홈 네트워크(10) 내)의 기기 리스트를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표시한다(도 5의 단계 53). 리스트의 기기는, 각 기기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즉, 아이콘)에 의해 표시된다(도 4 참조).
이 기기 검색에 의해서, 제어부(21)는 근방의 기기의 기기ID의 리스트를 취득한다(도 5의 단계 51). 서버(100)에는 각각의 기기의 화상 데이터나, 미리 주어진 기기의 명칭("아빠의 TV", "거실의 PC" 등)과 같은 각 기기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제어부(21)는, 서버(100)에 문의 메시지를 송부함으로써 이들 정보를 취득한다(도 5의 단계 52).
표시된 기기 리스트가, 유저가 연동 설정을 원하는 임의의 기기를 포함하면, 유저는 이 기기를 선택해서 연동 설정 처리의 개시를 제어부(21)에 지시한다(도 5의 단계 54).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가 터치 스크린과 일체로 되어 있을 경우, 유저의 선택은, 예를 들면 터치 펜이나 유저의 손가락을 이용한 대응 화상을 터치하거나 동그라미를 그림으로써 만들어진다(도 4 참조).
다음으로, 제어부(21)는, 선택된 기기 앞으로 연동 설정 요구를 생성하고 그 요구를 서버(100)에 송신한다(도 5의 단계 55). 연동 설정 요구는, 설정 대상 기기(300)의 기기ID를 포함한다.
서버(100)의 제어부(11)는, 연동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도 6의 단계 61), 수신처의 기기ID에 따라서 요구를 설정 대상 기기(300)(예를 들면 디지털 포토프레임)에 전송한다(도 6의 단계 62).
설정 대상 기기(300)의 제어부(31)는 연동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도 7의 단계 71), 그것에 기초하여 유저에게 확인을 요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에 표시한다(도 7의 단계 72, 73). 해당 메시지로는, 예를 들면, "00씨에게서 연동 설정 요구를 수신했습니다. 허가하시겠습니까?"와 같은 것이다(도 4 참조).
유저가, 예를 들면 디지털 포토프레임에 설치된 버튼 등을 조작해서 요구를 허가하면(도 7의 단계 74의 '예'), 제어부(31)는, 요구가 발생한 유저측 기기(200)에 대한 유저 정보를 바탕으로,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유저ID를 저장한다(도 7의 단계 75).
설정 대상 기기(300) 제어부(31)는, 이후에 응답을 생성하고 이를 서버(100)에 송신한다(도 7의 단계 76). 연동 설정 응답은 구체화된 주소로써 연동 설정 요구가 발생한 유저측 기기(200)의 기기ID를 포함한다.
서버(100)의 제어부(11)는 연동 설정 응답을 수신하면(도 6의 단계 63) 그것이 연동 설정을 허가하는 응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6의 단계 64).
상기 응답이 허가일 경우(단계 64의 '예'), 제어부(11)는 유저/기기 연동 관리부에 대응하는 엔트리를 생성한다(도 6의 단계 65). 도 8은, 엔트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3과 비교하여, 유저ID에 대하여, 새롭게 설정 대상 기기(300)인 디지털 포토프레임이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응답이 거부일 경우(단계 64의 '아니오'), 제어부(11)는 그 응답을 유저측 기기(200)에 통지한다(도 6의 단계 66).
상기 응답이 허가일 경우, 제어부(11)는, 어드레스로서 지정되어 있는 기기ID에 따라서 연동 설정 응답을 유저측 기기(200)에 전송한다(도 6의 단계 67).
유저측 기기(200)의 제어부(21)는, 상기 연동 설정 응답을 수신하면(도 5의 단계 56), 해당 응답이 요구를 허가하는 응답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5의 단계 57).
상기 응답이 허가일 경우(단계 57의 '예'), 제어부(21)는,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있어서 상기 단계 53으로 표시한 기기 리스트을 갱신하고, 선택된 설정 대상 기기(300)를 등록된 기기로 고쳐 표시한다(도 5의 단계 58). 이러한 다른 표시의 경우, 예를 들면, 등록된 기기의 화상이 테두리 표시되거나, 해당 화상의 색이 변경될 수 있다(도 4 참조). 등록된 기기를 나타내기 위해서, 이러한 테두리 표시나 색의 변경 이외에도, 표시 상태가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답이 거부일 경우(단계 57의 '아니오'), 제어부(21)는 그 응답을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표시한다(도 5의 단계 59).
이상에 의해, 최소한의 유저ID/패스워드의 입력으로, 보안 레벨을 확보하면서, 서버/기기 연계 및 기기 간 연계를 위한 유저와 기기의 연동 확립(association establishment)을 적절히 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유저/기기의 연동 타입은 "Owner" 1종류만이었지만, 복수 종류의 다른 연동 타입도 설정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 각각은, Owner/Family/Friend/Guest 4개의 연동 타입을 가진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대상 기기(300)의 화상 정보가 상술한 검색 기기 리스트에 선택되었을 경우에, 유저측 기기(200)의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는 상기 4개의 연동 타입을 표시한다. 유저가, 이 4개의 연동 타입 중 1개를 선택하면, 유저측 기기(200)의 제어부(21)는, 특별히 선택된 타입을 위해 연동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
한편,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입을 지정한 연동 설정 요구를 서버(100)를 통해서 수신하면, 설정 대상 기기(300)의 제어부는 그 요구를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에 표시한다.
이렇게, 기기와 유저의 연동 확립을 위해 제공된 타입으로, 유저측 기기(200)는, 예를 들면, 어떤 대상 유저는 설정 변경은 물론 모든 기능에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다른 대상 유저에게는 설정 변경을 제외한 데이터의 기입을 수반하는 임의 기능의 액세스를 허용하며, 또한 다른 유저에게는 데이터의 표시만을 허용하는 등의 세부적인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상기 Owner/Family/Friend/Guest 4종류의 연동 타입을 가진 유저측 기기(200)에 있어서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기기 검색에 의해 발견된 근방의 기기는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의 상부의 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다. 영역(101)에서, 이미 연동 설정이 완료된 기기의 화상은 테두리 표시에 의해 강조 표시되고, 등록된 유저 타입과 함께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이미 등록된 기기에 대해서는, 그 화상이 영역(101)의 하부의 영역(102)에서 타입에 따라 표시된다. 이들 등록된 기기 중 상술한 기기 검색에 의해 발견된 기기는 테두리 표시에 의해 강조 표시된다. 이 상태로부터, 유저가 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연동 설정을 등록하고 싶은 기기의 화상을, 터치 펜이나 손가락으로, 영역(102) 내의 원하는 설정 타입의 부분에 드래그 앤 드롭을 수행한다. 그러면, 그 타입을 지정한 연동 설정 요구가 대상 기기에 송신된다.
연동 설정 요구를 허가하는 연동 설정 응답이 수신되면,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101) 및 영역(102)의 쌍방에 있어서 화상이 갱신된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미등록 기기의 화상을 영역(101)으로부터 영역(102)의 "Owner"의 위치에 드래그 앤 드롭할 경우, 요구에 대한 허가 응답에 의해, 영역(101)에 있어서 미등록된 기기의 화상이 등록된 것으로서 테두리 표시에 의해 강조 표시된다. 또한, 영역(102)에 있어서, "Owner"의 위치에서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위한 대상 화상이 표시되고, 또한 근방에 발견되는 기기로서 테두리 표시에 의해 강조 표시된다.
도 11은, 타입이 지정되어 연동 설정이 완료되었을 경우 유저/기기 연동 확립 정보 엔트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Owner" 권한을 갖는 유저측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유저의 유저ID에 대하여 설정 대상 기기(300)(예를 들어, 디지털 포토프레임)의 유저는 "Guest" 권한으로 연동되고, 또한 다른 설정 대상 기기(300)(예를 들어, TV)의 유저는 "Friend" 권한으로 연동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기술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0),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의 각 하드웨어 구성요소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임의의 블록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된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기기 간의 연동 설정 처리는 유저측 기기(200)로부터 설정 대상 기기(300)에 송신된 연동 설정 요구에 응답하여 행해진다. 이와 달리,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간 연동 설정 절차가 설정 대상 기기(30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설정 대상 기기(300)는, 기기 검색부(95)와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96)를 갖는다. 기기 검색부(95)는 기기 검색을 행하고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96)는 기기 리스트를 표시해서 유저 선택을 허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응하여, 유저측 기기(200)는 기기 검색 서버부(91)와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92)를 갖는다.
유저가, 기기 리스트에 표시된 기기의 화상으로부터, 설정 기초(setting base)로서 이용하기 위해 등록된 기기(유저측 기기(200))를 선택하면, 연동 설정 요구가 서버(100)를 통해서 유저측 기기(200)에 송신된다. 유저측 기기(200)에 있어서 연동 설정 요구에 대한 허가 응답이 이루어지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연동 설정이 실행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여 본 기술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달리,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와의 구별을 하지않고, 모든 기기들이 유저의 초기 등록/연동 설정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기기(기기(400A) 및 (400B))는,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의 쌍방에 구비된 블록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기기들이 기능에 의해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저는 기기 간의 연동 설정을 유연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기술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는, 기기 검색을 위해, 로컬 네트워크상의 SSDP 등에 의한 기기/서비스 디스커버리 메카니즘만을 이용했다. 그러나, 이 경우 유저측 기기(200) 및 설정 대상 기기(300)에 대해 등록된 기기의 근방에 있는 기기만이 등록 대상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모트 기기 검색 요구 메카니즘(remote device search request mechanism)을 이용한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유저가 유저측 기기(200)(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설정 대상 기기(300)를 위한 연동 설정을 이미 마친 경우를 가정해 본다. 유저가 유저측 기기(200)(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가지고 할아버지 집에 있고, 설정 대상 기기(300)가 할아버지 집에서 네트워크를 사용해 기기 검색 메카니즘에 의해 발견된 것이면, 연동 설정은 완료된다.
이 경우, 유저측 기기(200)는, 유저측 기기(200)가 어디에 존재하고 있어도, 서버(100)를 통해서 설정 대상 기기(300)에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는, 등록된 설정 대상 기기(300)(즉, 포토 프레임)에 대하여, 그 근방의 기기를 검색해서 기기 리스트을 송신하도록 하는 요구를 송신한다.
이러한 요구로, 유저측 기기(200)는 할아버지 집에서 새롭게 구입한 설정 대상 기기(500)(예를 들면, TV)를 기기 검색에 의해 찾아낼 수 있다. 이렇게 발견된 설정 대상 기기(500)는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기술된 설정 대상 기기(300)로써 연동 설정을 위한 대상으로 간주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이러한 리모트 검색 요구 메카니즘을 이용한 연동 설정 처리에 있어서의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도 10a 및 도 10b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용된다. 도 16 및 도 17은, 연동 설정에 대한 유저측 기기(200)와 등록된 설정 대상 기기(300)의 각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의 유저가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의 영역(102)에 표시된 등록된 기기로부터, 할아버지 집의 TV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한다(도 16의 단계 161).
그렇게 하면,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아버지 집의 선택된 TV의 상세 정보가 TV 근방의 기기 검색을 지시하는 버튼으로 나타난다.
상기 버튼이 유저에 의해 눌려지면, 유저측 기기(200)에서 상기 선택된 TV(즉, 등록된 설정 대상 기기(300))에 대하여, 기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송신된다(도 16의 단계 162).
상기 TV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요구를 기다리고(도 17의 단계 171), 상기 기기 검색 요구를 수신하면(도 17의 단계 172의 '예'), 그 근방(홈 네트워크(10) 내)의 기기 검색을 시작한다(도 17의 단계 173).
그리고, TV는 기기 검색의 결과로서 기기 리스트를 취득하고, 기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기기 검색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도 17의 단계 174).
그리고 TV는, 이렇게 생성한 응답 메시지를 유저측 기기(200)에 송신한다(도 17의 단계 175).
상기 유저측 기기(200)는, 응답 메시지에 의해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면(도 16의 단계 163),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아버지 집의 TV 근방의 기기의 리스트을 표시한다(도 16의 단계 164). 이후에 유저가 해당 영역(101)에서 연동 설정을 위한 기기의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전술한 각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연동 설정 처리가 실행된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기술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측 기기(200)가, 등록된 기기(예를 들어, 설정 대상 기기(300))를 통해서 근방의 기기를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따른 기기 검색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의 환경에서는, 네트워크 토폴로지나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종류에 상관없이 보다 유저에게 알기 쉬운 형태로 기기 검색이 요망된다(예를 들면, 유저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정한 위치 근방에 있는 기기를 검색하고 싶은 경우 등).
상기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서, 클라우드상의 서버(100)에 기기 검색을 위한 기능이 구비된다. 이와 달리, 해당 서버(100)와는 별개로 기기 검색을 위한 다른 서버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이 경우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정 대상 기기(300)의 처리 흐름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서버(100)의 처리 흐름도이며,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측 기기(200)의 처리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100)는, 기기(설정 대상 기기(300))의 위치 정보 및 기기 정보/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110)를 구비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 대상 기기(300)는, 자신의 기기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서버(100)에 송신한다(도 19의 단계 191). 여기서 기기 정보는 예를 들면 기기ID이며, 서비스 정보는 서비스 명(예를 들면, "VideoStreaming" 등)이다.
설정 대상 기기(3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그것을 서버(100)에 송신한다(도 19의 단계 192).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설정 대상 기기(300)의 GPS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취득된 위치 정보, 무선LAN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 또는 전계 강도 정보(예를 들면 PlaceEngine 등) 등이 포함된다.
그 후, 설정 대상 기기(3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일정 간격마다 취득한다(도 19의 단계 193). 해당 위치 정보에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설정 대상 기기(300)는 변화 후의 위치 정보를 서버(100)에 통지해서 갱신한다(도 19의 단계 194, 195).
서버(100)는, 다른 기기로부터의 요구를 기다리고(도 20의 단계 201), 서버(100)가 요구를 수신하면, 해당 요구가 설정 대상 기기(300)로부터의 기기 정보/서비스 정보의 통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20의 단계 202).
요구가 기기 정보/서비스 정보의 통지인 경우(단계 202의 '예'), 서버(100)는 기기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도 20의 단계 203).
또 서버(100)는, 요구가 기기 정보/서비스 정보의 통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202의 '아니오'), 해당 요구가 설정 대상 기기(300)로부터의 위치 정보의 통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20의 단계 204).
요구가 위치 정보의 통지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204의 '예'), 서버(100)는 위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한다(도 20의 단계 205).
유저측 기기(200)는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지도를 표시하고(도 21의 단계 211), 유저에게 지도상에서의 임의의 위치 선택을 허가한다(도 21의 단계 212). 지도는 인터넷상에서 사용을 위해 매번 다운로드된 것이다.
유저측 기기(200)는, 선택된 위치에 기초하여, 위치 근방의 기기의 검색을 요구하는 기기 검색 요구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구를 서버(100)에 송신한다(도 21의 단계 213). 여기서, 기기 검색 요구에는 선택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만, 이와 달리 선택된 위치로부터의 거리를 지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기기 검색 요구에는 선택된 위치에 가까운 순서대로 최대 몇 개의 기기를 구체화할지(리스트에 최대 몇 개의 기기를 포함시킬 것인지)를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수신된 요구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유저측 기기(200)로부터 기기 검색 요구라고 판단한 경우(도 20의 단계 206의 '예'), 서버(100)는 기기 검색 요구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110)를 검색한다. 그리고 서버(100)는, 해당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 근방에 존재하는 기기의 기기ID를 포함하는 기기 리스트를 생성해서 그 리스트를 유저측 기기(200)에 송신한다(도 20의 단계 207).
유저측 기기(200)는, 상기 기기 리스트를 수신하면(도 21의 단계 214), 그것을 상기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표시한다(도 21의 단계 215).
상기 기기 리스트를 수신한 후에, 유저측 기기(200)는, 기기ID를 이용하여 유저가 원하는 기기에 연동 설정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연동 설정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저측 기기(200)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제약을 받지 않고 기기 검색에 의해 발견된 기기와의 연동 설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의 구별은 없을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기술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동 설정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는 기기들의 기기ID를 이용가능한, 상술한 연동 설정 메카니즘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연동을 확립해서, 자유롭게 기기간 연계를 행하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기기ID는, 반드시, 기기 검색 조작에 의해 발견되는 것이 아니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어떠한 수단으로 기기ID를 취득할 수 있다. 이러한 획득된 기기 ID가 연계 설정에 이용되면, 유연한 최종 설정 메카니즘을 실현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ID가 기기 사이에서 전자 메일에 의해 주고 받아진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측 기기(200)(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유저는 우선 자신의 집에서 유저측 기기(200)를 이용한 로컬 기기 검색에 의해 주변의 기기(예를 들면 TV(500))의 기기ID를 취득한다(도 22의 (1)).
그리고 유저는 취득한 기기ID(또는 그 리스트)를, 전자 메일에 첨부하는 형태로, 친구의 기기(PC(600))에 송부한다(도 22의 (2)). 여기서, 유저가 자신의 유저측 기기(200)의 기기ID를 친구에게 알릴 경우에는, 당연히 상기 기기 검색은 수행되지 않는다.
상기 메일을 수신한 친구는, 설정 대상 기기(예를 들면 TV(500))의 취득한 기기ID를 기초로, 서버(100)를 통해 연동 설정 요구를 송신한다(도 22의 (3)).
이러한 처리에 의해, 유저의 친구의 PC(600)는 유저의 집의 TV(500)에 액세스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600)로부터 비디오 콘텐츠를 스트리밍하여 유저와 친구가 그것을 동시에 시청하는 일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메일로 기기ID가 교환되었지만, Web 서버, SNS, BLOG, Twitter(상표) 등의 다른 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기ID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자신의 집에 있는 기기ID의 리스트를 SNS상에 업로드하여 이것을 친구에게 공개함으로써 친구에게 자신의 집에 있는 기기에의 액세스권을 제공한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기술의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기기의 연동 확립에 대한 지정 타입(예를 들면 임의의 4가지 타입)으로 유저측 기기(200)에 의해 연동 설정 요구가 송신되었을 경우, 설정 대상 기기(300)는 해당 타입에 대해서 그 타입을 허가할지 여부밖에 선택할 수 없다.
그러나, 설정 대상 기기(300)가 특정 유저 타입 "Owner"를 가진 유저측 기기(200)로부터 연동 설정 요구를 수신했을 경우, 이 요구의 허가를 위한 통지를 본 설정 대상 기기(300)의 유저는 특정 유저 타입 "Owner"를 허가할 수 없지만, 액세스를 위해 "Guest"의 유저타입으로 허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유저측 기기(200)의 유저가 "Owner", "Family", "Friend", "Guest"의 서로 다른 타입의 요구를, 순차적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설정 대상 기기(300)의 유저는, "Owner", "Family", "Friend"를 각각 지정한 요구를 거부한 후, "Guest"를 지정한 요구를 허가하여 응답할 수 있는데, 이래서는 쌍방의 유저에 있어서 사용하기 불편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쌍방의 유저의 조작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설정 대상 기기(300)의 유저가 연동 설정 응답에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의 리스트를 부가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측 기기(200)의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정 대상 기기(300)의 처리 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유저측 기기(200)는, 설정 대상 기기(300)에 유저 타입을 지정한 연동 설정 요구를 서버(100)를 통해서 송신한다(도 23의 단계 231).
한편, 설정 대상 기기(300)는 설정 대상 기기(300)의 유저가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에 관한 정보를 미리 기억한다. 그 후에, 설정 대상 기기(300)는, 연동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도 24의 단계 241), 해당 요구에서 지정된 유저 타입이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에서 발견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24의 단계 242).
상기 요구에서 지정된 유저 타입이, 상기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에서 발견된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242의 '예'), 설정 대상 기기(300)는, 요구가 생성된 유저측 기기(200)의 유저 정보를 기초로, 유저측 기기(200)의 유저ID를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보존한다(단계 246). 그리고 설정 대상 기기(300)는 연동 설정 요구를 허가하는 응답을 서버(100)를 통해서 유저측 기기(200)에 송신한다(도 24의 단계 247).
요구에서 지정된 유저 타입이,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에서 발견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242의 '아니오'), 설정 대상 기기(300)는 해당 요구에 대한 허가를 유저에게 요구하기 위해서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에 도 9b에서 나타낸 것 같은 메시지를 표시한다(도 24의 단계 243). 해당 메시지와 함께, 설정 대상 기기(300)는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에 버튼을 표시한다(도 24의 단계 244). 버튼은 예를 들어, "허가", "다른 유저 타입이라면 허가", "거부"라는 선택지에 대응한다.
유저에 의해 "허가" 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단계 245의 '예'), 설정 대상 기기(300)는, 유저측 기기(200)의 유저ID를 저장하고 연동 설정 요구를 허가하는 응답을 송신한다(도 24의 단계 246, 247).
유저에 의해 "거부" 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단계 248의 '아니오'), 설정 대상 기기(300)는, 요구 거부의 응답을 송신한다(도 24의 단계 247).
유저에 의해 "다른 유저 타입이라면 허가" 버튼이 선택되었을 경우(단계 248의 '예'), 설정 대상 기기(300)는, 연동 설정 요구 표시/확인부(36)에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을 선택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설정 대상 기기(300)는, 화면에서 선택된 유저 타입에 기초하여, 허가 가능한 요구 정보를 생성하고, 그것을 유효기간을 가지고 유저 정보 관리부(38)에 저장한다(도 24의 단계 249). 허가 가능한 요구 정보는 요구가 생성된 기기의 유저ID 및 기기ID 및 허가가능한 유저 타입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설정 대상 기기(300)는 생성된 허가 가능 요구 정보와 함께 연동 설정 응답을 송신한다(도 24의 단계 247).
한편, 유저측 기기(200)는 연동 설정 응답을 수신하면(도 23의 단계 232), 응답이 연동 설정 요구를 허가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23의 단계 234).
응답이 허가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234의 '예'), 유저측 기기(200)는 설정 대상 기기(300)의 화상을 등록 기기로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다르게 표시한다(도 23의 단계 235).
상기 응답이 거부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234의 '아니오'), 유저측 기기(200)는 해당 응답이 허가 가능한 유저 타입의 리스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도 23의 단계 236).
해당 응답에, 허가 가능한 유저 타입의 리스트를 포함한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236의 '예'), 유저측 기기(200)는 리스트를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표시한다(도 23의 단계 237).
그리고 유저측 기기(200)는, 표시된 리스트상에 있어서, 유저의 유저 타입 선택을 허가하고(도 23의 단계 238), 지정된 유저 타입을 갖는 연동 설정 요구를 다시 송신한다(도 23의 단계 231).
해당 응답에, 허가 가능한 유저 타입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단계 236의 '아니오'), 유저측 기기(200)는 요구가 거부된 응답을 기기 리스트 표시/선택부(27)에 표시한다(도 23의 단계 239).
이상의 처리에 의해, 유저측 기기(200)와 설정 대상 기기(300) 간의 유저 타입을 협상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결론]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기술에 따르면 보안 레벨을 확보하면서 최소한의 유저ID/패스워드의 입력으로 서버와 기기와의 연계 및 기기 간의 연동 확립을 위한 유저와 기기 간의 연동 설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보급되고, 개인을 식별하는 정보와 강력한 통신 기능을 갖춘 기기를 누구라도 상시 휴대한다. 이러한 환경에 있어서 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각각의 유저는 자신의 단말기를 갖고 다니면서 언제든지 다른 기기와의 연동 설정 요구를 송신함으로써, 마치 자신을 지지하는 친구를 늘려 가는 것 같이 필요한 기기의 연동 설정을 행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또한, 연동 설정이 어려웠기 때문에 기기 간의 연계 기능을 이용하기 주저했던 유저의 경우, 본 기술 덕택에 해당 연계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정 내에서의 기기 간의 연동 설정뿐만 아니라, 친척이나 친구의 집에 있는 기기, 혹은 길거리에 있는 기기의 연동 설정까지, 모든 기기가 통일적으로 다루어진다. 이는 따라서, 클라우드/기기 연계 및 기기 간 연계를 위한 인프라 환경이 구현된다.
클라우드 환경은 브라우저를 통한 액세스를 기초로한 종전 서비스의 대안으로써, 최근 서비스는 세상에 있는 어떤 기기로부터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기기를 조합해서 동작시킴으로써 유저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고도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단계로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하에서는, 본 기술은 대단히 높은 가치를 가진다.
[변형예]
본 기술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서버(100)를 통해서 각 기기가 통신을 행하고, 유저/기기의 연동 정보를 서버(100)에 저장한다. 이와 달리, 예를 들면 서버(100)와의 접속을 할 수 없을 경우에, 일시적인 설정으로써 서버(100)를 통하지 않고 기기 간에 직접 메시지의 교환을 행함으로써 연동 설정이 행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 베이스 보안 메카니즘은 연동 설정 메카니즘의 베이스를 위한 전제조건이다. 그러나, 특히 보안상 문제가 없는 경우나, 다른 수단에 의해 보안이 확보되는 경우에는, 기기 베이스의 보안 메카니즘은 이용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기기ID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나, 예를 들어 기기명의 정보는 서버(100)상에 저장된다. 그러나, 이들은 다른 서버상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또 유저측 기기(200)나 설정 대상 기기(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대상 기기(300)가 연동 설정 요구를 수신하면, 유저에게 허가를 요청하기 위해 요구를 표시한다. 그러나, TV와 같이 표시 기능만을 갖고 누구나 이용가능한 기기에서는, 유저에게 허가를 요청하는 절차없이 항상 요구를 허가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 1 내지 7의 구성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어떠한 형태로 조합되어도 상관없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는, 유저측 기기(200)의 예로서 스마트폰, 설정 대상 기기(300)의 예로서 디지털 포토프레임이 제시되었다. 물론, 각 기기의 종류는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 태블렛 PC, PDA, 휴대형 AV 플레이어, 전자 책, 디지털 포토프레임, TV, PVR, 노트북형 PC, 데스크탑형 PC, HDD 장치,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게임 기기, 프로젝터, 건강관리 기기, 가정용 전기제품 등 모든 정보 처리 장치가 본 기술의 대상이다.
[기타]
본 기술은 이하의 구조일 수도 있다.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부 및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해서 해당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청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기기에 의해 송신된 응답 정보를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1)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표시부, 및
유저의 조작을 허가하는 조작 허가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검색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표시된 정보로부터 설정 요구 정보의 송신 대상이 되는 기기를 선택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고,
응답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선택된 기기에 대한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2)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부는,
기기와의 연동 타입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타입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및
표시된 복수의 타입 정보들로부터 하나의 타입 정보를 선택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선택된 타입 정보와 함께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3)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부는,
검색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1 영역과, 연동 타입마다 구비된 제2 영역을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및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제2 영역에 드래그 앤 드롭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연동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정보와 함께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어부는,
연동 설정이 이루어진 기기가 제1 및 제2 네트워크 이외의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기기에게,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를 검색해서 발견된 경우 상기 다른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회신하라고 요구하는 검색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검색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기기로부터 송신된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다른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서버 장치는,
제1 및 제2 네트워크 이외의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다른 기기의 위치 정보 및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 및 기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며, 및
제어부는,
위치 정보에서 표시되는 위치 근방의 기기를 검색하는 검색 요구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검색 요구 정보에 응답해서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위치 근방의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 처리 장치와 위치 근방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위치 근방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본 발명 내용은 일본 특허청에 2011년 6월 13일자로 제출된 일본 우선권 특허출원 2011-131293호의 개시와 관련된 요지를 포함하고, 본 명세서에 모든 내용이 참조로써 원용된다.
첨부된 청구항 또는 그 균등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변형, 조합, 부조합 및 변경이 설계 요구 및 다른 요소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Claims (9)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 및 제2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검색해서 상기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 및
    상기 유저의 조작을 허가하는 조작 허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의해 발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표시된 정보로부터 상기 설정 요구 정보의 송신 대상이 되는 기기를 선택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상기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고, 및
    상기 응답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기기에 대한 정보의 표시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와의 연동 타입을 각각 나타내는 복수의 타입 정보들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표시된 복수의 타입 정보들로부터 하나의 타입 정보를 선택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상기 선택된 타입 정보와 함께 상기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에 의해 발견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제1 영역 및 상기 연동 타입 각각에 구비된 제2 영역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영역에 드래그 앤 드롭하는 조작이 허가된 경우에, 상기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연동 타입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와 함께 상기 설정 요구 정보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 설정이 이루어진 기기가,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이외의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기에게, 상기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를 검색해서 발견된 경우 상기 다른 기기의 식별 정보를 회신하라고 요구하는 검색 요구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검색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기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상기 다른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수신된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이외의 제3 네트워크에 접속된 다른 기기로부터, 상기 다른 기기의 위치 정보 및 상기 다른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기기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위치 근방의 기기의 검색을 요구하는 검색 요구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검색 요구 정보에 응답해서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위치 근방의 기기의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위치 근방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상기 위치 근방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수신된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7. 서버 장치로서,
    제1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부,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정보 처리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기기들에 대한 검색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발견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 상기 제2 기기 식별 정보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획득됨 -,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응답 정보를 상기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8.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으며 검색을 통해 발견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9. 프로그램으로서,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 장치와의 사이에서 안전한 통신로를 확립하고, 정보 처리 장치의 유저를 식별하는 유저 식별 정보와 정보 처리 장치를 식별하는 제1 기기 식별 정보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검색을 통해 발견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식별하는 제2 기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의 연동 설정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에 요구하는 설정 요구 정보를, 상기 수신된 제2 기기 식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설정 요구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로부터 송신된 응답 정보를 상기 서버 장치로부터 수신하게 하는, 프로그램. 
KR1020120060348A 2011-06-13 2012-06-05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201406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1293A JP2013003661A (ja) 2011-06-13 2011-06-13 情報処理装置、サー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1-131293 2011-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687A true KR20120140687A (ko) 2012-12-31

Family

ID=4635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348A KR20120140687A (ko) 2011-06-13 2012-06-05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317229A1 (ko)
EP (1) EP2535836A3 (ko)
JP (1) JP2013003661A (ko)
KR (1) KR20120140687A (ko)
CN (1) CN1028332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016B2 (en) * 2012-08-15 2015-12-0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anagement of private information
CN104823410B (zh) * 2012-12-05 2019-01-08 三菱电机株式会社 参数设定系统、程序管理装置以及信息处理装置
KR102069876B1 (ko) * 2012-12-21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CN104244174B (zh) * 2013-06-13 2018-10-2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终端的地理位置信息的获取方法和服务器
JP5680153B2 (ja) * 2013-08-06 2015-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ペアリング装置、複数の機器をペアリ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103490976A (zh) * 2013-08-24 2014-01-01 金硕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信息提示方法和装置
KR102202660B1 (ko) * 2013-09-23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468190B1 (ko) * 2013-10-15 2014-12-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Usim을 활용한 스마트워크 사용자 및 디바이스 인증 기법
FR3024809B1 (fr) * 2014-08-08 2017-12-01 Myfox Dispositif domotique a liaison de communication alternative avec un serveur informatique distant
JPWO2016120921A1 (ja) 2015-01-26 2017-11-09 日本電気株式会社 認証サーバ、認証サーバの認証方法、及び、認証サーバの認証処理プログラム
JP6380138B2 (ja) * 2015-01-30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CN105100190B (zh) 2015-05-21 2019-05-1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对账户与设备的控制关系进行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05049480A (zh) * 2015-05-29 2015-11-1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Ipp云平台系统
JP5991793B1 (ja) * 2016-02-29 2016-09-14 株式会社unerry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5681334B (zh) * 2016-03-02 2019-03-29 湖南岳麓山数据科学与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信息交互系统及方法
CN105722089B (zh) * 2016-03-24 2019-05-03 浙江风向标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认证方法
US20210258175A1 (en) * 2018-05-07 2021-08-19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nsing device, and server
JP2020067824A (ja) * 2018-10-24 2020-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電気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998A (en) * 1935-04-30 1935-08-20 Ephraim C S Clark Winch
AU6188299A (en) * 1998-10-12 2000-05-01 Janus Friis Degnbol A method and a system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units
US6347095B1 (en) * 1999-11-15 2002-02-12 Pango Networks, Inc.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use in proximity-based networking
US6748324B2 (en) * 2002-01-07 2004-06-08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US7567360B2 (en) * 2003-03-27 2009-07-2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060020904A1 (en) * 2004-07-09 2006-01-26 Antti Aaltonen Stripe user interface
KR100643282B1 (ko) * 2004-11-02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UPnP 네트워크 상에서 특정 기기를 식별하는 방법,식별된 특정 기기를 통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방법, 및장치
US20060123080A1 (en) * 2004-12-03 2006-06-08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of collectively setting preferences among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nd users
US7949358B2 (en) * 2004-12-23 2011-05-24 Xocyst Transfer Ag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discovery
JP4651419B2 (ja) * 2005-03-11 2011-03-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7778261B2 (en) * 2005-11-15 2010-08-17 ArcSoft (Shanghai) Technology Using PSTN to communicate IP address for point-to-point text, voice, video, or data communication
JP2007304849A (ja) 2006-05-11 2007-11-22 Sony Corp 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571580B2 (en) * 2006-06-01 2013-10-29 Loopt Llc. Displaying the location of individuals on an interactive map display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70286134A1 (en) * 2006-06-07 2007-12-13 Tony Kirke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messages to one or mor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US7483969B2 (en) * 2006-10-09 2009-01-27 Microsoft Corporation Managing presence based on relationship
GB2449510A (en) * 2007-05-24 2008-11-26 Asim Bucuk A method and system for the creation, management and authentication of links between people, entities, objects and devices
CN101101697A (zh) * 2007-08-03 2008-0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电子抄表系统及方法
CN101378270A (zh) * 2007-08-30 2009-03-04 艾威梯软件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管理短距离无线设备数据的方法、设备和系统
US8302166B2 (en) * 2008-02-18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Associating network devices with users
US8005057B2 (en) * 2008-04-22 2011-08-23 Sunway Technology Development Limited Data communications between short-range enabled wireless devices over networks and proximity marketing to such devices
US8302015B2 (en) * 2008-09-04 2012-10-30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display and management of data objects based on social,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US8116749B2 (en) * 2008-09-08 2012-02-14 Proctor Jr James Arthur Protocol for anonymous wireless communication
US9014736B2 (en) * 2008-11-24 2015-04-21 Plantronics, Inc. Portable network device for the discovery of nearby devices and services
US20100169817A1 (en) * 2008-12-31 2010-07-01 Roy Wan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enhanced wireless discovery
JP2011131293A (ja) 2009-12-22 2011-07-07 Howa Mach Ltd フィンガチャック
US8812657B2 (en) *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CN101969446B (zh) * 2010-11-02 2013-08-21 北京交通大学 一种移动商务身份认证方法
US20120246191A1 (en) * 2011-03-24 2012-09-27 True Xiong World-Wide Video Context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5836A2 (en) 2012-12-19
JP2013003661A (ja) 2013-01-07
CN102833224A (zh) 2012-12-19
US20120317229A1 (en) 2012-12-13
CN102833224B (zh) 2017-07-07
EP2535836A3 (en) 201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40687A (ko) 정보 처리 장치, 서버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JP6140293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の処理方法、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無線ネットワーク装置のプロセッサ
EP314816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300469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family cloud in cloud computing system
KR20160076371A (ko) 워크플로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JPWO2013145517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824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39234B2 (ja) Vpn接続構築システム
JP595996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デバイス選択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87123A (ja) ネットワーク接続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JPWO2008093868A1 (ja) 周辺装置などの被制御装置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用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30116427A (ko)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334940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26337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15001997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150006699A1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US20180160463A1 (en) Wireless control of devices
US9634898B2 (en)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JP6093576B2 (ja) 無線lan接続自動化方法及び無線lan接続自動化システム
JP2013211648A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1731289B1 (ko) Cpns 환경에서 개인 네트워크 정보 공개 방법 및 장치
JP2020017997A (ja) 表示装置
JP2006209406A (ja) 通信機器
JP7224699B1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JP2014006798A (ja) 権限委譲システム、被制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