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6427A -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6427A
KR20130116427A KR1020120027139A KR20120027139A KR20130116427A KR 20130116427 A KR20130116427 A KR 20130116427A KR 1020120027139 A KR1020120027139 A KR 1020120027139A KR 20120027139 A KR20120027139 A KR 20120027139A KR 20130116427 A KR20130116427 A KR 20130116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haring range
sharing
range
acc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426B1 (ko
Inventor
박용석
김선미
성단근
윤찬현
김진원
차지영
김태훈
강동기
김희재
박용성
한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426B1/ko
Priority to EP13761081.2A priority patent/EP2826014A4/en
Priority to PCT/KR2013/001753 priority patent/WO2013137581A1/en
Priority to US13/838,141 priority patent/US20130247223A1/en
Publication of KR2013011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2Entity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12/082Access security using revocation of author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eth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텐츠 관리 방법은,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상기 제1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공유 수락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SURING PRIVACY IN CONTENTS SHARING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공유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과거 독립적인 고유의 기능만을 제공하는 가전 제품들이 통신 망을 구성하고, 통신 망을 통해 보다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홈(smart home)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상기 스마트 홈 시대에는, 댁 내에 구성된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의 활발한 활용이 예상된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 공동의 미디어 기기, 즉, 스마트 TV(smart TeleVison),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 각각이 소유한 모든 미디어 기기, 예를 들어, 컴퓨터, 노트북, 타블렛 PC(tablet 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 등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컨텐츠(contents)가 모든 가족 구성원에 의해 편리하게 공유될 수 있다.
컨텐츠를 제공받는 기기 또한 댁내 모든 기기가 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컨텐츠를 감상하려는 기기에 컨텐츠가 저장되지 아니하더라도, 댁내 다른 기기에 해당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다운받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컨텐츠가 특정되지 아니하더라도, 댁내 존재하는 모든 컨텐츠의 목록에 접근 가능하다면, 사용자는 상기 목록 상의 컨텐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감상할 수도 있다.
상술한 스마트 홈 시대의 편리한 컨텐츠 공유는 미래 홈 문화로의 하나의 중요한 흐름이지만, 여러 명의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의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함으로써 각자의 프라이버시(privacy) 침해의 문제 또한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원활한 컨텐츠의 공유를 보장함과 동시에, 컨텐츠 공유의 적절한 제한을 가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프라이버시를 고려하여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의 업로드(upload) 및 다운로드(Download) 상황을 고려하여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네트워크에서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상기 제1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공유 수락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업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은,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는,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상기 제1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공유 수락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는,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업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견지에 따르면,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는,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그인한 사용자의 계정 뿐만 아니라,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주에 해당하는 계정 및 다운로드나 업로드 시 사용되는 폴더의 공유 범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여러명의 가족 구성원이 컨텐츠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를 종합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다운로드되는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수락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업로드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목록 갱신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중앙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privacy)를 보장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구성원들 각자의 컨텐츠를 공유하는 환경에서 계정 로그인 뿐만 아니라 추가적 정책을 통한 보다 높은 프라이버시 보호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은 네트워크(network)(110), 중앙 관리 장치(120),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130-1 내지 130-4)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110)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 상기 다수의 사용자 기기들(130-1 내지 130-4)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네트워크(11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10)는 무선 랜(WLA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110)는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거나, 또는, WiFi-D(Wireless Fidelity-Direct)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AP 없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110)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110)는 다수의 네트워크들의 집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트워크(110)는 댁 내 네트워크 및 외부 망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망은 IP(Internet Protocol)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댁 외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라도 상기 IP 망을 통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에 로그인 가능하다면, 상기 댁 외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 및 댁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 기기 간의 컨텐츠 공유도 가능하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상기 네트워크(110)에 접속되는 모든 기기들 및 각 기기의 소유자 계정 정보를 보유 및 관리한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각 기기가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목록들을 일정한 주기로 갱신하거나 또는 필요 시 요청하여 각 기기들의 최신의 컨텐츠 목록들을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목록의 갱신은 컨텐츠의 추가/삭제, 컨텐츠의 공유 범위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컨텐츠 목록 내의 각 컨텐츠의 소유자는 목록을 갱신한 각 기기의 소유자와 동일함을 가정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를 지원하기 위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가족 구성원의 계정, 댁내 모든 기기 및 각 기기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의 정보를 보유하며, 컨텐츠 공유를 관리, 제어한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컨텐츠 목록을 저장한다. 상기 컨텐츠 목록은 목록 내의 각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의 소유자가 설정한 공유 설정 정보를 함께 포함하며, 공유 범위는 완전공유(fully shared), 부분공유(partially shared), 비공유(private)로 구분된다. 상기 완전공유는 컨텐츠의 소유자에 의해 해당 컨텐츠를 가족 구성원 모두의 계정에서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의 공유이며, 상기 부분공유는 구성원 중 일부의 계정만(예: 아버지, 누나)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의 공유이며, 상기 비공유는 컨텐츠의 소유자 자신의 계정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이다. 즉, 상기 완전공유는 공유 범위의 제한이 없는 경우이며, 상기 부분공유 및 상기 비공유는 공유 범위의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 부분공유는 공유 범위의 일부 제한이 존재하는 경우이고, 상기 비공유는 공유 범위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경우이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갱신된 네트워크 내의 모든 기기들의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모든 컨텐츠를 관리한다. 컨텐츠 공유를 위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에 로그인한 계정이 네트워크 내의 컨텐츠의 목록을 요청할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해당 계정이 공유할 수 있도록 설정된 컨텐츠들만을 포함하는 목록을 제공한다. 각 기기 내 폴더의 공유 범위 설정도 상술한 각 컨텐츠의 공유 설정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부분공유 또는 비공유로 설정된 폴더는 비밀번호 입력 등의 절차를 거친 후 열람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들(130-1 내지 130-4)은 노트북(130-1), 스마트폰(130-2), 타블렛 PC(tablet Personal Computer)(130-3)와 같은 개인 휴대 장치 및 TV(130-4)와 같은 가전 제품으로서, 상기 네트워크(110)에 접속할 수 있고,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들(130-1 내지 130-4)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를 통해 다른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로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치들(130-1 내지 130-4) 중 일부는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 중 하나의 기능만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도 1은 상기 노트북(130-1), 상기 스마트폰(130-2), 상기 타블렛 PC(130-3), 상기 TV(130-4) 만을 도시하였으나, 더 많은 사용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들은 일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종류의 사용자 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도 1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공유 시스템이 가정 내에 구성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공유 시스템은 '스마트 홈(smart home) 시스템'이라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관리 장치(120)는 'HCG(Home Cloud Gateway)'라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홈 시스템에서 컨텐츠 공유시 프라이버시 관리 기법은, (1)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 한 로그인 계정이 네트워크 내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경우, (2)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 한 로그인 계정이 로그인에 사용한 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 하고자 하는 경우, (3)네트워크 내의 각 기기가 자신에 저장된 컨텐츠의 목록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각 경우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인 예와 함께 설명한다.
컨텐츠 다운로드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특정 계정이 특정 기기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한 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를 포함한 네트워크 내 기기들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중 부분공유 또는 비공유로 설정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자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자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소유자 계정이 공유 범위에 속함은, 상기 계정이 공유 권한, 다시 말해, 해당 컨텐츠를 공유할 자격을 가짐을 의미한다. 만일,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자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경고 출력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자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 여기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함은, 상기 폴더의 공유 범위에 속한 모든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한 모든 계정을 포함함을, 다시 말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상기 폴더의 공유 범위보다 넓거나 동일함을 의미한다.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경고 출력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정 내에 공유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아들이 직접 미리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해 놓았거나 또는 댁내 다른 기기에 저장해 놓은 여자친구의 사진을 보기 위하여, 어머니의 노트북으로 아들의 계정을 이용해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하고, 여자친구 사진을 다운로드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여자친구 사진이 아들에게 사적인 것이라 할 때, 다운받은 사진이 어머니의 노트북에 그대로 남아 있으면 아들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에 대해 로그인 계정이 해당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뿐만 아니라,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주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도 판단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상기 조치의 예로서, 상기 조치는 경고 출력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 속행 또는 중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의 속행/중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속행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중지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는 중단된다.
상기 조치의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로그아웃 시 경고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현재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벗어남을 경고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조치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로그아웃 시 해당 컨텐츠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사용자 기기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때,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 삭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컨텐츠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삭제 명령 없이, 상기 사용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가정 내에 공유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아들이 본인의 스마트 폰으로 중앙 관리 장치 또는 다른 댁내 기기에 저장된 여자친구의 사진을 중앙 관리 장치를 통해 다운로드한 후, 누나가 아들의 스마트 폰을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여자친구의 사진이 저장된 폴더에 누나가 접근할 수 있게 설정되어 있으면, 아들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요청이 들어온 해당 컨텐츠에 대해 로그인 계정이 해당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와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주 계정이 해당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 뿐만 아니라, 다운로드될 컨텐츠가 저장되는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 또한 판단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한다.
상기 조치의 예로서, 상기 조치는 경고 출력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운로드 속행 또는 중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다운로드의 속행/중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속행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중지인 경우, 상기 다운로드는 중단된다.
상기 조치의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로그아웃 시 경고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현재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벗어남을 경고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조치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로그아웃 시 경고 출력 및 사용자 선택에 의한 컨텐츠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현재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벗어남을 경고하는 화면 및 컨텐츠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삭제를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상기 조치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로그아웃 시 해당 컨텐츠 삭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사용자 기기는 다운로드된 컨텐츠를 삭제한다. 이때,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 삭제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컨텐츠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컨텐츠 삭제 명령 없이, 상기 사용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조치의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변경 또는 새로운 다운로드 폴더의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는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른 폴더로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하거나, 상기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폴더의 변경 또는 생성 명령을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변경 또는 생성 명령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변경 또는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변경 또는 생성 명령 없이, 상기 사용자 장치는 미리 정의된 절차에 따라 상기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다운로드에 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의 공유 설정이 부분공유인 경우,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기기의 소유자 계정 확인에 앞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컨텐츠의 소유자 계정에게 공유 수락 여부를 묻고, 수락을 받은 경우에만 이후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공유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어머니가 집안의 가계 현황을 기록한 파일을 아버지, 어머니, 누나 계정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설정하고, 이후 상기 파일의 공유 설정을 아버지, 어머니 계정에서만 공유할 수 있도록 변경하였으나, 아직 중앙 관리 장치에 반영되지 아니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누나가 상기 파일을 다운로드 함으로써 어머니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가 부분공유로 설정된 경우, 추가적인 프라이버시 보호 정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부분공유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로그인 계정이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더라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다시 한번 컨텐츠의 소유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소유자의 대표 기기에 공유를 수락할지 여부를 문의하고,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수락을 받은 후 공유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컨텐츠 업로드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특정 계정이 특정 기기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한 후, 상기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업로드하고자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 내의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업로드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업로드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업로드 폴더를 적절한 공유범위를 가지는 다른 폴더로 변경하거나, 적절한 공유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업로드 폴더를 생성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 후, 상기 업로드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공유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아들이 자신의 댁내 기기의 저장 공간의 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아들이 중앙 관리 장치로 여자친구와 찍은 모든 사진,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백업(backup)하고자 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저장되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 내의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에 아들이 원치 않는 다른 가족 구성원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동 백업(auto backup) 등의 방식에 의해 많은 양의 서로 다른 공유 범위를 가진 컨텐츠들이 동시에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백업되는 경우, 컨텐츠의 공유 범위와 다른 업로드 폴더에 저장되면, 공유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가족 구성원이 중앙 관리 장치를 통해 해당 컨텐츠에 접근함으로써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각 컨텐츠가 업로드 후 저장될 상기 중앙 관리 장치 내의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상기 조치의 예로서, 상기 조치는 경고 출력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업로드 속행 또는 중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을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상기 경고를 수신한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업로드의 속행/중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 결과를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속행인 경우, 상기 업로드가 진행된다. 반면, 상기 사용자의 선택이 중지인 경우, 상기 업로드는 중단된다.
상기 조치의 다른 예로서, 상기 조치는 업로드 폴더 변경 또는 생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른 폴더로 업로드 폴더를 변경하거나, 상기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업로드 폴더를 생성한다.
컨텐츠 목록 갱신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특정 기기가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상기 기기의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고자 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목록 내의 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이미 저장한 다른 기기들 또는 다른 계정들의 컨텐츠 목록에 동일한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동일한 컨텐츠가 다른 기기들 또는 계정들의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공유 범위들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공유 범위들이 다른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갱신하고자 하는 목록을 비롯한 모든 목록들에서 상기 컨텐츠에 대해 공유하도록 설정하고 있는 계정들에게만 공유할 수 있도록 기존 목록의 공유 범위를 재설정하고, 갱신하고자 하는 목록에도 동일한 공유 범위를 가지도록 갱신한다. 상기 공유 범위들이 다름으로 인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다른 컨텐츠 목록이 재설정되거나,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이 요청된 내용과 다르게 갱신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재설정된 공유 범위 및 요청된 내용과 다르게 갱신된 공유 범위를 해당 기기로 통지한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공유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환경에서, 어머니 및 아버지가 가계 현황을 기록한 파일을 각각 자신들의 기기에 저장하고, 아버지는 상기 파일의 공유 범위를 아버지, 어머니, 누나 계정으로 설정한 후, 아버지의 기기를 통해 컨텐츠 목록을 중앙 관리 장치에 갱신한 상태에서, 어머니가 공유 범위를 아버지, 어머니만 공유 가능하도록 설정한 후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이때, 중앙 관리 장치에서 같은 컨텐츠에 대한 서로 다른 공유 범위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누나는 아버지의 기기에 저장된 상기 파일을 다운받아을 수 있고, 이 경우, 어머니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관리 장치는 갱신되는 컨텐츠 목록 내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다른 기기의 컨텐츠 목록과 비교하고, 상기 다른 기기에 동일한 컨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면, 공유 범위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상기 조치의 예로서, 경고 출력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갱신 중지, 충돌하는 공유 범위들을 비교하여 모든 공유 범위들에 속하는 계정만 공유 가능하도록 모든 목록에서 해당 컨텐츠의 공유 범위 변경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중앙 관리 장치 및 사용자 기기의 동작 및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01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한 후,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컨텐츠 목록을 송신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는 동일할 수도 또는 다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목록은 상기 사용자를 공유 범위로 포함하는 컨텐츠들, 즉,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접근할 권한을 가지는 컨텐츠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들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은 상기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기를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완전공유(fully shared)인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구성원 모두의 계정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지, 즉, 공유 범위의 제한이 없는 컨텐츠인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완전공유이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이하 213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완전공유가 아니면, 다시 말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제한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 및 상기 로그인된 계정의 소유자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을 검사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경고 절차는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경고의 내용은 경고가 발생한 원인, 다운로드 진행 여부에 대한 문의, 컨텐츠 삭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해당 컨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 아웃 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컨텐츠를 삭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를 송신하고, 사용자의 선택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보다 넓으면, 의도하지 아니한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될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를 검사한다.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09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경고 절차는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경고의 내용은 경고가 발생한 원인, 다운로드 진행 여부에 대한 문의, 컨텐츠 삭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해당 컨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를 송신하고, 사용자의 선택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른 폴더로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할 것을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2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절차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함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은 물론, 다른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송신하게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를 중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직접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패킷화(packetization)한 후,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다운로드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를 참고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컨텐츠 목록을 제공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를 통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한 후,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사용자에게 컨텐츠 목록을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목록은 상기 사용자를 공유 범위로 포함하는 컨텐츠들, 즉,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접근할 권한을 가지는 컨텐츠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들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은 상기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기를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부분공유(partially shared)인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가 일부 지정된 구성원의 계정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일부 제한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부분공유이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에게 공유 수락 여부를 문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공유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기기 또는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계정이 로그인된 기기로 송신한다. 상기 메시지는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정보 및 다운로드를 요청한 사용자 계정에 대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부분공유에 의해 접근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의 변경 사항이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반영되지 아니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부분공유인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에게 공유 수락 여부를 문의한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로그인한 계정의 사용자 및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가 동일하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부분 공유라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이하 313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공유가 수락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공유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의 내용이 수락인지 또는 거부인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공유가 거부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재설정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접근 권한을 가지는 공유 범위에서 상기 다운로드를 요청한 사용자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공유가 거부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에게 공유 범위 변경을 위한 메시지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바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유 범위 변경을 위한 메시지는 상기 공유 거부를 위한 메시지의 일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에게 컨텐츠 목록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반면, 상기 공유가 수락되거나, 또는, 상기 30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부분공유가 아니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완전공유(fully shared)인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구성원 모두의 계정에서 접근할 수 있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완전공유이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이하 321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완전공유가 아니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 및 상기 로그인된 계정의 소유자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로그인에 사용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을 검사한다.
만일,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경고 절차는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경고의 내용은 경고가 발생한 원인, 다운로드 진행 여부에 대한 문의, 컨텐츠 삭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해당 컨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를 송신하고, 사용자의 선택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보다 넓으면, 의도하지 아니한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될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를 검사한다.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경고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경고 절차는 미리 정의된 방식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 기기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경고의 내용은 경고가 발생한 원인, 다운로드 진행 여부에 대한 문의, 컨텐츠 삭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해당 컨텐츠의 삭제를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를 송신하고, 사용자의 선택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재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없이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른 폴더로 다운로드 폴더를 변경할 것을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고 절차는 적절한 공유 범위를 가지는 새로운 다운로드 폴더를 생성할 것을 명령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절차를 수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함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송신하는 것은 물론, 다른 기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사용자 기기로 송신하게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를 중계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직접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패킷화한 후,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들을 송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는 401단계에서 중앙 관리 장치로부터 컨텐츠 목록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 목록을 표시한다. 즉, 미도시되었으나, 기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컨텐츠 목록을 요청, 다시 말해,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 목록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목록은 상기 사용자를 공유 범위로 포함하는 컨텐츠들, 즉, 상기 사용자의 계정이 접근할 권한을 가지는 컨텐츠들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든 기기들에 저장된 컨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용자 기기는 4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다운로드할 컨텐츠를 선택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사용자 기기는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선택을 확인한다.
상기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는 405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요청을 송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다운로드 요청은 상기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기를 원하는, 즉, 상기 403단계에서 선택된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기기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다운로드 절차 또는 경고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경고 절차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가 저장될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가 공유를 거부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다운로드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 또는 다른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다운로드 폴더에 상기 컨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경고 절차 수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는 경고 메시지 수신, 경고 표시, 다운로드 진행 여부에 대한 문의 표시,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삭제 명령 수신, 컨텐츠 삭제에 대한 문의 표시, 다운로드 폴더 변경 명령 수신, 다운로드 폴더 생성 명령 수신, 로그아웃 시 컨텐츠 삭제, 다운로드 폴더 변경, 다운로드 폴더 생성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다운로드되는 컨텐츠의 공유 여부를 수락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는 501단계에서 컨텐츠의 공유 수락 여부에 대한 문의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공유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사용자 기기 및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계정이 로그인된 사용자 기기 중 하나이다.
이후, 상기 사용자 기기는 5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확인하고, 선택 결과를 알린다. 즉, 상기 사용자 기기는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확인하고, 상기 명령에 대응되는 선택을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사용자의 선택, 즉, 수락 또는 거부를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업로드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601단계에서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업로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업로드 요청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6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컨텐츠들의 공유 범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설정되어 있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6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로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에 따라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공유 범위를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 업로드 요청에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포함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요청하는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이하 6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607단계로 진행하여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보다 넓으면, 의도하지 아니한 공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가 저장될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를 검사한다.
만일,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즉,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보다 넓으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업로드 폴더를 재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업로드 폴더를 변경하거나 또는 새로이 생성함으로써, 상기 업로드 폴더 재설정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업로드 여부를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이하 611단계로 진행한다. 단, 상기 업로드 여부를 문의하는 경고를 송신하고, 업로드를 거부하는 응답을 수신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본 절차를 종료한다.
반면,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6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업로드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업로드 폴더에 저장한다.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컨텐츠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업로드하는 사용자 기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는 701단계에서 중앙 관리 장치로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송신한다. 즉,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계정으로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로그인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업로드 명령 및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확인한 후, 상기 컨텐츠의 업로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업로드 요청은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기기는 7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공유 범위 입력 요청이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업로드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상기 공유 범위 입력 요청은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에 수신될 수 있다. 단, 상기 컨텐츠 업로드 요청에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포함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설정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공유 범위 입력 요청은 수신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공유 범위 입력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기기는 705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공유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공유 범위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송신한다. 즉,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유 범위의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확인한다.
이후, 상기 사용자 기기는 7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업로드 절차를 수행한다. 즉,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로 상기 컨텐츠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컨텐츠를 패킷화하고, 상기 컨텐츠를 포함하는 패킷들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기에 앞서,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함으로 인해 업로드 여부를 문의하는 경고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업로드 여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을 알리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때, 사용자가 업로드를 거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는 상기 컨텐츠를 송신하지 아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 목록 갱신 시의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01단계에서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을 수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사용자 기기로부터 컨텐츠 목록의 갱신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은 컨텐츠 추가, 컨텐츠 삭제, 컨텐츠의 공유 범위 변경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요청을 포함한다.
이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내의 각 컨텐츠가 상기 중앙 관리 장치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과 공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른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만일, 상기 공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른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이하 807단계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공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다른 컨텐츠 목록이 존재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05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컨텐츠 목록 및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내의 공통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들이 동일한지 판단한다. 상기 공유 범위들이 동일하면, 이하 807단계가 진행되고, 동일하지 아니하면, 이하 809단계가 진행된다. 이때, 일부는 동일하고, 일부는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공유 범위가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는 이하 807단계가, 공유 범위가 동일하지 아니한 컨텐츠에 대하여는 이하 809단계가 독립적으로 진행된다.
만일, 상기 공유 범위들이 동일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07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한다. 다시 말해, 상기 801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갱신한다.
반면, 상기 공유 범위들이 동일하지 아니하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공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상기 공통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재설정한다. 이때, 상기 공통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는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을 비롯한 상기 공통된 컨텐츠를 포함하는 모든 컨텐츠 목록들 모두에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계정만 공유할 수 있도록 재설정된다. 만일, 상기 모든 컨텐츠 목록들 모두에서 접근 가능한 계정이 존재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모든 컨텐츠 목록에서 상기 컨텐츠는 비공유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재설정된 공유 범위와 동일하게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을 갱신한다. 즉,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상기 809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재설정한 공유 범위를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813단계로 진행하여 재설정된 공유 범위를 해당 기기로 통지한다. 나아가,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이 요청된 내용과 다르게 갱신된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요청된 내용과 다르게 갱신된 공유 범위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 통지한다. 이를 통해, 중앙 관리 장치 및 사용자 기기들 간 공유 범위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중앙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관리 장치는 통신부(910), 저장부(920), 제어부(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9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910)는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910)는 무선 랜 규격에 따라 무선 신호를 생성 및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920)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920)는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사용자들의 컨텐츠, 컨텐츠 목록, 공유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920)는 상기 제어부(9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930)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로그아웃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30)는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업로드, 컨텐츠 목록 갱신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저장부(920)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상기 컨텐츠 목록, 상기 공유 설정 정보를 유지/관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중앙 관리 장치가 상기 도 2, 상기 도 3, 상기 도 6, 상기 도 8과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930)는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상기 사용자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사용자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공유 수락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제한된 경우, 상기 사용자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다운로드를 진행할 것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일부 제한된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통신부(910)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기기 또는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사용자 계정이 로그인된 기기로 공유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반면, 상기 사용자 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또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경고 절차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다운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 메시지 송신,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아웃 시 컨텐츠 삭제 명령 송신, 상기 사용자 계정의 로그 아웃 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컨텐츠 삭제,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폴더로 다운로드 폴더 변경 명령 송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운로드 폴더 생성 명령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업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930)는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업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업로드를 진행할 것을 판단한다. 이때,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통신부(910)를 통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사용자 기기를 통해 사용자 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930)는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한다. 또한,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및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한다. 반면,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및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제어부(930)는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다른 컨텐츠 목록 모두에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계정만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다른 컨텐츠 목록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시스템에서 사용자 기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기기는 입력부(1010), 표시부(1020), 통신부(1030), 저장부(1040), 제어부(1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10)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제어부(105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입력부(1010)는 키보드, 키패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우스, 특수 기능 버튼 등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한다. 상기 표시부(1020)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및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른 숫자, 문자 및 영상 등을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부(1020)는 상기 제어부(1050)로부터 제공되는 화상 데이터를 시각으로 인식 가능하도록 표현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10) 및 상기 표시부(1020)는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1010) 및 상기 표시부(102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03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부(1030)는 무선 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030)는 무선 랜 규격에 따라 무선 신호를 생성 및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040)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컨텐츠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040)는 상기 제어부(105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050)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50)는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로그아웃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0)는 상기 입력부(101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컨텐츠 재생, 컨텐츠 다운로드, 컨텐츠 업로드, 컨텐츠 목록 갱신 등의 절차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050)는 상기 사용자 기기가 상기 도 4, 상기 도 5, 상기 도 7과 같이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6)

  1.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상기 제1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공유 수락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제한된 경우, 상기 제1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다운로드를 진행할 것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계정 및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제1기기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경고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다운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 메시지 송신,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텐츠 삭제,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컨텐츠 삭제 명령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경고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다운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 메시지 송신,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텐츠 삭제,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컨텐츠 삭제 명령 송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폴더로 다운로드 폴더 변경 명령 송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운로드 폴더 생성 명령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일부 제한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기기 또는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계정이 로그인된 기기로 공유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업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업로드를 진행할 것을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경고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업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폴더로 업로드 폴더 변경,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업로드 폴더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은,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및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은,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및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다른 컨텐츠 목록 모두에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계정만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다른 컨텐츠 목록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다운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상기 제1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의 컨텐츠 접근 권한,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공유 수락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제한된 경우, 상기 제1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고,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다운로드를 진행할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기기의 소유자의 계정이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경고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다운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 메시지 송신,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텐츠 삭제,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컨텐츠 삭제 명령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운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경고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다운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경고 메시지 송신,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사용자 선택에 따른 컨텐츠 삭제, 상기 제1계정의 로그아웃 시 컨텐츠 삭제 명령 송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폴더로 다운로드 폴더 변경 명령 송신,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다운로드 폴더 생성 명령 송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일부 제한된 경우, 상기 컨텐츠의 소유자의 기기 또는 상기 컨텐츠 소유자의 계정이 로그인된 기기로 공유의 수락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업로드 요청된 컨텐츠의 공유 범위,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업로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저장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업로드를 진행할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로드 폴더의 공유 범위가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지 아니하면, 경고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경고 절차는, 경고 메시지 송신, 사용자 선택에 따른 업로드 진행 여부 판단,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폴더로 업로드 폴더 변경, 상기 컨텐츠의 공유 범위에 포함되는 공유 범위를 가지는 업로드 폴더 생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기기를 통해 제1계정으로부터의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부와,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 목록에 포함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및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컨텐츠 목록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컨텐츠 목록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 및 다른 컨텐츠 목록에서 설정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가 동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다른 컨텐츠 목록 모두에서 접근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계정만 공유할 수 있도록, 상기 갱신 요청된 컨텐츠 목록 및 상기 다른 컨텐츠 목록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공유 범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0027139A 2012-03-16 2012-03-16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887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39A KR101887426B1 (ko) 2012-03-16 2012-03-16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13761081.2A EP2826014A4 (en) 2012-03-16 2013-03-05 APPARATUS AND METHOD FOR GUARANTEEING CONFIDENTIALITY IN A CONTENT SHARING SYSTEM
PCT/KR2013/001753 WO2013137581A1 (en) 2012-03-16 2013-03-05 Apparatus and method for ensuring privacy in contents sharing system
US13/838,141 US20130247223A1 (en) 2012-03-16 2013-03-15 Apparatus and method for ensuring privacy in contents sha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139A KR101887426B1 (ko) 2012-03-16 2012-03-16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27A true KR20130116427A (ko) 2013-10-24
KR101887426B1 KR101887426B1 (ko) 2018-08-10

Family

ID=49158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139A KR101887426B1 (ko) 2012-03-16 2012-03-16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247223A1 (ko)
EP (1) EP2826014A4 (ko)
KR (1) KR101887426B1 (ko)
WO (1) WO2013137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5210A (zh) * 2020-03-27 2020-07-24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账号清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05099B (zh) * 2012-11-14 2015-10-21 Inst Information Industry 雲端檔案處理方法以及系統以及用以儲存雲端檔案處理方法之電腦可讀取記錄媒體
CN106453368A (zh) * 2016-10-27 2017-02-22 深圳市欧瑞博电子有限公司 智能设备的管控方法和装置
CN107277235B (zh) * 2017-06-06 2020-07-14 宁波小匠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多平台升级方法
CN107124475A (zh) * 2017-06-30 2017-09-01 江西博瑞彤芸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数据的共享方法
CN113272745B (zh) * 2019-01-31 2022-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分享系统、方法及电子设备
CN110703624B (zh) * 2019-11-18 2020-10-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家电控制方法、系统、控制设备及服务器
CN112492035B (zh) * 2020-11-30 2023-10-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文件传输方法、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6771A1 (en) * 2005-07-11 2007-01-18 Simdesk Technologies, Inc. Maintaining security for file copy operations
JP2008186330A (ja) * 2007-01-31 2008-08-14 Nec Corp 利用権限管理装置、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テンツ共有用プログラム
US20090006624A1 (en) * 2007-06-29 2009-01-01 Microsoft Corporation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KR20100103337A (ko) * 2008-01-29 2010-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29627A1 (en) * 1996-11-22 2006-06-15 Mangosoft Corp. Internet-based shared file service with native PC client access and semantics and distributed version control
US7092116B2 (en) * 2000-06-29 2006-08-15 Douglas Calaway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 annotated digital photograph using a composite image
US20030233462A1 (en) * 2002-05-30 2003-12-18 Herman Chi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rights scheme for browser downloads
AU2002950345A0 (en) * 2002-07-24 2002-09-12 Scott Murphy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digital files to a customer
KR20050074441A (ko) * 2002-11-08 2005-07-1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상호 등급평가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단말장치 및 프로그램
CN1729276A (zh) * 2002-12-19 2006-02-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网络下载音乐文件的方法和系统
US7925682B2 (en) * 2003-03-27 2011-04-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virtual folders
KR20030043837A (ko) * 2003-04-24 2003-06-02 이건용 피투피 기반의 가상 네트워크 스토리지 방법
EP1571556A1 (en) * 2003-07-25 2005-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ata distributing apparatus
US20050021556A1 (en) * 2003-07-25 2005-01-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processing apparatus
US7797529B2 (en) * 2003-11-10 2010-09-14 Yahoo! Inc. Upload security scheme
US9865017B2 (en) * 2003-12-23 2018-01-09 Opentv,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ement
JP4495508B2 (ja) * 2004-04-23 2010-07-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計算機システムの構成管理方法および構成管理装置
US20060020550A1 (en) * 2004-07-22 2006-01-26 Fields Russel O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ata distribution and retrieval using encrypted media
US7730129B2 (en) * 2004-10-20 2010-06-01 Inbit, Inc. Collaborative communication platforms
US20060190402A1 (en) * 2005-02-24 2006-08-24 David Patr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content
US7739238B2 (en) * 2005-03-14 2010-06-15 Mark Strickland Method of digital media management in a file sharing system
JP4965877B2 (ja) * 2005-04-07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保管装置、データ保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70043829A1 (en) * 2005-08-17 2007-02-22 Robin Dua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a storage or computing device via the Internet
US20070100830A1 (en) * 2005-10-20 2007-05-03 Ganesha Beedubail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list (ACL) binding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20070123166A1 (en) * 2005-11-29 2007-05-31 Arnold Sheynma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iring bluetooth enabled devices
US20070192184A1 (en) * 2006-02-14 2007-08-16 Yigang Cai Web access control
KR100845309B1 (ko) * 2006-11-22 2008-07-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콘텐츠의 접근 권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79808B1 (ko) * 2006-12-11 2009-01-22 소프트캠프(주) 파일서버로의 접근 통제시스템
US8280978B2 (en) * 2006-12-29 2012-10-02 Prodea Systems, Inc. Demarcation between service provider and user in multi-services gateway device at user premises
US20090328171A1 (en) * 2007-05-25 2009-12-31 Si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remote storage of electronic media
US9471801B2 (en) * 2007-11-29 2016-10-1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upport privileges at multiple levels of authentication using a constraining ACL
US20090216859A1 (en) * 2008-02-22 2009-08-27 Anthony James Dol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 among multiple users
ES2393521T3 (es) * 2008-02-26 2012-12-26 Vodafone Holding Gmbh Método y unidad de gestión para gestión de acceso a datos de una red personal
KR20090117528A (ko) * 2008-05-09 2009-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Sip 네트워크 기반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90286479A1 (en) * 2008-05-16 2009-11-1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sensory pairing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10033269A (ja) 2008-07-28 2010-02-12 Canon Inc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301659B2 (en) * 2008-11-18 2012-10-30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media item privacy settings
US8756250B2 (en) * 2009-05-22 2014-06-17 Conex MPS, Inc. Client management system
US8606232B2 (en) * 2009-06-08 2013-12-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multi-stage virtual SIM provisioning and setup on mobile devices
US8640204B2 (en) * 2009-08-28 2014-01-28 Broadcom Corporation Wireless device for group access and management
US9507793B2 (en) * 2009-09-29 2016-1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resharing management
WO2011092838A1 (ja) * 2010-01-29 2011-08-04 株式会社フォーサイド・ドット・コム 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共有方法
US10430868B2 (en) * 2010-06-18 2019-10-01 Cox Communications, Inc. Content purchases and rights storage and entitlements
JP5640807B2 (ja) * 2011-02-23 2014-12-17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US20120239618A1 (en) * 2011-03-16 2012-09-20 I O Interconnect, Ltd. File sharing mechanism
US20130019376A1 (en) * 2011-06-23 2013-01-24 Gaston Louis J Hand grip for exercising and rehabilitation
US20130103548A1 (en) * 2011-10-20 2013-04-25 Ebay Inc. Sending and receiving digital goods through a service provider
US9367855B2 (en) * 2011-12-02 2016-06-14 Yellowpages.Com Llc Telephony based reward system
US8763154B2 (en) * 2012-01-23 2014-06-2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Federated authentication
US9495551B1 (en) * 2012-09-25 2016-11-15 Amazon Technologies, Inc. Sharing digital libraries
US20140115467A1 (en) * 2012-10-16 2014-04-24 Apple Inc. Creating multiple recommended stations based on purchase history
TWI475819B (zh) * 2013-02-01 2015-03-01 寶貝安科技股份有限公司 藍牙裝置配對方法、應用此配對方法之藍牙系統、藍牙客戶裝置及藍牙伺服裝置
US8856256B1 (en) * 2013-03-13 2014-10-07 CoralTree Inc. System and method for file sharing and updat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6771A1 (en) * 2005-07-11 2007-01-18 Simdesk Technologies, Inc. Maintaining security for file copy operations
JP2008186330A (ja) * 2007-01-31 2008-08-14 Nec Corp 利用権限管理装置、コンテンツ共有システム、コンテンツ共有方法、及びコンテンツ共有用プログラム
US20090006624A1 (en) * 2007-06-29 2009-01-01 Microsoft Corporation Entertainment Access Service
KR20100103337A (ko) * 2008-01-29 2010-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45210A (zh) * 2020-03-27 2020-07-24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账号清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445210B (zh) * 2020-03-27 2023-10-20 咪咕文化科技有限公司 账号清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426B1 (ko) 2018-08-10
EP2826014A4 (en) 2016-03-02
WO2013137581A1 (en) 2013-09-19
EP2826014A1 (en) 2015-01-21
US20130247223A1 (en)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2103B2 (en) Method of sharing contents by using personal clou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personal cloud system using the same
US110256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access point installation and access control
KR20130116427A (ko) 컨텐츠 공유 시스템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887932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US20160337447A1 (en) Cloud-to-cloud peering
US2012031722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050280B1 (en) Network access
KR20120113106A (ko)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0481756B2 (en) Controlling application access to applications and resources via graphical representation and manipulation
JP2014219962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システム、入力装置、セキュリティ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A3003571A1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2255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management, and server
EP3208991B1 (en) Network security for internet of things
JP6984387B2 (ja) 情報処理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KR20140071744A (ko) 스마트 통신단말을 위한 보안정책 협상 기반의 차등화된 보안제어 방법
KR101044455B1 (ko)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JP2020017997A (ja) 表示装置
JP7224699B1 (ja) データ管理装置、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管理方法
KR20110113557A (ko)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11864090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KR100976740B1 (ko) 로컬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스마트 폰과의 개인용 컴퓨터의 데이터 공유 제어방법과 데이터 공유 시스템
JP2018022243A (ja) 機器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機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80941A1 (en) Cloud Scene Sharing System
JP2017123529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ならびに表示方法
KR101796977B1 (ko) 통신 단말기에서 간이망관리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셋텁박스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