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725B1 -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725B1
KR101253725B1 KR1020110030834A KR20110030834A KR101253725B1 KR 101253725 B1 KR101253725 B1 KR 101253725B1 KR 1020110030834 A KR1020110030834 A KR 1020110030834A KR 20110030834 A KR20110030834 A KR 20110030834A KR 101253725 B1 KR101253725 B1 KR 10125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ud service
terminal
cloud
data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106A (ko
Inventor
이철재
Original Assignee
(주) 휴니트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니트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 휴니트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1003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725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Distributed or networked storage systems, e.g. storage area networks [SAN],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기화 대신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지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자료를 전송,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공급받아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된 유무선 로컬 단말기로 NAT에 의해 변환된 IP 주소를 각각 부여하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으로 설정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통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개인 저장부를 통신 제어부에 접속시켜 인식하게 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의 내부 IP 주소를 통해 내장되어 있는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제어부와 개인 저장부 사이에서 자료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terminal unit for cloud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cloud serving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시스템 연동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PC에 웹하드 기능을 제공함은 물론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 스마트폰 및 타블렛 PC 등에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기화 대신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지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자료를 전송,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유무선 AP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하급수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데이터 량에 따라서 자료의 보관은 물론 보관된 자료의 활용에 대한 요구도가 늘어가고 있다. 보편적으로 데이터의 저장 및 다른 사람에게 자료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써 주로 이메일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 경우 광대한 용량을 가진 이메일 서버를 구축 및 유지해야만 하며, 고용량, 다량의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면서 메일서버는 대량의 부하를 감당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웹하드 서비스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업자는 지속적으로 대용량 서버를 늘려가야만 하고 늘어난 시스템을 유지 관리해야만 하는 부담이 있으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제공받을 수 있는 용량의 한계와 비용의 부담은 물론 한 곳에서 관리되는 여러 사용자의 저장공간으로 인해 해킹에 의한 자료의 안전성 등에 대한 부담을 감수해야 하며, 서비스 장애 시 서비스업체의 서비스 복구를 기다려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최근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통해 자료를 보관하고 활용하고 있으나 이 역시 고가의 NAS 시스템을 구축, 관리해야만 하며 사용자가 NAS가 설정한 공인 IP 주소를 항상 기억하고 있어야만 시스템에 접근 가능하며 NAS 장치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이 같은 문제로 인해 문제해결이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게다가 최근 가입자 수가 늘어가고 있는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의 경우 자료를 내부 저장장치에 전송하여 저장하기 위해서는 케이블로 PC와 연결하여 상호 동기화를 해야만 하는데 이때 동기화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PC에 설치되어야만 하고, 이동 중 즉, 동기화 케이블을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자료를 저장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더불어 인터넷 상의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TV와 같은 스크린이 포함된 장비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PC에 다운로드 받은 후, 받은 자료를 스트리밍 장치에 옮겨야 하는 비용 및 운영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동기화 대신 언제 어느 장소에서든지 무선 통신을 통해 자신의 자료를 전송,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웹하드 서비스의 문제점인 제공받을 수 있는 용량의 한계를 극복하여 인터넷을 통해 항상 접근할 수 있는 대용량의 웹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물론 자신의 자료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서비스 장애에 대한 직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일 서비스나 웹하드 서비스와 같이 관리서버에 장착된 저장장치로 대량의 데이터가 전송되어 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개인을 위한 저장장치 확장이 필요치 않아 관리서버에 부하가 발생되지 않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인 IP 주소를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만 시스템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 또는 공유할 수 있는 NAS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와는 달리 IP 주소를 기억하지 않아도 시스템에 접근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터넷 상에 저장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스크린 장비에서 재생하고자 할 때 별도로 고가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장비를 구비해야 하는 것은 물론 자료를 내려 받아 별도의 저장장치를 통해 옮겨야 하는 문제에 대해서 해당 자료를 연결된 개인 저장장치에 담아두기만 하면 추가의 구입비용 없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장비를 소유하게 되며, 별도의 저장장치를 사용하여 자료를 옮길 필요가 없어 스크린 장비에서 쉽게 자료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의 특징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공급받아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된 유무선 로컬 단말기로 NAT에 의해 변환된 IP 주소를 각각 부여하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으로 설정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통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개인 저장부를 통신 제어부에 접속시켜 인식하게 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의 내부 IP 주소를 통해 내장되어 있는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제어부와 개인 저장부 사이에서 자료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는 PC, 휴대 단말기, T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단의 인터넷 망으로부터 공인 IP 주소를 부여받는 DHCP 클라이언트와, 하단에 로컬 단말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DHCP 클라이언트로부터 부여받은 공인 IP 주소와 통신망에 의한 연결을 체결하는 NAT부와, 상기 NAT부의 연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로컬 단말기에게 유동 IP 주소를 부여하는 DHCP 서버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IP 주소에 기반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통신망 설정관리를 진행하는 WEB 서버와,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자료를 상기 개인 저장부에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HTTP 및 FTP 서버와, 상기 개인 저장부를 로컬 네트워크상의 로컬 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SAMBA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화나 보안정책에 스케줄 규칙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NTP 서버와, 상기 개인 저장부의 영상자료를 로컬 단말기의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UPnP/DLNA부와, 상기 로컬 단말기 중 무선 단말기들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제어부는 중앙처리부, 플래시 메모리와 SD 메모리가 내장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구성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모듈과, IP 주소 할당 및 관리 모듈, 인터넷 페이지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설정 및 관리를 지원하는 설정관리 모듈과, USB 호스트를 통해 개인 저장부의 연결 및 인식상태를 관리하고 외부에서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 관리 모듈과,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등록번호 및 IP주소와 사용자의 접속정보, 개인 저장부의 저장용량 정보 등을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모듈과,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된 로컬 단말기에서 개인 저장부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구성 모듈과,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스트리밍을 지원하게 해주는 UPnP 및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제어부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동작되는 HTTP 및 FTP 전송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 관리부는 USB 저장장치의 연결과 인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USB 호스트 제어부와,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플러그인 된 USB 저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USB 전원 공급부와, USB 저장장치에 기록되는 데이터 및 그 상태를 관리하는 데이터 기록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특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약속된 규칙을 통해 연동되어 인터넷 공인 아이피 주소 및 등록번호,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회원을 관리하고, 개인 전용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 저장부의 자료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내의 장치 관리부에 연결 및 마운팅되어 내부 IP 주소를 기반으로 내장되어 있는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와 자료를 송수신 하는 개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원거리에 위치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내 통신 제어부의 인터넷 공인 IP주소, 등록번호,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 사용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회원관리 DB와, 상기 회원관리 DB에 종속되어 회원관리 DB에 저장된 정보의 위치정보 및 전송된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스페이스 DB를 포함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의 특징은 로컬 단말기가 내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된 로컬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통신 제어부에 내장된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인 IP 주소와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개인 전용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제공받고,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목록을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된 자료 목록을 기반으로 개인 저장부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원격 단말기가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원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연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동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활성화한 뒤 서비스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목록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된 자료 목록을 기반으로 개인 저장부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항목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록번호, 공인 아이피 주소, 저장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DLNA 프로그램이 연동되며, 개인 저장부의 멀티미디어 자료의 목록을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지원하는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개인 저장부로부터 해당 자료를 불러와 스크린 장비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의 다른 특징은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부여받아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된 로컬 단말기로 각각 부여하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되어 개인 저장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개인 저장부의 기록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공인 IP 주소 및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포함하는 연동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연동정보 전송이 확인되면, 상기 연동 정보에 의한 세션 체결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한 요청 적합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적합성이 확인되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와 서로 연동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전송 상태 창을 제공하고,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목록을 상기 제공된 전송 상태 창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자료 목록을 기반으로 개인 저장부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장소와 시간의 제한이 사라진다는 점으로서 서비스 관리서버에 무선통신으로 접근하여 항상 연동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보관중인 자료를 전송 받거나 또는 거꾸로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자료를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동기화 및 활용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 공간을 추가로 내장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둘째, 하나의 관리서버에 개인을 위한 저장장치를 지속적으로 늘려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가 소유한 개인 저장장치를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하여 독립된 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저장용량의 한계는 개인 저장장치의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웹하드 서비스가 가지고 있던 제한적 용량을 제공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해결되며 개인 저장장치를 사용자 각자가 직접 설치 및 관리하기 때문에 저장한 자료에 대해서 더욱 높은 안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빠르게 대처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메일 서비스나 웹하드 서비스와 같이, 하나의 관리서버에 장착된 저장장치로 각 사용자가 전송하는 데이터에 의해 대량의 부하가 발생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서비스 관리서버와 각각의 사용자에게 분산되어 있는 저장장치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 최소한의 트래픽만이 발생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넷째, 서비스 관리서버와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가 연동되어 단말기의 IP주소 및 사용자의 정보 등이 DB화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NAS가 가졌던 IP 주소를 기억해야만 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내장된 DLNA 기능에 의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된 개인 저장장치 안의 동영상 자료를 스크린이 장착된 TV, PC, 랩탑, 스마트폰과 같은 DLNA 지원 장비에 무선으로 스트리밍을 할 수 있어 고가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장비를 각각의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 비용 없이 소유하게 되는 효과와 자료를 내려 받은 후 재생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편하게 큰 화면으로 즉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AP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 도 1의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
[도 3]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AP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AP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 는 도 1의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과 같이,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은 유무선 AP(Access Point)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이하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라 칭함)(100)와, 개인 저장부(200)와,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와, 서비스 관리서버(400)로 구성된다.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는 802.11N WiFi 및 NAT기반의 통신 제어부(110)와, USB 1.1/2.0 호스트 컨트롤러를 갖는 USB 장치 관리부(120)로 구성되어, 개인 저장부(200) 및 서비스 관리서버(400)와의 유기적인 연동을 통해서 PC, 휴대 단말기, TV 등의 상기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에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내의 통신 제어부(110)는 도 2와 같이, 상단의 인터넷 망으로부터 공인 IP 주소를 부여받는 DHCP 클라이언트(111)와, 하단에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와 연결되는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DHCP 클라이언트(111)로부터 부여받은 공인 IP 주소와 통신망에 의한 연결을 체결하는 NAT부(112)와, 상기 NAT부(112)의 연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들에게 유동 IP 주소를 부여하는 DHCP 서버(113)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IP 주소에 기반하는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통신망 설정관리 등을 진행하는 WEB 서버(115)와,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자료를 상기 개인 저장부(200)에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및 FTP 서버(117)와, 상기 개인 저장부(200)를 로컬 네트워크상의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들에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SAMBA 서버(118)와, 데이터 동기화나 보안정책 등에 스케줄 규칙을 적용하도록 제어하는 NTP 서버(116)와, 상기 개인 저장부(200)의 영상자료를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의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UPnP/DLNA부(119)와, 상기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 중 무선 단말기들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1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110)는 중앙처리부, 플래시 메모리와 SD 메모리가 내장되며, 플래시 메모리에는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구성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모듈과, IP 주소 할당 및 관리 모듈, 인터넷 페이지를 통해서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설정 및 관리를 지원하는 설정관리 모듈, USB 호스트를 통해 개인 저장부(200)의 연결 및 인식상태를 관리하고 외부에서 개인 저장부(200) 내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 관리 모듈,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의 등록번호 및 IP주소와 사용자의 접속정보, 개인 저장부의 저장용량 정보 등을 서비스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모듈,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와 연결된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에서 개인 저장부(200)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구성 모듈,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스트리밍을 지원하게 해주는 UPnP 및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통신 모듈, 통신 제어부(110)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동작되는 HTTP 및 FTP 전송 모듈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내의 USB 장치 관리부(130)는 USB 저장장치(미도시)의 연결과 인식을 통해 USB 저장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USB 호스트 제어부(121)와,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에 플러그인 된 USB 저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USB 전원 공급부(122)와, USB 저장장치에 기록되는 데이터 및 그 상태를 관리하는 데이터 기록 관리부(123)로 구성되어, 상기 통신 제어부(110)와 개인 저장부(200) 사이에서 자료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는 가정 내외의 PC, TV, 개인용 휴대 단말기,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스마트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와 약속된 규칙을 통해 연동되어 인터넷 공인 아이피 주소 및 등록번호,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회원을 관리하고, 개인 전용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제공하여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 저장부의 자료를 관리한다. 아울러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와 원거리에 위치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 내 통신 제어부(110)의 인터넷 공인 IP주소, 등록번호,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 사용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회원관리 DB(410)와, 상기 회원관리 DB(410)에 종속되어 회원관리 DB(410)에 저장된 정보의 위치정보 및 전송된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스페이스 DB(42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AP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AP형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먼저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개인 저장부(200)에 자료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인터넷 접속포트에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케이블을 연결하여 통신 제어부(110)가 공인 IP 주소를 부여 받은 상태에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와 연결된 로컬 단말기(300a)인 PC1에서 인터넷이 연결되면 사용자1은 상기 PC1을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홈페이지 주소에 접속한다(S10). 참고로, 사용자1은 PC1을 통해 수행하므로, 이후 설명에서 사용자1과 PC1을 사용자1로 통일하여 기재한다.
이어 사용자1은 서비스 관리서버(400)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로그인을 시도하고 동시에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사용자1에게 회원 가입 여부를 확인한다(S20). 상기 확인결과(S20), 사용자1의 회원 가입 이력이 없는 경우, 사용자1에게 회원가입을 유도하며 사용자1은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안내에 따라 회원 가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1은 자신의 회원 아이디(ID)와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회원관리 DB에 기록한 뒤, 등록번호의 입력을 통해 자신의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회원관리 DB에 등록하게 된다. 상기 회원가입 유도를 통한 절차는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확인결과(S20) 사용자1의 회원 가입이 확인되면,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통신 제어부(110)에 내장된 HTTP 및 FTP 서버(117)를 통해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서비스 관리서버(400)와 연동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10)가 부여 받은 공인 IP 주소와 개인 저장부(200)의 용량정보를 연동되는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회원관리 DB(410)로 전송한다(S30).
그러면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사용자1에게 개인 전용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제공하고(S40), 동시에 개인 저장부(200)내의 자료목록을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한다(S50).
그리고 사용자1은 접속한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클라우드 스페이스에서 개인 저장부(200)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200)에서 다운로드를 선택하여(S60), 자료전송 웹프로그램 실행으로 PC1에서의 자료선택을 통해(S70) 개인 저장부(200)에 자료를 업로드하거나(S80), 또는 개인 저장부(200)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한다(S90). 이때, 자료의 송수신 및 관리를 위해 액티브 엑스 컨트롤(Active X control :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반의 웹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PC1에 설치되어 있는 ‘자바 버츄얼 머신’(JavaVM), 자바 서버 페이지(jsp) 등을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ASP(Active Server Pages) 및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와 연동시킨다.
만약, 사용자1이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회원 아이디(ID)와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만을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회원관리 DB(410)에 기록하며 오직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구비한 다른 사용자가 전송한 자료만을 내려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여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1이 회원등록 및 단말기 등록을 완료한 상태로 외부 인터넷을 통해서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에 연결되어 있는 개인 저장부(200)에 자료를 송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가 아닌 외부의 인터넷 망이 연결된 장소에서 사용자1이 PC2인 원격 단말기(300c)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일 때, 사용자1은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관리서버(400)에 접속하여(S10) 회원 아이디(ID)와 패스워드로 로그인하여 회원가입을 확인한다(S20).
이어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400)는 접속된 사용자의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항목정보(아이디, 패스워드, 등록번호, 공인 아이피 주소, 저장 용량 정보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연동시킨다(S30).
그리고 상기 연동된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통신 제어부(110)는 내장된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활성화한 뒤 사용자1이 PC2에서 접속한 서비스 관리서버(400)에서 개인 스페이스 DB(420)의 정보를 통해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열고,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개인 저장부(200) 내의 자료목록을 출력한다(S50).
그리고 사용자1은 접속한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클라우드 스페이스에서 개인 저장부(200)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200)에서 다운로드를 선택하여(S60), 자료전송 웹프로그램 실행으로 PC2에서의 자료선택을 통해(S70) 개인 저장부(200)에 자료를 업로드하거나(S80), 또는 개인 저장부(200)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한다(S90).
이에 따라, 사용자1은 외부에서도 원격 단말기(300c)를 통해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가 설치된 장소에서와 같이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통해 통신 제어부(110)에 연결된 개인 저장부(200)로 자료를 송수신 할 수 있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와 같이,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장비로서,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지원하는 PC, 스마트폰, TV등에서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를 검색하면 통신 제어부(110)에 내장된 UPnP/DLNA부(119)에서 가동되고 있는 DLNA 프로그램이 연동되며, 연결되어 있는 개인 저장부(200)의 멀티미디어 자료의 목록을 PC, 스마트폰, TV 등의 로컬 단말기(300a)에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로컬 단말기(300a)에 디스플레이되는 목록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자료를 선택하면 통신 제어부(110)는 개인 저장부(200)로부터 해당 자료를 불러와 스크린 장비에 스트리밍하게 된다.
또한 외부의 PC 및 스마트폰 등의 원격 단말기(300c)에서도 멀티미디어 자료에 대한 스트리밍 재생을 지원하는데,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과 같이 서비스 관리서버(400)를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또는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는 통신 제어부(110)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이후 “ISP”라 칭함)(미도시)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부여받아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에 연결된 로컬/원격 단말기(300a)(300c)로 각각 부여하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설정한다(S100).
이어,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는 USB 장치 관리부(120)를 통해 통신 제어부(110)와 연결되어 통신 제어부(110)에 접속된 개인 저장부(200)를 인식하고(S110), 인식된 개인 저장부(200)의 기록 상태를 확인한다(S120).
그리고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통신 제어부(110)는 내장된 HTTP 및 FTP 서버(117)를 통해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S130), 확인이 완료되면 통신 제어부(110)는 부여 받은 공인 IP 주소와 개인 저장부(200)의 용량정보를 포함하는 연동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400)로 전송하고(S140), 이어 상기 연동정보의 전송을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400)로부터 확인받는다(S150).
이처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400)로부터 연동정보 전송이 확인되면(S150), 통신 제어부(110)는 상기 연동 정보에 의한 세션 체결 요청을 접수하고(S160), 접수한 요청 적합성을 확인한다(S170).
그리고 상기 확인결과(S170) 접수된 세션 체결 요청의 적합성이 확인되면,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통신 제어부(110)는 내장된 HTTP 및 FTP 서버(117)를 통해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통신 제어부(110)와 서비스 관리서버(400)를 서로 연동시킨다(S180).
이어 통신 제어부(110)는 사용자에게 전송 상태 창을 제공하고(S190), 동시에 개인 저장부(200)내의 자료목록을 상기 제공된 전송 상태 창에 출력한다(S200).
그리고 전송 상태 창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인 저장부(200)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200)에서 다운로드가 선택되면(S210), 자료전송 웹프로그램 실행으로 개인 저장부(200)에 자료를 업로드하거나(S220), 또는 개인 저장부(200)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한다(S230). 이때, 자료의 송수신 및 관리를 위해 액티브 엑스 컨트롤(Active X control :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기반의 웹프로그램)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PC1에 설치되어 있는 ‘자바 버츄얼 머신’(JavaVM), 자바 서버 페이지(jsp) 등을 서비스 관리서버(400)의 ASP(Active Server Pages) 및 PHP(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와 연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포함된 여러 단계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매체(예: CD-ROM, DVD), 디지털 저장매체(예: USB 메모리, 메모리 카드(SD, CF, MS, X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컴퓨터는 스마트폰을 위시하여 태블릿 패드, 스마트 TV 등의 스마트 장비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는 하나의 서비스 관리서버(400)에 개인을 위한 개인 저장부를 지속적으로 늘려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가 소유한 개인 저장부(200)를 상기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에 연결하여 독립된 서비스 관리서버(400)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서비스의 저장용량의 한계는 개인 저장부(200)의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자에 의해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웹하드 서비스가 가지고 있던 제한적인 용량을 제공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해결되며 개인 저장부(200)를 사용자 각자가 직접 설치 및 관리하기 때문에 저장한 자료에 대해서 더욱 높은 안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장애가 발생되었을 경우 사용자가 직접 빠르게 대처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관리 면에서 매우 용이하다. 더불어 기존과 같이 하나의 관리서버에 다수의 저장소가 묶여 있는 경우처럼 업로드 속도의 제한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가 개인 저장부(200)를 별도 관리하기 때문에 업로드 속도의 제약이 사라져 파일 전송의 효율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또한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300)의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무선신호를 받을 수 있는 장소라면 언제라도 서비스 관리서버(400)에 접근하여 항상 연동되어 있는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로부터 보관중인 자료를 전송 받거나 또는 거꾸로 지능형 무선 휴대 통신 단말기(300)에 저장되어있는 자료를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로 전송함으로써 상시 동기화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기존의 NAS의 경우 IP주소를 기억해야만 했던 것과는 달리 서비스 관리서버(400)와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가 연동되어 개인 클라우드 단말기(100)의 IP주소 및 사용자의 정보 등이 서비스 관리서버 내의 회원관리 DB(410) 및 개인 스페이스 DB(420)를 통해 관리되고 있어서 사용자는 서비스 관리서버(400)에 접속하는 것만으로 쉽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공급받아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된 유무선 로컬 단말기로 NAT에 의해 변환된 IP 주소를 각각 부여하여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으로 설정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통신 제어부와 연결되어 개인 저장부를 통신 제어부에 접속시켜 인식하게 하고 상기 통신 제어부의 내부 IP 주소를 통해 내장되어 있는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통해 통신 제어부와 개인 저장부 사이에서 자료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단의 인터넷 망으로부터 공인 IP 주소를 부여받는 DHCP 클라이언트와,
    하단에 로컬 단말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DHCP 클라이언트로부터 부여받은 공인 IP 주소와 통신망에 의한 연결을 체결하는 NAT부와,
    상기 NAT부의 연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로컬 단말기에게 유동 IP 주소를 부여하는 DHCP 서버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IP 주소에 기반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통신망 설정관리를 진행하는 WEB 서버와,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자료를 상기 개인 저장부에 송수신하도록 제어하는 HTTP 및 FTP 서버와,
    상기 개인 저장부를 로컬 네트워크상의 로컬 단말기에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SAMBA 서버와,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동기화나 보안정책에 스케줄 규칙이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NTP 서버와,
    상기 개인 저장부의 영상자료를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의 화면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UPnP/DLNA부와,
    상기 로컬 단말기 중 무선 단말기들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단말기 스스로 웹을 통한 클라우드 서비스와 로컬 네트워크 상에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그리고 DNLA 서버를 구성할 수 있으며, 유, 무선 통신부를 모두 포함하여 단말기와 연결된 유선 로컬 네트워크만이 아닌 무선 로컬 네트워크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는 PC, 휴대 단말기, T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중앙처리부, 플래시 메모리와 SD 메모리가 내장되며,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운영체제와 네트워크 구성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주소 변환 모듈과,
    IP 주소 할당 및 관리 모듈, 인터넷 페이지를 통해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설정 및 관리를 지원하는 설정관리 모듈과,
    USB 호스트를 통해 개인 저장부의 연결 및 인식상태를 관리하고 외부에서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운트 관리 모듈과,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등록번호 및 IP주소와 사용자의 접속정보, 개인 저장부의 저장용량 정보 등을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 연동 모듈과,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된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에서 개인 저장부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드라이브 구성 모듈과,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스트리밍을 지원하게 해주는 UPnP 및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통신 모듈과,
    상기 통신 제어부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동작되는 HTTP 및 FTP 전송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관리부는
    USB 저장장치의 연결과 인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USB 호스트 제어부와,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플러그인 된 USB 저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USB 전원 공급부와,
    USB 저장장치에 기록되는 데이터 및 그 상태를 관리하는 데이터 기록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는 유무선 AP(Access Point)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갖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약속된 규칙을 통해 연동되어 인터넷 공인 아이피 주소 및 등록번호,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회원을 관리하고, 개인 전용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개인 저장부의 자료를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서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내의 장치 관리부에 연결 및 마운팅되어 내부 IP 주소를 기반으로 내장되어 있는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통해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와 자료를 송수신 하는 개인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원거리에 위치하여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고, 사용자의 개인정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내 통신 제어부의 인터넷 공인 IP주소, 등록번호,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 사용자 아이디(ID) 및 패스워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회원관리 DB와,
    상기 회원관리 DB에 종속되어 회원관리 DB에 저장된 정보의 위치정보 및 전송된 목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개인 스페이스 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9. 로컬 단말기가 내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공급받은 상태에서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된 로컬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통신 제어부에 내장된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이 가동되어 서비스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공인 IP 주소와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개인 전용 클라우드 스페이스를 제공받고,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목록을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된 자료 목록을 기반으로 개인 저장부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DLNA 프로그램이 연동되며, 개인 저장부의 멀티미디어 자료의 목록을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를 지원하는 로컬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멀티미디어 자료의 목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개인 저장부로부터 해당 자료를 불러와 스크린 장비에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원격 단말기가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원격 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미리 저장되어 있는 항목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연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동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HTTP 및 FTP 프로그램을 활성화한 뒤 서비스 관리서버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목록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스에 출력된 자료 목록을 기반으로 개인 저장부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정보는 아이디, 패스워드, 등록번호, 공인 아이피 주소, 저장 용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상단의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공인 IP(Public IP)를 부여받는 단계와,
    하단에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상기 부여받은 공인 IP 주소와 통신망에 의한 연결을 체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로 구성된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로컬 또는 원격 단말기에게 유동 IP 주소를 부여하는 단계와,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상기 부여된 IP 주소에 기반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의 유선 및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와 연결되어 개인 저장부를 인식하고, 인식된 개인 저장부의 기록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공인 IP 주소 및 개인 저장부의 용량정보를 포함하는 연동정보를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연동정보 전송이 확인되면, 상기 연동 정보에 의한 세션 체결 요청을 접수하고, 접수한 요청 적합성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적합성이 확인되면,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에 내장된 HTTP 및 FTP 전송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서비스 관리서버와 서로 연동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전송 상태 창을 제공하고, 개인 저장부 내의 자료목록을 상기 제공된 전송 상태 창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자료 목록을 기반으로 개인 저장부로 업로드 또는 개인 저장부에서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14. 청구항 13 항에 의한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10030834A 2011-04-04 2011-04-04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25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34A KR101253725B1 (ko) 2011-04-04 2011-04-04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834A KR101253725B1 (ko) 2011-04-04 2011-04-04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06A KR20120113106A (ko) 2012-10-12
KR101253725B1 true KR101253725B1 (ko) 2013-04-12

Family

ID=47282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834A KR101253725B1 (ko) 2011-04-04 2011-04-04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025B1 (ko) * 2012-11-06 2013-11-04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셋톱박스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69876B1 (ko) 2012-12-21 2020-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KR101981258B1 (ko) 2013-01-04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클라우드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그리고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KR101479464B1 (ko) * 2013-02-01 2015-01-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데이터 전송 제어 방법, 시스템,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서비스장치
KR102178264B1 (ko) * 2014-09-17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스 포인트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9812B1 (ko) * 2017-07-26 2018-07-19 김의섭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탑재된 사용자 단말, 클라우드 장치, 관리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KR20200052405A (ko) 2018-10-24 2020-05-15 김종호 Usb 형태의 클라우드 드라이브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126571B1 (ko) * 2019-05-16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클라우드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그리고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CN110069232A (zh) * 2019-05-30 2019-07-30 精模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云技术服务系统
KR102650146B1 (ko) * 2020-04-23 2024-03-22 오픈박스연구소 주식회사 Usb 기반의 클라우드 디스크 및 디스크 세그먼트 매니지먼트 시스템
KR102176507B1 (ko) * 2020-06-18 2020-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개인 클라우드 기기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 기기, 그리고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CN114637640B (zh) * 2020-12-01 2024-04-19 小沃科技有限公司 运维管理系统
CN114490472A (zh) * 2021-12-06 2022-05-13 南京蒙柏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转换的一口多机并发共享终端
CN116055121B (zh) * 2022-12-21 2023-11-14 广州辰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跨网数据同步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488A (ko) * 2004-07-06 2006-01-11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와 사용자pc의 원격접속제어시스템과 원격접속제어방법
KR20060059069A (ko) * 2004-11-26 2006-06-0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세대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유무선 신호 중계 접속장치
KR100714504B1 (ko) * 2006-01-25 2007-05-04 피어컴 주식회사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단말의 컨텐츠 검색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3488A (ko) * 2004-07-06 2006-01-11 주식회사 소디프 이앤티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와 사용자pc의 원격접속제어시스템과 원격접속제어방법
KR20060059069A (ko) * 2004-11-26 2006-06-0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세대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유무선 신호 중계 접속장치
KR100714504B1 (ko) * 2006-01-25 2007-05-04 피어컴 주식회사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개인 단말의 컨텐츠 검색 시스템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가이드(2006. 03. 2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106A (ko) 201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725B1 (ko) 클라우드 서비스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1297363B2 (en) Method of integrating remote content with hospitality media system and media system thereof
US20170230696A1 (en) Device registration process from a second display
US8943169B2 (en) Device affiliation process from second display
KR102069876B1 (ko)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EP342556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registering personal cloud apparatus in user portal server thereof
US9924229B2 (en) Employment of multiple second displays to control IPTV content
CN103916457B (zh) 利用个人云设备共享内容的方法及电子设备和个人云系统
TWI493481B (zh) 一種用於表現社交網路圈資源的裝置與方法
US2009024078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formation Playback Uni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layback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TW201317910A (zh) 用於與社交網路系統交互的裝置電路、用於分配在社交網路圈中之資源的方法及用於對社交裝置進行控制的方法
CN102057716A (zh) 接入点
CN1617515A (zh) 网络设备的简易动态配置
KR102177013B1 (ko) 스트리밍 디지털 콘텐츠의 재생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306279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frequently-accessed service or asset list on a second display
US9294460B1 (en) Service credential distribution
US20120210238A1 (en) Direct service launch on a second display
US20090178113A1 (e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portable communication identity services
JP4651690B2 (ja) 家電ログインシステム
US9124946B1 (en) Plug and play method and system of viewing live and recorded contents
US20240015039A1 (en) Method for managing a request to access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for processing a request to access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method for requesting access to a local communication network and corresponding devices, management platform, gateway, user terminal, system and computer programs
KR101782884B1 (ko) 콘텐츠 공유를 위한 콘텐츠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72989B1 (ko) 전자 기기, 개인 클라우드 기기, 개인 클라우드 시스템 및 이들의 개인 클라우드 기기 등록 방법
JP2014006798A (ja) 権限委譲システム、被制御端末、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67019A (ko) 로컬 저장장치와의 동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