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639A - 법제유황분말 제조방법 및 법제유황분말을 첨가제로 이용한 사료급이방법 - Google Patents

법제유황분말 제조방법 및 법제유황분말을 첨가제로 이용한 사료급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639A
KR20120138639A KR1020120052802A KR20120052802A KR20120138639A KR 20120138639 A KR20120138639 A KR 20120138639A KR 1020120052802 A KR1020120052802 A KR 1020120052802A KR 20120052802 A KR20120052802 A KR 20120052802A KR 20120138639 A KR20120138639 A KR 2012013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extract
weight
heating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8133B1 (ko
Inventor
안수빈
Original Assignee
안수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빈 filed Critical 안수빈
Publication of KR2012013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6Heterocyclic compounds
    • A23K20/121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or sulfur as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02Preparation of sulfur; Purification
    • C01B17/027Recovery of sulfur from material containing elemental sulfur, e.g. luxmasses or sulfur containing ores; Purification of the recovered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된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을 가축용 또는 양식수산물 사료에 첨가할 경우 가축 또는 수산물의 성장률 및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고, 또한, 식물 재배 시 살포할 경우 식물 병해를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법제유황분말 제조방법 및 법제유황분말을 첨가제로 이용한 사료급이방법 {Method for producing detoxicated sulfur powder}
본 발명은 독성을 갖는 유황을 인체에 무해한 유황으로 제조하는 유황 법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에 관한 것이다.
유황(硫黃, sulfur)이란 주기율표 6B 족에 속하는 칼로켄 원소의 일종으로 상온에서는 노란색의 고체상태를 유지하지만 고온에서는 그 반응성이 매우 커서 금, 백금을 제외한 거의 모든 금속과 반응하여 황화물을 형성하며, 천연에서는 주로 유리상태의 자연황이나 중금속과 결합된 황철석, 방연석, 섬아연석, 황동석 등의 황화물 또는 중정석, 경석고(硬石膏), 석고 등의 황산염을 비롯한 화산가스, 온천, 광천 등의 황화수소, 아황산가스, 황산의 형태로 존재한다.
또한 유황은 칼슘, 인, 칼륨 다음으로 인체에 4번째로 많은 미네랄로, 체내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며 중요 아미노산인 시스틴(cystine), 시스테인(cysteine), 메티오닌(methionine)의 구성성분으로서 세포 자신의 생명을 위해 필수적이며, 또한 비타민인 티아민과 비오틴의 구성성분이며, 타액과 담즙 그리고 호르몬인 인슐린 속에서도 존재한다. 또한, 체중의 0.15%를 차지하며, 체내의 광물질 함량의 10%를 황이 차지한다. 이렇듯 유황은 생물의 호흡, 동화 작용 등 신진대사 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물질 중 하나이다.
하지만 광물질의 무기유황(Inorganic Sulfur)이나 합성유기유황은 열독성(熱毒性)이 강해서 사람이 직접 섭취할 경우에 생명에 지장을 줄 정도로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
한편 법제(法製)란 한방에서, 자연에서 채취한 원생물질을 독성이 없는 기능성 물질로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방에서는 자연 상태의 식물이나 동물, 광물 등을 인체에 해가 없도록 사용하기 위해 처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즉 부피가 큰 것은 나누고 단단한 것은 무르게 하며 독성이 있으면 제거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며, 독성을 갖는 원재료의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새로운 효능을 내기 위해서도 이용되며, 대개는 물이나 불을 사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법제의 또 다른 전통적인 처리과정 중의 하나로 해독능력이 특별한 것으로 알려진 오리 등의 특정 동물에게 유황 섞인 사료를 먹인 후 그 고기를 사람이 섭취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오리 등의 특정 동물에게만 한정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인바, 최근에는 소정의 유황 법제과정을 통해 독성이 최소화된 법제유황을 사료에 섞어 사육한 가금류나 가축류의 고기를 사람이 섭취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유황 법제방법으로서 사기 그릇에 유황을 투입 및 밀봉한 후 약 4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분말화한 법제유황이라도 그 혼합량을 정확히 조절하지 못하면 가금류 또는 가축류가 대거 사멸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비록 사멸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대부분이 배설물로 배설되어 흡수율이 미비한 단점을 나타낸다.
농가에서 농산물 재배시 사용되는 화학비료 및 농약 사용량 증가로 농약 잔류 및 그에 따른 내성이 강한 각종 바이러스 등 미생물의 출현으로 농가와 농산물에 생산저하 및 중독 등 지대한 영향을 초래할 뿐 아니라 토양의 산성화로 향후 작황에도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 소비자가 건강한 먹거리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농산물 재배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천연비료 등의 개발에 그 해결점을 찾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기술적 문제 및 비용을 현실화하여 농산물 자체의 면역력을 증진시켜 화학비료 및 농약의 남용으로 인한 피해를 감소시키고, 경제성장에 따른 건강한 국민 식생활과 농가의 재배 환경의 개선이 필연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농작물의 친환경성과 아울러 생장촉진을 위하여 농작물이나 토지에 공급될 새로운 유황비료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유황의 제독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고, 농약을 대신하여 농작물의 병해를 대체할 만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만족할만한 유황의 법제방법은 없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008호는 가금류나 가축류, 어패류 등의 사료에 혼합 사용되어도 사멸의 가능성이 작고 육류 내 흡수율이 높은 동시에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성기름을 활용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유황 법제방법 및 이를 통해 유독성분이 제거된 액상 법제유황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또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62243호는 동물이 섭취가능도록 맹독성의 유황을 법제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닭 사료에 관한 것으로, 유황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유황용융단계, 상기 용융된 유황을 냉수와 목질점토(고령토) 또는 점토의 혼합액에 넣어 냉각제독시키는 냉각제독단계, 상기 냉각제독된 유황을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건조시키는 유황건조단계, 상기 유황용융단계, 냉각제독단계 및 유황건조단계를 9회 이상 반복하는 반복단계, 상기 건조되어 제독된 유황을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0874404호에는 알칼리환원수를 이용한 유황법제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9-0024534호에는 유해성분이 제거된 법제유황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분리한 유황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도깨비풀 및 물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법제유황분말 및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과는 차이를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축의 성장을 증진시키고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산물들의 병충해 예방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법제유황을 제조하기 위해, 무즙, 유황용해액에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을 제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황에 물을 첨가한 후 가열하여 유황용해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첨가하여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고 분리한 유황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도깨비풀 및 물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여 추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을 제조하는 것이 독성이 강한 유황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농,수,축산물에 접목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돼지, 소 및 닭 등의 가축용 사료에 상기 제조된 본 발명의 법제유황분말을 첨가하여 가축에게 급여할 경우 가축의 성장률이 향상되어 출하시기를 앞당겨 사육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면역력을 증진시켜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좋은 육질로 인해 품질이 우수한 고기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식수산물 사료에 본 발명의 법제유황분말을 배합하여 수산물에 제공할 경우 빠른 출하와 함께 육질이 좋아지고, 물의 정화작용이 탁월하여 양식 시 물로 인한 기타 질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상법제유황을 물에 희석하여 농산물이 자라는 장소에 시비하게 되면 곰팡이균 등에 의한 병해를 방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법제된 유황분말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법제유황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유황을 일정시간과 온도로 가열하여 냉각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도깨비풀 및 황토 지장수 물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각각의 유황을 혼합한 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사용되는 황토 지장수 물은 큰 용기나 항아리에 황토분말 1 : 물 20 정도를 넣고 잘 저어서, 분말이 다 희석되어진 후 약 60시간이 지나면 황토가 가라앉은 맑은 물이 되는데, 이때의 맑은 물을 의미한다.
상기의 무즙은 무를 분쇄, 압착하여 만들어지며, 녹두는 믹서기에 갈아서 분쇄된 상태로 제조된 것이며, 엄나무 추출액은 엄나무와 물을 중량대비 10:1의 비로 혼합하여 압착함으로서 생성된 것을 의미한다. 매실액기스는 매실을 발효항아리에 넣어 발효된 상태로 추출된 것이고, 잎모초액과 도깨비풀은 잎모초액과 물 및 도깨비풀과 물의 중량비를 10 : 1 혼합하여 압출 제조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법제유황분말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유황을 80~160℃에서 50~70분 동안 가열하여 가열한 유황과 물을 중량비 1-1.5 : 4-6의 비로 섞어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의 중량 대비 무즙 20~30 중량%, 녹두 5~10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 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를 부가적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00~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의 중량 대비 무즙 10~20 중량%, 녹두 1~2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및 황토 지장수물 400-600중량%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00~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유황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유황을 80~160℃에서 60분 동안 가열하여 식힌 후 유황 150kg에 물 500 L를 넣고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 50중량%(=325kg) 대비 무즙 20~30 중량%, 녹두 5~10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15 중량%, 녹두 1~2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및 지장수물 200-250L를 첨가하여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유황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또한 (a)단계의 제조된 나머지 유황용해액 50중량%(=325kg)를 사용하여 다시 b), c), d)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유황을 가열하여 물을 첨가한 후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도깨비풀 및 물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 분리된 각각의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유황을 80~160℃에서 50~70분 동안 가열하여 가열한 유황과 물을 중량비 1-1.5 : 4-6의 비로 섞어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의 중량 대비 무즙 20~30 중량%, 녹두 5~10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 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를 부가적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00~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10~20 중량%, 녹두 1~2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및 지장수물 400-600중량%를 첨가하여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00~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 분리된 각각의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a) 유황을 80~160℃에서 60분 동안 가열하여 식힌 후 유황 150kg에 물 500 L를 넣고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 50중량%(=325kg) 대비 무즙 20~30 중량%, 녹두 5~10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15 중량%, 녹두 1~2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및 지장수물 200-250L를 첨가하여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b)단계 및 (c)단계에서 분리된 각각의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또한 (a)단계의 제조된 나머지 유황용해액 50중량%(=325kg)를 사용하여 다시 b), c), d)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법제유황분말 또는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매실엑기스는 매실과 설탕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익모초 추출액 또는 엄나무 추출액은 익모초 또는 엄나무를 열수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법제유황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액상법제유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법제유황분말을 가축용 또는 양식수산물 사료에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률 및 면역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축용 또는 양식수산물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축용 또는 양식수산물 사료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가축은 돼지, 소, 오리 또는 닭일 수 있고, 상기 어류는 광어, 연어, 은어, 산천어 또는 송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축이 돼지인 경우 모돈의 수유가 끝나고 초기 사료 투입시부터 사료에 법제유황분말을 사료 중량대비 0.08~0.12% 배합하여 급여하게 되면 처음 5~7일은 돈분 냄새가 많이 나지만, 그 이후엔 돈분 냄새가 거의 없고 성장하면서 돼지의 표피 색깔이 선분홍색으로 변하고, 각종 질병에 강하여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유황을 먹이지 않은 돼지보다 출하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어 사료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이 오리 또는 닭 등의 가금류인 경우 부화되 직후부터 사료에 법제유황분말을 사료 중량대비 0.8~0.1%로 배합하여 급여하게 되면 폐사가 덜하고 분변의 냄새가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어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성장이 빠르고 육질이 좋고 사료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축이 소인 경우 소는 출하할 수 있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출하 6개월 전부터 최초 3개월간은 사료 중량대비 법제유황분말을 0.1%로 배합하고, 최후 3개월간은 사료 중량대비 0.15%로 배합하여 급여하게 되면, 항생제 및 기타 약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잘 자라고, 육질이 좋고 성장률이 향상되어 사료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양식수산물 사료 중량대비 법제유황분말을 0.08~0.1% 배합하면 항생제 및 기타 약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질병에 걸리지 않고, 빠른 출하와 함께 육질도 좋아지고, 수산물 양식 시 물의 정화작용으로 인해 물로 인한 기타 질병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액상법제유황을 농작물이 자라는 장소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해가 방제된 농작물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농작물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액상법제유황은 물에 200~30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50배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물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농작물은 딸기, 수박, 메론, 참외, 토마토, 오이 또는 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물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병해는 잿빛 곰팡이병, 탄저병, 갈반병, 흰잎마름병, 흰가루병, 균핵병 또는 잎곰팡이병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법제유황분말 및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a) 80~1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유황 150kg에 물 500 L를 넣고 유황용해액을 제조하였다.
(b) 상기 제조된 유황용해액 50 중량%에 무즙 20~30 중량%, 녹두 5~10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였다.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15 중량%, 녹두 1~2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풀 1~2 중량% 및 황토 지장수 물 200-300L를 첨가하여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였다.
(d)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유황을 건조하여 법제유황분말을 얻었고, 또한, 상기 (b)단계 및 (c)단계의 분리된 각각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액상법제유황을 얻었다.
실시예 1: 유황 첨가 사료 급여에 따른 돼지의 성장 및 질병발생 빈도
유황 첨가 사료 급여에 따른 이유자돈의 성장 및 질병발생 빈도를 알아보기 위해, 이유자돈 20두를 공시하였다. 처리구는 모유의 수유가 끝나고 초기 사료 급여시부터 사료 중량대비 본 발명의 법제유황분말을 0.1%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제조예 1)와 본 발명의 제조예 1의 방법으로 법제유황분말을 제조하되,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법제유황분말(대조구)을 0.1% 첨가한 사료를 급여한 대조구로 나뉘어 10번 반복하였다. 실험사료의 영양소 수준은 NRC사양표준(1998)에 준하여 권장량에 맞추었으며, 시험기간은 6주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구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법제유황분말을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일당 증체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질병 발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방법으로 법제유황분말을 제조하는 것이 돼지의 출하시기를 앞당겨 사료 절감효과가 커서 경제적이며, 각종 질병에 강하여 항생제 대체제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황 첨가 사료 급여에 따른 돼지의 성장 및 질병발생 빈도
대조구 처리구(제조예 1)
하루증체량(g/day) 439 565
질병발생 두수 2 0
일당증체량 = (종료체중 - 개시체중)/42
실시예 2: 식물 병해 방제 효과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액상법제유황과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액상법제유황을 제조하되,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된 액상법제유황(대조구) 각각을 5 ㎎/㎖의 농도로 각각 PDA에 혼합하여 고압멸균시킨 후 9 ㎝의 페트리 디쉬에 분주하여 배지를 만들었다. 준비된 배지에 PDA에 전 배양된 딸기의 잿빛 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균 균사 선단부 5 ㎜씩을 접종하고 22℃ 항온기에서 4일간 배양한 뒤 무처리구와의 균사생장률을 비교측정하여 항균활성을 검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액상법제유황을 처리한 처리구(제조예 1)에서는 무처리구에 비해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생육억제 효과가 93%로 대조구의 76%에 비해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생육억제 효과(%)
제조예 1 대조구
생육억제 효과(%) 93% 76%

Claims (4)

  1. (a) 유황을 일정시간과 온도로 가열하여 냉각시킨 후, 물을 첨가하여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및 도깨비풀을 혼합한 혼합물을 가열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녹두, 엄나무 추출액, 매실엑기스, 익모초 추출액, 도깨비풀 및 지장수 물을 첨가하여 가열한 후 냉각하여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유황을 건조하여 분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의 제조방법.
  2. (a) 유황을 80~160℃에서 50~70분 동안 가열하여 가열한 유황과 물을 중량비 1-1.5 : 4-6의 비로 섞어 유황용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유황용해액의 중량 대비 무즙 20~30 중량%, 녹두 5~10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 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를 부가적으로 혼합한 혼합물을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00~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분리한 유황에 무즙 10~20 중량%, 녹두 1~2 중량%, 엄나무 추출액 3~5 중량%, 매실엑기스 1~2 중량%, 익모초 추출액 1~2 중량%, 도깨비풀 1~2 중량% 및 지장수 물400-600중량%를 첨가하여 100~120℃에서 60~90분 동안 가열한 후 4~5시간 동안 냉각시킨 혼합물을 다시 100~150℃에서 가열한 후 냉각하여, 상층의 추출액과 침전된 유황을 분리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에서 분리된 각각의 유황을 건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법제유황분말.
  4. 제3항의 법제유황분말을 가축용 또는 양식수산물 사료에 첨가하여 급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제유황분말 급이방법.
KR1020120052802A 2011-06-14 2012-05-18 법제유황분말 제조방법 및 법제유황분말을 첨가제로 이용한 사료급이방법 KR101358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065 2011-06-14
KR20110058065 2011-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639A true KR20120138639A (ko) 2012-12-26
KR101358133B1 KR101358133B1 (ko) 2014-02-07

Family

ID=479053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02A KR101358133B1 (ko) 2011-06-14 2012-05-18 법제유황분말 제조방법 및 법제유황분말을 첨가제로 이용한 사료급이방법
KR1020120052796A KR101346018B1 (ko) 2011-06-14 2012-05-18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및 액상법제유황을 이용한 농작물재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796A KR101346018B1 (ko) 2011-06-14 2012-05-18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및 액상법제유황을 이용한 농작물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358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370A2 (ko) * 2013-10-01 2015-04-09 제이드스킨 주식회사 옥가루 가공방법
KR101710682B1 (ko) 2016-08-10 2017-02-28 주식회사 현진기업 유황여과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황여과볼
KR101868312B1 (ko) 2018-01-12 2018-06-15 이병관 산란계에 유기황을 급여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262B1 (ko) 2013-05-16 2014-09-11 에이치설퍼 주식회사 분해성 과립형 유황 비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1495A (ko) 2018-12-11 2020-06-19 신현호 천연비료의 제조방법
KR20200087579A (ko) 2019-01-11 2020-07-21 박종남 가금류를 이용한 유황의 법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714B1 (ko) * 2004-12-03 2006-06-19 신일선 유황의 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황닭사료
KR100908001B1 (ko) * 2008-08-21 2009-07-16 백도현 법제유황을 주재료로 하는 식물보호용 조성물
KR100901064B1 (ko) * 2008-08-21 2009-06-04 한태석 무독성 유황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50370A2 (ko) * 2013-10-01 2015-04-09 제이드스킨 주식회사 옥가루 가공방법
WO2015050370A3 (ko) * 2013-10-01 2015-07-16 제이드스킨 주식회사 옥가루 가공방법
KR101710682B1 (ko) 2016-08-10 2017-02-28 주식회사 현진기업 유황여과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황여과볼
KR101868312B1 (ko) 2018-01-12 2018-06-15 이병관 산란계에 유기황을 급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018B1 (ko) 2014-01-03
KR20120138638A (ko) 2012-12-26
KR101358133B1 (ko) 2014-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018B1 (ko)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및 액상법제유황을 이용한 농작물재배방법
KR102222811B1 (ko)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773197A (zh) 一种新型黄粉虫源生物精饲料的制备方法
CN101225000B (zh) 一种促进动植物健康生长的生长剂及其制备方法
CN102150745A (zh) 富有机硒猪肉及其生产方法
CN103636977A (zh) 一种促进猪生长的绿色饲料预混料
CN103859166A (zh) 一种有机富硒动物饲料添加剂及其生产方法
CN108142688B (zh) 一种不含氧化锌的保育料
KR100791015B1 (ko) 유황 및 게르마늄을 주재료로 한 닭사료 조성물
KR20190020883A (ko) 굼벵이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굼벵이 사육 방법
KR101278328B1 (ko) 함초, 미강, 인진, 표고, 파, 마늘, 생강을 이용한 동식물 및 어류 질병 예방 및 방제, 치료에 관한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 및 토양 개량제
CN106900650A (zh) 一种富硒鸡的养殖方法
RU2319391C2 (ru) Кормовая добавка для свиней и способ кормления свиней
CN106343180B (zh) 一种用于提高黑山羊体重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5614076A (zh) 多功能富硒饲料添加剂
CN107488077A (zh) 茶麸有机肥制作方法
CN106146141A (zh) 一种西芹专用肥
CN105124135A (zh) 养殖和种植专用大蒜酵素及其制备方法
KR100886623B1 (ko) 닭 사육방법
KR101834749B1 (ko) 인진쑥, 어성초, 및 자소엽을 이용한 동물 사료 첨가제의 제조방법.
CN111567687A (zh) 一种含白刺花的无抗羊发酵全混合日粮
KR20130128770A (ko) 법제유황분말 및 액상법제유황의 제조방법
CN105820060B (zh) 谷肉酸盐及其在制备动物用饲料添加剂中的应用
CA3107460A1 (en) Methods for liberating phosphorus from organic matter
Fomichev The concept of" One health" and the potential use of natural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micronutrients-taxifolin, arabinogalactan and microalgae arthrospira platensis in organic livestock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