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623B1 - 닭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닭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623B1
KR100886623B1 KR1020080063501A KR20080063501A KR100886623B1 KR 100886623 B1 KR100886623 B1 KR 100886623B1 KR 1020080063501 A KR1020080063501 A KR 1020080063501A KR 20080063501 A KR20080063501 A KR 20080063501A KR 100886623 B1 KR100886623 B1 KR 100886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feed
weight
breeding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극수
Original Assignee
보원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원코리아(주) filed Critical 보원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8006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을 양계사료와 혼합하여 가축, 특히 닭에게 공급함으로써 항생제 등을 투여하지 않고도 면역성을 높이고, 육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복용이 가능하여 해독작용, 통증·염증 완화작용, 혈관팽창작용, 노화방지 및 양기를 회복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 양계사료이며, 본 발명의 사료는 통상의 양계사료; 법제된 유황; 포도당; 고초균; 효모제; 메치오닌;을 일정량 혼합하여 닭에게 급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닭 사료, 닭 사육, 유황 닭

Description

닭 사육방법{Method for feed hens a breeding}
본 발명은 닭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계사료에 법제된 유황은 물론 포도당, 고초균, 효모제, 메치오닌을 일정량 혼합하여서 닭에게 급이하는 단계를 거치는 닭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황(sulfur)은 주기율표 제6B족에 속하는 산소족 원소(원소기호;S, 원자번호;16, 원자량;32.06, 녹는점;112.8℃, 끓는점;444.7℃, 비중;2.07)이며, 지구상에는 유리상태로 산출되지만 화합물로도 광범위하게 다량 존재하고 있다.
유황은 칼슘, 인, 칼륨 다음으로 인체에 4번째로 많은 미네랄로, 체내의 모든 세포에서 발견되고, 중요 아미노산인 시스틴, 시스테인, 메티오닌의 구성성분으로서 세포 자신의 생명을 위해 필수적이며, 비타민인 티아민과 비오틴의 구성성분이다. 이러한 유황은 타액과 담즙 그리고 호르몬인 인슐린 속에서도 존재하고, 우리 체중의 0.15%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체내 광물질 함량의 10%가 바로 황이다. 이렇듯 유황은 생물의 호흡, 동화 작용 등 신진대사 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가장 중요한 물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한방에서 유황은 인간의 생명활동에 가장 원초적인 작용인 보양, 보기에 효능이 있는 천하의 명약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법제된 유황은 최고의 보양제로 양기 부족을 다스리고, 각종 궤양과 염증 및 냉증을 비롯하여 부인병 소아병에 약으로 쓰여 왔다. 허준의 '동의보감'에 의하면, '유황은 열이 많고 독성이 강하나 몸안의 냉기를 몰아내어 양기의 부족을 돕는 한편, 심복의 적취와 사기를 다스린다. 또한 유황은 단독을 풀어준다'라고 기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황은 강한 맹독성을 지니고 있어서 반드시 완벽한 법제를 거친 후 사용되어야 하지만, 사실상 완벽한 법제가 힘들어 유황을 이용하는 것에 많은 제약이 따라왔다. 이후, 엄청난 양의 기운을 완벽하게 흡수할 수 있는 완전한 유황 법제가 인산 선생에 의해 현실화되었으며, 이는 살아있는 오리라는 생명체를 통해 법제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오리는 여러 가금이나 가축 등 그 어느 동물보다도 해독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러한 오리에게 유황을 먹여서 법제화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육한 오리는 그 효능이 매우 뛰어나 현재 많은 사육자에 의해 유황 오리가 사육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유황의 독이 강하여 오리를 사육하는 도중 많은 수의 오리가 폐기되는 등 유황 오리를 사육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어려웠다.
한편, 달걀이나 고기 등의 생산을 위하여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닭에게 공급하여 사육하고 있음은 통상적이다. 이와 같은 사료는 영양소의 함량이 많고, 닭에게 유해한 성분이 없으며, 고품질의 달걀, 고기 등의 생산을 극대화시키도록 하고, 언제나 신선하고 소화율이 높은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료는 영양가, 주성분, 유통, 수분함량, 배합상태 및 가공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는데, 조섬유의 함량이 높은 조사료, 조섬유의 함량은 낮지만 단백질과 가용무기질이 많아서 가축의 성장이나 축산물의 생산효율을 높이는 농후사료, 소량의 배합으로 필수영양소를 완전 공급하며 특정한 효과를 냄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보충사료, 단백질을 20%이상 함유하는 단백질사료, 곡류(감자·고구마 등)로 되어 주로 에너지를 공급하여 에너지사료라고도 하는 녹말사료, 지방함량이 15%이상인 지방질 사료, 조섬유의 함량이 20%이상인 섬유질사료와 그 밖에 소금·골분·인산칼슘제·무기물혼합제 등의 무기질 사료가 있고, 비타민사료·항생물질사료·아미노산사료 등이 있다. 이외에도 배합상태에 따라 단미사료, 혼합사료, 배합사료 등이 있는바, 이 배합사료가 주로 대규모 시설을 갖춘 사료공장에서 생산하는 것으로 양계장, 양돈용, 낙농용, 비육우용 등이 있고, 각종 가축의 성장단계별 배합사료도 생산, 판매하고 있어 양축가들이 이들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 배합사료에 의한 축산시 그로부터 얻어지는 고기에 각종 인체에 유해한 요소가 다량 함유되는 경우가 많으며, 콜레스테롤이 다량 함유된 상태에서 인체에 유입, 축적되어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각종 가축의 사료에 한방재료를 혼합하여 사육함으로써 한방재료가 갖고 있는 고유 효능에 의하여 질병 예방이나 육질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있어 왔다. 그러나, 닭은 다른 가축에 비하여 소형일 뿐 아니라, 환경에 무척 민감하게 반 응하므로 한방재료의 혼합이 적정하지 않을 경우 깃털이 빠지고 체력이 저하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었다. 즉, 사료에 각종 한약재나 효능이 있는 식품 등을 첨가할 경우에 과다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되어 닭의 건강상태에 악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인체의 보양이 되는 유황을 이러한 닭고기에 전이시켜 사람들이 유황을 간접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면 무엇보다 좋을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7-0058570호는 40 내지 60 중량%의 부평초, 20 내지 30 중량%의 죽여 및 20 내지 30 중량%의 나복자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약재혼합물과 상기 약재혼합물에 대하여 3 내지 8배 정도의 양의 유황을 정수에 투입하고, 5 내지 15시간 동안 진탕시킨 후, 고형분으로서의 유황만을 분리하여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분쇄하여 유황을 법제하며, 상기 법제된 유황 2 내지 10중량%, 모려분 0.5 내지 5 중량% 및 일반사료조성물 85 내지 97.5 중량%를 혼합하여 유황함유 사료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나, 상기 유황함유 사료는 유황 해독력이 우수한 오리에 대해서만 실시하고 있을 뿐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0-0024651호는 유황을 포공령 지방산으로 1차 제독한 후, 뽕나무 숯과 재로 2차 제독하는 유황법제를 기술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1차 제독된 유황을 녹두 추출액에 12시간 침지시킨 후 맑은 물에 수세한 다음, 검정콩 추출액에 12시간 다시 침지시킨 후 맑은 물에 수세한 다음, 익모초 추출액 50%와 용아초 추출액 50%의 혼합용액에 넣고 6시간 동안 끓인 다음, 맑은 물에 수세한 후 진침향 추출액에 6시간 끊인 다음, 맑은 물에 수세한 유황 100g당 조쇄한 상백탄 5g을 혼합하여 맑은 물에 6시간 동안 침전시키고, 침전물에서 유황을 분리하여 상탄재 50g과 1~2시간 혼합하여 탕제포대 자루에 다시 넣어 맑은 물에서 탕제기에서 끓인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잡물을 골라내고 건조함으로써 유황을 법제하는 복잡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유해성분이 제거된 유황을 양계사료와 혼합하여 가축, 특히 닭에게 공급함으로써 항생제 등을 투여하지 않고도 면역성을 높이는 한편, 육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복용이 가능하여 해독작용, 통증·염증 완화작용, 혈관팽창작용, 노화방지 및 양기를 회복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 닭 사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양계사료; 법제된 유황; 포도당; 고초균; 효모제; 메치오닌;을 일정량 혼합하여 닭에게 급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유황 양계사료는 종래 유황에 치명적으로 반응하는 닭과 같은 가금에 제공하여도 폐사함이 없이 유황이 닭 체내에 충분히 전이되도록 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유황닭을 통하여 법제된 유황을 간접적으로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인체에 보양이 되는 유황을 안전하게 체내에 축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료에 유황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암모니아 가스의 배출이 차단되고, 바닥이 건조하여 냄새가 나지 않으며, 유황성분에 의한 소독을 하는 한편, 유황성분이 섞일 수밖에 없는 계분은 과수나 농작물의 회생성을 강화하는 동시에 토양을 소독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유황 법제 방법으로 법제된 유황을 양계사료에 고루 혼합시킨 조성물에 관련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양계사료 조성물은 특히 포도당과 고초균, 효모제, 메치오닌을 더 혼합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유황 법제 방법은, 유황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유황용융단계;와, 상기 용융된 유황을 냉수와 목질점토(고령토) 또는 점토의 혼합액에 넣어 냉각제독시키는 냉각제독단계;와, 상기 냉각제독된 유황을 혼합액에서 분리하여 건조시키는 유황건조단계;와, 상기 유황용융단계, 냉각제독단계 및 유황건조단계를 일정 횟수 이상 반복하는 반복단계;와, 상기 건조되어 제독된 유황을 가루로 분쇄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루어지며, 이는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연상태로 존재하는 α황은 약 112.8℃의 용융온도를 가지므로 자연에서 채취된 분재 유황을 약 120℃로 가열하면 α황 상태의 유황은 용융하여 액상의 유황이 된다. 상기 냉각제독단계에서 목질점토(고령토)는 천연광물로써 그 입자가 극히 미세한 점토(고령토)로, 도자기나 각종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이러한 목질점토와 냉수의 배합비는 1~2 : 5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목질점토 대신 황토 또는 생강, 두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목질점토액에 용융된 유황을 급냉시키면 유황(α황)은 황갈색의 고무모양 물질로 변성되면서 목질점토액과 반응하여 점차 제독되게 된다. 24시간 후, 상기 목질점토액으로부터 유황을 분리하고, 자연건조 또는 건조기에서 유황을 건조하게 된다. 이때, 수분함량(함수율)은 약 5%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된 유황을 전술한 용융, 냉각제독, 건조 과정을 동일하게 실시하여 맹독성이 강한 유황을 식용이 가능한 법제 유황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법제된 유황도 그 양에 있어서 극히 소량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법제 유황과 포도당; 고초균; 효모제; 메치오닌;을 통상의 양계사료에 혼합하여 제조된다.
상기 고초균(枯草菌, Bacillus subtilis)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비병원성 세균으로, 특히 공기·마른 풀·하수·토양 속에 존재한다. 그 특성으로는 아포를 갖고 있어 저항력이 강하고, 균체는 글리코겐을 함유하는 그람양성균이며, 다수의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산을 생성한다. 또한, 30∼70℃에서 가장 잘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50∼56℃의 고온에서도 잘 발육하는 간균과의 호기성 세균이다.
상기 메티오닌(methionine)은 황을 함유하는 α아미노산의 일종으로, 특히 유황을 포함하는 사람의 필수아미노산 중 하나이다. 이는 단백질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자연 상태에서는 L-메티오닌이 있고, 생체내에서는 ATP와 반응하여 δ-아데노실메티오닌이 되어 메틸기 전이반응에 참여하는 특성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에 근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 1 : 유황 법제 방법>
분재로 된 황색의 유황을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용기에 넣고 밀폐시킨 후, 약 120℃로 30분 동안 가열하여 분재 유황을 용융시켰다.
상기 용융된 유황을 미리 준비하여 목질점토 혼합액(냉수:목질점토 = 5:1.2)에 부어 급냉시키고, 막대기로 일정시간 저어 유황이 목질점토 혼합액과 잘 섞이도록 하여 고무형상 유황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약 24시간 경과 후 막대기를 이용하여 고무형상 유황을 건져내고, 이를 건조기에 넣어 함수율이 약 5% 이내까지 되도록 건조시켰다.
상기 건조된 유황을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용융, 냉각 및 건조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여 건조된 법제 유황 덩어리를 얻었고, 상기 유황을 분쇄기에 넣고 약 300 메쉬(mesh) 이상으로 분쇄하여 최종적으로 법제된 유황을 생산하였다.
상기 법제 유황 가루를 시중에서 판매되는 통상의 양계사료와 0.10 ~ 0.40 : 100 중량%로 혼합하여 고루 섞어 유황 함유 양계사료를 제조하였다.
삭제
<실시 예 2 : 닭 사료의 제조 및 이를 이용한 닭 사육 실험>
닭 사육 소요일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사료를 공급하되, 기간별로 사료 성분을 달리하여 닭에게 급이 하도록 하였다. 또한, 닭의 총 사육일수를 35일로 하여 단계별로 진행하였다.
① 1 ~ 15일 기간
상기 기간은 최초 병아리 시기부터 기산하여 이후 15일 동안의 사육기간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는 부득이하게 항생제를 투여하여 병아리의 저항력을 높이도록 하였다.
② 16 ~ 20일 기간
상기 기간에는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았으며,
분말화된 통상의 양계사료 99.5 중량%, 법제된 유황 0.1 중량%, 포도당 0.2 중량%, 고초균 0.02 중량%, 효모제 0.16 중량%, 메치오닌 0.02 중량%을 혼합하여 닭에게 급이 하였다.
③ 21 ~ 35일 기간
상기 기간에도 역시 항생제를 투여하지 않았으며,
분말화된 통상의 양계사료 99.34 중량%, 법제된 유황 0.22 중량%, 포도당 0.22 중량%, 고초균 0.02 중량%, 효모제 0.18 중량%, 메치오닌 0.02 중량%을 혼합하여 닭에게 급이 하였다.
<실시 예 3 : 닭 사료의 급여 실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양계사료를 직접 닭에게 제공한 결과, 우선 사료에 항생제가 미투여되어 저항력이 증가 되었으며, 저합병이 강해 생존률이 증가되었다.
또한, 병아리 시기부터 15일간 투여된 항생제가 본 발명 양계사료의 섭취로 인해 결과적으로 무(無) 항생화 됨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사료 투여시 본 발명의 사료 투여시
생존률 95% 98%(3% 증가)
본 발명은 비교적 저항력이 약한 닭의 초기단계(16~20일)에는 통상의 양계 사료 배합비율을 높였으며, 이후 21일부터 닭의 완성단계인 35일까지는 통상의 양계사료 비율을 줄이고 대신 법제 유황의 비율을 높여 더욱 완성도 높은 닭으로 사육할 수 있었다.
삭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닭 사육방법에 있어서,
    항생제를 투여하여 15일 동안 사육하는 단계;와,
    통상의 양계사료 99.5 중량%, 법제된 유황 0.1 중량%, 포도당 0.2 중량%, 고초균 0.02 중량%, 효모제 0.16 중량%, 메치오닌 0.02 중량%을 혼합하여 닭에게 16일에서 20일까지 급이하는 단계;와,
    통상의 양계사료 99.34 중량%, 법제된 유황 0.22 중량%, 포도당 0.22 중량%, 고초균 0.02 중량%, 효모제 0.18 중량%, 메치오닌 0.02 중량%을 혼합하여 닭에게 21일에서 35일까지 급이하는 단계;를 거쳐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닭 사육방법.
KR1020080063501A 2008-07-01 2008-07-01 닭 사육방법 KR100886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01A KR100886623B1 (ko) 2008-07-01 2008-07-01 닭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501A KR100886623B1 (ko) 2008-07-01 2008-07-01 닭 사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623B1 true KR100886623B1 (ko) 2009-03-05

Family

ID=4069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501A KR100886623B1 (ko) 2008-07-01 2008-07-01 닭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6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47B1 (ko) * 2010-03-03 2010-11-26 농업회사법인 보원농업 주식회사 저지방ㆍ고단백 육계 생산을 위한 양계용 사료조성물
CN106922605A (zh) * 2017-01-22 2017-07-07 陆川县泉涌养殖场 一种土鸡的饲养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019B1 (ko) 1995-04-11 1998-06-15 훙 짜-파 양계법
WO2000021381A1 (en) * 1998-10-15 2000-04-20 Dsm N.V. Antimicrobial enzymes in animal fe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019B1 (ko) 1995-04-11 1998-06-15 훙 짜-파 양계법
WO2000021381A1 (en) * 1998-10-15 2000-04-20 Dsm N.V. Antimicrobial enzymes in animal fee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47B1 (ko) * 2010-03-03 2010-11-26 농업회사법인 보원농업 주식회사 저지방ㆍ고단백 육계 생산을 위한 양계용 사료조성물
CN106922605A (zh) * 2017-01-22 2017-07-07 陆川县泉涌养殖场 一种土鸡的饲养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2623A (ko) 동물 사료
CN104171416B (zh) 一种替代抗生素的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CN110637942A (zh) 一种富含氨基酸鸡蛋的蛋鸡预混料及生产方法和应用
CN101797016A (zh) 一种动物生长调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358133B1 (ko) 법제유황분말 제조방법 및 법제유황분말을 첨가제로 이용한 사료급이방법
CN101317627A (zh) 蛋鸡用乳酸菌饲料
CN101112221B (zh) 一种动物促生长的中草药饲料添加剂及其使用方法
KR101070993B1 (ko) 법제유황을 이용한 단미사료 및 그 단미사료의 제조방법
KR100791015B1 (ko) 유황 및 게르마늄을 주재료로 한 닭사료 조성물
CN103960531A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粪便中氮磷重金属排放的饲养方法
CN102084936B (zh) 生物蛋白浓缩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886623B1 (ko) 닭 사육방법
CN110833120A (zh) 一种饲料及其制备方法
KR100589714B1 (ko) 유황의 법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황닭사료
CN103975896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肉质中重金属抗生素残留的饲养方法
CN103907762A (zh) 全营养元素非蛋白动物饲料矿物添加剂
KR20040069487A (ko) 마늘성분을 포함하는 가금용 사료 및 가금용사료첨가조성물
KR101174318B1 (ko) 황토 및 맥반석을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624979A (zh) 一种仔猪保育前期配合饲料
KR100937552B1 (ko) 쑥을 이용한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540988B1 (ko) 육계용 보조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11513201A (zh) 一种中草药饲料生产无公害猪肉的方法
CN111700158A (zh) 一种以大蒜渣为载体的组合物及其应用
KR102321162B1 (ko) 황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아연 저감 사료용 보조제 조성물
RU2791554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выращивания рыбопосад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осетров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