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794A -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794A
KR20120137794A KR1020110056854A KR20110056854A KR20120137794A KR 20120137794 A KR20120137794 A KR 20120137794A KR 1020110056854 A KR1020110056854 A KR 1020110056854A KR 20110056854 A KR20110056854 A KR 20110056854A KR 20120137794 A KR20120137794 A KR 20120137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a buckthorn
seed extract
alcohol
buckthorn s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141B1 (ko
Inventor
윤문영
박정극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56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141B1/ko
Publication of KR20120137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첨가하고 저온상태에서 보관한 후 여과함으로써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응집시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추출물 내에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잔존하지 않아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산화제 또는 피부노화방지에 유용한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균제 또는 천연방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Seed extract of seabuckthor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갈매보리수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비타민나무, 산자나무 라고도 불리우며,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혹은 교목으로 6종 12아종이 있다. 갈매보리수나무는 높이가 2~4m 정도로 자라고, 암수가 따로 자라는 풍매화이며, 가지가 길고 갈색의 가시가 있으며, 잎은 은회색의 피침형으로 좁게 호생(互生)하고, 열매는 4월과 10월경에 수확한다. 갈매보리수나무는 중앙아시아에 위치한 알타이 산맥의 몽골 스텝 티벳고원이 원산지로, 유럽과 중앙아시아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몽골 및 내몽골 고비사막지역에 집중 서식하고 있다. 또한, 갈매보리수나무는 몽골의 청정고원 등 광과 열이 충족한 지역과 삼각주 등의 온습지역에서 생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척박, 염기, 조습, 저고온의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장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황토지역, 산석지역, 풍사지역 및 황량한 사막지역과 심지어 시베리아 북부 지역 등 고한지역에 천연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갈매보리수나무는 비타민류와 아미노산, 베타카로틴, SOD(superoxide dismutase), 사과산이나 구연산, 플라보노이드, 불포화 지방산, 미네랄 등 다량의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음이 세계 각국의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갈매보리수나무는 다양한 영양 성분 중에서도 특히 비타민류가 풍부하여 '비타민의 은행'이라고도 불리우며, 신진대사를 높이므로 다이어트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비타민나무 오일은 인체에 이로운 물질을 많이 내포하고 있으며, 인체 면역기능 향상, 피부질환, 호흡기 질환, 소화기계통 질환에 사용되고, 상처, 화상, 염증치료 효과가 뛰어나며, 각질과 비듬에 효과가 있고, 습기를 유지시켜주며, 자외선 차단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최근에는, 노화방지효과와 주름개선효과가 탁월하다는 보고가 입증되어 화장품 업계에서 최고의 천연원료로 대우받고 있는 유망수종이다. 또한, 내한성이 강하고 생육이 빠르며, 근류균 공생으로 질소고정능력이 뛰어나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 산림복원용, 경관작물 등의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져 있는 갈매보리수나무의 다양한 생리활성은 주로 잎, 열매, 뿌리, 줄기의 추출물에서 연구된 것으로, 갈매보리수나무의 씨앗 추출물에서의 생리활성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다.
갈매보리수나무의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에는 리놀레산(linoleic acid)과 알파-리놀렌산(α-linolenic acid) 등이 풍부하여 화장품과 보조식품 제조에 원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갈매보리수나무의 씨앗을 종래의 추출방법으로 추출하는 경우 지질성분이 10% 정도 함유되어 있어 종래의 추출방법으로는 지질성분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응집되어 침전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또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에 지질성분이 계속 잔존해 있기 때문에 의약품, 화장품, 식품 등의 제형으로 제조하는데도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에서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추출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에서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추출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첨가하고 저온상태에서 보관한 후 여과함으로써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응집시켜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며, 이렇게 제조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1)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분쇄한 후 C1~C4 알콜로 추출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가한 후 진공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을 얻는 단계,
3)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에 규조토를 1~50%(w/v) 가하고 -20℃ ~ 5℃의 냉장상태에서 30분~20시간 동안 보관한 후 진공여과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분쇄한 후 C1~C4 알콜로 추출한 다음, 규조토를 이용하여 진공여과 및 감압농축하고, 여기에 다시 규조토를 가하고 -20℃ ~ 5℃의 냉장상태에서 30분~20시간 동안 보관한 후 진공여과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1)단계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약 20~50mesh, 바람직하게는 약 30mesh 정도로 분쇄하고, 분쇄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10~30배량의 C1~C4 알콜에 침지하고 교반하면서 40~6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한다(2회 반복추출). 이때, C1~C4 알콜은 1~100% 메탄올, 1~100% 에탄올, 1~100% 프로판올 및 1~100%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00%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70~95% 에탄올이다.
상기 2)단계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을 얻는 단계로,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가한 후 진공여과하고 여과액을 고형분이 2.5~3.5%의 농도가 될 때까지 감압농축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을 얻는다.
상기 3)단계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얻는 단계로,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에 규조토를 1~50%(w/v), 바람직하게는 10~20%(w/v) 가하고 -20℃ ~ 5℃의 냉장상태, 바람직하게는 0℃ ~ 4℃의 냉장상태에서 30분~20시간, 바람직하게는 10~16시간 동안 보관한다.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을 냉장상태에서 보관하는 동안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응집된다. 냉장상태의 추출물을 진공여과하여 응집된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제거하고,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추출물 내에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잔존하지 않아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첨가하고 저온상태에서 보관한 후 여과함으로써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응집시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추출물 내에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잔존하지 않아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산화제 또는 피부노화방지에 유용한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균제 또는 천연방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과 함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1~10,000㎎/㎏, 바람직하게는 약 1~10㎎/㎏이며,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하여,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및 항균 효과를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바람직하게는 약 0.04~0.10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첨가하고 저온상태에서 보관한 후 여과함으로써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을 응집시켜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추출물 내에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잔존하지 않아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산화제 또는 피부노화방지에 유용한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균제 또는 천연방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내에서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의 잔존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은 몽골국립대학으로부터 제공받았다. 먼저,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햄머밀로 약 30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500g을 94% 에탄올((주) 대정화금) 20배에 침지하고 400~600rpm으로 교반하면서 40~6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2회 반복추출). 추출액을 와트만 No.2 여과지와 규조토 (celite 545, (주) 대정화금)를 이용하여 진공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이 2.5~3.5%의 농도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에탄올 추출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에탄올 추출 농축액에 규조토를 10~20%(w/v)로 첨가한 후 0~4℃의 냉장상태에서 16시간 동안 보관한 다음 진공여과하여 1ℓ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1 :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햄머밀로 약 30mesh 정도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500g을 94% 에탄올 20배에 침지하고 400~600rpm으로 교반하면서 40~6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2회 반복추출). 추출액을 진공여과하고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이 2.5~3.5%의 농도가 될 때까지 농축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내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의 잔존 여부 확인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내에서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내에서는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내에서는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본 발명의 추출과정 중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에탄올 추출 농축액에 규조토를 첨가하고 저온상태에서 보관한 후 여과함으로써 지질성분 및 용해도가 낮은 물질들이 응집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된 것으로 생각된다.
실험예 2 :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Bios MS(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r a stable free radical. 1958. Nature 181: 1990-2100)에 의해 제시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DPPH 0.118g을 1000㎖의 메탄올에 녹여 300μM DPPH 용액을 만들었다. 그 다음, ① 메탄올 2.5㎖ + DPPH 용액 1㎖ (A 값), ② 시료 2.5㎖ + 메탄올 1㎖ (B 값), ③ 시료 2.5㎖ + DPPH 용액 1㎖를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C 값) 시료를 준비하였다. 그 다음, 517㎚에서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BHA(tert-butyl hydroxyanisole, Sigma사 제품 (USA))를 사용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항산화 활성(AA%) = 100 - [(C-B)×100/A]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대조군 (BHA)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항균 활성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항균 활성 실험에 사용한 균주로는, 대장균(E. coli) KCCM 70030와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KCCM 11764 균주를 한국미생물 보존센터(KCCM)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KACC 10111, 슈도모나스 에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KACC 10232 균주를 한국 농용미생물 보존센터(KACC)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영양액체배지(Nutrient broth; 펩톤 0.5%, 쇠고기 추출물 0.3%, pH 7.0) 100㎖에 250㎍/㎖, 500㎍/㎖, 1000㎍/㎖ 및 2000㎍/㎖의 농도가 되도록 각각 첨가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에 배양된 각 균주의 배양액 100㎕를 접종한 후 진탕 배양기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lis) KACC 10111 균주는 30℃, 나머지 균주들은 37℃에서 200rpm의 조건으로 다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전과 후의 시료를 각각 100㎕씩 취한 후, 각 균주 별로 상기 조성의 배지에 한천 1.5%를 첨가하여 제조한 고체 배양배지에 접종하고 30℃와 37℃ 배양기에서 2일 동안 배양시키고 균주의 성장 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농도
(㎍/㎖)
E. coli
(KCCM 70030)
Bacillus subtillis
(KACC 10111)
Pseudomonas aeruginosa
(KACC 10232)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764)
2400 - - - -
1200 - - - -
600 - + + -
300 + + + +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대장균의 경우 300㎍/㎖, 바실러스와 슈도모나스의 경우 600㎍/㎖, 스타필로 코커스의 경우 300㎍/㎖ 이상의 농도로 처리되는 경우에 균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은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화장료 제제의 제조
1. 유연 화장수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10.00 중량부
1,3-부틸렌글리콜 1.00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중량부
알란토인 0.10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중량부
시트르산 0.01 중량부
소듐시트레이트 0.02 중량부
글리세레스-26 1.00 중량부
알부틴 2.00 중량부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중량부
에탄올 30.00 중량부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유연 화장수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2. 영양 크림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10.00 중량부
1,3-부틸렌 글리콜 7.0 중량부
글리세린 1.0 중량부
D-판테놀 0.1 중량부
식물 추출물 3.2 중량부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중량부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중량부
스테아르산 2.0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중량부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중량부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중량부
세테아릴알콜 3.0 중량부
미네랄오일 4.0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중량부
식물성 오일 1.8 중량부
디메치콘 0.4 중량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영양 크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20~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0.2~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0.5~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0.1~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5~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제제예 4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10~15%,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5~80%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었다.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고형분 2.5%, 97.16%), 대추 엑기스(65 brix, 2.67%), 과체복합 추출물(고형분 70%, 0.12%), 비타민 C(0.02%), 판톤텐산칼슘(0.02%), 감초 추출물(고형분 65%, 0.01%)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0.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0.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6)

1) 갈매보리수나무 씨앗을 분쇄한 후 C1~C4 알콜로 추출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물에 규조토를 가한 후 진공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을 얻는 단계,
3) 상기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알콜 추출 농축액에 규조토를 1~50%(w/v) 가하고 -20℃ ~ 5℃의 냉장상태에서 30분~20시간 동안 보관한 후 진공여과하여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C1~C4 알콜은 1~100% 메탄올, 1~100% 에탄올, 1~100% 프로판올 및 1~100%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1~C4 알콜은 1~10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의 제조방법.
제 1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항산화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조성물.
항균 활성을 갖는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0110056854A 2011-06-13 2011-06-13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854A KR101276141B1 (ko) 2011-06-13 2011-06-13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854A KR101276141B1 (ko) 2011-06-13 2011-06-13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794A true KR20120137794A (ko) 2012-12-24
KR101276141B1 KR101276141B1 (ko) 2013-06-18

Family

ID=4790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854A KR101276141B1 (ko) 2011-06-13 2011-06-13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614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3482A (zh) * 2017-11-24 2018-03-09 兰州新区福泽生物科技有限公司 沙棘蒙脱石洗手液及其生产工艺
FR3071742A1 (fr) * 2017-10-03 2019-04-0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ede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etique et/ou en nutraceutique
KR102050070B1 (ko) * 2019-03-29 2019-11-28 (주)알피바이오 산화안정성이 있는 유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캡슐제제
WO2020058923A1 (en) * 2018-09-20 2020-03-26 Medspa S.R.L. Anti-wrinkle composition
FR3097127A1 (fr) * 2017-10-03 2020-12-1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édé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étique et/ou en nutraceutique
KR102339573B1 (ko) * 2021-07-23 2021-12-20 주식회사 뉴트리원 반려 동물용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16B1 (ko) 2016-02-04 2016-06-23 충청남도 보리수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101710303B1 (ko) 2016-05-04 2017-02-24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보리수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 조성물
KR101850085B1 (ko) * 2016-08-10 2018-04-19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8484A (ja) * 1996-01-31 1997-08-12 Pola Chem Ind Inc 活性酸素消去剤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US6946154B2 (en) 2003-03-25 2005-09-20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Process for preparing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fraction from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KR101004361B1 (ko) * 2008-02-05 2010-12-28 삼성생약주식회사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20110057954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용 또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71742A1 (fr) * 2017-10-03 2019-04-05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ede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etique et/ou en nutraceutique
WO2019069007A1 (fr) * 2017-10-03 2019-04-11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édé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étique et/ou en nutraceutique
CN111148506A (zh) * 2017-10-03 2020-05-12 巴斯夫美容护理法国公司 在化妆品和/或营养保健品中使用Let-7b抑制剂的方法
FR3097127A1 (fr) * 2017-10-03 2020-12-18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Procédé d’utilisation d’un inhibiteur de Let-7b en cosmétique et/ou en nutraceutique
CN107773482A (zh) * 2017-11-24 2018-03-09 兰州新区福泽生物科技有限公司 沙棘蒙脱石洗手液及其生产工艺
WO2020058923A1 (en) * 2018-09-20 2020-03-26 Medspa S.R.L. Anti-wrinkle composition
KR102050070B1 (ko) * 2019-03-29 2019-11-28 (주)알피바이오 산화안정성이 있는 유지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캡슐제제
KR102339573B1 (ko) * 2021-07-23 2021-12-20 주식회사 뉴트리원 반려 동물용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141B1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141B1 (ko)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74267B1 (ko) 전복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항생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WO2005094860A1 (ja) 末梢血流改善剤
KR101611853B1 (ko) 항염증 활성이 우수한 섬쑥부쟁이 분획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활성화합물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39110B1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20160081205A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768830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개느삼 추출물
KR100758266B1 (ko) 숙취 해소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산구절초 추출물
KR102366919B1 (ko) 상지, 두충, 오가피 및 흑두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감소 억제 기능성 건강식품 조성물
KR101063351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20070113330A (ko) 곰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0989B1 (ko) 구절초 및 발효옻을 이용한 이너뷰티 음료의 제조방법
KR101806220B1 (ko) 상추꽃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012170B1 (ko) 바나나, 체리 및 호두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106187A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95015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대시키는 수경인삼의 재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수경인삼의 이용
KR102632060B1 (ko) 발아 흑미 및 발효 돼지감자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용 조성물
KR100758267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1712889B1 (ko) 양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8103B1 (ko) 아토피 피부염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