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557A - 리어시트 편의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시트 편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557A
KR20120136557A KR1020110055562A KR20110055562A KR20120136557A KR 20120136557 A KR20120136557 A KR 20120136557A KR 1020110055562 A KR1020110055562 A KR 1020110055562A KR 20110055562 A KR20110055562 A KR 20110055562A KR 20120136557 A KR20120136557 A KR 2012013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nk
tilting
hing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499B1 (ko
Inventor
김지원
김윤호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1005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49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후석 승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안락한 착좌 자세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시트 편의 장치로서, 전후방 이동 가능한 쿠션 프레임(2a); 쿠션 프레임(2a)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10); 백 프레임(10)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후방 회동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 상부 프레임(42)과 이에 힌지 결합된 하부 프레임(41)을 구비하는 서포트 프레임(40);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하부 프레임(41)에 대하여 전후방향 회동시키기 위한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를 포함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리어시트 편의 장치{APPARATUS FOR PASSENGER CONVENIENCE IN A REAR SEAT}
본 발명은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석 승객이 착좌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리어시트는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나 틸팅, 시트쿠션의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지 않다. 후석 승객의 경우 등을 뉘이거나 바로 세우는 등의 기본적인 편의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리어시트에 비해 프론트시트에는 리클라이닝, 틸팅, 슬라이딩 등 각종의 승객 편의용 메카니즘이 구비된다. 전석 이용율이 높고 후석은 공간적 제약이 있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후석에 주요 인사가 앉게 됨에도 시트 편의는 지나치게 전석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제안된 것으로, 후석 승객에게 전석 못지 않은 시트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리어시트 편의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리어시트 편의 장치의 설계에 있어, 프론트시트는 공간적인 여유가 있으며 비교적 자유로운 움직임이 허용됨에 비해 리어시트는 그렇지 못한 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리어시트의 설치 공간상의 특징을 활용하여 보다 비용 경제적이며 효과적으로 시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는,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전후방 이동 가능한 쿠션 프레임; 이 쿠션 프레임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 이 백 프레임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후방 회동시킬 수 있도록 백 프레임 후방에 설치된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 이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리클라이닝용 전동모터; 상기 백 프레임 전방에서 백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과 이에 힌지 결합된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서포트 프레임; 상기 백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서포트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을 하부 프레임에 대하여 전후방향 회동시키는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 및 이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에 동력을 제공하는 틸팅용 전동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어시트 편의 장치는 상기 쿠션 프레임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이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이 연동하여 수동적인 리클라이닝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는,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래킷; 이 마운팅 브래킷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일단과는 다른 각도로 후방 연장되는 제1 링크; 상기 백 프레임에 상단이 힌지 연결되며 상단에 또 다른 위치에서 제1 링크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2 링크; 및 이 제2 링크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마운팅 브래킷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제3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백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백 프레임에의 힌지 결합점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프레임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과는 다른 각도로 후방 연장되는 틸팅 링크; 및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틸팅 링크들의 후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바는 틸팅용 전동모터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드스크류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백 프레임 후방에 배치된 비교적 단순한 4절 링크 구조의 링크 어셈블리에 의해 백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리클라이닝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기존에 프론트시트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를 대체하여 리어시트의 공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음은 물론 비용 및 성능의 면에서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쿠션 프레임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에 연동하여 백 프레임이 수동적으로 동시에 리클라이닝됨은 물론 능동적으로도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으므로,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한 공간적 제약이 적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후석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착좌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는, 모듈화된 링크 어셈블리의 구조 및 제2 링크에 마련된 상단 개방형의 슬릿 구조로 인해 시트에의 조립, 교체 내지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백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 사이에 개재된 단순한 구조의 링크 어셈블리에 의해 백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틸팅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리어시트의 공간적 제약에도 불구하고 후석 승객에게 효과적으로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용 및 성능의 면에서 우수한 제품 경쟁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쿠션 프레임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움직임에 연동하여 서로 결합된 백 프레임과 서포트 프레임이 수동적으로 동시에 리클라이닝됨은 물론 능동적으로 서포트 프레임을 틸팅시킬 수 있으므로, 리어시트의 틸팅 작동을 위한 공간적 제약이 적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후석 승객에게 보다 편안한 착좌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는, 모듈화된 링크 어셈블리의 구조 틸팅 링크의 상단 개방형 절개홈의 인해 시트에의 조립, 교체 내지 수리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쿠션 프레임의 슬라이딩, 백 프레임의 리클라이닝 및 서포트 프레임의 틸팅의 복합적인 작동이 가능하여, 승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리어시트 편의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장치가 적용된 리어시트의 작동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의 장치에 대한 설명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리어시트의 내부 프레임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2는 리클라이닝 및 틸팅 작동 전, 도 3은 리클라이닝 및 틸팅 작동 후를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리클라이닝용 편의 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4는 리클라이닝 작동 전, 도 5는 리클라이닝 작동 후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의 개략도,
도 7은 도 4에 대응하는 것으로, 특히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의 세부 작동을 보인 도면,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것으로, 특히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의 세부 작동을 보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틸팅용 편의 장치를 보인 것으로, 도 9는 틸팅 작동 전, 도 10은 틸팅 작동 후를 보인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편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편의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의 작동 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편의 장치가 적용된 리어시트는, 시트쿠션(2)에 대한 시트백(1) 전체의 리클라이닝용 힌지 결합축(4)과, 시트백(1) 상단부를 하단부에 대해 전후방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틸팅용 힌지 결합축(5)을 구비한다.
상기 시트쿠션(2)은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시트쿠션(2)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연동하여 시트백(1)은 모터 구동에 의해 능동적으로 리클라이닝 및/또는 틸팅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작동은 후석 승객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편의를 제공하는 수단이 된다.
한편, 상기 시트백(1)의 하단은 시트쿠션(2)에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시트백(1)은 시트쿠션(2)의 전후방향 이동에 따라 수동적으로 연동하여 전후방향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수동적인 연동작동(수동적인 리클라이닝 작동)에 더하여 앞서 언급한 능동적인 연동작동(능동적인 리클라이닝 작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3은 헤드레스트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헤드레스트(3)는 상하방향의 이동 또는 전후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는, 시트백 프레임(10)을 쿠션 프레임(2a)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와, 시트백 프레임(10,40) 중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하부 프레임(41)에 대해 회동시키기 위한 틸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백 프레임(10)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3)를 고정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프레임(3a)이 설치된다. 헤드레스트 프레임(3a)의 구체적인 결합 및 작동 구조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하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구조의 헤드레스트 프레임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이해의 편의를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와 틸팅 장치를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리클라이닝 장치
먼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를 살펴본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는 쿠션 프레임(2a)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10)이 전동모터(3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에 의해 능동적으로 전후방 회동(리클라이닝)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쿠션 프레임(2a)은 모터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 메커니즘(2b)을 따라 전후방 이동 가능하며, 하단에 마련된 힌지 브래킷(14)에서 쿠션 프레임(2a)에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10)은 쿠션 프레임(2a)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동하여 수동적으로 리클라이닝 작동을 하게 된다.
예로서, 상기 백 프레임(10)의 하단 측이 쿠션 프레임(2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단 측은 하향 경사진 궤적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시트백(1)은 상대적으로 후방 리클라이닝된 형태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백 프레임(10)은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부재로서,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 하단에는 힌지 브래킷(14)과 이와 다른 위치에 놓인 결합 플랜지(15)가 구비된다.
상기 백 프레임(10)의 전방 측에는 승객의 등 부위를 직접 지지하는 서포트 프레임(40, 도 1 및 도 2 참조)가 배치되는데, 결합 플랜지(15)는 이 서포트 프레임(40)의 하단을 백 프레임(10) 하단에 결합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링크 어셈블리(20)는 백 프레임(10)의 후방에서 백 프레임(10)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어셈블리(10)를 차체(미도시)에 고정하기 위한 마운팅 부재(21)와 백 프레임(10)을 전후방 회동시키기 위한 링크들(22,24,25)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운팅 부재(21)는 백 프레임(10) 좌우에 날개 형태로 배치된 마운팅 브래킷(21a)과 이 마운팅 브래킷(21a)을 연결하는 백 플레이트(21b)가 일체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링크 어셈블리(20)는 모듈화되어 시트에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마운팅 브래킷(21a)은 링크들(22,24,25)를 차체에 고정하는 부재이자 4절 링크 중에서 하나의 링크 기능을 수행한다. 마운팅 브래킷(21a)이 차체에 단단히 고정된 상태에서 전동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나머지 링크들(22,24,25)이 백 프레임(10)을 전후방향 회동시키게 된다.
상기 백 플레이트(21b)는 단독(이 경우 마운팅 브래킷은 백 프레이트를 매개로 차체에 고정되는 관계에 있게 된다) 혹은 마운팅 브래킷(21a)과 더불어 링크 어셈블리(20)를 차체에 고정함과 아울러 전동모터(30)를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 기능을 한다.
상기 전동모터(30)의 회전축은 기어조립체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리드스크류(31)에 연결된다. 전동모터(30)는 정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그 회전방향에 따라 리드스크류(31)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위와 같은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는 백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지 않고 폭방향 중간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링크 구조에 의해 백 프레임(20)을 안정적으로 전후방향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필요로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리클라이닝용 링크들(22,24,25)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링크들(22,24,25) 중 제1 링크(22)는 마운팅 브래킷(21a)과 백 프레임(10)을 연결하는 상부의 링크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제1 링크(22)는 마운팅 브래킷(21a)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 결합점(22c)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제2 링크(25) 상단에 힌지 연결(22a)되며 타단은 일단과는 다른 각도로 후방 연장된다. 일단 측이 타단 측보다 길이가 길며, 일단과 타단 간의 끼인각은 대략 예각이 된다.
상기 링크들(22,24,25) 중 제3 링크(25)는 마운팅 브래킷(21a)과 백 프레임(10)을 연결하는 하부의 링크에 해당한다. 제3 링크(24)의 일단은 제2 링크(25)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마운팅 브래킷(21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25)는 백 프레임(10) 측에 배치되어 제1 링크(22)와 제2 링크(25)를 연결하여 이들과 함께 4절 링크 구조를 완성한다. 제2 링크(25)의 상단은 백 프레임(10)에 힌지 연결되는데, 상단에 또 다른 위치에서 제1 링크(22)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언급하였듯이, 제2 링크(25)의 하단에는 제3 링크(24)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링크(25)는 다소 독특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2 링크(25)의 상단이 힌지 연결되는 백 프레임(10)에는 힌지 돌기(12)가 형성되며, 이 힌지 돌기(12)가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25a)이 마련된다.
특징적으로 상기 슬릿(25a)의 상단은 개방되는데, 이 개방부 측의 양단부(25b)는 개방부를 통해 힌지 돌기(12)가 압입되어 쉽게 빠져 나오지는 못하며 힌지 돌기(12)의 대략 상하방향 이동은 허용하되 전후방향 이동은 제한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로서 상기 슬릿(25a)은 하단으로터 경사지게 상방향 연장되다가 개방부에서 각도가 꺽여 수직하게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절곡되는 부위에서의 슬릿 폭이 다른 부위에서보다 다소 작다. 힌지 돌기(12)는 양단부(25b) 사이에서 간섭되므로, 제2 링크(25)의 상단을 밀거나 당기면 백 프레임(10)의 상단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제1 링크(22)의 타단은 폭방향으로 배치된 가로바(23)에 의해 힌지 연결(22b)되며, 이러한 가로바(23)에 전동모터(30)의 리드스크류(31) 선단이 힌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바(23)와 리드스크류(31) 간의 힌지 연결점은 가로바(23)와 제1 링크(22)의 타단 간의 힌지 연결점(24)과 동축 선상에 놓이지 않는다. 리드스크류(31)의 전후방향 운동력이 도면부호 22c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하는 제1 링크(22)의 회전 운동력으로 효과적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로서, 상기 가로바(23)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힌지 브래킷(23a)이 마련되며, 리드스크류(31)의 선단은 힌지 브래킷(23a)을 매개로 가로바(23)에 힌지 결합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 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7은 상기된 링크 어셈블리(20)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전동모터(30)의 리드스크류(31)는 최대한 하방으로 당겨진 상태이며, 링크들(22,24,25)은 접혀져서 백 프레임(10)은 상단이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당겨져 있다.
도 8은 상기 링크 어셈블리(20)의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전동모터(30)의 리드스크류(31)는 최대한 상방으로 밀어 올려진 상태이며, 링크들(22ㅡ24,25)은 펼쳐져서 백 프레임(10)은 상단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밀쳐져 있다.
도 7에서 도 8의 상태로의 전개는, 상기 전동모터(30)가 작동하여 리드스크류(31)가 상방향 이동하면 이에 의해 제1 링크(22)가 도면부호 22c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2 링크(25)가 이에 연결된 힌지 돌기(12)를 잡고 백 프레임(10)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도 8에서 도 7의 상태로의 복귀는, 상기 전동모터(30)의 리드스크류(31)가 하방향 이동하여 제1 링크(22)가 힌지 결합점(22c)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힌지 돌기(12)를 후방으로 끌어 당기고, 이에 의해 백 프레임(10)이 후방으로 회동되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백 프레임(10)의 전후방 회동 과정에 힌지 돌기(12)의 이동궤적은 직선보다는 호(arc) 형태가 된다. 제2 링크(25)의 슬릿(25a), 특히 상단의 개방부 측은 이러한 힌지 돌기(12)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여유 공차를 제공한다.
한편, 제2 링크(25)의 슬릿(25a)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길이방향 하단까지 연장된 특징을 갖는다. 쿠션 프레임(2a)이 전후방 이동함에 따라 이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10)이 수동적으로 연동하게 되는데, 슬릿(25a)은 이러한 과정에 차체에 고정된 링크 어셈블리(20)에 대한 백 프레임(1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는 기능을 한다.
미설명 부호 11은 앞서 언급된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하부 프레임(41)에 대해 전후방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 도 2 및 도 3 참조)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 브래킷이며, 미설명 부호 52는 이의 힌지 결합축을 나타낸다.
일례로서 상기 쿠션 프레임(2a)이 전방 슬라이딩할 경우, 이에 연결된 백 프레임(10)은 하단 측부터 전방으로 함께 슬라이딩되어 전체적으로 사선방향으로 하향하게 되는데, 이때 제2 링크(25)의 슬릿(25a)은 힌지 돌기(12)가 제2 링크(25)에 의해 간섭받지 않도록 한다.
틸팅 장치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장치를 살펴본다.
도 9 및 도 10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장치는 백 프레임(10)의 전방에 배치된 서포트 프레임(40)이 이들 프레임(10,40) 사이에 개재된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에 의해 틸팅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백 프레임(10) 대략 사각의 프레임 구조를 가지며, 프레임 하단에는 쿠션 프레임(2a, 도 2 및 도 3 참조)에 힌지 연결을 하기 위한 힌지 브래킷(14)이 마련되며, 하단 또 다른 위치에는 서포트 프레임(40)과 볼팅 고정하기 위한 제1 결합 플랜지(15)가 마련된다.
상기 백 프레임(10)의 후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링크 어셈블리는 차체에 후단이 고정되어 모터 구동력에 의해 백 프레임(10)을 하단 힌지 브래킷(14)을 기준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2a)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시키는 기능을 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2는 위의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50)가 백 프레임(10)을 잡고 전후방향 회동시키기 위해 백 프레임(10)에 마련되는 힌지 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40)은 승객의 등(back)을 직접 지지하는 부재로서 틸팅용 힌지 결합축(43)을 기준으로 상부 프레임(42)과 하부 프레임(41)으로 구분되며, 하단에는 백 프레임(10)의 제1 결합 플랜지(15)에 대응하는 제2 결합 플랜지(45)가 마련된다.
상기 틸팅용 전동모터(50)는 브래킷(13)을 매개로 백 프레임(1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는 이 전동모터(5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틸팅용 힌지 결합축(43)을 기준으로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전후방 회동, 즉 틸팅 작동시킨다.
상기 틸팅용 전동모터(60)의 회전축은 기어조립체를 매개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리드스크류(61)에 연결된다. 전동모터(60)는 정역방향 구동 가능하며 그 회전방향에 따라 리드스크류(61)는 상방향 또는 하방향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백 프레임(10)과 서포트 프레임(40)은 하단 측에서 결합 플랜지(15,45)에 의해 결합되며 상단 측에서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에 의해 결합된다. 그리고 백 프레임(10)의 하단은 힌지 브래킷(14)에 의해 쿠션 프레임(2a)에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에 따라, 상기 쿠션 프레임(2a)이 슬라이딩 레일(2b)을 따라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수동적으로 백 프레임(10) 및 서포트 프레임(40)이 리클라이닝 동작을 하게 된다.
예로서, 상기 백 프레임(10)의 하단 측이 쿠션 프레임(2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단 측은 하향 경사진 궤적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이에 따라 시트백(1)은 상대적으로 후방 리클라이닝된 형태가 된다.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서포트 프레임(40)의 틸팅 작동을 위한 링크 어셈블리(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50)는 백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된 틸팅 링크(51)와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이들 틸팅 링크(51)를 힌지 연결하는 가로바(54)를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틸팅 링크(51)는 백 프레임(10)의 힌지 브래킷(11)에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데, 이 힌지 결합점(52)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51a)은 일단과는 다른 각도로 후방 연장된다.
상기 틸팅 링크(51)의 타단(51a)에는 가로바(54)의 양단이 각각 힌지 연결된다. 틸팅 링크(51)의 가로바(54)에의 힌지 결합점(53)은 백 프레임(10)에의 힌지 결합점(52)와 동축선상에 놓이지 않으며, 후방에 놓인다. 가로바(54)에 힘이 상하방향의 힘이 가해지면 힌지 결합점(52)을 중심으로 틸팅 링크(51)가 회전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로바(54)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된 힌지 브래킷(55)이 마련되며, 틸팅용 전동모터(60)의 리드스크류(61) 선단이 이 힌지 브래킷(55)을 매개로 가로바(54)에 힌지 결합된다. 이 힌지 결합점(56)은 가로바(54)와 틸팅 링크(51) 간의 힌지 결합점(52)과 동축상에 놓이지 않고, 후방에 놓인다(도 13 참조).
위와 같이 틸팅 링크(51), 백 프레임의 힌지 브래킷(11) 및 가로바(54) 간의 힌지 결합점(52,53,56)은 서로 동축상에 놓이지 않으며, 이러한 배치는 리드스크류(61)로부터의 작동력이 틸팅 링크(51)를 효과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링크 어셈블리(50)는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틸팅 링크들(51)의 일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로드(38)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각 틸팅 링크(51)는 일단의 또 다른 위치에서 서포트 프레임(40)에 힌지 연결된다.
예로서, 상기 백 프레임(10)의 상부 프레임(42)에는 상단이 압입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힌지핀(58)을 구비하는 힌지 브래킷(57)이 설치되며, 틸팅 링크(51)의 일단이 이 힌지핀(58)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 링크(51)의 일단에는 힌지핀(58)이 삽입 가능하게 오목하게 패인 절개홈(51b)이 마련된다. 틸팅 링크(51)의 절개홈(51b) 측 양단부는 상부로부터 로드(38)가 압입되어 쉽게 빠져 나오지는 못하며 힌지핀(58)의 대략 상하방향 이동은 허용하되 전후방향 이동은 제한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위와 같은 틸팅 링크(51) 일단 측의 힌지 연결구조에 의하면, 링크 어셈블리(50)를 일체로 모듈화하여 시트에 조립, 교체 또는 수리하기에 편리하며, 원활한 작동력의 전달을 보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틸팅 장치의 작동 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 및 도 11은 상기된 링크 어셈블리(50)의 작동 전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전동모터(60)의 리드스크류(61)는 하방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이며, 틸팅 링크(51)는 힌지 결합점(52)를 중심으로 후방 회동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는 상기 링크 어셈블리(50)의 작동 후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전동모터(60)의 리드스크류(61)는 상방으로 최대한 밀어 올려진 상태이며, 틸팅 링크(51)는 힌지 결합점(52)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되어 있다.
도 9 및 도 11의 상태에서 도 10 및 도 12의 상태로의 전개는, 상기 전동모터(660)가 작동하여 리드스크류(61)가 상방향 이동하면 이에 의해 가로바(54)가 상방향으로의 작동력을 받고, 이에 따라 틸팅 링크(51)가 전방으로 회동하여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틸팅용 힌지 결합축(43)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틸팅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0 및 도 12의 상태에서 도 9 및 도 11의 상태로의 복귀는, 위 전개과정의 반대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상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 장치 및 틸팅 장치에 관한 개별적인 설명을 마치고,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된 도 2 및 도 3과 더불어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의 종합적인 작동을 살펴본다.
도 15에서 보듯이, 실시예에 따른 리어시트 편의 장치에 의하면, 상기 쿠션 프레임(2a)이 슬라이딩 레일(2b)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에 수반하여 하단의 힌지 브래킷(14)이 쿠션 프레임(2a)에 힌지 고정된 시트백 프레임(10,40)이 수동적으로 하단부터 전방 측으로 이동한다.
위와 같은 수동적 리클라이닝 작동 과정에 백 프레임(10)에 마련된 힌지 돌기(12, 도 8 참조)는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의 제2 링크(25)에 마련된 슬릿(25a)을 따라서 거의 슬릿(25a)의 하단 끝 지점까지 하향 이동한다.
상기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은 마운팅 브래킷(21a)에서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릿(25a)은, 백 프레임(10)의 수동적인 리클라이닝 작동 과정에 백 프레임(10)이 링크 어셈블리(20)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전동모터(30)에 의한 능동적인 리클라이닝 작동 과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5 및 도 16에서 보듯이, 상기 쿠션 프레임(2a)의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에 의한 백 프레임(10)의 리클라이닝,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에 의한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의 틸팅, 이 세가지 작동은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 보듯이, 쿠션 프레임(2a)이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이와 동시에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가 펼쳐지면서 시트백 프레임(10,20)을 전방으로 리클라이닝시키고 또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가 펼쳐지면서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전방으로 틸팅시키는 작동이 가능하다.
위와 같이 시트의 복합적인 작동이 가능해짐에 따라 승객의 요구에 부합하는 리어시트 편의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고 또 이것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2a: 쿠션 프레임 3a: 헤드레스트 프레임
10: 백 프레임 20: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
21: 마운팅 부재 21a: 마운팅 브래킷
22: 제1 링크 23: 가로바
24: 제3 링크 25: 제2 링크
25a: 슬릿 30: 리클라이닝용 전동모터
40: 서포트 프레임 41: 하부 프레임
42: 상부 프레임 50: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
51: 틸팅 링크 54: 가로바
57: 힌지 브래킷 58: 힌지핀
60: 틸팅용 전동모터 61: 리드스크류

Claims (11)

  1. 슬라이딩 레일(2b)을 따라 전후방 이동 가능한 쿠션 프레임(2a);
    상기 쿠션 프레임(2a)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10);
    상기 백 프레임(10)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후방 회동시킬 수 있도록 백 프레임(10) 후방에 설치된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
    상기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에 동력을 제공하는 리클라이닝용 전동모터(30);
    상기 백 프레임(10) 전방에서 백 프레임(10)에 결합되며, 상부 프레임(42)과 이에 힌지 결합된 하부 프레임(41)을 구비하는 서포트 프레임(40);
    상기 백 프레임(10)과 서포트 프레임(40) 사이에 개재되어, 서포트 프레임(40)의 상부 프레임(42)을 하부 프레임(41)에 대하여 전후방향 회동시키는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 및
    상기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에 동력을 제공하는 틸팅용 전동모터(60);를 포함하며,
    상기 쿠션 프레임(2a)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이에 하단이 힌지 결합된 백 프레임(10)이 연동하여 수동적인 리클라이닝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는,
    차체에 고정된 마운팅 브래킷(21a);
    상기 마운팅 브래킷(21a)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이 힌지 결합점(22c)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방으로 연장되며 타단은 일단과는 다른 각도로 후방 연장되는 제1 링크(22);
    상기 백 프레임(10)에 상단이 힌지 연결되며 상단에 또 다른 위치에서 제1 링크(22)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제2 링크(25); 및
    상기 제2 링크(25)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마운팅 브래킷(21a)의 하단에 힌지 결합된 제3 링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용 링크 어셈블리(20)는 백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 제1 링크의 타단은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된 가로바(23)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이 가로바(23)는 리클라이닝용 전동모터(30)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드스크류(31)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25)의 상단이 힌지 연결되는 백 프레임(10)에는 힌지 돌기(1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링크(25)에는, 쿠션 프레임(2a)이 전후방 슬라이딩 시 이에 연동하는 백 프레임(10)의 움직임에 따라 힌지 돌기(12)가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25a)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릿(25a)의 상단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로바(23)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된 힌지 브래킷(23a)이 마련되며,
    상기 리드스크류(31)의 선단은 힌지 브래킷(23a)을 매개로 가로바(23)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10) 좌우 양측에 배치된 마운팅 브래킷(21a)은 이들을 연결하는 백 플레이트(21b)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리클라이닝용 전동모터(30)는 백 플레이트(21b)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는,
    상기 백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백 프레임(10)에의 힌지 결합점(52)을 기준으로 일단은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프레임(40)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과는 다른 각도로 후방 연장되는 틸팅 링크(51); 및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틸팅 링크들(51)의 후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가로바(54);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바(54)는 전동모터(30)에 의해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리드스크류(31)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20)의 가로바(54)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된 힌지 브래킷(57)이 마련되며,
    상기 리드스크류(61)의 선단은 힌지 브래킷(57)을 매개로 가로바(54)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는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틸팅 링크들(51)의 일단에 각각 힌지 결합된 로드(38)를 더 포함하며,
    각 틸팅 링크(51)는 일단의 또 다른 위치에서 서포트 프레임(40)에 힌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틸팅용 링크 어셈블리(50)는 백 프레임(10)에 상단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힌지핀(58)을 구비하는 힌지 브래킷(57)을 더 포함하며,
    상기 틸팅 링크들(51)의 일단에는 힌지핀(58)이 삽입 가능하게 오목하게 패인 절개홈(51b)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20110055562A 2011-06-09 2011-06-09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125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62A KR101252499B1 (ko) 2011-06-09 2011-06-09 리어시트 편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5562A KR101252499B1 (ko) 2011-06-09 2011-06-09 리어시트 편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557A true KR20120136557A (ko) 2012-12-20
KR101252499B1 KR101252499B1 (ko) 2013-04-09

Family

ID=4790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5562A KR101252499B1 (ko) 2011-06-09 2011-06-09 리어시트 편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95Y1 (ko) * 2015-10-07 2017-02-13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틸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231B1 (ko) * 2014-12-08 2016-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24915B1 (ko) 2015-10-02 2017-04-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4517Y2 (ja) * 1990-10-13 1997-04-30 天龍工業株式会社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KR19990001460U (ko) * 1997-06-19 1999-01-15 김영귀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각도 가변장치
JP4144073B2 (ja) * 1998-07-16 2008-09-0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中折れ式シート
JP5239031B2 (ja) * 2007-10-22 2013-07-17 日本発條株式会社 リアシート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595Y1 (ko) * 2015-10-07 2017-02-13 현대다이모스(주) 시트백 틸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499B1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JP5087975B2 (ja) 車両用シート
CN109689425B (zh) 车辆座椅
CN111601732A (zh) 便捷进入的车辆座椅
JP6060826B2 (ja) シートバック連動式オットマン装置
JP416372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7628449B2 (en) Vehicle seat, in particular a motor vehicle seat
KR101884741B1 (ko) 래치회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210031037A (ko) 차량용 후석 시트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20230020154A (ko) 자동차용 시트
KR101252499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1252497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JP65992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9274646A (ja) アームレスト支持構造
CN101507555B (zh) 靠头装置及带该靠头装置的活动座椅
JP2016049961A (ja) 車両用後席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326505B1 (ko) 차량용 후석 시트백 리클라이너
CN218892464U (zh) 零重力车辆座椅及座椅骨架
KR101252498B1 (ko)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JP5589833B2 (ja) 車両用シート
US11970090B2 (en) Railless variable seatback type rear seat
KR20150045020A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틸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