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400A -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400A
KR20120136400A KR20127027331A KR20127027331A KR20120136400A KR 20120136400 A KR20120136400 A KR 20120136400A KR 20127027331 A KR20127027331 A KR 20127027331A KR 20127027331 A KR20127027331 A KR 20127027331A KR 20120136400 A KR20120136400 A KR 20120136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tor
windings
switches
operating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702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380B1 (ko
Inventor
크리슈티안 군젤만
마티아스 페르넨겔
니꼴라 브뤼앙
리오넬 기샤르
미셸 파레뜨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3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for reaction to failures, e.g. limp ho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5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 B62D5/0481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 B62D5/0487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trol features of the drive means as such monitoring the steering system, e.g. failures detecting motor faul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32Preventing damage to the motor, e.g. setting individual current limits for different drive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02P6/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in a bridge configu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G01R31/42AC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5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with means for allowing continuous operation despite a fault, i.e. fault tolerant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그 전기 모터의 권선들은 6개의 스위치들로 인버터에 의해 작동되고, 여기서, 결함 스위치들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유닛이 제공되고, 인버터의 출력들에서의 전압 측정을 위해 일 유닛이 제공되고,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권선들에 대한 펄스폭 변조식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이크로 제어기가 제공된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1, 12, 13, 14, 15, 16) 는 전기 모터 (1) 의 토오크가 전기 모터 (1) 의 동작 방향에 대향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1, 12, 13, 14, 15, 16) 가 식별된 후, 권선들 (U, V, W) 은, 평균적으로 포지티브인 모터 모멘트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작동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전기 모터 (1) 의 작동 기간은 복수의 섹터들 (S1 내지 S12) 로 세분되고, 여기서, 결함 스위치 (예를 들어, 16) 에 의존하여, 권선들 (U, V, W) 을 작동시키는 개별 섹터들 (S1, S2, S11, S12) 은, 다른 섹터들 (S3 내지 S8) 이 권선들 (V, W) 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된다.

Description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METHOD FOR OPERATING A BRUSHLESS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그 전기 모터의 권선들은 6개의 스위치들로 인버터에 의해 작동되고, 여기서, 결함 스위치들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유닛이 제공되고, 인버터의 출력들에서 전압 측정을 위해 일 유닛이 제공되고, 스위치들을 제어하고 권선들에 대한 펄스폭 변조식 전원을 발생시키기 위해 마이크로 제어기가 제공된다.
DE 10 2010 000 852 A1 은 결함 스위치를 위치결정하고 결함의 본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사전에 공지된 방법은, 결함 스위치가 결함성으로 스위치드-온 (switched on) 또는 스위치드-오프되는지를 검출한다.
브러시리스 모터들을 작동시키는 인버터들은 일반적으로 6개의 스위치들로 이루어진다. 결함 이후, 각각의 스위치는 원칙적으로 2가지 상이한 특성들, 즉, 스위치드-오프 (즉, 열린 스위치 위치에서 블로킹됨) 또는 스위치드-온 (즉, 닫힌 스위치 위치에서 블로킹됨) 을 가질 수 있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는 또한 일반적으로 단락 회로로서 지칭된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는 전기 모터의 토오크가 전기 모터의 동작 방향에 대향되게 한다. 또한, 특히,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긴급 모드에서 전기 모터를 계속 동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결함 스위치의 효과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성화된 특징들을 갖는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이러한 점에서,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가 식별된 이후, 평균적으로 포지티브인 모터 모멘트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권선들이 작동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전개에 따르면, 전기 모터의 작동 기간은 복수의 섹터들로 세분되고, 여기서, 결함 스위치에 의존하여, 권선들을 작동시키는 개별 섹터들은, 다른 섹터들이 권선들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동 기간은 12개의 섹터들로 세분되고, 여기서, 각각의 섹터는 30°에 대응한다.
더 유리한 전개는,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가 또한 노멀 모드에서 닫히는 그러한 섹터들에서 권선들이 작동됨을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결함 스위치의 효과들을 상쇄시키는 전압값들은 작동에 사용되는 섹터들의 권선들에 적용됨이 제공된다.
스위치들은 스위치 쌍들로 결합되고, 스위치 쌍의 스위치가 결함성으로 스위치드-온될 경우 스위치 쌍은 더 이상 작동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다음의 방법 단계들이 다음의 방법 단계들에 의한 방법에 따라 제공된다:
?결함 스위치를 식별하는 단계;
?결함 스위치가 결함성으로 스위치드-온 또는 스위치드-오프되는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권선들을 섹터 단위로 작동시키는 단계.
전기 모터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기간 이후 또는 안전한 외부 상태가 존재하면 스위치드-오프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다음의 텍스트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시될 수 있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의 권선들 및 인버터의 개략적인 개요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의 효과들을 명확히 하기 위한 측정 값들을 갖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은 전기 모터의 작동 기간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방법을 고려한, 도 2 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방법이 사용되는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각도 및 스티어링 모멘트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 는 또다른 스티어링 방법인 경우의 도 5a 및 도 5b 에 대응하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은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디바이스의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그 모터의 권선들 (U, V, W) 은 인버터 (2) 에 의해 작동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인버터 (2) 는 6개의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을 가지며, 여기서, 도 1 에 있어서의 상위 스위치들 (11, 12, 13) 은 포지티브 공급 전압과 연관되고, 도 1 에 있어서의 하위 스위치들 (14, 15, 16) 은 네거티브 공급 전압과 연관된다. 따라서, 예로서, 스위치들 (11 및 14) 은 권선 (V) 에 적절한 공급 전압을 공급한다. 권선들 (U, V, W) 은, 마이크로 제어기 (C) 에 의해 미리 정의된 펄스폭 변조식 전압값들 (PWMU, PWMV, PWMW) 에 의해 작동된다. 도 1 로부터 또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지티브 공급 전압과 연관된 스위치들 (11, 12, 13) 과 네거티브 공급 전압과 연관된 스위치들 (14, 15, 16) 사이에 탭핑부 (17, 18, 19) 들이 존재하며, 이 탭핑부들에서, 권선들 (U, V, W) 에 걸친 전압은 탭핑 오프되고 전압 측정용의 유닛 (B) 에 공급된다. 전압 측정용의 유닛 (B) 로부터의 측정 결과들은 마이크로 제어기 (C) 에 공급되고, 이 마이크로 제어기 (C) 는 한편으로는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을 제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압 측정 유닛 (B) 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평가한다. 부가적으로, 결함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을 식별하기 위해, 식별 유닛 (A) 이 제공된다. 유사하게, 식별 유닛 (A) 에 의해 생성된 정보는 평가를 위해 마이크로 제어기 (C) 에 공급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제로,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은 반도체 스위치들, 더 정확하게는, 트랜지스터들 또는 MOSFET들로부터 형성된다. 실제로, 식별 유닛 (A) 은 브리지 드라이버로서 형성되고, 트랜지스터들로서 형성된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에 걸친 전압을 인가하며, 트랜지스터의 스위치 위치가 변하는지를 체크한다. 실제로, 탭핑부들 (17, 18, 19) 에서의 전압 측정용의 유닛 (B) 은 전압 분배기로서 형성되고, 펄스폭 변조식 전압의 듀티 사이클을 결정한다. 이 경우, 듀티 사이클은 펄스 지속기간 및 기간 지속기간의 몫에 대응한다.
각각의 스위치 (11, 12, 13, 14, 15, 16) 는 원칙적으로 2가지 상이한 타입들의 결함을 가질 수 있으며, 즉, 결함 이후, 원칙적으로 하기의 2가지 상태들, 즉, 결함성의 스위치드-오프 (즉, 열린 스위치 위치에서 블로킹됨) 또는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즉, 닫힌 스위치 위치에서 블로킹됨) 중 하나에 있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1, 12, 13, 14, 15, 16) 는 또한 일반적으로 단락 회로로서 지칭된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1, 12, 13, 14, 15, 16) 는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디바이스의 동작에서 본질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고장 이벤트가 다음의 텍스트에서 가정된다. 도 1 에 따른 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권선 (U) 과 연관된 스위치 (16) 는 결함성의 스위치드-온으로서 도시된다.
특히,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디바이스에서와 같은 안전 관련 애플리케이션들에 있어서, 전기 모터 (1) 를 긴급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매우 신속히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의 고장 이벤트는, 고장인 경우에 있어서 차량 오퍼레이터가 제너레이터 모드에서 전기 모터 (1) 를 이동하기 때문에 증가된 스티어링 모멘트를 야기하고, 그렇게 하면서, 스티어링 휠에서의 스티어링 이동을 직접 상쇄하는 전류를 유도한다. 차량 오퍼레이터에 의한 회전의 방향을 상쇄하는 이러한 모멘트는 다음의 텍스트에서 제동 모멘트로서 지칭된다. 회전 속도에 의존하는 제동 모멘트는 인버터 (2) 의 단락 회로에 의해 영구적으로 여기된 동기식 머신에서 생성된다.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6) 및 스위치들 (14, 15) 의 바디 다이오드들에 의해, 모터 권선들 (U, V, W) 을 통한 유도로 전력 접속이 발생한다.
도 2 는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6) 를 갖는 전기 모터 (1) 에서 기록되었던 측정값들을 갖는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사인파 곡선은 회전하는 전기 모터 (1) 의 상이한 모터 위상들을 나타낸다. 하나의 작동 기간은 2Π 또는 360°이다. 도 2 의 그래프의 하위부는 3개의 모터 권선들 (U, V, W) 에서의 유도 전류들 (Iinduced) 을 도시한다. 상위 절반은 전기 모터 (1) 의 토오크 (Mmotor) 를 도시한다. 유도 전류들 (Iinduced) 은 모터 모멘트 (Mmotor) 가 대략 180°의 각도 범위에서 값 (Mbrake) 에 도달하게 한다. 동시에, 어떠한 전류들도 유도되지 않는 각도 범위들에서의 모터 모멘트 (Mmotor) 는 0 Nm 으로 떨어지지 않고 잔여 레벨 (Mfriction) 을 보유함을 또한 알 수 있다. 유도 전류 (Iinduced) 는 오직, 대략 180°의 제한된 각도 범위에서만 흐른다. 나머지 각도 범위에 있어서, 전기 모터 (1) 는 전원차단되고, 어떠한 교란하는 제동 모멘트도 작동하지 않는다.
비록 전기 모터 (1) 의 작동이 중지되었지만, 전기기계식 스티어링 디바이스의 경우에 있어서 과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고, 스티어링 휠의 회전에 의해, 차량 오퍼레이터는 스티어링 휠의 그 회전을 상쇄하는 새로운 전류들 (Iinduced) 을 계속 유도할 것이다. 따라서, 전기 모터 (1) 의 작동을 스위치 오프하는 것이 유리하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고장이 발생할 경우 노멀 모드에서의 전기 모터 (1) 의 계속된 작동은 극히 높은 모터 전류들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는 시스템에서의 파괴의 추가적인 실례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6) 에도 불구하고, 노멀 모드에서 계속된 작동을 회피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스위치드-온 상태에서 블록킹된 스위치 (16) 에 의해 야기된 단락 회로를 제거하기 위해,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6) 인 경우에 있어서 안전 스위치를 개방하는 해결책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안전 스위치는 예를 들어, 권선들 (U, V, W) 의 스타 포인트 (star point; 3) 에 배열되고, 스타-포인트 릴레이로서 또한 지칭된다. 안전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차량 오퍼레이터의 일부에 대한 증가된 스티어링 노력이 감소된다. 하지만, 차량 오퍼레이터는 여전히, 전기 모터 (1) 로부터의 임의의 더 많은 스티어링 보조를 받지 못한다.
대조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은, 스타 포인트 (3) 의 개방이 생략되고 전기 모터 (1) 가 긴급 모드에서 계속 동작함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6) 가 식별된 후, 평균적으로 포지티브인 모터 모멘트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권선들 (U, V, W) 이 작동됨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모터 (1) 의 작동 기간은 각각의 경우에 30°의 12개의 섹터들 (S1 내지 S12) 로 세분된다.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중 어느 것이 결함성으로 스위치드-온되는지에 의존하여, 개별 섹터들은, 다른 섹터들이 권선들 (U, V, W) 을 작동하는데 사용되는 동안에 비활성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경우, 다른 8개의 섹터들 (S3 내지 S10) 이 권선들 (U, V, W) 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동안, 권선 (U) 의 하위 스위치 (16) 는 결함성으로 스위치드-온되고 권선들 (U, V, W) 을 작동시키는 4개의 섹터들 (S1, S2, S11, S12) 은 비활성화된다. 이들 섹터들에서 권선들 (U, V, W) 을 작동시키는 것은 전기 모터 (1) 의 의도된 동작 방향에 대해 반대로 작동하는 제동 모멘트의 제동 효과를 더 증가시킬 것이기 때문에, 패시브 섹터들 (S1, S2, S11, S12) 은 작동에 사용되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결함 스위치가 또한 스위치드 온이 될, 즉, 닫히게 될 그러한 섹터들은 전기 모터 (1) 의 노멀 모드에서 활성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들은 좌측 절반 평면에서의 섹터들 (S3 내지 S10) 이다. 이는 라벨들 (010, 011 및 001) 에서 초기 제로들로부터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첫번째 자리는 권선 (U) 을 나타내고, 제로는 하위 스위치 (16) 가 스위치드-온됨을 즉 닫히게 됨을 의미한다. 부가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바로 인접한 2개의 섹터들 (S10 및 S3) 은 권선들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원칙적으로, 결함을 갖는 스위치 쌍의 2개의 스위치들 (13, 16) 은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스위치 쌍들 (11, 14; 12, 15) 의 나머지 4개의 스위치들 (11, 12, 14, 15) 은 사전에 정의된 방식에 따라 8개의 액티브 섹터들 (S3 내지 S10) 에서 작동된다. 작동 방식은 전기 모터 (1) 의 회전 방향에 의존한다. 이 경우, 작동 방식은 시스템의 동작 상태, 예를 들어, 차량 속도, 스티어링 휠 각도, 차량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 및 온-보드 전원 전압에 의존하여 변경될 수 있다. 액티브 섹터 (S3 내지 S10) 내에서, 정의된 전압값들은 인버터 (2) 의 스위치들을 통해 권선들 (V 및 W) 에 걸쳐 적용된다.
도 4 는 권선들 (U, V, W) 의 이러한 섹터 단위 작동의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또다시, 사인파 곡선은 모터 회전을 나타낸다. 네거티브 모터 모멘트 (Mbrake) 는, 액티브 섹터들 (S3 내지 S10) 에서의 작동에 의해 획득되는 부가적인 지원형 모터 모멘트 (Madd) 에 의해, 모터 모멘트 (Mmotor) 가 전체적으로 포지티브인 정도로 보상된다. 설명에 의해, 도 4 의 그래프에 도시된 포지티브 평균 모터 모멘트 (Mmotor) 는 이 경우 네거티브 값들에 의해 표현됨을 유의한다. 모터 차량이 안전 상태로 전환되자마자, 전기 모터 (1) 는 비활성화된다.
설명된 방법은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스타 포인트 (3) 를 개방하는 종래 기술에서 개시된 해결책과 비교된다. 도 5a 및 도 6a 는 각각의 경우에, 차량 오퍼레이터에 의해 스티어링 휠에 적용되는 스티어링 휠 각도를 나타내지만, 도 5b 및 도 6b 는 스티어링 모멘트를 나타낸다. 도면들 모두에 있어서, 시간은 X축 상에 표현된다. 점선은 스타 포인트 (3) 가 개방될 경우 스티어링 휠 각도 또는 스티어링 모멘트를 나타내지만, 실선은 상기 설명된 방법에 따른 동일 값들을 나타낸다. 고장으로서, 권선 (U) 의 하위 스위치 (16) 는 결함성으로 스위치드 온되는 것으로 또다시 가정된다.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된 스티어링 방법은 10km/h 의 차량 속도 및 20m 의 반경에서의 환형 트랙에 대한 스티어링에 대응한다. 양자의 경우들에서, 차량 오퍼레이터는 환형 트랙에 대해 대략 동일한 속도로 스티어링됨을 도 5a 로부터 알 수 있다. 도 5b 는 스티어링 휠에서의 차량 오퍼레이터에 의해 경험된 스티어링 모멘트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점선은 개방형 스타 포인트 (3) 인 경우의 스티어링 모멘트이다. 실선에 의해 표현되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 실현되는 스티어링 모멘트는 전기 모터 (1) 로부터 현저한 지원을 경험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내부 제동 모멘트에도 불구하고, 포지티브 모터 모멘트는 설명된 제어에 의해 달성된다.
도 6a 및 도 6b 는 모터 차량의 슬라롬 이동의 경우에 있어서의 스티어링 휠 각도 및 스티어링 모멘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오퍼레이터는 이러한 슬라롬 이동 동안, 스티어링 휠을 대략 100°좌측으로 돌리고 대략 100°우측으로 돌린다. 도 6b 에서 점선 (적색) 으로 도시된, 스타 포인트가 개방된 경우의 스티어링 모멘트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방법인 경우에 있어서의 차량 오퍼레이터에 의해 경험된 스티어링 모멘트보다 더 규칙적이다. 양자의 스티어링 모멘트들은 사이즈가 대략 동일하다. 사전에 정의된 시간 기간 이후 또는 안전한 외부 상태가 존재하면, 전기 모터 (1) 는 스위치드 오프된다.
도 5a 및 도 5b 그리고 도 6a 및 도 6b 로부터 명백하게 된 바와 같이, 스타 포인트 (3) 에서의 릴레이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의 고장이 작동 측정치들로 순수하게 보상될 수 있다. 이는, 스타-포인트 릴레이와 같은 전자 컴포넌트들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Claims (8)

  1.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기 모터의 권선들 (U, V, W) 은 6개의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로 인버터 (2) 에 의해 작동되고,
    식별 유닛 (A) 이 결함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을 식별하기 위해 제공되고,
    유닛 (B) 이 상기 인버터 (2) 의 출력들 (17, 18, 19) 에서의 전압 측정을 위해 제공되고,
    마이크로 제어기 (C) 가, 상기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을 제어하고 상기 권선들 (U, V, W) 에 대한 펄스폭 변조식 전원 (PWMU, PWMV, PWMW) 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11, 12, 13, 14, 15, 16) 가 식별된 후, 상기 권선들 (U, V, W) 은, 평균적으로 포지티브인 모터 모멘트가 발생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1) 의 작동 기간은 복수의 섹터들 (S1 내지 S12) 로 세분되고,
    상기 결함 스위치 (예를 들어, 16) 에 의존하여, 상기 권선들 (U, V, W) 을 작동시키는 개별 섹터들 (S1, S2, S11, S12) 은, 다른 섹터들 (S3 내지 S10) 이 상기 권선들 (V, W) 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동안에는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기간은 12개의 섹터들 (S1 내지 S12) 로 세분되고,
    각각의 섹터 (S1 내지 S12) 는 30°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들 (V, W) 은, 상기 결함성의 스위치드-온 스위치 (예를 들어, 16) 가 노멀 모드에서 또한 닫히는 상기 섹터들 (S3 내지 S10) 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스위치 (16) 의 효과들을 상쇄하는 전압값들 (PWMV, PWMW) 이, 상기 작동에 사용되는 섹터들 (S3 내지 S10) 의 권선들 (V, W) 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 (11, 12, 13, 14, 15, 16) 은 스위치 쌍들 (11, 14; 12, 15; 13, 16) 로 결합되고,
    스위치 쌍 (11, 14; 12, 15; 13, 16) 은, 스위치 쌍 (11, 14; 12, 15; 13, 16) 의 스위치 (11, 12, 13, 14, 15, 16) 가 결함성으로 스위치드 온될 경우에는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함 스위치 (11, 12, 13, 14, 15, 16) 를 식별하는 방법 단계;
    상기 결함 스위치 (16) 가 결함성으로 스위치드-온 또는 스위치드-오프되는지를 분석하는 방법 단계; 및
    상기 권선들 (U, V, W) 을 섹터 단위로 작동시키는 방법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1) 는, 사전에 정의된 시간 기간 이후 또는 안전한 외부 상태가 존재하면 스위치드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 (1) 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20127027331A 2010-03-23 2011-03-23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KR101422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03149.6 2010-03-23
DE102010003149 2010-03-23
PCT/EP2011/054477 WO2011117311A2 (de) 2010-03-23 2011-03-23 Verfahren zum betrieb eines bürstenlosen elektromo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400A true KR20120136400A (ko) 2012-12-18
KR101422380B1 KR101422380B1 (ko) 2014-07-22

Family

ID=44586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331A KR101422380B1 (ko) 2010-03-23 2011-03-23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41326B2 (ko)
EP (1) EP2550734B1 (ko)
JP (1) JP5858980B2 (ko)
KR (1) KR101422380B1 (ko)
CN (1) CN102934357B (ko)
DE (1) DE102011005973A1 (ko)
WO (1) WO201111731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3440B4 (de) * 2010-08-04 2013-10-24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icherheitsabschaltung einer elektromechanischen Servolenkung
DE102011085657A1 (de) * 2011-11-03 2013-05-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elektronisch kommutierten elektrischen Maschine in einem Fehlerfall
DE102011121602A1 (de) * 2011-12-17 2013-06-2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Notlaufbetriebsverfahren eines Fahrzeuglenksystems
DE102014108667A1 (de) * 2014-06-20 2015-12-24 Technische Universität Braunschweig Stromrichter und Computerprogramm
CN106208822B (zh) * 2016-08-04 2019-02-05 库顿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带制动的三相电机正反转控制器及制动方法
CN117713579B (zh) * 2024-02-05 2024-04-26 四川大学 一种用于开绕组电机的混合逆变器及其调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9892A (en) * 1976-01-31 1980-06-25 Lucas Industries Ltd Control circuits for vehicle transmissions
JPH078146B2 (ja) * 1989-05-23 1995-01-30 春日電機株式会社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US5436819A (en) * 1991-07-25 1995-07-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an output voltage error in an inverter output
TW328190B (en) * 1994-06-14 1998-03-11 Toshiba Co Ltd Control device of brushless motor and method of fault detection and air conditioner
US5874818A (en) * 1997-06-11 1999-02-23 Agil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load current in a motor controller
US6441556B1 (en) * 1999-11-24 2002-08-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fault protection for switched electronic systems for satellite applications
US6653812B1 (en) * 2002-01-31 2003-11-25 Analog Devices, Inc. Space vector modulation methods and structures for electric-motor control
DE10249568B4 (de) * 2002-10-24 2015-05-07 Robert Bosch Gmbh Fehleranalyse einer Wechselrichter-Schaltung
JP4378151B2 (ja) * 2003-11-04 2009-12-02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駆動装置
JP2005153570A (ja) * 2003-11-20 2005-06-16 Favess Co Ltd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422567B2 (ja) * 2004-06-30 2010-02-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ータ駆動装置,電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784478B2 (ja) * 2006-04-20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多相回転電機の制御装置
KR101040890B1 (ko) * 2006-04-20 2011-06-1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기 제어 장치
WO2008129658A1 (ja) * 2007-04-16 2008-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電動機制御装置
US8659258B2 (en) 2009-01-28 2014-02-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Method for operating a brushless motor
DE102010001241A1 (de) 2009-04-01 2010-10-07 Robert Bosch Gmbh Elektronisch kommutierter Elektromotor mit einer Notlaufeigenschaft
DE102009045351A1 (de) 2009-10-06 2011-04-1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Antriebsaggregats sowie Antriebsaggreg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41326B2 (en) 2015-05-26
DE102011005973A1 (de) 2011-09-29
KR101422380B1 (ko) 2014-07-22
CN102934357B (zh) 2016-10-05
US20130193885A1 (en) 2013-08-01
EP2550734A2 (de) 2013-01-30
EP2550734B1 (de) 2019-05-08
WO2011117311A3 (de) 2012-07-26
WO2011117311A2 (de) 2011-09-29
CN102934357A (zh) 2013-02-13
JP5858980B2 (ja) 2016-02-10
JP2013523078A (ja)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380B1 (ko) 브러시리스 전기 모터를 동작시키는 방법
US9124207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787240B2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otor
JP4373327B2 (ja) 電子的にコミュテート可能なモータ
US9018880B2 (en) Control apparatus for multi-phase rotary machine and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using the same
JP6915617B2 (ja) モータ制御方法、モータ駆動システム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WO2010032705A1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30257328A1 (en) Motor drive apparatus
JP6709325B2 (ja) モータシステム
WO2016072432A1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6769247B2 (ja) 回転電機システム
JP6634954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16096709A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3013297A (ja) 車両用操舵装置
CN110654454B (zh) 车辆电动机控制设备和方法
US81343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pping servo motor
JP2015029393A (ja) 車両用回転電機
EP3412886B1 (en) Cooling fan control device
JP2011062035A (ja) ダイナミックブレーキ回路保護装置
JP2016165174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724906B2 (ja) 電子制御装置、異常検出方法
JP6822074B2 (ja) 回転電機システム
JP2015181345A (ja) モータ駆動装置
JP2009177915A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制御装置
WO2019054089A1 (ja) モータ駆動装置、モータ、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