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300A - 조절가능한 각도상 배향으로 시계 요소를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각도상 배향으로 시계 요소를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300A
KR20120136300A KR20120060900A KR20120060900A KR20120136300A KR 20120136300 A KR20120136300 A KR 20120136300A KR 20120060900 A KR20120060900 A KR 20120060900A KR 20120060900 A KR20120060900 A KR 20120060900A KR 20120136300 A KR20120136300 A KR 2012013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cover
ring
threaded
thread
threa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1707B1 (ko
Inventor
다니엘 크누셀
Original Assignee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2013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5/00Time pieces of which the indicating means or cases provoke special effects, e.g. aesthetic effects
    • G04B45/0084Pictures or inscriptions on the case or parts thereof, attaching complete pictur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G04B37/005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with cover or protection device which can be completely removed, either by lifting off or by sliding, or by turning (protection covers, protection cases also against humid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79Watch or clock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79Watch or clock making
    • Y10T29/49586Watch or clock making having crown, stem, or pend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7Crystal to watch or cl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제 2 나사부 (22) 를 포함하는 제 2 시계 요소 (2) 에 제 1 나사부 (11) 를 포함하는 제 1 시계 요소 (1) 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본 장치는 상기 제 2 요소 (2) 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1) 의 각도상 배향을 위한 중간 요소 (3) 를 포함한다. 중간 요소 (3) 는, 제 1 요소 (1) 의 제 1 나사부 (11) 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3 나사부 (31), 및 제 2 요소 (2) 의 제 2 나사부 (22) 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4 나사부 (32) 를 포함한다. 제 3 나사부 (31) 의 나사산 피치와 제 4 나사부 (32) 의 나사산 피치가 상이하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각도상 배향으로 시계 요소를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CURING A WATCH ELEMENT WITH ADJUSTABLE ANGULAR ORIENTATION}
본 발명은, 조절가능한 상호 각도상 (angular) 배향으로 하나의 시계 요소를 다른 시계 요소에 고정하는 장치 및 방법, 더 구체적으로는, 수직방향 12시-6시 축선에 대해 정렬이 조절될 수 있는 나사식 (screw-in) 후방 커버를 포함하는 시계 케이스의 고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시계 케이스의 후방 커버가 시계 케이스의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는 때에, 일단 후방 커버가 완전히 나사결합되고 나서, 예컨대 시계 착용자의 손목 측에 위치되는 후방 커버의 표면에 스탬핑 또는 에칭된 장식용 표시 또는 패턴이 수직방향 12시-6시 축선에 대해 적절히 정렬되지 않았음 (이는 물론 시계의 미적 외관에 해롭다) 이 인식되는 일이 종종 일어난다. 외관의 이러한 결함은 값비싸지 않은 시계의 경우 용인될 수 있지만, 더 값비싼 시계의 경우 매우 곤란한 단점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통상적인 해법은 기계가공 동안 후방 커버를 결정된 시계 케이스와 맞추어서, 일단 후방 커버가 완전히 나사결합되고 나면, 시계의 12시-6시 축선과 완전히 정렬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해법은, 시계의 원래 후방 커버가 분실 또는 손상되어 다른 후방 커버로 대체되어야 한다면, 후방 커버가 중간부에 나사결합되고 나서 수직방향 12시-6시 축선과 적절히 정렬된다는 것을 누구도 확신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으므로 만족스럽지 않다.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 제 1890203 호는, 후방 커버와 중간부 사이에 중간 링을 삽입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것을 제안하는데, 후방 커버 및 중간부와 각각 협력작동하는 상기 링의 나사산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후방 커버가 중간부에 완전히 나사결합되는 때, 후방 커버에 연결된 중간 요소가 나사결합 해제되고 중간부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방 커버에 계속 나사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에 의하면, 틀림없이, 시계의 12시-6시 축선에 대한 후방 커버의 정렬을 간단하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지만, 케이스에서 후방 커버의 조임 토크 (tightening torque) 를 정밀하게 정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일단 후방 커버가 중간부에 가능한 한 멀리 나사결합되고 나면, 후방 커버와 중간 요소 사이에서, 후방 커버가 중간부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막는 것은 단지 마찰력이다.
스위스 특허 제 699777 호는, 후방 커버의 각도상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축선방향 멈춤 부재로서 작용하는 조절가능한 링을 사용하여 시계의 중간부에 조절가능한 후방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대안의 해법을 제안한다. 링은 미리 설정된 조임 토크로 중간부 또는 후방 커버에 나사결합되는 한편, 후방 커버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 나사산을 사용하여 중간부에 나사결합되므로, 후방 커버가 중간부에 인접하는 때에 링은 회전 구동될 수 없다. 따라서, 전술한 해법과 달리, 후방 커버는 시계 케이스에 단단히 나사결합된 부분에 직접 나사결합된다. 이 해법의 단점은, 후방 커버의 희망하는 각도상 위치에 맞는 링의 축선방향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연속적인 평가에 의한 처리를 요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링의 축선방향 조절은, 조립 위치에서 후방 커버와 중간부의 접촉 표면이 더 이상 서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후방 커버의 밀봉성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제한 없이, 시계의 중간부에 후방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더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시계 요소를 다른 시계 요소에, 조절가능한 상호 각도상 배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 에 따른 고정 장치로서, 조립되는 제 1 요소의 나사부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나사부 및 조립되는 제 2 요소의 나사부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다른 나사부를 구비하는 중간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요소의 나사부들의 나사산 피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또한,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0 에 따른 고정 방법으로서, 먼저 중간 요소가 제 1 나사부에 의해 조립되는 제 1 요소에 완전히 나사결합되고, 그리고 나서 제 1 요소가 제 2 요소에 인접하도록, 제 1 요소-중간 요소 조립체가 제 2 나사부에 의해 제 2 요소에 나사결합되며,
- 조립 위치에서 제 2 요소에 대한 제 1 요소의 각도상 배향을 시각화하는 단계;
- 나사부에 사용된 나사산 피치에 따라 제 1 요소에 대한 중간 요소의 조절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 조절 각도에 해당하는 각도상 이동 (angular travel) 으로 제 1 요소로부터 중간 요소를 나사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 제 1 요소가 제 2 요소에 다시 인접하도록, 제 2 나사부에 의해 제 2 요소에 제 1 요소-중간 요소 조립체를 다시 나사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안된 해법의 이점 중 하나는, 각도상 수정이 미리 결정된, 사용된 나사산 피치의 차이에 따라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중간 요소의 각도 조절은, 연속적인 평가에 의하는 대신에, 단일 작업으로 행해질 수 있다.
제안된 해법의 다른 이점은, 조립 위치에서 제 2 요소에 대한 제 1 요소의 어떤 축선방향 이동도 야기함이 없이 (중간 요소가 조절 정지 부재로서 사용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함), 조립되는 요소들 사이의 조임 토크에 관하여 결점을 극복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축선방향 이동의 부존재는 최종 조립체의 밀봉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다양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더 명확히 드러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분해 위치에 있는 조립될 다양한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중간 조절 요소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행해지는 다양한 조립 단계의 시퀀스 및 수정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를 보여주는 도해이다.
도 4 는 제 1 조립 단계를 따라 조립된 다양한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4a 는 요소들이 도 4 에 따라 조립된 때 비최종 (non final) 위치의 조절가능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최종 위치의 다양한 조립된 요소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 는 요소들이 도 5 에 따라 조립된 때 비최종 위치의 조절가능 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은 조립될 요소들이 각각 후방 커버 (1) 와 중간부 (2) 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그렇지만, 이하의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이 예컨대 용두 (crown) 또는 밸브에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예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진 것이다. 또한, 조립될 요소는 시계의 후방 커버와 중간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통합되는 임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의 상부는 중간부 (2) 에 설치되는 크리스탈 (5) 을 보여주며, 두 요소 사이에 밀봉 개스킷 (502) 이 삽입된다. 유사하게, 도 1 의 저부는 조절가능 표시나 로고 (일례가 아래의 도 4a 및 도 5a (출원인의 로고, 도면부호 15) 에 도시되어 있고, 후방 커버 (1) 에 설치됨) 를 포함하는 후방 커버 (1) 의 부분 (10) 을 보여주며, 또한 두 요소 사이에 밀봉 개스킷 (101) 이 삽입된다
조립 위치에서 후방 커버의 상부 접촉 표면 (14) 과 접촉하는 중간부의 저부 접촉 표면 (24) 을 따라, 중간부 (2) 의 베이스에 있는 환형 그루브에 O링 조인트 (21) 가 통상적인 방식으로 삽입된다. O링 조인트 (21) 의 목적은, 후방 커버 (1) 가 중간부 (2) 상에 조립 위치로 되자마자 표면들 (14, 24) 이 서로 접촉하는 때 후방 커버 (1) 와 중간부 (2) 사이의 제안된 조립의 밀봉을 보장하는 것이다.
후방 커버 (1) 에 제 1 나사부 (11) 가 기계가공되고, 중간부 (2) 에 제 2 나사부 (22) 가 기계가공된다. 본 발명은 후방 커버 및 중간부에 동시에 나사결합되는 내부 및/또는 외부 나사산을 구비한 중간 요소 (3) 를 사용한다는 개념으로부터 진행되고, 따라서 후방 커버 (1) 와 중간부 (2) 는 더 이상 서로 직접 조립되지 않는다. 묘사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간 요소 (3) 는 내주에 제 3 나사부 (31) 및 제 4 나사부 (32) 를 구비한 링이고, 제 3 나사부는 후방 커버 (1) 의 제 1 나사부 (11) 와 협력작동하고, 제 4 나사부는 여기서 묘사된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중간부 (2) 의 내부 나사산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배치에 따르면, 제 2 나사부 (22) 는 중간부 (2) 의 내벽에 배치되고, 따라서 링의 직경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변형예에 따르면, 외벽에 중간부의 제 2 나사부 (22) 를 배치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고, 이 경우 이 나사부는 링 (3) 의 내부 나사산과 협력작동하고, 링의 외부 나사산은 후방 커버 (1) 의 나사부 (11) 와 협력작동한다. 중간 요소 (3) 에 대해 다른 형상을 생각할 수 있지만, 링이 바람직한데, 링이 기계가공하기 간단하고 매우 적은 체적으로 인해 값비싸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은, 바람직하게는, 제조 과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전체 높이에 걸쳐 내부 및 외부 나사산을 갖고,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표면 (33) 및 저부 표면 (34) 을 포함한다.
도 2 는 도 1 에 묘사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링형 중간 요소 (3) 의 평면도이다. 내주와 외주에 배치된 나사부 (각각 제 3 나사부 (31) 및 제 4 나사부 (32)) 외에도, 링에서의 나사결합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립핑 공구의 태넌 (tenon) 을 수용하기 위한 노치가 링의 상부 표면 (33) 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노치 (331) 가 바람직하게는 후방 커버의 제 2 노치 (13) 와 동일하고, 따라서 링을 후방 커버 (1) 에 그리고 나서 후방 커버-링 조립체를 중간부 (2) 에 나사결합시키는데 동일한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링의 회전 구동을 더 용이하게 하는 대안적인 그립핑 표면이, 나사부가 전체 높이에 걸쳐 배치되지 않은 때에 링의 다른 부분, 예컨대 나사부 대신 내주부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사용된 공구에 따라서 "암형 (female)" 요소 대신 "수형 (male)"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링 (중간 요소 (3)) 의 상부 표면 (33) 에서의 노치 (331) 의 이점은, 종래 시계 후방 커버의 노치에 유사한 구성을 제공한다는 것이고, 종래 시계 후방 커버는 일반적으로 도 4a 및 도 5a (도면부호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변에 노치를 포함하고, 따라서 링을 후방 커버 (1) 에 그리고 후방 커버 (1)-링 조립체를 중간부 (2) 에 나사결합시키는 작업이 간단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노치 (331) 의 이러한 배치는 중간부에의 후방 커버 (1) 의 조립 속도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도 2 에 도시된 중간 요소 (3) 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링은, 예컨대 6시-12시 축선과 같은 소정의 축선에 대해 후방 커버를 올바르게 재배향시키기 위한 조절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환형 마크 (332) 를 더 포함한다. 이 환형 마크 (34) 는 바람직하게는 링의 상부 표면에 배치된 눈금 (graduation) 으로 구성되고, 예컨대 후방 커버 (1) 에 배치되는 색인이나 임의의 타입의 마크 (도시 안 됨) 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노치 (331) 가 각도상 기준 마크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경우, 두 인접한 노치 사이의 각도상 공간은, 후방 커버 (1) 에 대한 링 (중간 요소 (3)) 의 올바른 각도 조절 (그 원리는 후술함) 을 수행하는데 임의의 다른 기준 마크를 불필요하게 만드는 입도 (granularity) 를 제공하기 위해, 예컨대 15 도 미만과 같이 충분히 작게 선택되어야 한다.
도 3 은 중간부 (2) 에 후방 커버 (1) 를 조립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다양한 시퀀스를 보여주는 도해이다. 제 1 단계 (A) 에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중간 요소 (3) 가, 중간 요소 (3) 의 제 3 나사부 (31) 와 협력작동하는 제 1 나사부 (11) 에 의해 후방 커버 (1) 에 완전히 나사결합된다. 도 4 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요소는 중간 요소 (3) 의 저부 표면 (34) 이 후방 커버 (1) 의 상부 접촉 표면 (14) 과 접촉하는 때에 완전히 나사결합된다. 다음으로, 제 2 단계 (B) 에서, 후방 커버 (1)-중간 요소 (3) 조립체가, 중간 요소 (3) 의 제 4 나사부 (32) 와 협력작동하는 제 2 나사부 (22) 에 의해, 중간부 (2) 에 나사결합되고, 따라서 후방 커버 (1) 가 중간부 (2) 에 인접한다. 이러한 인접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커버 (1) 의 상부 접촉 표면 (14) 이 중간부 (2) 의 저부 접촉 표면 (23) 과 접촉하는 때에 발생한다.
나사결합 단계 (B) 가 수행된 때, 후방 커버 (1), 중간부 (2) 및 링형 중간 요소 (3) 의 상대적인 축선상 및 각도상 위치결정이 각각 도 4 및 도 4a 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는, 후방 커버 (1) 의 표면 (14), 중간부 (2) 의 표면 (24) 및 중간 요소 (3) 의 표면 (34) 이 동일한 수평면에 위치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도 4a 는, 후방 커버의 부분 (10) 에 배치된 로고 (15) 가 시계의 12시-6시 축선 (200) 에 대해 각도 (120) 로 배향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 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요소 외에도, 도 4 는 링 (중간 요소 (3)) 의 나사부 (31, 32) 를 또한 보여준다. 한편으로, 나사부 (31, 32) 가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되어서, 후방 커버-링 조립체를 중간부 (2) 에 나사결합시키는 작업이 후방 커버로부터 링을 나사결합 해제시키는 어떤 위험도 없이 행해질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제 3 나사부 (31) 의 나사산 피치가 제 4 나사부 (32) 의 나사산 피치보다 더 작아서, 필요시 후방 커버에 대한 링의 각도상 수정을 최소화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나사산 피치의 상대 크기가 반대로 될 수 있지만, 그 경우, 후방 커버에 대한 링의 수정 각도 (도 4a 에서 도면부호 130) 가 후방 커버의 이전의 배향의 수정 각도 (도 4a 에서 도면부호 120) 보다 여전히 더 크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3 및 제 4 나사산 피치 (31, 32) 가 상이하다는 사실로 인해, 후방 커버에서 간단히 그리고 빠르게 각도상 수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링 (중간 요소 (3)) 은 링 (중간 요소 (3)) 의 나사산 피치 (310, 320) 사이의 차에 의존하는 각도만큼 후방 커버 (1) 로부터 단지 나사결합 해제되어야 하고, 그리고 나서 링과 후방 커버 (1) 는 후방 커버 (1) 의 희망하는 배향을 달성하도록 중간부 (2) 에 다시 나사결합되어야 한다.
도 3 에서 단계 (C) 는 도 4 및 도 4a 에 나타낸 조립 위치에서 중간부 (2) 에 대한 후방 커버 (1) 의 각도상 배향 (120) 을 시각화하는 것이다. 이 단계는 중간부 (도시 안 됨) 및/또는 후방 커버 (1) 에 각도상 기준 마크의 존재에 의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후방 커버의 노치 (13) 는 또한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각도상 배향 (120) 의 각도가 결정되고 나면, 이후의 단계 (D) 에서, 제 3 및 제 4 나사부 (31, 32) 에 사용된 나사산 피치 (310, 320) 에 따라 조절 각도 (130) (중간 요소 (3) 가 이 조절 각도만큼 후방 커버 (1) 에 대해 나사결합 해제되어야 함) 가 추론되어야 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링 (중간 요소 (3)) 의 내부 직경은 예컨대 30 ㎜ 인데, 제 1 및 제 2 나사산 (11, 31) 의 피치 (310) 는 0.5 이고 제 3 및 제 4 나사산 (22, 32) 의 피치 (320) 는 0.4 이고, 즉 360 도의 완전한 1회전이 각각 링의 0.5 및 0.4 ㎜ 의 축선방향 이동에 해당한다.
중간부 (2), 나사결합 작업을 위한 노치 (13) 를 갖고 출원인의 오메가 로고 (15) (바람직하게는 노치 (13) 에 대해 대칭으로 배향됨) 가 보이는 부분 (10) 을 포함하는 후방 커버 (1), 및 통상적인 조절 용두 (6) 를 구비한 시계를 보여주는 도 4a 에서, 각도 (120) 는 약 100 도이다. 후방 커버 (1) 가 동일한 값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후방 커버는 0.4 (피치 (310) 의 값)×100/360 = 0.11 의 높이만큼 중간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것이다. 그 결과, 후방 커버 (1) 가 중간부 (2) 에 다시 인접하기 위해, 링 (중간 요소 (3)) 은 중간부 (2) 내로 0.11 ㎜ 더 깊이 회전되어야 하고, 이는 0.5 의 나사산 피치의 경우, 80 도의 수정 각도 (130) 를 의미한다. 어느 나사산 피치 (310, 320) 가 선택되든, 단계 (C) 에서 결정되는 배향 각도 (120) 로부터 단지 피치 비를 곱함으로써 조절 각도 (130) 가 추론된다는 것에 또한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해, 다음의 관계가 수립된다: 130 = 120 × 310/320,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 따르면, 이 비는 바람직하게는, 수정 각도가 항상 180 도 미만이 되도록 1/2 미만으로 선택되고, 그 결과 작업을 손으로 행하는 경우 작업이 용이해진다. 180 도 이상의 각도는 팔 및/또는 손목의 비틀림 정도가 불편해 보이는 더 곤란한 작업을 요한다.
일단 후방 커버 (1) 에 대한 중간 요소 (3) 의 조절 각도 (130) 가 단계 (D) 에서 결정되고 나면, 다음 단계 (D) 에서, 중간 요소 (3) 가 대응하는 각도상 이동에 걸쳐 후방 커버 (1) 로부터 나사결합 해제될 수 있고, 이는 각도상 기준 마크 (332) 에 의해 또는 노치가 각도상 기준 마크로서 사용되는 때에는 노치에 의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중간 요소 (3) 가 올바른 위치에 있게 되면, 후방 커버 (1)-중간 요소 (3) 조립체가 중간부 (2) 에 다시 나사결합되는 때에 링이 후방 커버 (1) 에 대해 체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제 1 나사부와 제 2 나사부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이 존재하는 때, 즉 상기 마찰력이 제 3 나사부 (22) 와 제 4 나사부 (3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훨씬 더 클 때에는, 체결 (locking) 단계는 필요하지 않다. 그렇지만, 중간 요소 (3) 에 배치된 제 4 나사부 (32) 와 협력작동하는 제 2 나사부 (22) 에 의해 행해지는 조절 나사결합 단계 (F) 전에, 후방 커버 (1) 에 대해 중간 요소 (3) 를 체결하는 추가 단계 (E') 를 수행하여, 후방 커버 (1) 가 다시 중간부 (2) 에 인접하는, 즉 후방 커버의 상부 접촉 표면 (14) 이 중간부 (2) 의 저부 접촉 표면 (24) 과 접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체결 단계 (E') 는 예컨대 전기 보어링, 레이저 용접, 본딩 (bonding), 또는 재료 업세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5a 는, 나사결합 단계 (F) 가 수행된 후 최종 위치에 있는 후방 커버 (1)-중간부 (2) 조립체를 보여준다. 도 4 및 도 4a 와 유사하게, 도 5 의 단면은 후방 커버 (1)-링 (중간 요소 (3))-중간부 (2) 조립체의 다양한 요소의 축선방향 상대 배치를 보여주는데, 특히 후방 커버 (1) 에 대한 중간 요소 (3) 의 축선방향 변위 (131) 는 도 4a 의 조절 각도 (130) 의 값, 즉 도시된 예의 경우 0.11 ㎜ 에 해당한다. 그렇지만, 도 5a 는 후방 커버 부분 (10) 에 배치된 로고 (15) 가 이제 시계의 12시-6시 축선 (200) 에 대해 올바르게 배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4 와 도 5 사이의 차이점은 단지 링 (중간 요소 (3)) 의 축선방향 위치이고, 도 4a 와 도 5a 의 차이점은 단지, 로고 (15) 의 배향이 수정되었고 배향/수정의 각도 (각각 도면부호 120 과 130) 가 제외되었다는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면, 간단히 나사결합 해제-나사결합 작업을 이용함으로써 시계의 중간부 (2) 에 대한 후방 커버 (1) 의 배향을 간단하고 빠르게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장치는, 주어진 축선에 대해 정확한 위치결정을 요하는 시계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상호 각도상 배향에 대해 용이하게 재현될 수 있다.

Claims (11)

  1. 제 2 나사부 (22) 를 포함하는 제 2 시계 요소 (2) 에 제 1 나사부 (11) 를 포함하는 제 1 시계 요소 (1) 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 2 요소 (2) 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1) 의 각도상 배향을 위한 중간 요소 (3) 를 포함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 (3) 는, 상기 제 1 요소 (1) 의 상기 제 1 나사부 (11) 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3 나사부 (31), 및 상기 제 2 요소 (2) 의 상기 제 2 나사부 (22) 와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4 나사부 (32) 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나사부 (31) 의 나사산 피치와 상기 제 4 나사부 (32) 의 나사산 피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나사부 (31) 의 나사산과 상기 제 4 나사부 (32) 의 나사산이 동일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요소 (3) 는 상기 제 3 나사부 (31) 와 상기 제 4 나사부 (32) 를 형성하도록 내부와 외부 나사산 구비 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내부 나사산 피치가 상기 링의 외부 나사산 피치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제 1 노치 (3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 (331) 는 상기 링의 상부 표면 (34)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요소 (1) 가 제 2 노치 (13)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노치 (13, 331) 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각도상 기준 마크 (33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 (331) 는 올바른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각도상 기준 마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 2 시계 요소 (2) 에 제 1 시계 요소 (1) 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 제 1 나사부 (11) 를 갖는 제 1 요소 (1) 를 취하는 단계;
    - 제 2 나사부 (22) 를 갖는 제 2 시계 요소 (2) 를 취하는 단계;
    - 상기 제 1 요소 (1) 의 상기 제 1 나사부 (11) 와 협력작동하는 제 3 나사부 (31) 및 상기 제 2 요소 (2) 의 상기 제 2 나사부 (22) 와 협력작동하는 제 4 나사부 (32) 를 갖는 중간 요소 (3) 를 취하는 단계;
    - (A): 상기 제 1 나사부 (11) 에 의해 제 1 요소 (1) 에 중간 요소 (3) 를 완전히 나사결합시키는 단계;
    - (B): 제 1 요소 (1) 가 제 2 요소 (2) 에 인접하도록, 상기 제 2 나사부 (22) 에 의해 제 2 요소 (2) 에 제 1 요소 (1)-중간 요소 (3) 조립체를 나사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정 방법에 있어서,
    - (C): 상기 제 2 요소 (2) 에 대한 상기 제 1 요소 (1) 의 각도상 배향 (120) 을 시각화하는 단계;
    - (D): 제 3 및 제 4 나사부 (31, 32) 에 사용된 나사산 피치에 따라 상기 제 1 요소 (1) 에 대한 상기 중간 요소 (3) 의 조절 각도 (130) 를 결정하는 단계;
    - (E): 상기 조절 각도 (130) 에 해당하는 각도상 이동으로 상기 제 1 요소 (1) 로부터 중간 요소 (3) 를 나사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 (F): 제 1 요소 (1) 가 제 2 요소 (2) 에 다시 인접하도록, 상기 제 2 나사부 (22) 에 의해 제 2 요소 (2) 에 제 1 요소 (1)-중간 요소 (3) 조립체를 다시 나사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결합 해제시키는 단계 (E) 후에 상기 제 1 요소 (1) 에 상기 중간 요소 (3) 를 체결하는 추가 단계 (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방법.
KR1020120060900A 2011-06-08 2012-06-07 조절가능한 각도상 배향으로 시계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KR1014117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69051.7A EP2533111B1 (fr) 2011-06-08 2011-06-08 Dispositif et procédé de fixation d'un élément de montre avec orientation angulaire réglable
EP11169051.7 2011-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00A true KR20120136300A (ko) 2012-12-18
KR101411707B1 KR101411707B1 (ko) 2014-06-25

Family

ID=4411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900A KR101411707B1 (ko) 2011-06-08 2012-06-07 조절가능한 각도상 배향으로 시계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03660B2 (ko)
EP (1) EP2533111B1 (ko)
JP (1) JP5486043B2 (ko)
KR (1) KR101411707B1 (ko)
CN (1) CN102819214B (ko)
CH (1) CH705089A2 (ko)
HK (1) HK1179360A1 (ko)
RU (1) RU259697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57424B1 (fr) * 2013-01-17 2018-05-16 Omega SA Pièce pour mouvement d'horlogerie
CN103926825B (zh) * 2014-04-11 2015-01-21 天王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防水表壳前圈及其潜水表
CH710451B1 (fr) * 2014-12-09 2018-08-31 Richemont Int Sa Boîte de montre.
EP3680729B1 (fr) * 2019-01-09 2024-04-24 Blancpain SA Fond orientable pour une piece d'horlogerie
EP3796106B1 (fr) 2019-09-20 2022-06-01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Sous-ensemble d'habillage pour piece d'horlogerie ou montre ou bijou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98200A (fr) * 1950-12-07 1954-04-30 Polo Louis Montre.
CH503310A (fr) * 1968-10-23 1970-10-15 Omega Brandt & Freres Sa Louis Boîte de montre comprenant une couronne étanche
CH705218B1 (fr) * 1999-12-02 2013-01-15 Ks 22 S A Procédé de montage d'une couronne vissée sur une boîte de montre.
DE10055995B4 (de) * 2000-11-11 2005-10-27 Junghans Uhren Gmbh Armbanduhr mit Notrufsender
US20020067665A1 (en) * 2000-12-01 2002-06-06 Roger Ecoffet Method for assembling a screwed crown on a watch case
JP5025855B2 (ja) * 2001-04-27 2012-09-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腕携帯用機器
JP2005030765A (ja) * 2003-07-07 2005-02-03 Seiko Instruments Inc 携帯時計
DE602005006249D1 (de) * 2005-05-24 2008-06-05 Pibor Iso S A Einschraubkrone und Montageverfahren dieser Krone auf ein Uhrgehäuse
EP1760556A1 (fr) * 2005-09-06 2007-03-07 The Swatch Group Management Services AG Dispositif de fixation d'un fond sur une carrure d'une montre
JP4849986B2 (ja) * 2006-07-25 2012-01-1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時計
EP1890203B1 (fr) * 2006-08-17 2012-08-01 Omega SA Boîte de montre comprenant un fond et procédé de fixation d'un fond sur une boîte de montre
US8092077B2 (en) * 2006-12-14 2012-01-10 Laszlo Hobor Mechanism for the positioning of wristwatch control elements
CH699777B1 (fr) 2008-10-21 2014-02-28 Patek Philippe Sa Geneve Boîte de montre comprenant un fond viss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5783A (ja) 2012-12-27
CN102819214B (zh) 2014-12-31
KR101411707B1 (ko) 2014-06-25
RU2596972C2 (ru) 2016-09-10
EP2533111A1 (fr) 2012-12-12
RU2012123733A (ru) 2013-12-20
CN102819214A (zh) 2012-12-12
JP5486043B2 (ja) 2014-05-07
EP2533111B1 (fr) 2015-08-12
HK1179360A1 (en) 2013-09-27
US20120311862A1 (en) 2012-12-13
US9003660B2 (en) 2015-04-14
CH705089A2 (fr) 201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6625B1 (ko) 워치케이스 및 중간 부분 상에 워치케이스의 백 커버를 정렬하기 위한 방법
KR101411707B1 (ko) 조절가능한 각도상 배향으로 시계 요소를 고정하는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US6761479B2 (en) Device for adjusting the alignment of a back cover screwed onto the middle part of a watchcase with respect to a 12 o'clock—6 o'clock axis
JP4943438B2 (ja) 裏蓋を腕時計の中間部品に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US20040130971A1 (en) Screw-on crown for timepiece
CN101738926B (zh) 携带钟表
JP6356877B2 (ja) ねじ込み式の向きを合わせることが可能な竜頭
JP2013101122A (ja) 向きを記憶する竜頭を備えた時計ケース
US20200301363A1 (en) Timepiece dial device
TWI743141B (zh) 用於手錶的外部零件之次組合件
US9329577B2 (en)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a movement inside a case
JP5135223B2 (ja) 時計ケースのセットの製造方法
CN111427251B (zh) 钟表的可定向后盖
JP2023081832A (ja) 定義済み角位置で配向されたバックを備えた腕時計ケース
JP2023033098A (ja) 所定の角度位置に配向された背部を有する時計ケース、前記ケースを含む時計、およびそのようなケースを組み立てるための方法
JP2023024947A (ja) 時計のための方向付け可能な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