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720A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5720A KR20120135720A KR1020110054594A KR20110054594A KR20120135720A KR 20120135720 A KR20120135720 A KR 20120135720A KR 1020110054594 A KR1020110054594 A KR 1020110054594A KR 20110054594 A KR20110054594 A KR 20110054594A KR 20120135720 A KR20120135720 A KR 201201357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network
- application
- user interface
- interface screen
- mobile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한다. 그리고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망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망 환경에 따라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현재 접속된 통신망의 종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다른 여러 단말들과 동시에 메시지를 주고 받거나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채팅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기의 형태로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적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등이 있다.
또한 현재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radio access)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축이 광범위하게 전개됨에 따라,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 끊김없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무선통신 환경에 부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망 환경에서는 영상통화의 품질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고용량 데이터의 빠른 전송이 가능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역시 차별화될 수 있다.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에 따라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기능이 향상된 이동통신 단말 기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망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통화 중인 두 단말 간에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두 사용자가 동일한 화면을 보며 영상통화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용량의 컨텐츠의 경우에도 자유롭게 컨텐츠를 송수신함으로써 동일한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위젯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 공유하고자 하는 위젯을 어느 한쪽 단말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위젯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를 공유하더라도 계정에 따라 각 사용자는 차별화된 영상을 볼 수 있으며, 일측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화면을 상대방에게 일시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텐츠 또는 위젯을 공유하는 경우, 영상통화창과의 전환을 통해, 컨텐츠 또는 위젯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크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이하게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이하게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카메라, 네비게이션,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이북(e-book) 단말기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가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은 E-UMTS(Evolved-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망 구조일 수 있다. E-UMTS 시스템은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 User Equipment, UE)는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단말(Terminal), UT(User Terminal), MS(Mobile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 (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21)이 존재할 수 있다.
기지국(20) 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혹은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통신은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은 상향링크(uplink)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보다 상세하게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GW(Serving Gateway, 30)와 연결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과 MME/S-GW(30) 간에 다수-대-다수 관계(many-to-many-relation)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시스템 중앙의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기지국(20)을 연결하는 S1 인터페이스와, 기지국(20)이 현재 시스템 상에 존재하는 다른 셀(cell)들의 기지국(20)들과의 직접적인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라인인 X2 인터페이스를 설정함으로써 셋업된다. S1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이 MME와 신호를 교환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OAM(Operation and Management)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X2 인터페이스는 기지국(20)들 간 빠른 핸드오버(fast handover)를 위한 신호 및 로드 인디케이터(load indicator) 정보, 자가 최적화(Self-optimization)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지국(20)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1)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무선 승인 제어(Radio Admission Control), 연결 이동성 제어(Connection Mobility Control), 이동통신 단말기(10)로의 동적 자원 할당(dynamic resource allocation)와 같은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기능, (2) IP(Internet Protocol) 헤더 압축 및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해독(encryption), (3) S-GW로의 사용자 평면 데이터의 라우팅(routing), (4) 페이징(paging)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전송, (5)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정보의 스케줄링 및 전송, (3)이동성과 스케줄링을 위한 측정과 측정 보고 설정.
MME(40, Mobile Mobility Entity)는 기지국(20)과 S-GW(Serving Gateway)간의 신호제어를 담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인입되는 데이터를 어느 곳으로 라우팅할지를 결정한다. MME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기지국(20)들로 페이징 메시지의 분산, 2) NAS(Non Access Spectrum) 시그널링(NAS signaling), 및 NAS 시그널링 보안(NAS signaling security)과 암호화/비암호화(ciphering/deciphering)및 무결 보호(Integrity Protection), 3) LTE망 내에서의 핸드오버 제어(Controling the intra-LTE handover), 4) 트래킹 영역 리스트 관리(Tracking Area list management), 5)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e network GateWay,P-GW)와 서빙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의 선택(P-GW and S-GW selection for a UE), 6)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및 변경(MME selection for handovers with MME change), 7) 2G 또는 3G, 3GPP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 선택 (SGSN selection for handovers to 2G or 3G 3GPP access networks), 8) 휴지 모드에 있는 단말의 추적 및 페이징 제어(Idle mode UE tracking and paging control), 9) 단말 인증(Authentication/Authorization of the user via HSS interworking), 10) 합법적인 시그널링 차단(Lawful interception of signalling), 1) 단말 도달성 프로시저(UE reachability procedures), 12) 단말의 임시 아이디 생성 및 할당(Generation and allocation of temporary identities to UE).
S-GW(30, Serving GateWay)는 기지국(20)과 기지국(20) 간, 3GPP네트웍과 E-UTRAN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동에 대한 앵커링(anchoring)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P-GW(50, Packet date network GateWay)는 LTE에서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이 IMS로 인입되는 접점이면서 LTE와 non-3GPP 네트워크 간의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이동에 대한 앵커링(anchoring)을 담당한다. 또한 타 통신망들(61, 62, 63)들과도 연결된다. 타통신망들은 전화망, 유선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GW(30)는 GPRS 터널링 프로토콜(GTP) 또는 프록시 모바일 IPv6(PMIPv6) 프로토콜과 같은 2개의 개별적인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S5 인터페이스를 통해 PDN-GW에 연결된다. PIMP를 사용할 경우, SGW는 또한 Gxc 인터페이스를 통해 PCRF에 직접 연결되어, PMIPv6 프로토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이벤트 보고 기능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 PMIPv6는 EPS 베어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IP 연결을 유지한다. EPS 베어러는 적절한 QoS를 통해 UE에서 PDN GW로 이동한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DN-GW, 50)는 패킷 데이터 인터페이스 종료점이며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한다. PDN-GW(50)는 외부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세션에 대한 앵커링 기능을 제공하며, 가장 중요 기능 중 하나는 사용자 별 기반 패킷 필터링 기능으로서 게이팅 및 요금 적용 정책뿐만 아니라 서비스 수준에 따른 요금 부과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사용자 평면 LTE 트래픽은 서비스 데이터 플로우(SDF: Service Data Flow)에서 이루어지며 특정한 필터 정책이나 템플릿에 일치하는 가상 연결 세트상에서 통합된다. SDF는 다시 EPS 베어러상에서 전달된다. EPS 베어러는 UE와 PDN GW 사이에 공통적인 QoS 처리를 받는 데이터의 흐름을 고유하게 식별한다. P-GW(50)와 S-GW(30)의 기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LTE와 non-3GPP 기술 간의 이동성 앵커링(Mobility anchoring between LTE and non-3GPP technologies(e.g., WiMax, 3GPP2)), 2)단말의 연결 관리(UE connection management), 3)PCRF와 연동을 통한 정책 강화(Policy enforcements via interworking with PCRF), 4) 요금 부과 지원(Charging support), 5) 사용자별 패킷 필터링(Per-user based packet filtering), 6) Lawful interception, 7) 단말의 IP 할당(UE IP allocation), 8) 패킷 스크리닝(Packet screening).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블럭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감지센서(141), 압력센서(143), 및 모션 센서(1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접근하는 물체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 등을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감지센서(141)는, 교류자계의 변화나 정자계의 변화를 이용하거나, 혹은 정전용량의 변화율 등을 이용하여 근접물체를 검출할 수 있다. 감지센서(141)는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와, 그 압력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압력센서(143)는 사용환경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압력의 검출이 필요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만일, 압력센서(143)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설치되는 경우,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한 터치 입력과, 터치 입력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지는 압력터치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14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압력터치 입력시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감지한다. 모션 센서(145)에 사용될 수 있는 가속도 센서는 어느 한 방향의 가속도 변화에 대해서 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로서,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속도 센서에는, 자동차의 에어백 시스템에 내장되어 충돌을 감지하는데 사용하는 큰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부터, 사람 손의 미세한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등의 입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미세한 값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속도 센서는 보통 2축이나 3축을 하나의 패키지에 실장하여 구성되며,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Z축 한 축만 필요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어떤 이유로 Z축 방향 대신 X축 또는 Y축 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써야 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각 기판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를 주 기판에 세워서 실장할 수도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이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및 햅틱 모듈(157)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자종이(e-Pap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종이(e-Paper)는 일종의 반사형 디스플레이로서, 기존의 종이와 잉크처럼 높은 해상도, 넓은 시야각, 밝은 흰색 배경으로 우수한 시각 특성을 가진다. 전자종이(e-Paper)는 플라스틱, 금속, 종이 등 어떠한 기판상에도 구현이 가능하고, 전원을 차단한 후에도 화상이 유지되고 백라이트(back light) 전원이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배터리 수명이 오래 유지될 수 있다. 전자종이로는 정전화가 충전된 반구형 트위스트 볼을 이용하거나, 전기영동법 및 마이크로 캡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출력 모듈(153)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155)가 출력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햅틱 모듈(157)이 촉각 효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 햅택 모듈(157)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변환가능하며,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7)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7)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ty Module) 카드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연결된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들 중에서 전면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1)와 리어 케이스(100-2)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출력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및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4 사용자 입력부(130d), 제5 사용자 입력부(130e),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 130d, 130e)와 후술하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4 사용자 입력부(130d)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5 사용자 입력부(130e)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리어 케이스(100-2)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0-2)의 측면에는 제6 및 제7 사용자 입력부(130f, 130g)와,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 인접하게 다른 카메라를 더 설치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의 촬영을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래쉬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제2 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00-2)에는 제2 음향출력 모듈(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출력 모듈은 제1 음향출력 모듈(153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가 교환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톤 케이스(100-1) 및 리어 케이스(100-2)의 일 영역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리어 케이스(100-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0-2) 측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리어 케이스(10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b) 등이 리어 케이스(100-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카메라(121b)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카메라(121a)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카메라(121b)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모두 접속 가능하다. 여기서 제1 통신망은 레거시 망으로서 3G망으로 예시될 수 있으며, 제2 통신망은 LTE 망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2 통신망은 제1 통신망보다 데이터 전송량, 전송 속도, 통신 품질 면에서 우수한 망일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거나, 핸드오버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에 동시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여 MIMO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즉 제1 통신망 접속 후 제2 통신망에 접속하는 경우, 제1 통신망 접속 중에 제2 통신망에 추가적으로 접속하는 경우가 본 실시예에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00). 그리고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망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한다(S205).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하에서는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상이할 수 있다. 즉,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고 대용량 데이터의 전송이 어려운 제1 통신망 하에서는 저용량의 데이터만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구성할 수 있다. 반면, 제2 통신망이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고, 대용량 데이터의 빠른 전송에 유리하거나 데이터 전송에 따른 요금이 저렴하다면, 제2 통신망 하에서는 비교적 대용량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망에 따라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하에서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이 어느 통신망인지를 판별하여(S210), 제2 통신망에 접속중인 경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때에 비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해 추가로 수신되어야 할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한다(S215). 예컨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정지 영상이 사용되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동영상이 추가로 사용되는 경우, 동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가 여기서의 추가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가 수신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추가 데이터를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S220). 그리고 제어부(180)는 수신된 추가 데이터를 더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225).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생성을 위해 데이터를 추가로 수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추가 데이터 없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2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아니어서 어느 통신망에서나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디폴트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한다(S230).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한다(S260). 제어부(180)는 현재 접속중인 통신망을 판별하여(S265), 제2 통신망에 접속중인 경우,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을 구분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을 서로 다른 영역에 분리하여 표시하거나 시각적인 효과를 상이하게 하는 등, 구분 가능하도록 표시한다(S270).
제2 통신망에 접속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경우, 제1 아이콘 그룹 또는 제2 아이콘 그룹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통신망에만 연결된 경우에도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을 구분하여 표시하며, 제1 아이콘 그룹을 아이콘 목록에서 앞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제1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에는 어느 그룹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공되지 못한다.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아이콘 그룹 또는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275). 제1 통신망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즉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디폴트로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S285).
제2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제1 아이콘 그룹과 구분하여 표시된 제2 아이콘 그룹에서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아이콘 그룹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에서 각각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제1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됨에 반해,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는 상이한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제2 아이콘 그룹에서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80). 제어부(180)는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생성된 화면을 표시한다(S290).
물론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도 제1 아이콘 그룹의 아이콘을 선택하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만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한다(S310). 제어부(180)는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을 구분되게 재배열할 수 있다(S320). 여기서 제1 아이콘 그룹은 제1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포함하고, 제2 아이콘 그룹은 제2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순위를 가진다고 함은, 애플리케이션의 성질이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통신망 하에서 실행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거나 바람직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통신망 변경 시 어떤 애플리케이션을 우선적으로 실행할 것인지를 미리 설정해 둔 경우, 특정 통신망 하에서는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제1 통신망에서 커버되지 않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제2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실행 시, 데이터 전송에 따라 많은 요금이 부과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데이터 전송에 비교적 낮은 요금이 부과되는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게 된다. 상술한 기준에 따라 통신망 별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도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통신망에서 실행되는 경우에 비하여, 제2 통신망에서 실행 시 보다 차별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보다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제2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아이콘 그룹을 재배열하기 위해, 현재 접속된 통신망이 어느 통신망인지를 판별한다(S330). 제2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라면, 디스플레이부(151)는 제2 아이콘 그룹을 제1 아이콘 그룹보다 아이콘 목록에서 앞부분에 표시한다(S340).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에 모두 접속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제2 통신망에 접속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제2 아이콘 그룹을 아이콘 목록에서 앞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제2 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제1 통신망에만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아이콘 그룹을 제2 아이콘 그룹보다 앞부분에 표시한다(S345).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을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S350). 예컨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은 화면 내에서 표시되는 영역이 상이할 수 있다. 제1 통신망 하에서는 제1 아이콘 그룹이, 제2 통신망 하에서는 제2 아이콘 그룹이 아이콘 리스트에서 앞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아이콘의 밝기, 선명도, 크기, 기타 강조 효과를 이용하여 제1 아이콘과 제2 아이콘들은 상이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아이콘을 표시하는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통신망, 제2 통신망 및/또는 제3 통신망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통신망은 3G 망, 제2 통신망은 LTE망, 제3 통신망은 WiFi망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통신망, 제2 통신망 또는 제3 통신망 연결과 연결됨에 따라, 제1 아이콘 그룹과 제2 아이콘 그룹 그리고 제3 아이콘 그룹이 구분되어 표시된다.
도 8은 제1 통신망 연결 시 아이콘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아이콘(401), 제2 아이콘(402), 제3 아이콘(403), 제4 아이콘(405), 제5 아이콘(405), 제6 아이콘(406), 제7 아이콘(407), 제8 아이콘(408) 및 제9 아이콘(409)이 표시되며, 각각의 아이콘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된다.
그리고 도 9는 제2 통신망 또는 제3 통신망 연결 시 아이콘 리스트를 도시한다. 도 9의 (a)에는 제2 통신망 연결 시 제2 아이콘 그룹이 아이콘 리스트의 앞부분에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의 (b)에는 제3 통신망 연결 시 제3 아이콘 그룹이 아이콘 리스트의 앞부분에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2 아이콘 그룹에는 제2 아이콘(402), 제4 아이콘(404), 제6 아이콘(406), 제8 아이콘(408)이 포함된다. 그리고 제3 아이콘 그룹에는 제7 아이콘(407) 및 제9 아이콘(409)이 포함된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되는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아이콘 그룹이 각각 다른 영역에 표시된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 통신망 연결 시, 3G 인디케이터(430)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1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제1 아이콘(401)과 제3 아이콘(403), 제5 아이콘(405)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영역(440)에 표시된다. 그리고 나머지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450)에 표시된다.
그리고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제2 통신망 연결 시, LTE 인디케이터(410)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제2 아이콘(402)과 제4 아이콘(404), 제6 아이콘(406)과 제8 아이콘(408)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영역(440)에 표시된다. 그리고 나머지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450)에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제3 통신망 연결 시, WiFi 인디케이터(420)가 표시된다. 그리고 제3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제7 아이콘(407)과 제9 아이콘(409)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1 영역(440)에 표시된다. 그리고 나머지 아이콘들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제2 영역(450)에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되는 통신망이 변경되는 경우,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아이콘들에 부가되는 시각적인 효과가 예시된다.
도 11의 (a)는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들의 진하기가 변경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그리고 도 11의 (b)는 아이콘의 크기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 11의 (c)는 아이콘의 선명도가 가변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2 통신망, 즉 LTE 망에 접속된 경우를 가정하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아이콘에 시각적인 효과가 부가됨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51) 상단에는 LTE 인디케이터(410)가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현재 제2 통신망에 접속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2는 현재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추천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방법을 도시한다.
현재 도 12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2 통신망인 LTE 망에 연결된 상태이다. 그리고 제3 아이콘(403)은 제1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아이콘으로서, 제3 아이콘(403)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2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지 않는다. 즉, 제3 아이콘(403)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제2 통신망에서 실행되기에 적합하지 않거나, 제2 통신망에서 실행되는 것이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 경우, 흐리게 표시된 제3 아이콘(403)을 LTE 인디케이터(410)에 드래그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3 아이콘(403)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유사한 기능을 가지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추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거나, 추천 정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제3 아이콘(403)에 상응하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수신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된 경우, 제3 아이콘(403)에 갈음하는 새로운 아이콘(413)이 생성되여 표시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이하게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전화번호부 실행 시, 통신망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사용자들의 사진(510), 이름과 연락처(520) 등을 일괄적으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은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통신망 별로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다.
도 13의 (a)는 제1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공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사용자들의 사진(510)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이미 저장된 사진으로서, 전화번호부에 사용하도록 미리 등록된 사진일 수 있다.
제2 통신망에 연결된 경우,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110)는 각각의 다른 사용자들에 대하여 미리 등록된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웹 페이지의 서버로부터, 다른 사용자들이 최근 업데이트한 게시물 또는 게시물의 내용 일부를 다운로드한다. 그리고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디스플레이부는 연락처(520)와 함께 업데이트 현황(530)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사용자들의 사진(510)을 표시함에 있어서 메모리(160)에 저장된 사진 대신, 각 웹 페이지에 다른 사용자들이 업로드한 사진을 수신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연락처(520)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연락처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들이 운영하는 웹 페이지의 업데이트 현황이나 다른 사용자들의 최근 게시물 내용, 근황 등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4 내지 도 20은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통신망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 상이하게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고도 변경에 따라 다른 뷰를 제공하는 지도 영상을 도시한다. 도 14 내지 도 17에 따라 실행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지도 애플리케이션이다. 적응형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제2 통신망에서 실행되는 경우, 다양한 뷰(view)에 따른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도가 표시된다. 도 14에 표시된 지도는 특정 지역을 90도의 고도에서 내려다 본 바에 따른 뷰(view)로 표시된다. 그러나 제2 통신망 접속 시, 다량의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뷰에 따른 지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제1 지도 영상(610)을 도시하며, 도 15는 제2 지도 영상(620)을, 도 16은 제3 지도 영상(630), 도 17은 제4 지도 영상(640)을 도시한다. 90도의 고도에서 특정 지역을 내려다 본 바에 따른 지도 영상을 제1 지도 영상(610), 60도의 고도에서 특정 지역을 내려다 본 바에 따른 지도 영상을 제2 지도 영상(620), 30도의 고도에서 특정 지역을 내려다 본 바에 따른 지도 영상을 제3 지도 영상(630), 그리고 0도의 고도 즉 지면에서 특정 지역을 바라본 바에 따른 지도 영상을 제4 지도 영상(640)이라 지칭할 수 있다. 제4 지도 영상(640)은 소위 거리뷰(road view)라 지칭되는 영상일 수 있다.
우선 지도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지역을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받는다. 지정된 지역의 지도를 표시하면서, 고도 선택 바(625)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도 선택 바(625)를 터치하여 고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입력하는 터치의 궤적에 따라 고도가 조절 및 선택될 수 있다. 고도 조절에 따라, 다양한 뷰의 지도가 표시된다. 다양한 뷰에 따라 지도가 표시된다 함은, 지면을 내려다보는 고도에 따라 지도가 로드 뷰(road view), 버드 뷰(bird view), 또는 스카이 뷰(sky view) 등으로 표시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고도 선택 바(625)에 설정된 고도를 낮출수록, 낮은 고도에서 바라본 뷰에 따른 지도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확대/축소 버튼(635)을 통해 특정 고도에서의 지도 영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확대/축소 버튼(635)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신호에 따라 지도 영상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고도 선택 바(625)를 통해 입력하는 눈높이 선택 신호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는 다양한 뷰의 지도 영상을 수신한다. 제어부(180)는 눈높이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지도의 뷰를 가변하여 지도 영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연속적으로 고도를 변경시키면서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지도와 함께 다양한 지역 정보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더 18 내지 도 20에서 도시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지역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이다. 지역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여기서 지역 정보는 해당 지역의 지도, 날씨정보, 현재 시각 정보, 관광지 정보, 주소 또는 교통편 정보 기타 다양한 지리적 정보일 수 있다. 예컨대 맛집, 주유소, 각종 영업점, 편의시설, 현재 교통상황 등의 정보가 지역 정보 또는 지리적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지역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는 검색 대상이 되는 지역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입력한다. 예컨대, 임의의 지역에 대한 지도가 디스플레이부(151) 표시되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또는 전부 영역에 표시되는 지역이 검색 대상 지역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735)를 이용하여, 지도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커서(735)를 이동시킴으로써 위치 이동 신호를 입력할 수 있으며, 위치 이동 신호에 상응하여 검색의 대상이 되는 지역이 변경되고, 지도 영상 역시 가변적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검색 대상 지역에 대한 영상은 지도 영상으로 예시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위성 사진, 거리 뷰 영상 등이 검색 대상 지역에 대한 지역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지도로 표시되는 지역의 위치를 이동시킴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지도의 영역은 연속적으로 변동할 수 있다. 위치 이동 신호는 지도 영상(730) 상에 표시된 화살표(732)를 선택함에 따라 입력되거나, 지도가 표시된 화면을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향, 사용자 터치의 궤적 등에 상응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영상이 표시된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터치를 입력하는 지점이 변동함에 따라, 위치 이동 신호가 지시하는 위치 또는 지역이 연속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즉, 검색 대상 지역은 위치 이동 신호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동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110)는 검색 대상 지역이 변동되면, 변동된 검색 대상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연속적으로 새로 수신하여 업데이트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현재 지도로 표시되고 있는 지역에 상응하는 지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역 정보는 검색 대상 지역의 지역명(710), 검색 대상 지역의 현지 시간 정보(720), 검색 대상 지역의 지도 영상(730), 검색 대상 지역 관련 동영상(740) 등일 수 있다. 검색 대상 지역 관련 동영상(740)은 예컨대 해당 지역에 대한 일기 예보 영상, 홍보 영상, 뉴스 영상 등일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지역 정보는 검색 대상 지역의 지역명(710), 검색 대상 지역의 현지 시간 정보(720), 검색 대상 지역의 지도 영상(730), 그리고 기상 정보(750)를 나타내는 영상일 수 있다. 특히 기상 정보(750)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지도 영상으로 표시된 지역을 검색 대상 지역으로 설정하여 검색된 기상 관련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커서(735)를 이용하여 지도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검색 대상 지역은 실시간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기상 정보(750)는 지도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함께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지역 이미지가 위치 이동 신호에 상응하여 가변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검색 대상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도 함께 연속적으로 가변하여 표시한다.
도 20에 따르면, 거리 뷰 영상(760)이 실시간 지역 정보로서 지도 영상(730)과 함께 표시된다. 이 경우 지도 영상(730)과 거리 뷰 영상(760)은 동일한 지점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지도 영상(730)과 거리 뷰 영상(76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위치 이동 신호를 입력하면, 나머지 하나가 표시하는 지점의 위치도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지도 영상(730)과 함께 해당 검색 대상 지역에 대한 추가적인 지리적 정보가 지역 정보 표시 화면(77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지역 정보 표시 화면(770)은 특정 지역의 지리적 정보에 대한 웹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인터넷 창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일 수 있다.
도 21은 통신망의 종류에 따라, 영상을 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과 업로드된 영상이 함께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다.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영상의 목록을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적응형 영상 목록 표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제1 통신망 접속 시에 제어부(180)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그러나 제2 통신망 접속 시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웹 페이지에 접속한다. 그리고 웹 페이지에 업로드된 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과 함께 표시한다. 이 경우, 웹 페이지에 영상이 업로드되어 있는 부분을 그대로 표시하거나, 업로드된 영상을 수신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 후 기 저장되어 있던 영상들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2 이상의 웹 페이지를 미리 설정한 경우, 2 이상의 웹 페이지에 동시에 접속하여 업로드된 영상들을 웹 페이지 종류 별로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적응형 영상 목록 표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예컨대 기 저장된 영상 목록(810), 블로그에 업로드한 영상 목록(820) 및 카페에 업로드한 영상 목록(830)이 하나의 화면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2는 제2 통신망 연결 시 설정된 키워드에 따라 배경화면을 수신하여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한다.
도 22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경화면을 설정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적응형 배경화면 설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제1 통신망에서 사용자는 메모리(160)에 기 저장된 영상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부(151)의 배경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배경 화면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폴트로 표시되는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통신망에서 적응형 배경화면 설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는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키워드는 자판(910)을 통해, 특정 검색 엔진을 이용할 수 있는 검색창(900) 등에 입력될 수 있다. 입력된 키워드에 따라,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가 제2 통신망을 통해 해당 키워드에 상응하는 영상을 검색하여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2의 (b)를 참조하면 검색 화면(920)과 함께, 검색 결과 수신된 영상이 배경 화면으로 등록된다. 배경 화면은 다른 아이콘들(401, 402, 403, 404)이나 실행 중인 검색 화면(920)과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에도 배경 화면은 자동으로 수신 및 등록될 수 있다.
도 22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경화면 등록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에도 동시에 실행되어 배경화면을 검색 및 등록할 수 있다. 예컨대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930)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제2 통신망에 연결되면 사용자가 미리 입력해 둔 키워드를 이용하여 배경 화면으로 등록될 영상을 검색, 수신 및 저장하여 배경 화면을 등록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도 23은 텍스트 파일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제2 통신망에 연결되는 경우 하이퍼 링크 또는 순간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도시한다.
즉, 도 23에서 예시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텍스트 파일을 생성 및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경우, 텍스트 파일 내에 포함된 문구에 상응하는 url 주소 정보, 웹 검색 결과가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 기능을 이용하여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 경우, 제1 통신망 하에서는 제어부(180)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도 2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파일만이 표시된다.
그러나 제2 통신망 하에서 제어부(180)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도 23의 (b)와 같이, 텍스트 파일 중 특정 문구는 그와 관련된 url 정보가 함께 제공되어, 하이퍼 링크 처리될 수 있다. 도 23의 (b)는 메모 내용 중 제1 항목(1011), 제2 항목(1013) 및 제3 항목(1015)가 하이퍼 링크 처리된 예를 도시한다. 또한, 제3 항목(1015)에 대해서는 순간 검색 기능이 제공되어, 제3 항목(1015)의 작성과 동시에 그에 대한 웹 검색 창(1020)이 표시되고 관련 내용에 대한 웹 검색이 실행될 수도 있다.
도 23의 (c)에서는 보다 심화된 정보가 검색 가능함을 도시한다. 즉, 제3 항목(1015)과 제4 항목(1017)에 대해서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요청한 경우, 각 항목에 대한 고용량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가 제1 서브 화면(1030), 제2 서브 화면(1040)으로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제1 서브 화면(1030)을 통해 지도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 주변 지역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서브 화면(1040)을 통해 달력이 표시되는 경우, 날짜별 공연 정보, 각 공연에 대한 공연 스케줄 정보 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서브 화면(1040)에 상응하는 제3 항목(1015)이 영화관인 경우, 달력과 함께 날짜별 상영작 정보, 상영 시간표, 잔여 좌석 정보 등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8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제3 항목(1015)의 영화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여, 제2 통신망을 통해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4는 제2 통신망 연결 시, 이메일에 첨부되는 파일의 미리보기 영상이 제공되는 화면이 도시된다. 도 24를 참조하여 제2 통신망에 연결된 상태에서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첨부 파일에 대한 표시 상태가 달라지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4에서 예시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이다. 이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되는 이메일 실행창(1110)을 통해 사용자는 이메일을 작성하여 발송하거나, 수신된 이메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메일에는 다양한 파일이 첨부될 수 있는데, 제2 통신망에 연결되는 경우 제1 통신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용량의 파일 첨부가 가능하다. 특히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경우, 수신된 메일에 첨부된 고용량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가 가능하다. 발신하는 메일에 대해서도 파일 첨부 후, 사용자는 첨부한 파일에 대한 미리보기 영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통신망에서 이메일 실행창(1110)이 표시되는 경우, 이메일 실행창(1110)의 일 영역에는 첨부 파일 목록(1120)이 표시되고 나머지 영역에 메일 본문(1130)이 표시된다. 그러나 제2 통신망에서는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된다. 즉, 이메일 실행창(1110)의 일 영역에 첨부 파일 목록(1120)이 표시되며, 첨부 파일 목록(1120)에는 첨부 파일의 미리 보기 영상(1121, 1123)이 함께 표시된다. 특히 여기서 첨부 파일은 동영상 파일이다. 미리 보기 영상(1121, 1123)을 통해 동영상의 일부분이 재생될 수도 있다.
특히, 수신된 이메일에 첨부된 동영상의 경우, 제어부(180)는 해당 동영상을 모두 다운로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이라도,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여 해당 동영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보기 기능에 따라 표시되는 동영상은 첨부된 원본 파일의 동영상에 비하여 용량이 작거나, 음성 파일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5는 제2 통신망 연결 시, 음악 검색 기능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추가 정보가 제공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에 따른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은 음악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의하면,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 파일 또는 웹 검색을 통해 수신된 음악 파일의 목록(1130)이 표시된다. 그러나 제2 통신망 접속 시, 음악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음악 파일들은 물론 해당 음악들과 관련된 동영상이 함께 검색 및 수신된다. 그리고 음악 파일의 목록과 함께 관련 동영상이 함께 표시된다. 예컨대 음악과 관련된 동영상은, 해당 음악의 뮤직 비디오 또는 연주자의 인터뷰 영상, 관련 영화 등일 수 있다.
도 25의 (a)를 참조하면 제1 통신망 연결 시 사용자가 음악 검색창(1210)을 통해 가수 이름으로 음악을 검색하면 해당 가수 이름과 관련된 음악 목록(1130)이 표시된다.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에 음악 목록(1130)만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일 수 있다.
그리고 도 25의 (b)를 참조하면 제2 통신망 연결 시 사용자가 음악 검색창(1210)을 통해 가수 이름으로 음악을 검색하면, 음악 목록(1130)과 함께 관련된 동영상이 함께 검색되며,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1230)이 음악 목록(1130)과 함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220)에 표시될 수 있다.
제2 통신망 접속 시, 고용량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며 동영상에 대한 버퍼링도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동영상 파일에 대한 검색과 수신, 재생에 유리하다. 또한 여기서는 음악 목록(1130)을 예시하였으나, 다른 종류의 파일의 목록이 제공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파일들로 구성된 기본 목록을 제공하는 경우, 제2 통신망 연결 시 기본 목록에 포함된 파일들보다 용량이 큰 데이터를 포함하는 관련 정보가 함께 검색되고, 수신되어 목록에 함께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기지국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110 : 무선 통신부 120 : A/V 입력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센싱부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Claims (24)
-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망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데이터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들 중, 상기 제2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아이콘 그룹을 구분되게 재배열하여 아이콘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을 시각적으로 상이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은 상기 아이콘 목록 내에서의 위치, 아이콘의 밝기, 선명도, 크기, 강조 효과 중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표시되며,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은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미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에 상기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대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후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대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사용자들의 연락처를 제공하는 전화번호부인 경우,
상기 다른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다른 사용자들이 상기 웹 페이지에 업데이트한 최근 게시물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연락처의 목록과 함께 상기 다른 사용자에 상응하는 상기 최근 게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지도 검색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지역을 지정하는 단계;
해당 지역의 지도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눈높이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상기 지도는, 상기 눈높이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지도의 뷰가 가변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지역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의 위치 이동 신호에 따라 이동되는 위치에 상응하여 검색의 대상이 되는 지역을 연속적으로 가변하여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역에 대한 지역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지역에 대한 지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검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지역에 대한 지역 이미지를 상기 위치 이동 신호에 따라 연속적으로 가변하여 표시하고,
상기 지역 이미지가 가변적으로 표시됨에 따라, 상기 지역에 대한 상기 지역 정보를 함께 연속적으로 가변하여 표시하며,
여기서 상기 지역 이미지는 상기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 위성 사진 또는 거리 뷰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역 정보는 날씨정보, 현재 시각 정보, 관광지 정보, 교통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웹 페이지에 업로드된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음악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음악 파일 목록에 포함된 음악 파일들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을 상기 음악 파일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텍스트 파일을 생성 및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텍스트 파일 내에 포함된 텍스트 항목에 상응하는 url 주소 정보, 웹 검색 결과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url 주소 정보 또는 상기 웹 검색 결과 중 하나 이상을 상기 텍스트 파일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동작 방법. - 제1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는 무선 통신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통신망에 따라 상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되는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인지 판단하며,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통신망에 상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생성된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데이터가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추가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데이터를 더 이용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가 상기 제1 통신망과 상기 제2 통신망 중 하나 이상의 통신망에 접속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저장된 아이콘들 중, 상기 제2 통신망에서 우선 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제2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콘들을 포함하는 제1 아이콘 그룹을 구분되게 재배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아이콘 그룹과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을 상기 아이콘 목록 내에서의 위치, 아이콘의 밝기, 선명도, 크기, 강조 효과 중 하나 이상이 상이하게 표시하며,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아이콘은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콘 그룹에 포함된 아이콘들에 상응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설정된 수치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요구되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미리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도중에 상기 제2 통신망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대신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된 후 상기 제2 통신망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대신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사용자들의 연락처를 제공하는 전화번호부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다른 사용자들 각각에 대하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상기 다른 사용자들이 상기 웹 페이지에 업데이트한 최근 게시물을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연락처의 목록과 함께, 상기 다른 사용자에 상응하는 상기 최근 게시물이 함께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지도 검색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 입력 신호 및 눈높이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지역을 지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중에서, 상기 눈높이 선택 신호에 따라 선택된 하나 이상의 눈높이에 상응하는 지도 이미지를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눈높이 선택 신호에 상응하여 뷰가 가변되는 지도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지역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사용자 입력 신호 및 위치 이동 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검색 대상이 되는 지역을 설정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위치 이동 신호가 지시하는 위치가 가변함에 따라 검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지역이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지역들에 대한 상기 지역 이미지 및 지역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위치 이동 신호에 의해 상기 검색의 대상이 되는 상기 지역이 연속적으로 변경됨에 따라, 상기 지역 이미지 및 상기 지역 정보가 가변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며,
여기서 상기 지역 이미지는 상기 지역에 대한 지도 이미지, 위성 사진 또는 거리 뷰 이미지 중 하나 이상이며, 상기 지역 정보는 날씨정보, 현재 시각 정보, 관광지 정보, 교통 정보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는 미리 설정된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웹 페이지에 업로드된 영상을 상기 웹 페이지의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함께 포함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음악 파일 목록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음악 파일 목록에 포함된 음악 파일들에 관련된 하나 이상의 동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악 파일 목록과 상기 썸네일 영상을 함께 포함하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적응형 애플리케이션이 텍스트 파일을 생성 및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텍스트 파일 내에 포함된 텍스트 항목에 상응하는 url 주소 정보와 웹 검색 결과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 상기 텍스트 항목과 상기 url 주소 정보와 상기 웹 검색 결과 중 하나 이상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594A KR101349278B1 (ko) | 2011-06-07 | 2011-06-07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US13/240,777 US8914071B2 (en) | 2011-06-07 | 2011-09-22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EP12001186.1A EP2533507B1 (en) | 2011-06-07 | 2012-02-22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4594A KR101349278B1 (ko) | 2011-06-07 | 2011-06-07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5720A true KR20120135720A (ko) | 2012-12-17 |
KR101349278B1 KR101349278B1 (ko) | 2014-01-15 |
Family
ID=45771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4594A KR101349278B1 (ko) | 2011-06-07 | 2011-06-07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914071B2 (ko) |
EP (1) | EP2533507B1 (ko) |
KR (1) | KR10134927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09525A1 (en) * | 2013-01-10 | 2014-07-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icons according to service usage states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KR20180020401A (ko) * | 2016-08-18 | 2018-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KR20210131282A (ko) * | 2013-06-18 | 2021-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
WO2024005239A1 (ko) * | 2022-06-28 | 2024-01-04 | 쿠팡 주식회사 | 페이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85541A1 (en) * | 2011-12-09 | 2013-06-13 | Intel Corporation | User equipment having virtual mobile terminals |
KR20130102323A (ko) * | 2012-03-07 | 2013-09-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네트워크 연결 장치 및 방법 |
US10135677B1 (en) | 2012-07-06 | 2018-11-20 | Cradlepoint, Inc. | Deployment of network-related features over cloud network |
US9992062B1 (en) | 2012-07-06 | 2018-06-05 | Cradlepoint, Inc. | Implicit traffic engineering |
US10110417B1 (en) | 2012-07-06 | 2018-10-23 | Cradlepoint, Inc. | Private networks overlaid on cloud infrastructure |
US10560343B1 (en) | 2012-07-06 | 2020-02-11 | Cradlepoint, Inc. | People centric management of cloud networks via GUI |
US9118495B1 (en) * | 2012-07-06 | 2015-08-25 | Pertino, Inc. | Communication between broadcast domains |
US10177957B1 (en) | 2012-07-06 | 2019-01-08 | Cradlepoint, Inc. | Connecting a cloud network to the internet |
US10880162B1 (en) | 2012-07-06 | 2020-12-29 | Cradlepoint, Inc. | Linking logical broadcast domains |
US10601653B2 (en) * | 2012-07-06 | 2020-03-24 | Cradlepoint, Inc. | Implicit traffic engineering |
KR20140027826A (ko) * | 2012-08-27 | 2014-03-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에서 컨텐츠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
SG11201505062UA (en) * | 2013-03-27 | 2015-08-28 | Hitachi Maxell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
US20140298219A1 (en) * | 2013-03-29 | 2014-10-02 | Microsoft Corporation | Visual Selection and Grouping |
WO2014201151A1 (en) | 2013-06-11 | 2014-12-18 | Immersion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pressure-based haptic effects |
KR102133014B1 (ko) * | 2014-01-20 | 2020-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한 통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CN111399646A (zh) * | 2014-03-21 | 2020-07-10 | 意美森公司 | 用于基于力的对象操纵和触觉检测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
CN104980391B (zh) * | 2014-04-01 | 2018-08-21 | 华为技术有限公司 | 安全消息的传输方法和装置 |
US9820216B1 (en) * | 2014-05-12 | 2017-11-14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Wireless traffic channel release prevention before update process completion |
US9734670B2 (en) * | 2014-07-21 | 2017-08-15 | Sam Johnson | Providing a secondary service for a client application which is associated with a primary service |
CN111158830B (zh) * | 2019-12-31 | 2024-02-27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显示应用任务窗口的方法和终端设备 |
CN113607995A (zh) * | 2021-07-30 | 2021-11-05 | 万安裕高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共享屏幕智能电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320050T2 (de) * | 2003-02-13 | 2009-06-25 |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 Manuelle Netzwerkauswahl für mobile Stationen |
US7408886B2 (en) | 2004-09-20 | 2008-08-05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 Method for providing mobile phone user with accurate capability indicator |
JP4347303B2 (ja) * | 2006-01-23 | 2009-10-21 | シャープ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
JP4598741B2 (ja) * | 2006-10-05 | 2010-12-15 |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 機能更新システム及び機能更新方法 |
WO2009090488A2 (en) * | 2007-11-23 | 2009-07-23 | Aastra Telecom Schweiz, Ag | A man-machine interface |
US8364145B2 (en) * | 2008-01-09 | 2013-01-29 | Mediatek Inc. |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menu update |
KR101599807B1 (ko) * | 2009-05-15 | 2016-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KR101717163B1 (ko) * | 2009-09-25 | 2017-03-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수행 방법 |
US20120140255A1 (en) * | 2010-12-02 | 2012-06-07 | Ricoh Company, Ltd. | Application launcher apparatus |
-
2011
- 2011-06-07 KR KR1020110054594A patent/KR10134927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9-22 US US13/240,777 patent/US891407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2-22 EP EP12001186.1A patent/EP2533507B1/en not_active Not-in-forc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09525A1 (en) * | 2013-01-10 | 2014-07-1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icons according to service usage states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US9485364B2 (en) | 2013-01-10 | 2016-11-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of displaying icons according to service usage states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KR20210131282A (ko) * | 2013-06-18 | 2021-1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홈 네트워크 관리 방법 |
US11592968B2 (en) | 2013-06-18 | 2023-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ser terminal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of home network thereof |
KR20180020401A (ko) * | 2016-08-18 | 2018-0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망 연결 제어 방법, 저장 매체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WO2024005239A1 (ko) * | 2022-06-28 | 2024-01-04 | 쿠팡 주식회사 | 페이지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914071B2 (en) | 2014-12-16 |
KR101349278B1 (ko) | 2014-01-15 |
US20120315882A1 (en) | 2012-12-13 |
EP2533507A1 (en) | 2012-12-12 |
EP2533507B1 (en) | 2018-08-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9278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1249901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101984921B1 (ko) |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 |
CN104735255B (zh) | 分屏显示方法和系统 | |
EP2799972A2 (en) | Mobile terminal capable of dividing a scree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CN110944374B (zh) | 通信模式的选择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 |
US20050235226A1 (en) | Information browsing apparatus having communicating function | |
CN106303225A (zh) | 一种图像处理方法及电子设备 | |
US9546878B2 (en) | Mobile terminal and cloud system using the mobile terminal | |
KR20160068827A (ko) |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및/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디바이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 |
KR102131828B1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122981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120133878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04866265A (zh) | 多媒体文件的显示方法和装置 | |
CN104811532A (zh) | 终端屏显参数的调整方法及装置 | |
CN106791017A (zh) | 一种终端及拍照方法 | |
KR102019123B1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CN106507185A (zh) | 一种信息处理方法及投影终端 | |
CN106455009A (zh) | 一种搜网装置和方法 | |
CN106453542A (zh) | 屏幕共享装置和方法 | |
US20230046894A1 (en) | Network datase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1952178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을 이용한 클라우드 시스템 | |
KR10126610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WO2017185800A1 (zh) |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存储介质 | |
KR10123321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