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2950A -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2950A
KR20120132950A KR1020110051361A KR20110051361A KR20120132950A KR 20120132950 A KR20120132950 A KR 20120132950A KR 1020110051361 A KR1020110051361 A KR 1020110051361A KR 20110051361 A KR20110051361 A KR 20110051361A KR 20120132950 A KR20120132950 A KR 20120132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modeling
tribone
safety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혜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32950A/ko
Publication of KR2012013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2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 일 실시예에 따르면, 3D 모델링에 포함되는 각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모델링 대상에 대한 3D 모델링을 처리하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3D 모델링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각 설계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컴포넌트 명칭과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이 서로 매핑된 정보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파일; 상기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저장하는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의 안전 설계도 작업을 위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심볼 매핑 파일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을 독출하고, 상기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상에서 정의된 상기 각 아이템의 위치에 상기 독출된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상기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FIRE CONTROL AND SAFETY PLAN FROM COMPUTER AIDED DESIGN MODELING DATA ABOUT A SHIP}
본 발명은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computer aided design; 이하, 'CAD'라 한다.)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용 3D 모델링에 사용되는 트라이본 3D 모델링으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에 표시되는 심볼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플랜트 및 선박 설계를 위해 2차원으로 된 AUTOCAD를 주로 사용하여 설계를 하였으나, 지금은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컴퓨터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대부분 3차원 프로그램에 의하여 플랜트 및 선박을 설계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3차원 관련 프로그램이 차츰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으로는 인터그래프(Intergraph)사의 PDS(Plant Design System)와 SmartPlant 3D, 아비바(Aveva)사의 PDMS(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와 트라이본(Tribon)(선박설계용 3차원 프로그램), 벤틀리(Bentley)사의 AutoPlant와 PlantSpace 등이 있다. 이들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들은 각자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 플랜트 엔지니어링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PDS와 PDMS 등이고 조선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은 트라이본(Tribon) 프로그램이다.
컴퓨터상에서의 3차원 모델은 그 크기를 실제의 크기에서 축척에 의하여 축소 또는 확대하여 컴퓨터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쉽게 엔지니어가 컴퓨터상에서 3차원 모델의 설계상 문제점들을 용이하게 점검(Check)할 수 있고, 각 파이프ㆍ트레이ㆍ덕트 라인들이 전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 즉, 예를 들어 전체 배관이 완성되었는지를 쉽게 체크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상의 모델에 의해 시공상의 문제점들, 예를 들어 배관 라인이 다른 기기(Equipment)나 밸브(Valve) 또는 구조물(Structure) 등과 부딪히는 경우나, 배관 라인이 전기?계장 트레이와 간섭되는지 여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엔지니어링사, 건설사 및 중공업사에서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실제 플랜트 및 선박을 제작, 시공하는 곳은 현장(Site 또는 Yard)이므로 설계실에서 작성한 3차원 모델은 단지 참조용에 해당할 뿐 실질적인 시공상의 도면으로 직접 활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3차원으로 구축된 모델상에는 치수 등을 개별적으로 확인할 수는 있어도 각종 원하는 도면의 형식으로 직접 표현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 현장에서 엔지니어가 쉽게 도면을 가지고 치수 등을 파악하고 설계대로 각 구성요소가 설치되어 있는지 점검(Check)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데이터 및 심볼들이 일목요연하게 기입 및 배치된 2차원 도면, 예를 들어 평면도나 단면도 등은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3차원 모델에 대한 프로그램에도 2차원 도면으로 변환하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나, 2차원 도면으로 변환하여도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fire control and safety plan)'(줄여서, 안전 설계도(safety plan)라 한다.)의 경우, 설계 담당자에게 필요한 형식의 식별 이미지나 치수가 기재되어 있지 않은 등 표현된 정보의 양과 질의 수준이 현저히 낮아서 결국 캐드(CAD) 엔지니어 담당자들이 다시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는 선박의 자체 안전 및 부속 인명에 관련한 중요한 사항들을 모두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그 선박이 가지는 여러 가지 독특한 환경 때문에 당업계에서는 상당히 중요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안전 설계도는 통상적으로 선박 설계 기본 5도(즉, 선도(Lines), 중앙 횡단면도(Midship Section), 선체 종단면도(Construction Profile), 일반 배치도(General Arrangement), 외판 전개도(Shell Expansion))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배치도(General Arrangement; 이하, 'GA'라 한다.) 상에서 각종 IMO(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규격의 심볼들을 배치시켜 완성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작업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안전 설계도를 작성하기 위해서, 각 안전 설계도 담당자가 각 설계 담당자들의 디스플레이(display)들로부터 취합된 다수의 도면 파일(예컨대, PDF 형식의 파일)들을 육안으로 검토한 후, 3D 모델링 프로그램(예컨대, 트라이본 프로그램)의 IMO 심볼 입력 도구(tool)를 사용하여 GA 상의 해당 위치에 각 심볼들을 일일이 추가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안전 설계도에 표현될 심볼의 각 설계 담당자에게 아이템(item)별 위치, 수량 등의 정보를 요청(S301)한다.
이때, 도면 작성을 위한 각 설계 분야별 도면 반영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장 설계에서는 'Fire Hydrant Valve', Fire Hose Box', 'Drencher system', 'Sprinkler System' 등이 포함되며, 선장 설계에서는 'Escape Primary Route', 'External Door', 'Life Saving Appliances', 'Loose Fire Fighting equipment' 등이 포함된다. 공조 설계에서는 'Fan List', 'Fire Damper', 'Closing Appliances' 등이 포함되며, 전장 설계에서는 'Fire Detector', 'Fire Alarm', 'control Station', 'Radio Equipment' 등이 포함된다. 또한, 선실 설계에서는 'A-Class & B-Class Fire Door', 'A-Class BHD & Deck' 등이 포함된다.
안전 설계도 담당자는 상기 각 설계 담당자들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집하고, 도면의 위치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준비된 백 드로잉(back drawing)(예컨대, GA)의 해당 위치에 심볼을 표시(S302)한다.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IMO 심볼 입력 도구를 사용하여 해당 심볼들을 일일이 선택하여 해당 위치에 추가한다. 그런 다음, 육안으로 각 아이템별 수량을 파악(counting)한 후, 해당 아이템의 수량을 도면의 일측부에 마련된 범례(legend) 영역에 표기(S303)한다.
이와 같이, 작업이 완료된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아이템별로 각 설계 담당자들에게 개정 사항이 있는지를 확인(S304)한다. 상기 확인 결과, 개정 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기존 도면의 내용에 추가만 되었는지, 아니면 삭제된 항목도 있는지를 확인(S306)한다. 상기 확인 결과, 추가 및 삭제할 항목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S302 단계의 심볼 표시 단계부터 이후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반면, 추가할 항목만 있을 경우에는 추가된 심볼을 표기(S307)하고, 상기 S303 단계의 심볼 표시 단계부터 이후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 설계도 담당자가 각 설계 담당자로부터 도면을 취합하여 GA 상에서 심볼을 하나씩 해당 위치에 배치하여 안전 설계도를 작성함으로써 상당한 설계 시간이 요구되어, 설계 M/H(Man-hour; 작업 공수)가 많이 사용된다.
또한, 플랜트 또는 선박 설계를 위한 도면들은 한두 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많게는 수백 장에 다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다시 수정하는 것은 전체적인 플랜트 설계 및 시공 프로젝트의 수행 기간 상으로도 상당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도면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캐드 엔지니어들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므로 인건비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안전 설계도 rev.A 도면 작성 시, 4주간의 작업이 요구되며, 배 1척에 대해 700M/H ~ 800M/H의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3차원 모델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2차원 도면상에서 안전 설계도 담당 엔지니어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각 아이템에 대한 심볼 등을 입력하여야 하므로, 작성자 개인의 기량에 따라 설계 생산성 및 품질면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미비한 정보의 취합이나 설계자의 오작으로 인해 추가적인 재검토(revision)가 필요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특정 필요한 2D 도면(예컨대, 안전 설계도 등)을 얻기 위해서는 담당 캐드 엔지니어가 PDS, SmartPlant 3D, PDMS, AutoPlant, PlantSpace, Tribon 등의 기본 기능을 개별적으로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모두 기입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 왔다.
따라서,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안전 설계도를 효과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상에 모델링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명칭과 트라이본 IMO 심볼을 매칭시켜 자동으로 2D 심볼 도면을 생성시키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별도의 2D 심볼 레이어를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별도의 2D 심볼 레이어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상기 2D 심볼 레이어상에 배치된 각 심볼을 다양한 기능으로 편집할 수 있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별도의 2D 심볼 레이어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상기 2D 심볼 레이어상에 배치된 각 심볼의 아이템별 수량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범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은, 3D 모델링에 포함되는 각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모델링 대상에 대한 3D 모델링을 처리하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3D 모델링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각 설계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컴포넌트 명칭과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이 서로 매핑된 정보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파일; 상기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저장하는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의 안전 설계도 작업을 위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심볼 매핑 파일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을 독출하고, 상기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상에서 정의된 상기 각 아이템의 위치에 상기 독출된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상기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 이미지를 별도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어는 심볼 레이어로서, 심볼 레이어 파일 형태로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은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레이어를 서브 픽쳐로 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되는 백 드로윙의 동일 좌표 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은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 중에서 폴리곤 윈도우를 이용하여 정한 범위 내에 포함된 각 심볼별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심볼 매핑 파일은 텍스트 파일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3D 모델링에 포함되는 각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모델링 대상에 대한 3D 모델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각 설계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컴포넌트 명칭과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이 서로 매핑된 정보를 심볼 매핑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의 안전 설계도 작업을 위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심볼 매핑 파일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을 독출하는 단계; 및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에서 상기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상에서 정의된 상기 각 아이템의 위치에 상기 독출된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상에 모델링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명칭과 트라이본 IMO 심볼을 매칭시켜 자동으로 2D 심볼 도면을 생성시킴으로써 안전 설계도 작업의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전체적인 설계 M/H 사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상에 모델링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명칭과 트라이본 IMO 심볼을 매칭시켜 자동으로 2D 심볼 도면을 생성시킴으로써 미비한 정보의 취합이나 설계자의 오작으로 인한 재검토 시간을 줄이고, 설계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상에 모델링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명칭과 트라이본 IMO 심볼을 매칭시켜 자동으로 2D 심볼 도면을 생성시킴으로써 미비한 정보의 취합이나 설계자의 오작으로 인한 재검토 시간을 줄이고, 도면을 품질을 향상시켜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의 품질이 상향 평준화가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별도의 2D 심볼 레이어를 자동으로 생성시킴으로써, 상기 2D 심볼 레이어상에 배치된 각 심볼을 백 드로윙 도면과 구분하여 용이하게 수정 및 편집할 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별도의 2D 심볼 레이어를 자동으로 생성시키고, 상기 2D 심볼 레이어상에 배치된 각 심볼의 아이템별 수량을 자동으로 계수함으로써, 작업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아이템을 계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작업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작업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상에서 구현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의 세부 구성 및 파일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볼 레이어 파일 생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파일의 작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플레이스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제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 실행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포트 작성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데이터상에 모델링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명칭과 트라이본 IMO 심볼을 매칭시켜 자동으로 2D 심볼 도면을 별도의 레이어(layer)로 생성하고, 이를 서브-픽쳐(sub-picture)로 작업하여 백 드로잉(예컨대, GA)위에 바로 추가하여 덮어씌움으로써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3D 모델링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설정된 디렉토리 또는 폴더(예컨대, 작업자 단말의 C 드라이브의 'Tribon' 폴더)에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상에서 각 설계담당자가 입력한 각 아이템에 대한 모델링 명칭(modeling name)과 트라이본 프로그램상에 저장된 해당 트라이본 IMO 심볼 명칭(symbol name)을 매핑하여 심볼 매핑 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텍스트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그런 다음,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해당 3D 모델링을 불러온 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리플레이스(replace)' 기능을 실행하면, 상기 설정된 폴더에 저장된 심볼 매핑 파일을 확인하고, 해당 3D 모델링 위에 설정된 각 아이템의 해당 위치에 상기 매핑된 해당 트라이본 IMO 심볼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시킨다. 이때, 상기 생성된 심볼 이미지들은 별도의 레이어(layer) 형태로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레이어를 파일(즉, 심볼 레이어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설계도 담당자가 상기 생성된 심볼 레이어를 서브-픽쳐(sub-picture)로 하여 안전 설계도를 작성하고자 하는 GA상에서 해당 위치에 맞게 덮어씌우게 되면 안전 설계도가 바로 완성이 된다. 그러므로, 각 안전 설계도 담당자는 종래와 같이 상기 GA상에서 각 아이템에 해당하는 트라이본 IMO 심볼 이미지를 일일이 찾아서 해당 위치에 하나씩 추가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 없이 간단하게 안전 설계도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심볼 레이어는 GA와 별도의 레이어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GA 도면상에 그려진 각종 이미지에 상관 없이 각 심볼 이미지만을 용이하게 편집(예컨대, 이동, 복사, 삭제 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해당 도면에 포함된 각 아이템의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count)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육안으로 심볼의 개수를 계수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선박설계 전용으로 사용되는 '트라이본(Tribon)'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트라이본 응용 프로그램에 제한되지 않으며,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2D 데이터에 의해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작성하는 어떠한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즉, 3D 컴퓨터 보조 설계(CAD) 프로그램)(예컨대, 인터그래프(Intergraph)사의 PDS(Plant Design System)와 SmartPlant 3D, 아비바(Aveva)사의 PDMS(Plant Design Management System)와 트라이본(Tribon), 벤틀리(Bentley)사의 AutoPlant와 PlantSpace 등)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작업의 개념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작업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상에서 구현된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3D 모델링 데이터에서 모델링된 아이템(item)의 컴포넌트 명칭(component name)과 트라이본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상기 아이템에 해당하는 심볼명을 매핑시키고 도면의 레벨을 지정하면, 상기 지정된 레벨(level)에 따라 상기 각 아이템이 설정된 자리에 상기 매핑된 심볼 이미지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심볼 이미지들을 별도의 레이어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심볼 레이어를 해당 레벨에 따른 2차원 GA 도면에 서브-픽쳐로 겹침으로써 안전 설계도가 완성된다.
상기 도 4에서 상기 컴포넌트 명칭은 각 설계 담당자가 트라이본 3D 모델링상에서 각 아이템에 붙인 명칭이다. 따라서, 상기 컴포넌트 명칭과 트라이본 심볼명을 매핑시켜 저장하고, 안전 설계도 작성시 이를 참조하게 함으로써 각 아이템이 설정된 해당 위치에 매핑된 해당 트라이본 심볼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라이본 프로그램상에서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예컨대, 'Safety Plan' 메뉴)를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추가된 메뉴를 실행시킴으로써 각 아이템에 설정된 해당 위치에 간단하게 심볼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안전 설계도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도 5에서 우측에 생성된 윈도우창은 상기 새로 추가된 'Safety Plan' 메뉴를 실행하였을 때 생성되는 창으로서, 상기 생성된 창을 통해 세부 기능들(예컨대, 리플레이스, 이동, 복사, 삭제, 화살표 생성, 리포트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뉴를 추가로 구성하고, 해당 메뉴의 각 기능들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작업들을 수행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각 설계 담당자가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D 모델링을 한다.(S601) 이때, 각 설계 담당자는 각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과 3D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3D 모델링 데이터로 입력한다. 이와 같이, 각 설계 담당자의 3D 모델링 데이터 입력이 완료되면, 3D 모델링상의 아이템 명칭을 트라이본 심볼명과 매핑(602)시키는 환경 설정 작업이 선행된다. 즉, 3D 모델링상의 아이템 명칭(즉, 각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을 트라이본 프로그램 상의 심볼명과 매핑(S602)하여 3D 모델링 프로그램이 참조하는 설정된 디렉토리 또는 폴더(예컨대, 작업자 단말의 C 드라이브의 'Tribon' 폴더)에 저장(S603)한다. 이때, 상기 매핑 정보는 텍스트 파일 형태로 작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런 다음,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로딩(S604)하여 해당 3D 모델링을 불러온 후(S605),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리플레이스(replace)' 기능을 실행하면, 상기 설정된 폴더에 저장된 심볼 매핑 파일을 확인하고, 해당 3D 모델링 위에 설정된 각 아이템의 해당 위치에 상기 매핑된 해당 트라이본 IMO 심볼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S606)시킨다. 이때, 상기 생성된 심볼 이미지들은 별도의 레이어(layer) 형태로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레이어를 파일(즉, 심볼 레이어 파일)로 저장(S607)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설계도 담당자가 상기 생성된 심볼 레이어를 서브-픽쳐(sub-picture)로 하여 안전 설계도를 작성하고자 하는 GA상에서 해당 위치에 맞게 덮어씌우게 되면 안전 설계도가 바로 완성(S609)이 된다.
상기 작업은 각 아이템별로 수행될 수도 있으며, 각 작업 영역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따라서, 만약 다른 아이템의 변환 작업이 있을 경우(S609), 상술한 S605 이하의 절차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래프트(draft)' 기능을 실행하게 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영역 내에서 포함된 각 아이템의 수량을 자동으로 계수하여 텍스트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도면의 일측부에 마련된 범례(legend) 영역에 표기(S610)할 수 있다.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개정 사항이 발생할 경우, 다시 상기 S605 이하의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종래에는 개정 사항이 발생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또는 삭제 여부에 따라 각 아이템별로 설계 담당자에게 개정 사항을 요청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를 다시 안전 설계도에 직접 하나씩 반영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개정 사항이 발생할 경우(S611) 각 설계 담당자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상에서 데이터를 변경 또는 추가하게 되므로, 상기 절차에서와 같이 자동으로 개정이 반영된 안전 설계도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이때에는 상기 S602 및 S603의 매핑 파일 생성 과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작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트라이본 서버(100)가 네트워크(110)를 통해 각 설계 담당자 단말(120) 및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3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트라이본 서버(100)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101), 트라이본 PIM(Product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102),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D/B)(103),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 심볼 매핑 파일(10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구성 요소들이 트라이본 서버(100)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 중 일부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예컨대, 각 설계 담당자 단말(120),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30) 등)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예컨대, 트라이본 PIM 데이터(102)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들(120, 130)에서 동일한 선적에 대한 트라이본 3D 모델링을 위해 공유하여 사용하는 데이터이기 때문에 트라이본 서버(100) 내에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구성 요소들(즉,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트라이본 심볼 정보,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 심볼 매핑 파일 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클라이언트 단말들(120, 130)에만 저장되거나,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에 동시에 저장되거나, 각 구성 요소의 일부 기능은 서버 내에 포함시키고 일부 기능은 클라이언트 단말 내에 포함시켜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는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은 각 클라이언트 단말(120, 130)에 설치되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내에 포함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라이본 심볼 정보(103) 또는 심볼 매핑 파일(105) 등도 클라이언트 단말(120, 130)의 특정 디렉터리 또는 폴더 내에 저장되어,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동작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101)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작업을 위한 서버 프로그램이다. 상기 트라이본 PIM 데이터(102)는 3D 모델링으로 생성되는 3D 모델링 데이터이다. 따라서, 각 설계 담당자는 설계 담당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101)을 실행(또는 설계 담당자 단말(120) 내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3D 모델링 작업을 통해 각종 트라이본 PIM 데이터(102)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101)은 트라이본 서버(100)에 포함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기능이 각 클라이언트 단말(120, 130)내에서 설치되어 실행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일 수도 있으며, 트라이본 서버(100)와 각 클라이언트 단말(120, 130)에 각각 설치되어 서로 서버-클라이언트 연동 프로그램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3)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각종 심볼 정보를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설계도 작업을 위해 안전 설계도와 관련된 각종 IMO 규격의 심볼들(특히, 각 심볼들의 명칭 및 이미지 정보)을 저장한다. 이때,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101)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각종 메뉴들 중 트라이본 IMO 심볼 도구(tool)를 통해 상기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3)에 저장된 특정 심볼 이미지를 선택하여 해당 로딩된 도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안전 설계도 담당자가 상기와 같이 각 심볼을 트라이본 IMO 심볼 도구를 통해 하나씩 선택하여 해당 위치에 표시하지 않아도 되며, 상기 트라이본 서버(100) 또는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30)에 구비된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을 통해 자동으로 해당 심볼 이미지가 변환되어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아이템에 대한 컴포넌트 명칭과 트라이본 심볼명의 매핑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볼 매핑 파일(105)에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안전 설계도 담당자가 자신의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03)을 통해 안전 설계도 제작을 위한 기능(예컨대, 'satety plan' 메뉴의 '리플레이스(replace)' 기능)을 실행시키면,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에서 상기 심볼 매핑파일(105)을 참조하여 해당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에 대응되는 트라이본 심볼명을 독출하고, 해당 대응되는 트라이본 심볼의 이미지를 상기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3)로부터 가져와서, 해당 아이템의 설치 위치에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각 아이템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된 심볼 이미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레이어(layer) 형태로 생성되며, 상기 심볼 레이어는 파일 형태로 트라이본 서버(100) 또는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심볼 레이어는 2D 형태의 레이어로서 3D 형태의 선체에서 x,y 평면에 평행하고 z축으로 지정된 레벨을 가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볼 레이어의 x,y 평면에서 3D 모델링에서의 좌표값을 가지며, 상기 심볼 레이어의 좌표를 GA 도면의 좌표와 일치시킴으로써 GA 도면상의 정확한 위치에 심볼 이미지가 겹쳐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GA 도면에 상기 심볼 레이어가 서브-픽쳐로서 겹쳐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안전 설계도 파일(즉,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파일)이 생성된다.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안전 설계도를 자동으로 제작할 수 있는 각종 기능들을 제공하며, 특히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추가된 특정 메뉴들을 선택할 때, 해당 기능들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은 트라이본 서버(100) 내에 포함되거나 각 클라이언트 단말(특히,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3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은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종속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의 세부 구조는 도 8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 네트워크(11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s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상기 트라이본 서버(100)와 각 클라이언트 단말(120)이 해당 플랜트 또는 기업 내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사내 유무선 근거리 통신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의 세부 구성 및 파일 입출력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라이본 서버(100) 또는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130)에 설치되는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은 심볼 변환부(210), 심볼 레이어 생성부(220), 심볼 편집 기능부(230), 부가 기능부(240) 및 리포트 정보 생성부(2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볼 편집 기능부(230)는 심볼 이동 기능부(231), 심볼 복사 기능부(232) 및 심볼 삭제 기능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101)이 구동되고, 특정 3D 모델링을 불러오면, 트라이본 PIM 데이터(102)로부터 해당 모델링 대상(예컨대, 선적)에 대한 모델링 데이터를 가져와서 설정된 방식에 따라 3D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안전 설계도 제작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의 메뉴 상에서 심볼 이미지 변환을 위한 특정 기능(예컨대, '리플레이스' 기능)을 선택하면, 심볼 변환부(210)에서는 해당 로딩된 3D 모델링의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아이템들을 식별한다. 상기 식별된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으로 환경 설정 단계에서 저장한 심볼 매핑 파일(105)을 검색하여, 해당 컴포넌트 명칭에 매핑된 트라이본 IMO 심볼명을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기 심볼 변환부(210)에서는 상기 확인된 트라이본 IMO 심볼명에 대한 심볼 이미지를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103)로부터 독출한다.
한편, 심볼 레이어 생성부(220)에서는 상기 심볼 변환부(210)에서 각 아이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심볼 이미지들로 별도의 레이어(즉, 심볼 레이어)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심볼 레이어는 3D 모델에서의 특정 2차원 평면 영역에 해당하기 때문에 x,y 좌표값 및 레벨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볼 레이어는 각 아이템 종류별로 각각 생성할 수 있으며, 특정 영역에 포함된 모든 아이템을 종합하여 하나의 레이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생성된 심볼 레이어는 작업자의 선택에 의해 파일(즉, 심볼 레이어 파일(300))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안전 설계도 담당자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의 기능을 이용하여 GA 도면 상에서 상기 심볼 레이어를 서브-픽쳐로 하여 동일 좌표상에서 겹침으로써 최종적으로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완성하게 되며, 상기 완성된 도면은 파일(즉,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파일(310))로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심볼 레이어는 3D 모델링 이미지 또는 2D 이미지와는 별도로 생성되는 레이어이므로 심볼 이미지를 자유롭게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상에서 작업자가 각 기능 메뉴를 선택하면, 심볼 편집 기능부(230)의 각 기능부들(즉, 심볼 이동 기능부(231), 심볼 복사 기능부(232), 심볼 삭제 기능부(233))에서는 해당 편집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각 기능의 구체적인 구현 예는 도 12 내지 도 14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부가 기능부(240)는 안전 설계도 도면 작성을 위해 부가적으로 필요한 각종 기능들을 제공한다. 예컨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심볼 이미지에 보조선을 생성하도록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리포트 정보 생성부(25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선택한 심볼 레이어 상의 특정 영역 내에 포함된 각 아이템의 개수(즉, 각 심볼 종류의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여 텍스트로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포트 정보 생성부(250)는 상기 심볼 레이어에 포함된 각 심볼 이미지의 좌표 정보로부터 해당 선택된 폐루프 영역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포함되는 심볼 이미지에 대해서만 계수하고, 이를 텍스트로 표시하게 된다.
심볼 레이어 파일 생성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볼 레이어 파일 생성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서버에 저장된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각 아이템 정보를 불러온다.(S901) 그런 다음, 환경 설정 단계에서 기생성된 심볼 매핑 파일을 오픈(S902)한다. 상기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불러온 해당 아이템의 모델링 명칭(즉,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에 매핑된 트라이본 IMO 심볼 명칭을 검색(S903)한다.
다음으로, 상기 검색된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검색(S904)하여 가져온다. 이때, 해당 심볼을 위한 별도의 레이어를 3D 모델링 위에 생성(S905)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져온 각 심볼 이미지로 상기 생성된 상의 해당 아이템이 설정된 위치에 표시(S906)한다.
안전 설계도 담당자는 선택적으로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레이어(즉, 심볼 레이어)를 파일로 저장(S907)한다.
프로그램 구현 예
이하,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안전 설계도 작업의 기능이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실제 구현된 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볼 매핑 파일의 작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술한 심볼 매핑 파일(105)은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파일 형태로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의 내용은 설계 담당자가 명명한 3D 모델링 상에서의 각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component name)과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상에서 정의된 각 IMO 심볼(특히, 안전 설계도 심볼(safety plan symbol))에 대한 심볼명이 상호 대응되도록 구성한다. 예컨대, 'SHY-CO2-22KG=SAFETY-PLAN-2-29CO2'라고 입력된 라인의 의미는, 컴포넌트 명칭이 'SHY-CO2-22KG'(예컨대, 22Kg의 Co2 분말 소화기)로 설정된 아이템은 'SAFETY-PLAN-2-29CO2'의 심볼 이미지로 대체하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심볼 매핑 파일(105)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라이본 서버(100) 또는 각 클라이언트 단말(120, 130)의 특정 폴더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는 'c:\<PPPP>-SafetyPlan.dat'라고 표시되어, 'C' 폴더 내에 <PPPP>라는 호선명을 가지는 선적의 폴더에 'SafetyPlan.dat'라는 파일명으로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파일의 저장 위치와 파일명을 미리 알고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플레이스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본 발명에 따라 추가된 'safety-plan' 메뉴를 실행하면 좌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창이 생성된다. 상기 기능창의 각 기능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도 7 및 도 8에서 상술한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104)의 각 해당 기능부들이 동작하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레이스(replace)' 기능을 선택하면, 스케일 입력 창이 생성되고, 해당 아이템의 설정 위치에 상기 도 10에서 대응되는 심볼 이미지를 상기 입력된 스케일로 표시하게 된다. 도 11의 좌측 하단에는 해당 아이템의 컴포넌트 명칭, 대응되는 심볼명, 해당 아이템의 제원 등을 포함하여 각종 3D 모델링 데이터들을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삭제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1의 리플레이스 작업에 의해 생성된 심볼 이미지들은 별도의 레이어 형태로 생성되기 때문에 심볼 편집 기능부(230)에 의해 이동, 복사, 삭제 등의 각종 편집 기능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에서 'Move'를 선택한 후, 이동할 심볼을 선택하고 커서를 이동하면, 다른 서브-픽쳐들은 고정되고, 심볼 레이어 상의 안전 설계도 심볼만 해당되어 이동된다. 도 13 및 도 14에서도 마찬가지로 해당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복사 및 삭제 기능이 제공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가 기능 실행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메뉴에서 'Arrow'를 선택한 후, 원하는 방향으로 3점을 선택하면 'Arrow Line'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Arrow Line의 스케일은 도면 스케일을 참조하여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포트 작성 작업 절차를 캡쳐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에서 'Report'를 선택한 후, 폴리곤 윈도우(polygon window)를 이용하여 안전 설계도의 범위를 정의하면, 별도의 윈도우 창에 각 심볼에 대한 명칭 및 각 심볼별 개수 정보가 나타난다.
이때, 상기 정보를 텍스트로 도면 내에 생성하기를 원할 경우, 'option button'을 선택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에서 텍스트로 상기 정보가 표시되고, 이를 범례(legend)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각 심볼에 대해 육안으로 일일이 계수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트라이본 서버 101 :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
102 : 트라이본 PIM 데이터 103 : 트라이본 심볼 정보 D/B
104 :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 105 : 심볼 매핑 파일
110 : 네트워크 120 : 각 설계 담당자 단말
130 : 안전 설계도 담당자 단말 210 : 심볼 변환부
220 : 심볼 레이어 생성부 230 : 심볼 편집 기능부
231 : 심볼 이동 기능부 232 : 심볼 복사 기능부
233 : 심볼 삭제 기능부 240 : 부가 기능부
250 : 리포트 정보 생성부 300 : 심볼 레이어 파일
310 :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 파일

Claims (12)

  1. 3D 모델링에 포함되는 각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모델링 대상에 대한 3D 모델링을 처리하는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3D 모델링 프로그램 저장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저장되는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각 설계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컴포넌트 명칭과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이 서로 매핑된 정보를 포함하는 심볼 매핑 파일;
    상기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저장하는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의 안전 설계도 작업을 위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심볼 매핑 파일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을 독출하고, 상기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상에서 정의된 상기 각 아이템의 위치에 상기 독출된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상기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을 포함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은,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 이미지를 별도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심볼 레이어로서, 심볼 레이어 파일 형태로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은,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레이어를 서브 픽쳐로 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되는 백 드로윙의 동일 좌표 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은,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 중에서 폴리곤 윈도우를 이용하여 정한 범위 내에 포함된 각 심볼별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매핑 파일은,
    텍스트 파일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7.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3D 모델링에 포함되는 각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모델링 대상에 대한 3D 모델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3D 모델링 데이터가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각 설계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각 아이템에 대한 컴포넌트 명칭과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해당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이 서로 매핑된 정보를 심볼 매핑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의 안전 설계도 작업을 위한 기능 실행에 따라 상기 심볼 매핑 파일에 저장된 매핑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아이템에 대응하는 심볼명을 독출하는 단계; 및
    안전 설계도 작업 모듈에서 상기 트라이본 PIM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상에서 정의된 상기 각 아이템의 위치에 상기 독출된 심볼명에 해당하는 심볼 이미지를 트라이본 심볼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이미지를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볼 이미지를 별도의 레이어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어는 심볼 레이어로서, 심볼 레이어 파일 형태로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레이어를 서브 픽쳐로 하여 상기 트라이본 3D 모델링 프로그램상에서 표시되는 백 드로윙의 동일 좌표 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심볼 이미지가 표시된 영역 중에서 폴리곤 윈도우를 이용하여 정한 범위 내에 포함된 각 심볼별 개수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매핑 파일은,
    텍스트 파일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방법.
KR1020110051361A 2011-05-30 2011-05-30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32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61A KR20120132950A (ko) 2011-05-30 2011-05-30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1361A KR20120132950A (ko) 2011-05-30 2011-05-30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2950A true KR20120132950A (ko) 2012-12-10

Family

ID=4751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1361A KR20120132950A (ko) 2011-05-30 2011-05-30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329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21B1 (ko) * 2017-06-05 2018-07-13 현대삼호중공업(주)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30337A (ko) * 2017-09-14 2019-03-22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RU2744835C1 (ru) * 2020-06-30 2021-03-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Т. Трубилина"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контроля пожаровзрывозащиты н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м предприятии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зерна
CN112989446A (zh) * 2021-03-11 2021-06-18 新誉庞巴迪信号系统有限公司 一种目标控制器机柜自动绘图方法及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821B1 (ko) * 2017-06-05 2018-07-13 현대삼호중공업(주)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90030337A (ko) * 2017-09-14 2019-03-22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RU2744835C1 (ru) * 2020-06-30 2021-03-1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б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гра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И.Т. Трубилина"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контроля пожаровзрывозащиты н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м предприятии по переработке зерна
CN112989446A (zh) * 2021-03-11 2021-06-18 新誉庞巴迪信号系统有限公司 一种目标控制器机柜自动绘图方法及系统
CN112989446B (zh) * 2021-03-11 2023-10-20 新誉庞巴迪信号系统有限公司 一种目标控制器机柜自动绘图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ogothetis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for cultural heritage: a review
JP5617472B2 (ja) 建築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建築情報統合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im et al. Interactive modeler for construction equipment oper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JP5349127B2 (ja) レイアウト設計支援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20107674A1 (en) Video-supported planning of equipment installation and/or room design
JP2010108321A (ja) 建設状況可視化システム
CN108573112B (zh) 基于数字化仿真的航天测试发射二维布局分析方法
JP5895037B2 (ja) 建築情報統合管理システムおよび建築情報統合管理プログラム
CN109885626A (zh) 基于结构化数据和bim模型的城建数字档案智能管理系统
KR102085271B1 (ko) 가상 건설 시뮬레이션 방법
JP2001249985A (ja) 施工計画支援システム、施工計画支援方法、および、施工計画支援システム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20132950A (ko)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Becker et al. Enabling BIM for property management of existing buildings based on automated As-IS capturing
WO2014203755A1 (ja) 知識管理装置、知識管理装置の端末機および知識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
Bruno et al. VERBUM--VIRTUAL ENHANCED REALITY FOR BUILDING MODELLING (VIRTUAL TECHNICAL TOUR IN DIGITAL TWINS FOR BUILDING CONSERVATION).
Koch et al. BIM-based augmented reality for facility maintenance using natural markers
CN114169061A (zh) 一种基于bim与轻量化三维引擎结合的智慧社区隐蔽工程管理方法
Meadati et al.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mplementation-current and desired status
CN111429578B (zh) 一种火电厂机组的三维模型生成方法及三维虚拟检修系统
KR101705795B1 (ko)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3888483B2 (ja) データベースの表示方法
KR101251549B1 (ko) 캐드 정보와 속성 정보가 연동된 구조물의 구조 해석 장치
JP2010079466A (ja) 進捗状況管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進捗状況管理装置
JPH10115096A (ja) プラント建設支援システム
JP4398885B2 (ja) 設備位置提示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