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0337A -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0337A
KR20190030337A KR1020170117643A KR20170117643A KR20190030337A KR 20190030337 A KR20190030337 A KR 20190030337A KR 1020170117643 A KR1020170117643 A KR 1020170117643A KR 20170117643 A KR20170117643 A KR 20170117643A KR 20190030337 A KR20190030337 A KR 20190030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angle
model
bolt
repres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2948B1 (ko
Inventor
박용석
Original Assignee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7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94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6Topological mapping of higher dimensional structures onto lower dimensional surfaces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3/0031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2D도면 중심의 제작 프로세스 중 제작도 작성 업무를 제거하여 3D 모델 데이터 중심 제작 프로세스를 실현한 제작정보 자동생성 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물품에 대한 캐드 기반 3D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제작 정보(2D 도면 + 3D 형상)가 반영된 절단도, 가공도, 및 조립도를 자동 생성하고 용이하게 3D 렌더링할 수 있는 방법에 이용되는 다양한 심벌이 제공된다. Angle 심벌은 단면이 “ㄱ”형태인 Angle 모델에 대하여 평판에 놓았을 때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로 표현하며, 그 상태에서 모델의 중간 라인은 1점 쇄선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심벌{SYMBOLS}
본 발명은 심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정보(2D 도면 + 3D 형상) 생성용으로 이용되는 심벌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상에서의 실물 크기의 3차원 모델은 그 크기를 실제의 크기에서 축척에 의하여 축소 또는 확대하여 컴퓨터상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므로, 쉽게 엔지니어가 컴퓨터상에서 3차원 모델의 설계상 문제점들을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상의 모델에 의해 시공상의 문제점들, 예를 들어 핸드레일이 주변 구조물과 부딪히는 경우나, 배관 라인 및 전기 라인 등과 간섭되는지 여부를 쉽게 찾아낼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어, 현재 대부분의 엔지니어링사, 건설사 및 중공업사에서 3차원 그래픽 설계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면 중심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도면 중심 프로세스에 의하면, 설계 시 모델링 → 제작도 작성 → 도면배포→ 구매(견적 검사) → 절단정보 수작업 작성 → 마킹정보 수계산 → 2D 도면 이용 가공 조립 → 2D도면에 정보 표기 누락 시 설계업체에 확인 요청 → 설계업체에 의한 도면 정보 추가 설명의 순으로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의하면 캐드(CAD) 도면 이해 숙련도가 높은 작업자만 도면생성 및 제작 작업 수행이 가능하고 작업 숙련도가 낮은 미숙련자는 작업 수행이 거의 불가하며, 도면 작업자별 품질 차이가 많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특허 공개 번호 제 10-2014-0127038 호{공개일: 2014년 11 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2D도면 중심의 제작 프로세스 중 제작도 작성 업무를 제거하여 3D 모델 데이터 중심 제작 프로세스를 실현한 제작정보 자동생성 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물품에 대한 캐드 기반 3D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제작 정보(2D 도면 + 3D 형상)가 반영된 절단도, 가공도, 및 조립도를 자동 생성하고 용이하게 3D 렌더링할 수 있는 방법에 이용되는 다양한 심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Angle 심벌은 단면이 “ㄱ”형태인 Angle 모델에 대하여 평판에 놓았을 때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로 표현하며, 그 상태에서 모델의 중간 라인은 1점 쇄선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리 기준점 심벌은 거리 치수를 표현하기 위한 시작과 끝 기준점을 점으로 표현하며, 거리 간 치수 선은 생략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끝단 모따기 심벌은 시작을 나타내는 제1 점과 끝을 나타내는 제2 점,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을 연결하는 일정 치수가 표시된 일점 쇄선, 및 모따기 치수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끝단 L자형 절단 심벌은 절단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Angle의 진행 방향에 수평 방향 길이는 거리 기준점으로 표현하며, 수직 방향의 길이는 중간 라인에서의 거리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끝단 endcut 심벌은 Endcut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거리 기준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 볼트 심벌은 중심은 원안에 U*로 표현하고 유 볼트의 끝단은 홀이 시공되는 위치로 거리 기준점을 이용한 Endcut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거리 기준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 볼트 구멍 정보 표기 심벌은 고정될 파이프 치수/유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홀 치수/홀의 중간 라인에서 떨어진 위치를 순차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은 슬라이딩 슈와 같이 체결되어야 할 유 볼트의 형상은 유 볼트의 심벌 + 슬라이딩으로 표현하고, 홀 정보 + 타입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은 플레이트와 같이 체결되어야 할 유 볼트의 형상은 유 볼트의 심벌 + 슬라이딩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심벌은 심벌의 위 부분 일부를 채워 넣기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램프 심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형 심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ngle과 Angle 취부면 심벌은 Angle간 취부 되는 형태를 심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ngle과 Angle 각도 심벌은 Angle간 취부시 수직이 아닐 경우 Center Line 기준의 각도를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면 중심 프로세스에 의한 제작도 작성 업무를 제거하여 모델 중심 프로세스에 의해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을 통해 대상 물품에 대한 캐드 기반 3D 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다양한 작업 심벌을 포함한 제작 작업 정보가 반영된 2D 도면으로 렌더링함으로써 모델 기반 절단도, 가공도, 및 조립도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면 중심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방법을 요약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도 6은 Angle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6에 도시된 Angle 3D 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Angle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거리 기준점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8에 도시된 거리 기준점 3D 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거리 기준점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끝단 모따기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0에 도시된 끝단 모따기 3D 모델에 대응하는 끝단 모따기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끝단 L자형 절단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2에 도시된 끝단 L자형 절단 3D 모델에 대응하는 끝단 L자형 절단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끝단 Endcut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4에 도시된 끝단 Endcut 3D 모델에 대응하는 끝단 Endcut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유 볼트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6에 도시된 유 볼트 3D 모델에 대응하는 유 볼트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유 볼트 홀 정보 표기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8에 도시된 유 볼트 홀 정보 표기 3D 모델에 대응하는 유 볼트 홀 정보 표기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0에 도시된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2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스트랩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4에 도시된 스트랩 3D 모델에 대응하는 스트랩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클램프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6에 도시된 클램프 3D 모델에 대응하는 클램프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PAD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8에 도시된 PAD 3D 모델에 대응하는 PAD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Angle과 angle 취부면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30에 도시된 Angle과 angle 취부면 3D 모델에 대응하는 Angle과 angle 취부면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2는 Angle과 angle 각도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32에 도시된 Angle과 angle 각도 3D 모델에 대응하는 Angle과 angle 각도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중심 도면 작성용 심벌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중심 도면 작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중심 도면 작성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중심 도면 작성 방법을 요약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델 중심 도면 작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도면이다.
설계 단계에서 설계자에 의해 3D 캐드(210)를 이용하여 배관 서포트와 같은 대상 물품에 대한 캐드 기반 3D 모델을 생성한다(단계 302).
퍼브리싱부(220)는 상기 대상 물품에 대한 캐드 기반 3D 모델을 파트 단위 부품은 분리하여 퍼브리싱하여 텍스트 전용 파일로 변환하고(단계 S304), 제작업체로 전송하여 제작 작업 정보의 생성을 의뢰한다(S306).
제작 단계에서 상기 설계자로부터의 제작 작업 정보의 생성 의뢰에 응답하여 배포받은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뷰어 프로그램(230)을 통해 상기 텍스트 전용 파일을 실행하여 캐드 기반 3D 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작업 심벌을 포함한 제작 정보(2D 도면 + 3D 형상)를 생성한다(S308).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작업 심벌은 Angle 심벌, 거리 기준점 심벌, 끝단 모따기 심벌,
도 6은 Angle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6에 도시된 Angle 3D 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Angle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ngle 심벌은 단면이 ㄱ 형태인 Angle 모델에 대하여 평판에 놓았을 때 내려다 본 형태로 표현하며, 그 상태에서 모델의 중간 라인은 일점 쇄선으로 표현한다.
도 8은 거리 기준점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8에 도시된 거리 기준점 3D 모델 형상에 대응하는 거리 기준점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바 와 같이 거리 기준점 심벌은 거리 치수를 표현하기 위한 시작과 끝 기준점을 점으로 표현하며 거리 간 치수 선은 생략한다.
도 10은 끝단 모따기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0에 도시된 끝단 모따기 3D 모델에 대응하는 끝단 모따기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바 와 같이, 끝단 모따기 심벌은 시작을 나타내는 제1 점과 끝을 나타내는 제2 점,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을 연결하는 일정 치수가 표시된 일점 쇄선, 및 모따기 치수C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끝단 L자형 절단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2에 도시된 끝단 L자형 절단 3D 모델에 대응하는 끝단 L자형 절단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바 와 같이, 끝단 L자형 절단 심벌은 절단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Angle의 진행 방향에 수평 방향 길이는 거리 기준점으로 표현하며, 수직 방향의 길이는 중간 라인에서의 거리로 표현한다.
도 14는 끝단 Endcut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4에 도시된 끝단 Endcut 3D 모델에 대응하는 끝단 Endcut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바 와 같이, 끝단 endcut 심벌은 Endcut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거리 기준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다.
도 16은 유 볼트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6에 도시된 유 볼트 형상 3D 모델에 대응하는 유 볼트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바 와 같이, 유 볼트 심벌은 중심은 원안에 U*로 표현하고 유 볼트의 끝단은 홀이 시공되는 위치로 거리 기준점을 이용한 Endcut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거리 기준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다.
도 18은 유 볼트 홀 정보 표기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18에 도시된 유 볼트 홀 정보 표기 3D 모델에 대응하는 유 볼트 홀 정보 표기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바 와 같이, 유 볼트 구멍 정보 표기 심벌은 고정될 파이프 치수/유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홀 치수/홀의 중간 라인에서 떨어진 위치를 순차적으로 표현하는다.
도 20은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0에 도시된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바 와 같이,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은 슬라이딩 슈와 같이 체결되어야 할 유 볼트의 형상은 유 볼트의 심벌 + 슬라이딩으로 표현하고, 홀 정보 + 타입을 표현하는다.
도 22는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2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3D 모델에 대응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된바 와 같이,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은 플레이트와 같이 체결되어야 할 유 볼트의 형상은 유 볼트의 심벌 + 슬라이딩으로 표현하는다.
도 24는 스트랩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4에 도시된 스트랩 3D 모델에 대응하는 스트랩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에 도시된바 와 같이, 스트랩 심벌은 심벌의 위 부분 일부를 채워 넣기 형태로 표현한다.
도 26은 클램프 3D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6에 도시된 클램프 3D 모델에 대응하는 클램프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바 와 같이, 클램프 심벌은 사각형 심벌을 이용하여 표현한다.
도 28은 Angle과 angle 취부면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28에 도시된 Angle과 angle 취부면 3D 모델에 대응하는 Angle과 angle 취부면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도 29에 도시된바 와 같이, Angle과 Angle 취부면 심벌은 Angle간 취부되는 형태를 심벌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다.
도 30는 Angle과 angle 각도 모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에 적용되는 도 30에 도시된 Angle과 angle 각도 3D 모델에 대응하는 Angle과 angle 각도 심벌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바 와 같이, Angle과 Angle 각도 심벌은 Angle간 취부시 수직이 아닐 경우 중간 라인 기준의 각도를 표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3D 캐드
220: 퍼브리싱부
230: 제작 정보 전용 뷰어 프로그램

Claims (13)

  1. 단면이 “ㄱ”형태 모델에 대하여 평판에 놓았을 때 위에서 내려다 본 형태로 표현하며, 그 상태에서 모델의 중간 라인은 1점 쇄선으로 표현하는 Angle 심벌.
  2. 거리 치수를 표현하기 위한 시작과 끝 기준점을 점으로 표현하며, 거리간 치수 선은 생략하여 표현하는 거리 기준점 심벌.
  3. 시작을 나타내는 제1 점과 끝을 나타내는 제2 점, 상기 제1 점과 상기 제2 점을 연결하는 일정 치수가 표시된 일점 쇄선, 및 모따기 치수C로 이루어진 끝단 모따기 심벌.
  4. 절단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Angle의 진행 방향에 수평 방향 길이는 거리 기준점으로 표현하며, 수직 방향의 길이는 중간 라인에서의 거리로 표현하는 끝단 L자형 절단 심벌.
  5. Endcut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거리 기준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끝단 endcut 심벌.
  6. 중심은 원안에 U*로 표현하고 유 볼트의 끝단은 홀이 시공되는 위치로 거리 기준점을 이용한 Endcut 형상을 표현하고 그 치수는 거리 기준점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유 볼트 심벌.
  7. 고정될 파이프 치수/유 볼트가 체결되기 위한 홀 치수/홀의 중간 라인에서 떨어진 위치를 순차적으로 표현하는 유 볼트 구멍 정보 표기 심벌.
  8. 슬라이딩 슈와 같이 체결되어야 할 유 볼트의 형상은 유 볼트의 심벌 + 슬라이딩으로 표현하고, 홀 정보 + 타입을 표현하는 슬라이딩 슈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
  9. 플레이트와 같이 체결되어야 할 유 볼트의 형상은 유 볼트의 심벌 + 슬라이딩으로 표현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 유 볼트 심벌.
  10. 심벌의 위 부분 일부를 채워 넣기 형태로 표현하는 스트랩 심벌.
  11. 사각형 심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클램프 심벌.
  12. Angle간 취부 되는 형태를 심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 Angle과 Angle 취부면 심벌.
  13. Angle간 취부시 수직이 아닐 경우 Center Line 기준의 각도를 표현하는 Angle과 Angle 각도 심벌.
KR1020170117643A 2017-09-14 2017-09-14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KR10201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43A KR102012948B1 (ko) 2017-09-14 2017-09-14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643A KR102012948B1 (ko) 2017-09-14 2017-09-14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337A true KR20190030337A (ko) 2019-03-22
KR102012948B1 KR102012948B1 (ko) 2019-08-22

Family

ID=6594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643A KR102012948B1 (ko) 2017-09-14 2017-09-14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9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39A (ko) * 2000-04-14 2000-07-05 이영 캐드 시스템과 연계된 금형설계의 표준화된 도면 작성방법
KR100786285B1 (ko) * 2007-05-21 2007-12-18 주식회사 테크서버 플랜트엔지니어링 및 조선분야의 시공 또는 설치를 위한3차원 모델 데이터의 2차원 도면 자동 작성 방법
JP2008123242A (ja) * 2006-11-13 2008-05-29 Aisin Seiki Co Ltd Cad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実装されるプログラム
KR20120132950A (ko) * 2011-05-30 2012-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038A (ko) 2013-04-24 2014-1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차원 모델링 파일의 2차원 캐드 도면 자동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239A (ko) * 2000-04-14 2000-07-05 이영 캐드 시스템과 연계된 금형설계의 표준화된 도면 작성방법
JP2008123242A (ja) * 2006-11-13 2008-05-29 Aisin Seiki Co Ltd Cad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実装されるプログラム
KR100786285B1 (ko) * 2007-05-21 2007-12-18 주식회사 테크서버 플랜트엔지니어링 및 조선분야의 시공 또는 설치를 위한3차원 모델 데이터의 2차원 도면 자동 작성 방법
KR20120132950A (ko) * 2011-05-30 2012-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7038A (ko) 2013-04-24 2014-11-0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3차원 모델링 파일의 2차원 캐드 도면 자동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948B1 (ko)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1172B2 (en) Designing a part manufacturable by milling operations
KR101291257B1 (ko) 용접변형의 생산 영향도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870623A (zh) 一种车辆模型前处理模板
JP2019075103A (ja) 機械部品を表す2d図面の生成
KR20140127038A (ko) 3차원 모델링 파일의 2차원 캐드 도면 자동생성방법
KR20150030810A (ko) 경량모델에 pmi를 생성하는 방법
KR101877821B1 (ko)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KR20160122424A (ko) 경량모델 기반의 해석모델 최적화방법
KR100976829B1 (ko) 선박의 설계 디자인 리뷰 방법 및 그 서비스 시스템
JP2015191387A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経路評価方法、その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90030337A (ko) 3d 모델 데이터 기반 제작 정보 자동 생성용 심벌 자동 생성 방법
CN110008612B (zh) 一种自动对3d模型进行标注的方法
CN108137128B (zh) 用于确定连接元件制造尺寸的方法和系统
McLaurin et al. Repairing unstructured triangular mesh intersections
KR20160113943A (ko) 선박 용접물량의 자동 산출 방법
CN108763767A (zh) 面向vr引擎的大数据量igs工业模型polygon转换方法
US2015020580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changing cad data
KR20130122408A (ko) 모바일을 이용한 원격 시뮬레이션 기반 조선 생산 시스템 및 방법
KR102125883B1 (ko) 3차원 시뮬레이션 기반의 핀지그 구동방법
KR100999950B1 (ko) 미세조립 용접물량 산출시스템 및 산출방법
Hwang et al. Digital exchange of design models between marine equipment libraries using hybrid neutral formats
KR101773571B1 (ko) 해양플랜트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 순서 확인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배관재 간섭 체크 및 설치순서 확인 방법
KR20230097643A (ko) 3차원 조립뷰어를 통한 무도면화 시스템
CN112184853B (zh) 检具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145178B1 (ko) 데이터베이스로 저장된 설계정보를 이용한 지능형 pid 도면의 자동 작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