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795B1 -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5795B1
KR101705795B1 KR1020150163291A KR20150163291A KR101705795B1 KR 101705795 B1 KR101705795 B1 KR 101705795B1 KR 1020150163291 A KR1020150163291 A KR 1020150163291A KR 20150163291 A KR20150163291 A KR 20150163291A KR 101705795 B1 KR101705795 B1 KR 10170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model
file
design model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메이드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16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5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G06F17/30067
    • G06F2217/02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은 제1 설계파일을 수신하고 제1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1 설계모델을 출력하는 파일 오픈모듈, 그리고 파일 오픈모듈을 통해 제1 설계파일과 공사의 종류가 상이한 제2 설계파일이 수신되면 제1 설계모델과 제2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2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하는 설계모델 통합모듈을 포함하며, 제1 설계파일의 공사의 종류 및 제2 설계파일의 공사의 종류는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인테리어, 또는 조경이며, 제1 설계파일 또는 제2 설계파일은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 형식이다.

Description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RCHITECTURAL DESIGN MODEL}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최근 건설 프로젝트가 복잡화 및 대형화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구조적 안전성 및 에너지 효율 분석 등의 요구와 설계 단계별 작업주체들의 협업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건설과정에서 각 공종별 작업주체들의 정보교환을 위하여 다양한 소프트웨어에서 호환 가능한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포맷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IFC 뷰어 시스템은 건축 IFC 파일, 디자인 IFC 파일, MEP IFC 파일 등 다양한 IFC 파일 중에서 하나의 IFC 파일에 대한 뷰어 기능만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공종별 IFC 파일을 이용한 시설물의 간섭 확인 또는 시공성 검토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복수의 뷰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종별 IFC 파일을 출력해야 하므로 간섭 확인 및 시공성 검토가 번거로우며 정확한 검토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공종별 설계파일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가 해결하려는 과제는 통합모델의 검토 및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제1 설계파일을 수신하고 제1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1 설계모델을 출력하는 파일 오픈모듈, 그리고 파일 오픈모듈을 통해 제1 설계파일과 공사의 종류가 상이한 제2 설계파일이 수신되면 제1 설계모델과 제2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2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하는 설계모델 통합모듈을 포함하며, 제1 설계파일의 공사의 종류 및 제2 설계파일의 공사의 종류는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인테리어, 또는 조경이며, 제1 설계파일 또는 제2 설계파일은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 형식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1 설계모델, 제2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하는 치수 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계모델, 제2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두 개의 정점으로 이루어진 선의 대각이 직각인 경우 두 개의 정점을 포함하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하는 치수 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계모델, 제2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의 대각방향 단면을 생성하는 단면 생성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면 생성모듈은 제1 설계모델, 제2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의 가로, 세로, 또는 대각방향 단면을 동시에 6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단면 생성모듈은 가로, 세로, 또는 대각방향 단면의 보기, 숨기기, 삭제, 그리고 바운드 박스 단면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계파일과 제2 설계파일의 계층구조를 출력하는 계층구조 출력부, 그리고 제1 설계모델과 제2 설계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속성정보를 출력하는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제1 설계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1 설계모델을 출력하는 단계, 제1 설계파일과 공사의 종류가 상이한 제2 설계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제1 설계모델과 제2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2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1 설계파일의 공사의 종류 및 제2 설계파일의 공사의 종류는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인테리어, 또는 조경이며, 제1 설계파일 또는 제2 설계파일은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 형식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제1 설계모델, 제2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계모델, 제2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의 대각방향 단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계파일과 제2 설계파일의 계층구조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제1 설계모델과 제2 설계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속성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공종이 서로 다른 설계파일들을 통합하여 건축 구조물을 검토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의 기본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생성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파일 추가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추가 및 재배열 화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IFC 계층구조의 출력 화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속성정보의 출력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MEP 설계모델의 출력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모델의 출력 화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설계모델의 출력 화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제어 화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Shade 유형의 출력 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WireFrame 유형의 출력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수 생성 화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 단면 생성 화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대각선 단면 생성 화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바운드 박스 생성 화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단면 리스트 출력 화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화면이다.
도 20은 도 1의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공종"은 공사의 종류를 의미하며,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인테리어 또는 조경 등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 형식으로, 건축 설계 분야에서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간의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의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은 파일 오픈모듈(110), 설계모델 통합모듈(120), 시점 제어모듈(130), 객체 출력 제어모듈(140), 가시성 제어모듈(150), 치수 생성모듈(160), 단면 생성모듈(170), 그리고 화면 제어모듈(1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은 뷰어(viewe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도 1의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의 기본 화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의 기본 화면이다.
도 2에서 보면,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의 기본 화면은 리본 탭(2-1), 프로젝트 브라우저(2-2), 계층구조 출력부(2-3),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2-4), 단면 속성정보 출력부(2-5), 미니 맵(2-6), 모델 출력부(2-7), 그리고 도움말 제공부(2-8)를 포함한다.
리본 탭(2-1)은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의 파일 오픈모듈(110), 설계모델 통합모듈(120), 시점 제어모듈(130), 객체 출력 제어모듈(140), 가시성 제어모듈(150), 치수 생성모듈(160), 단면 생성모듈(170), 그리고 화면 제어모듈(180)에 각각 대응하는 아이콘들이 리본메뉴 형태로 출력된다.
프로젝트 브라우저(2-2)는 프로젝트의 생성, 추가, 삭제, 그리고 재배열에 의한 프로젝트 정보 및 상태가 출력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브라우저의 화면이다.
도 3에서 보면, 프로젝트 브라우저(2-2)에서 프로젝트 생성 아이콘을 선택한 후 신규로 생성할 프로젝트 이름(예를 들어, Integrated Facility 3D Model)을 입력하면 프로젝트 브라우저(2-2)에 새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도 4에서 보면, 프로젝트 브라우저(2-2)에서 IFC 파일 추가 아이콘을 선택한 후 IFC 파일(예를 들어, Clinic_MEP_20110906_optimized.ifc)을 선택하면 프로젝트 추가 완료 화면이 출력되며 프로젝트 브라우저(2-2)에 도 3에서 생성된 프로젝트의 하위 계층으로 IFC 파일이 추가된다.
도 5에서 보면, 프로젝트 브라우저(2-2)에서 프로젝트 추가 아이콘을 선택한 후 추가할 프로젝트 이름(예를 들어, test-1)을 입력하면 프로젝트 브라우저(2-2)에 프로젝트가 추가되며, 프로젝트 재배열 아이콘을 선택하면 생성된 프로젝트들의 계층이 재정의되어 출력된다. 이때, 프로젝트 삭제 아이콘을 선택하여 프로젝트 브라우저(2-2)의 프로젝트를 삭제하는 경우에도 프로젝트 재배열 아이콘을 선택하면 남은 프로젝트들의 계층이 재정의되어 출력된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계층구조 출력부(2-3)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에서 실행 중인 IFC 파일의 데이터 트리(Data Tree) 위계의 객체 타입과 IFC 계층구조가 출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IFC 계층구조의 출력 화면이다.
도 6에서 보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불러들인 IFC 파일의 위계 구조가 트리 형태로 출력되며, 팝업(POP-UP) 메뉴를 통해 아래의 표 1의 기능이 제공된다.
메뉴 기능
Select Object Find 트리에서 선택한 아이템의 객체를 모델 출력부의 설계모델에서 강조하여 출력
Transparent Selected 트리에서 선택한 아이템의 객체를 모델 출력부의 설계모델에서 반투명상태로 출력
Restore Selected 반투명하게 처리된 객체를 원상태로 복원
Transparent All 모델 출력부의 설계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객체를 반투명상태로 출력
Restore All 반투명하게 처리된 모든 객체를 원상태로 복원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2-4)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에 대한 속성정보가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속성정보의 출력부 화면이다.
도 7에서 보면, 계층구조 출력부(2-3) 또는 모델 출력부(2-7)를 통해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한 객체가 강조되어 모델 출력부(2-7)를 통해 출력되고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2-4)를 통해 선택한 객체의 속성정보가 출력된다.
다시 도 2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단면 속성정보 출력부(2-5)는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 단면에 대한 속성정보가 출력된다.
미니 맵(2-6)은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에서 실행 중인 설계모델의 평면도와 사용자의 현재 시점에 대한 위치정보가 출력된다.
모델 출력부(2-7)는 사용자가 불러들인 IFC 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이 출력되며 사용자가 추가로 IFC 파일을 불어오는 경우 복수의 IFC 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들이 통합된 통합모델이 출력된다.
도움말 제공부(2-8)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100)에 대한 사용정보가 출력된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파일 오픈모듈(110)은 사용자에게 IFC 파일 선택 화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IFC 파일을 불러들여 프로젝트에 추가한 후 모델 출력부(2-7)를 통해 IFC 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을 출력한다(Open IFC 메뉴). 또한, 모델 출력부(2-7)의 설계모델을 이미지 파일로 캡처하여 저장한다(Capture Window 메뉴). 이때, 이미지 파일은 *.bmp, *.png, 또는 *.jpg 중 하나의 형태를 포함한다.
설계모델 통합모듈(120)은 파일 오픈모듈(110)을 통해 생성된 프로젝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IFC 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을 생성하여 모델 출력부(2-7)를 통해 출력한다(Add IFC 메뉴). 또한, 사용자가 IFC 파일을 추가하는 경우 기존 IFC 파일과 새로 추가된 IFC 파일에 각각 대응되는 설계모델을 통합하고 모델 출력부(2-7)를 통해 출력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설계모델의 출력 화면이다.
도 8은 MEP(Mechanical(기계), Electrical(전기), Plumbing(소방)) IFC 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의 출력화면이고, 도 9는 건축 IFC 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의 출력화면이며, 도 10은 MEP IFC 파일과 건축 IFC 파일에 각각 대응하는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의 출력화면이다. 도 10의 계층구조 출력부(2-3)를 보면, MEP IFC 파일(DUPLEX_MEP_20110907.IFC)과 건축 IFC 파일(DUPLEX_A_20110907.IFC)이 동일 계층으로 출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시점 제어모듈(130)은 모델 출력부(2-7)의 설계모델에 대한 사용자의 시점을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 시점은 상부(Top), 전면(Front), 우측면(Right), 좌측면(Left), 후면(Rear), 하부(Bottom), 그리고 등각도(ISO) 중 하나로 설정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시점 제어 화면이다.
도 11에서 보면, 모델 출력부(2-7)의 설계모델이 상부(Top) 시점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객체 출력 제어모듈(140)은 모델 출력부(2-7)의 설계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를 숨김, 반투명, 또는 복원 형태로 제어한다. 객체 출력 제어모듈(140)을 통해 제공되는 세부 기능은 아래의 표 2와 같다.
메뉴 기능
Show All 객체 출력 제어모듈에서 적용된 효과를 모두 초기화
Show Selected 선택된 객체만 보이고 이외의 객체들은 숨김
Hide Selected 선택된 객체만 숨기고 이외의 객체들은 보여줌
Transparent Selected 선택된 객체를 반투명 상태로 보여줌
Transparent All 파일 내에 있는 모든 객체를 반투명 상태로 보여줌
가시성 제어모듈(150)은 모델 출력부(2-7)의 설계모델의 가시성을 설정하며 아래의 표 3의 기능을 제공한다.
메뉴 기능
ShadeWire 객체면을 음영과 선이 동시에 나오는 형태로 출력
WireFrame 객체면을 선의 형태로 출력
Shade 객체의 면을 음영의 형태로 출력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가시성 제어 화면이다.
도 12는 모델 출력부(2-7)의 설계모델을 Shade 유형으로 출력한 화면이며, 도 13은 WireFrame 유형으로 출력한 화면이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치수 생성모듈(160)은 설계모델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의 가로(X축), 세로(Y축),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생성 또는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수 생성모듈(160)은 사용자가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객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두 개의 정점을 포함하는 선의 대각이 직각인 경우 두 개의 정점을 포함하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치수 생성 화면이다.
도 14에서 보면,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노란색으로 강조표시)의 가로(X축), 세로(Y축), 그리고 대각선 치수가 mm 단위로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단면 생성모듈(170)은 설계모델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방향 단면을 생성 또는 삭제한다. 이때, 단면 생성모듈(170)은 최대 6개 단면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생성 화면이다.
도 15는 설계모델의 수직 단면을 생성한 화면이며, 도 16은 대각방향 단면을 생성한 화면이고, 도 17은 바운드 박스 생성 화면이다. 이때, 바운드 박스 단면은 가로, 세로, 높이의 6개 축으로 구성된 바운드 박스 형태의 단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서 사용자는 단면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단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객체 단면 리스트 출력 화면이다.
도 18에서 보면, 도 15 내지 도 17을 통해 생성된 단면에 대한 정보가 단면 속성정보 출력부(2-5)를 통해 출력된다. 사용자는 단면 속성정보 출력부(2-5)를 통해 설계모델에 생성되어 있는 단면의 보기(18-1), 숨기기(18-2), 삭제(18-3), 그리고 바운드 박스 단면 보기(18-4)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1의 설명으로 돌아가서, 화면 제어모듈(180)은 설계모델의 줌 배율과 미니 맵(2-6) 및 모델 출력부(2-7)의 배경화면 색상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젝트 브라우저(2-2), 계층구조 출력부(2-3),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2-4), 단면 속성정보 출력부(2-5), 그리고 미니 맵(2-6)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제어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제어 화면이다.
도 19에서 보면, 도 2에서 활성화되어 있는 프로젝트 브라우저(2-2), 계층구조 출력부(2-3),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2-4), 단면 속성정보 출력부(2-5), 그리고 미니 맵(2-6)이 비활성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의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을 나타낸다.
먼저, 파일 오픈모듈(110)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제1 설계파일을 수신하고(S10), S10 단계를 통해 수신된 제1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1 설계모델을 출력한다(S20). 예를 들어, S20 단계에서는 도 9와 같이 제1 설계모델(건축모델)을 출력한다.
이후, 파일 오픈모듈(110)을 통해 사용자가 제1 설계파일과 공종이 상이한 제2 설계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가 선택한 제2 설계파일을 수신한다(S30).
이후, 설계모델 통합모듈(120)을 통해 S20 단계에서 출력된 제1 설계모델과 S30 단계를 통해 수신된 제2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2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한다(S40). 예를 들어, S40 단계에서는 도 10과 같이 제1 설계모델(건축모델)과 제2 설계모델(MEP모델)을 통합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종이 서로 다른 복수의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설계모델들을 통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건축 구조물 사이의 간섭 확인이 용이하며 설계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조작이 용이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계모델의 객체별 속성정보와 설계파일 간의 위계구조를 파악하고, 시점 제어, 선택객체 출력 제어, 선택객체 투명도 제어, 객체 요소간의 거리측정 및 단면생성 기능 등을 이용하여 설계모델 또는 통합모델을 검토 및 분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0 :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110 : 파일 오픈모듈
120 : 설계모델 통합모듈
130 : 시점 제어모듈
140 : 객체 출력 제어모듈
150 : 가시성 제어모듈
160 : 치수 생성모듈
170 : 단면 생성모듈
180 : 화면 제어모듈

Claims (11)

  1. 건축물의 제1 공사에 대한 제1 설계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1 설계모델을 출력하는 파일 오픈모듈,
    상기 파일 오픈모듈을 통해 건축물의 제2 공사에 대한 제2 설계파일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설계모델과 상기 제2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2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하고, 상기 제2 공사의 종류는 상기 제1 공사와 서로 다른 것인 설계모델 통합모듈, 그리고
    상기 제1 설계모델, 상기 제2 설계모델, 또는 상기 통합모델의 대각방향 단면을 생성하는 단면 생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사 및 상기 제2 공사의 종류는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인테리어, 또는 조경이며,
    상기 제1 설계파일 또는 상기 제2 설계파일은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 형식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설계모델, 상기 제2 설계모델, 또는 상기 통합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하는 치수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제1 설계모델, 상기 제2 설계모델, 또는 상기 통합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두 개의 정점으로 이루어진 선의 대각이 직각인 경우 상기 두 개의 정점을 포함하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하는 치수 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단면 생성모듈은 상기 제1 설계모델, 상기 제2 설계모델, 또는 상기 통합모델의 가로, 세로, 또는 대각방향 단면을 동시에 6개 생성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단면 생성모듈은 상기 가로, 세로, 또는 대각방향 단면의 보기, 숨기기, 삭제, 그리고 바운드 박스 단면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제1 설계파일과 상기 제2 설계파일의 계층구조를 출력하는 계층구조 출력부, 그리고
    상기 제1 설계모델과 상기 제2 설계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속성정보를 출력하는 객체 속성정보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8. 건축물의 제1 공사에 대한 제1 설계파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1 설계모델을 출력하는 단계,
    건축물의 제2 공사에 대한 제2 설계파일을 수신하고, 상기 제2 공사의 종류는 상기 제1 공사와 다른 것인 단계,
    상기 제1 설계모델과 상기 제2 설계파일에 대응하는 제2 설계모델을 포함하는 통합모델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설계모델, 상기 제2 설계모델, 또는 상기 통합모델의 대각방향 단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사 및 상기 제2 공사의 종류는 건축, 구조, 설비, 전기, 인테리어, 또는 조경이며,
    상기 제1 설계파일 또는 상기 제2 설계파일은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 형식인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제1 설계모델, 상기 제2 설계모델, 또는 상기 통합모델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가로, 세로, 그리고 대각선 치수를 동시에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서,
    상기 제1 설계파일과 상기 제2 설계파일의 계층구조를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설계모델과 상기 제2 설계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객체의 속성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
KR1020150163291A 2015-11-20 2015-11-20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705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91A KR101705795B1 (ko) 2015-11-20 2015-11-20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291A KR101705795B1 (ko) 2015-11-20 2015-11-20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5795B1 true KR101705795B1 (ko) 2017-02-13

Family

ID=5815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291A KR101705795B1 (ko) 2015-11-20 2015-11-20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5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48B1 (ko) * 2017-12-27 2018-04-17 박동우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55756B1 (ko) * 2020-10-20 2021-05-26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철도 인프라 사업 정보 서비스를 위한 r-ifc 뷰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603541B1 (ko) 2023-06-27 2023-11-17 조정식 Bim을 이용한 건축설계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502A (ja) * 1993-03-19 1994-09-30 Toppan Printing Co Ltd 構造物データおよび建築データ処理装置
KR20140019977A (ko) * 2012-08-07 2014-02-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모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396795B1 (ko) * 2013-10-14 2014-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시스템 및 모델링 방법
KR20140121145A (ko) * 2013-04-05 2014-10-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4502A (ja) * 1993-03-19 1994-09-30 Toppan Printing Co Ltd 構造物データおよび建築データ処理装置
KR20140019977A (ko) * 2012-08-07 2014-02-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모델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21145A (ko) * 2013-04-05 2014-10-1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
KR101396795B1 (ko) * 2013-10-14 2014-05-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시스템 및 모델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648B1 (ko) * 2017-12-27 2018-04-17 박동우 건축 설계 모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255756B1 (ko) * 2020-10-20 2021-05-26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기반 철도 인프라 사업 정보 서비스를 위한 r-ifc 뷰어를 제공하는 장치
KR102603541B1 (ko) 2023-06-27 2023-11-17 조정식 Bim을 이용한 건축설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Kinney et al. Generating, evaluating and visualizing construction schedules with CAD tools
KR101603622B1 (ko) Bim 통합설계 저작도구 활용 시스템 및 방법
Garagnani et al. Parametric accuracy: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process applied to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TWI613553B (zh) 用於編輯電路設計佈局之方法與系統以及其非暫態電腦可讀式媒體
Kieferle et al. BIM interactive-about combining bim and virtual reality
US20100287512A1 (en) Visual hierarchy explorer
US81069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representing a project using graphic elements
KR20140002750A (ko) 그래픽 환경에서 검색결과의 문맥적 디스플레이 및 스크롤링
US20170242780A1 (en) Graphical Sequence Builder
WO2008124509A1 (en) Visual command history
KR101705795B1 (ko) 건축 설계 모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03678A1 (en) Storage medium readable by machine, storing design support program
CN109716294B (zh) 具有可移动迷你标签的用户界面
US20120137243A1 (en) Rationale development and evaluation tool
KR20210049498A (ko) 웹브라우저 및 가상/증강현실 기기 활용을 위한 bim 데이터 변환/추출 방법
CN112651711A (zh) 基于xdb文件在bs架构下的协同设计管理平台的搭建系统
JP6680085B2 (ja)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7949994B2 (e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ewing extendible models for legacy applications
Tsai et al. Integration of BIM and GIS to query management on pipeline of building-a case study of dormitory
CN111897530B (zh) 基于ue4平台的ui系统及方法
KR20120132950A (ko) 선박에 대한 컴퓨터 보조 설계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화재 제어 및 안전 설계도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409218A (zh) 虚拟环境生成方法
CN115495069A (zh) 基于模型驱动的煤炭工业软件流程实现方法、装置及设备
CN105745688B (zh) 动态工作平面3d渲染环境
CN114095716A (zh) 基于bim技术与gis技术的监控摄像机三维仿真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